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의 문화적응경험과 결혼의 질: 인지유연성과 관점다각화의 매개효과

        현경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2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의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들이 주로 스트레스에 초점을 두어 문화적응경험의 순기능을 간과한 점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문화적응경험과 그런 경험으로 촉진될 수 있는 인지유연성, 관점다각화 같은 인지역량이 결혼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문화적응경험과 결혼의 질 간의 관계가 인지유연성과 관점다각화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조사하였다. 편의표집을 통해 확보된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 173명이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일련의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문화전달과 문화적응활동으로 측정된 문화적응경험은 예측대로 결혼의 질을 대변하는 부부친밀성과 결혼만족 뿐 아니라 인지유연성과 관점다각화에 유의한 기여를 하였다. 또한 인지유연성과 관점다각화는 기대했던 바와 같이 부부친밀성과 결혼만족을 각각 도왔다. 끝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한국인 남편의 문화적응활동으로 부부친밀성이 강화되는 효과의 일부가 관점다각화에 의해 매개됨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들은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들 사이에서 문화적응경험을 통해 인지역량과 결혼의 질이 강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여 그에 기초한 사회복지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among experience of cultural adaptation, cognitive competence such as cognitive flexibility and multiple-perspective taking and marital quality among Korean men married to immigrant women. It also investigated a hypothesis that effects of cultural adaptation experiences on marital quality would be mediated by such cognitive competence. Data were drawn fro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tudy conducted in Seoul and a metropolitan area in which 173 Korean husbands in 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ted. As expecte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both teaching self-culture and cultural adaptation activity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not only cognitive flexibility and multiple-perspective taking, but also marital quality as revealed in both couple intimacy and marital satisfaction. Cognitive competence as examined by cognitive flexibility and multiple-perspective taking was also positively related to such marital quality. In addi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activity on couple intimacy is partially mediated by multiple-perspective taking. Finally,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결혼의 질과 안정을 저해하는 부부갈등 영역:성별에 따른 유사점과 차이점

        현경자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5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21 No.-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married men and women feel conflict with their spouses in various areas of marital life, and investigated which areas of conflict inflicted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stability across genders. Data were drawn fro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tudy in which 491 married people (aged 25-75) residing in Seoul participated. In all areas of conflict considered, women's perception of couple conflict was on averag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en. Across genders, however, the rank order of degree of conflict in each content area was very similar, suggesting that gender differences in marital conflict are not in kind, but in degre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conflict in area of love and affection was strong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stability in both genders. Couple conflict in area of future planning was a significant negative predictor of marital stability for both genders, suggesting that people are more likely to dissolve their marriage if their plans for future conflict with those of their spouses. As for gender differences, couple conflict in areas of money management and of role expectation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men's marital satisfaction, whereas couple conflict in area of role expect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women's marital stability. In addition, conflict in areas of sex life and of treating one's own family of origin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stability among women, whereas these areas of conflict had no impact on men's marital outcome. These results suggest that women's marital outcome is more intimately connected with their preception of conflict with their spouses in various areas of marital life.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만 25세 이상 75세 미만의 기혼자 491명의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결혼생활의 다양한 영역에서 기혼자가 느끼는 배우자와의 갈등은 어느 정도이며, 그러한 부부갈등 영역 중 결혼만족과 결혼안정을 위협하는 영역은 무엇인지를 성별에 따라 조사하였다. 배우자와 의견의 불일치 빈도가 가장 높은 갈등영역은 여가 및 취미활동, 가사일 분담, 친구문제, 인생관/가치관, 생활습관 순으로 남녀 간에 일치된 결과를 보였지만, 모든 갈등영역에서 여성들이 지각하는 배우자와의 갈등 정도가 평균적으로 남성들보다 높아, 부부갈등의 성차는 갈등의 종류보다 갈등 인식의 정도에 있음을 시사하였다. 응답자들이 배우자와 갈등을 빈번히 느끼는 영역과 결혼성과를 결정하는 갈등 영역 간에 뚜렷한 차이가 드러났으며, 예측대로 결혼만족과 결혼안정을 결정하는 갈등영역 및 남녀의 결혼성과를 결정하는 갈등 영역에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었다. 남녀 응답자들의 결혼만족과 결혼안정을 공통적으로 예측하는 갈등영역은 사랑 및 애정문제가 유일하였으며, 그 외 부부의 장래계획에 대한 갈등만 유일하게 남녀의 결혼안정을 저해하는 효과를 일관되게 보였다. 남성들은 가계재정 및 금전관리, 배우자로서의 역할기대 등 부부의 공동생활특성과 관련한 갈등을 보다 빈번히 경험할수록 결혼만족도가 낮았지만, 역할기대에 대한 갈등은 여성의 결혼안정을 위협하는 효과를 보였다. 게다가 여성들은 배우자와 성생활 문제나 자신의 친인척을 대하는 면과 관련한 갈등을 빈번히 느낄수록 결혼만족도가 낮았을 뿐만 아니라 결혼해체와 관련된 사고와 정서적 경험을 보다 빈번히 하였다. 이 연구는 여성의 결혼성과를 저해하는 부부갈등 영역들이 남성보다 훨씬 다양하며, 결혼생활을 통해 경험하는 배우자와의 갈등이 여성들의 결혼성과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하였다. 그런 성 특성을 고려한 임상사회사업적 함의와 후속연구의 방향을 끝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기혼자의 자기해석 통합유형과 결혼안정: 결혼만족의 매개효과

        현경자 한국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6 No.2

        이 연구는 기혼자의 자기해석 통합유형과 결혼만족 및 결혼안정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자기 자신의 독립성과 상호의존성을 뚜렷이 인식하고 실천하는 기혼자들이 결혼생활에서 만족도가 높으며, 그로 인해 결혼생활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것이라는 결혼만족 매개가설을 검증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만 25세 이상 75세 미만의 기혼자 489명이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예측대로, 자기해석의 독립성과 상호의존성이 모두 높은 유형이 자기해석 미분화유형과 독립적 자기해석이 우세한 유형보다 결혼만족도와 결혼안정성을 높게 보고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관련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통제한 후 자기해석 통합유형과 결혼안정의 관계 및 결혼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독립적 자기해석과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이 모두 높은 유형이 독립적 자기해석이 우세한 유형과 자기해석 미분화 유형보다 결혼을 안정적으로 지각하였고 그러한 효과는 결혼만족을 투입했을 때 거의 대부분 사라짐을 보여, 자기해석 통합유형이 결혼안정에 미치는 효과가 결혼만족에 의해 매개되리라는 가설을 지지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marital satisfaction mediates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self-construal integration on marital stability. It hypothesized that married people with both high independent and hig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would experience higher marital satisfaction that, in turn, contributes to marital stability. Data were drawn fro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tudy in which 489 married people (aged 25-75) residing in Seoul participated. As expected, those who held both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truals highly showed both higher marital satisfaction and higher marital stability than those with high independent and low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and those with both low independent and low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Moreover,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health, and perceived financial difficult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effects of these different types of self-construal integration on marital stability were almost completely mediated by marital satisfaction. The data fully supported the hypothesis, and suggest that holding both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highly would contribute to marital outcome in a positive manner.

      • KCI등재
      • KCI등재

        저소득층 부부들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부부갈등 및 결혼결과:탄력적 대응을 돕는 기혼자의 자기해석

        현경자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2 No.3

        This questionnaire study examined the marital processes linking economic pressure to emotional distress and marital conflict that, in turn, affect marital outcome such as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stability among 183 low-income couples residing in Seoul. It also investigated whether both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moderate the effect of economic stress on both emotional distress and perception of martial conflict. As expected, economic str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both emotional distress and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among husbands and wives, which, in turn, promoted their negative conflict responses. Negative conflict responses among husbands were, as expected, negatively related to the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which, in turn, increased marital instability. As for coping with economic stress, findings provided support only for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that reduced the adverse influence of economic stress on both wives' emotional distress and husbands'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contributes to marital life among the low-income couple, and may protect marital life among husbands and wives in a different manner. 이 연구는 서울지역 저소득층 부부 183쌍(n=366)을 대상으로 경제적 스트레스와 부부갈등 및 결혼결과(marital outcome) 간의 관계를 면밀히 살펴보고, 그러한 결혼과정의 부적요소를 완화시키는데 독립적 자기해석과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이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조사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대로, 부부의 경제적 스트레스는 남편과 아내의 정서적 고통 및 부부갈등 인식과 정적인 관계가 있었고, 그러한 정서적 고통은 자신과 상대 배우자의 부부갈등 인식에 기여하였다. 경제적 스트레스와 부부갈등 인식 간의 관계는 정서적 고통에 의한 매개경로와 직접경로가 모두 유의미하였다. 경제적 스트레스로 부부가 인식하는 가정생활, 사랑/애정, 가치관/인생관 영역의 갈등은 예측대로 남편과 아내의 부정적 갈등반응과 정적인 관계가 있었으나, 그러한 갈등반응이 결혼결과에 미치는 예측된 효과는 남편집단에서만 나타났다. 즉 남편들의 부정적 갈등반응은 자신과 아내의 결혼만족을 저하시켰고, 그러한 경로를 통해 부부들이 느끼는 결혼불안정이 강화되었다. 경제적 스트레스 극복을 돕는 기혼자의 자기해석 특성과 관련하여, 독립적 자기해석의 예측된 상호작용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은 예측대로 경제적 스트레스의 부적 영향력을 조절하여 아내의 정서적 고통과 남편의 부부갈등 인식을 낮추었다. 이를 통해 문화적으로 강조되어 온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이 저소득층 부부들의 결혼생활을 돕는 심리적 자원이 될 수 있으며 그러한 자기해석이 남편과 아내의 결혼생활을 보호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경제적 압박과 저소득층 부부의 친밀성: 남편과 부인의 관점의 다각화와 갈등반응행동의 기제 연구

        현경자,박선영 한국여성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7 No.3

        Economic pressure narrows social cognition that facilitates coping with marital conflict as well as couple intimacy.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marital processes linking economic pressure to the cognitive-behavioral mechanism, i.e., taking multiple perspectives(MP) and conflict response behaviors(CRB) that, in turn, affect couple intimacy among 183 low-income couples residing in Seoul. Given the gender differences in biobehavioral responses to stress as marked by a pattern of “tend-and-befriend” among women and of “fight-or-flight” among men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how such causal paths differ across gender. As expected,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supported a full mediation model for the husband. In this group, economic pressure was linked to less of MP that, in turn, caused both the decrease of constructive CRB and the increase of negative CRB, thus resulting in the reduction of couple intimacy. For the wife, data supported a partial mediation model in which the direct effect of economic pressure on couple intimacy was significant. In the wife group economic pressure did not contract MP, as suggested by the stress response theory, and directly reduced constructive CRB that, in turn, affected couple intimacy. Although within both groups, MP, as expected, promoted constructive CRB and decreased negative CRB, suggesting its potential as a psychological resource, its positive effect was cancelled out in the husband group due to the impact of economic pressure. However, in the wife group, MP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couple intimacy through constructive CRB. Results of the multigroup analyses suggested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only one path leading from negative CRB to couple intimacy. While negative CRB decreased couple intimacy significantly among the husband, it did not show such an effect among the wife.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ory development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효과: 사회적 지지의 직접 및 조절 효과

        현경자,김연수 한국여성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7 No.4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acculturative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South Korea. Specifically it investigated the direct effects on depression of four different source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e., husband, in-laws, friend, and social worker), and explored the extent to which these support measures moderate the impa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depression. Data were drawn fro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tudy in which 558 female marriage immigrants participated through the 36 centers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distributed nationwide. As expected,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respondents with a higher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expressed a higher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in all analyses. In separate analyses for each measur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its interaction term with acculturative stress, each support measure showed a significant main effect on depression, and none of the interaction terms was significant. In an analysis of the full model, including 4 types of social support measure, only two support measures, perceived spouse support and in-laws support showed significant direct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 a positive direct link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and that perceived social support may not moderate the impa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these women’s depression. Finally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nd clinical practic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경제적 곤란과 문화적 도전이 다문화부부의 가족과정에 미치는 효과: 경제압박에 따른 가족스트레스 모형의 응용

        현경자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0 No.4

        This questionnaire study of 415 multicultrual couples examined family processes linking economic hardship and cultural challenge individually and together to emotional distress and negative conflict response behavior, which, in turn, affect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stability. It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family stress process caused by cultural challenge differs across the level of economic hardship so as to understand an interaction between these two stress factors.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supported alternative stress models that included a direct path from a stress factor(s) to a negative conflict response behavior. As expected, economic hardship or cultural challeng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both Korean husbands and female marriage immigrant wives, and such depression of both sides contributed to negative conflict response behavior reported by the couples. In addition each stress factor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negative conflict response behavior, which, in tur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of both husbands and wives, and with marital stability perceived by the couples. However, in both cultural challenge and stress integration models,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did not contribute to marital stability. Furthermore, in the stress integration model, the significant effect of economic hardship on husbands’ depression disappeared whereas such effect of cultural challenge increased, suggesting that cultural challenge was a major source of stress for Korean husbands. In contrast, both stress factor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wives’ depression. Also the direct significant effect of economic hardship on negative conflict response behavior disappeared while such effect of cultural challenge rather increased. Finally, results of multigroup analyses revealed that direct effects of cultural challenge and husbands’ depression on negative conflict response behavior were significantly greater among a high level of economic hardship group, and a direct effect of such conflict behavior on marital stability was also greater among that group, suggest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three paths between the high level group and the low level group of economic hardship. 이 연구는 다문화부부들 사이에서 경제적 곤란과 문화적 도전이 각기 그리고 통합적으로 우울과 같은 정서적 고통과 부정적인 갈등반응행동을 통해 결혼의 질과 안정을 침해하는 가족과정을 검토하고 이 두 스트레스 요인들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문화도전에 따른 가족스트레스 과정이 경제곤란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를 조사하였다. 여성결혼이민자 부부표본 415쌍(n=830)의 자료로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모형에서 각 스트레스 요인이 부정적 갈등반응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추가된 대안모형의 적합도가 좀 더 양호하였다. 예측대로 경제곤란이나 문화도전은 각각 한국인 남편과 결혼이민자 부인의 우울과 정적으로 연관되었고 그런 우울은 부부의 부정적인 갈등반응행동에 기여했다. 또 각 스트레스 요인은 그런 갈등반응과 정적으로 연관되었고, 부정적인 갈등반응행동은 이어서 부부 각자의 결혼만족을 낮추는 간접경로와 직접경로로 결혼의 안정을 감축했다. 하지만 문화도전 및 통합 스트레스 모형에서 예측과 달리 남편의 결혼만족은 결혼의 안정과 무관했다. 스트레스 통합모형 분석에서 경제곤란과 연관된 남편의 우울은 미미해진 반면에 문화도전과 연관된 남편의 우울수준은 오히려 더 높아졌는데, 이 두 유형의 스트레스는 모두 부인의 우울에 기여했다. 또 경제곤란이 부정적인 갈등반응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사라졌고, 문화도전의 그런 효과는 오히려 더 커졌다. 끝으로 다집단분석 결과, 경제곤란 인식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에서 문화도전에 따른 스트레스와 남편의 우울로 부부가 부정적인 갈등반응행동을 현저히 더 보였고 그런 갈등행동이 결혼의 안정을 감축할 가능성도 현저하게 높았다. 이 결과들은 문화차로 부부갈등이 심화되어 서로에게 공격적이 되는 것을 예방하고 결혼의 안정을 담보하기 위해 다문화부부의 경제력 강화가 절실함을 시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