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놀이~배움 기록 다시보기를 통해 발견한 유아의 긍정적 차이생성

        허정민(Hue, Jung Min),박소연(Park, So 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실에서 이루어진 놀이~배움 기록을 함께 다시보면서 놀이~배움의 의미와 가치를 환원주의적 접근을 탈피하여 긍정적이고 다채로운 시선으로 그 의미를 읽어내고 생성하고자 노력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진지하게 실천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한 어린이집의 유아반 교실에서 이루어진 ‘가게 놀이’ 기록을 새로운 시선으로 다시보기를 시도하였다. 2019년 5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 두 달 동안 이루어진 가게 놀이의 다양한 놀이 기록(사진, 동영상, 저널, 스케치 등)을 다시보며 기록에서 떠오르는 놀이~배움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연구자들은 2021년 10월부터 2022년 1월까지 놀이 기록에서 각자가 마주하는 푼크툼(punctum)을 공유하며 대화를 시작하였고, 대화를 이어가며 함께 철학서를 나누어 보는 등 데이터에서 빛나는 이론을 발견하고 생성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놀이 기록을 작성한 담임교사를 세 차례 만나 놀이 기록에서 자신의 시선이 어디에 머물러져 있었는지를 함께 돌아보면서 긍정의 시선으로 놀이 기록을 마주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결과 이러한 과정에서 발견한 유아 놀이~배움의 의미와 가치는 다음과 같다. 교실 곳곳에서 유아들은 ‘업그레이드’를 외치며 어제와 다른 나를 만들어가고 있었다. 또한, ‘충분해요. 나는 돈을 더 벌면 된다.’고 이야기하며 강한 자기긍정의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유아들은 삶의 ‘주인’으로 가게놀이 속에서 다양한 실험을 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결론 유아 놀이~배움 기록을 바라보면서, 유능한 유아들이 세계구성원으로 힘있게 살아가는 모습을 마주할 수 있었다. 유능한 유아들과 함께 얽혀 교육과정을 생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허무주의(nihilism)에 빠지기보다는 생성과 창조에 경이로움을 느끼며 함께 얽혀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놀이의 의미와 가치를 더욱더 다채로운 시선으로 함께 읽어내며 새로운 언어들이 계속 발견되고 생성되기를 희망한다. Objectives We tried to read and become the meaning and value of play~learning through positive and multiple perspectives, breaking away from the reductionist approach by reviewing the documents of play~learning made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Methods We tried to review the documents of ‘store play’ made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that is trying to seriously practice an early childhood play-based curriculum fro a new perspective. We tried to discover the meaning and value of play and learning by reviewing the various play documents of store play that took place for two months from mid-May to July 2019. From October 2021 to January 2022, we started a conversation by sharing the punctum we each face in the play documents, and worked hard to discover and become a theory that shines in the data, such as sharing a philosophy book while continuing a conversation. We met the early childhood teacher who wrote the play documents three times and tried to face the play documents with a positive perspective while reviewing where the teacher’s gaze stayed in the play documents. Results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children’s play~learning discovered in this process are as follows. Everywhere in the classroom, children were making a different me from yesterday, shouting ‘upgrade’. Also, children were showing strong self-affirmation, saying ‘It’s enough. I just need to make more money’. Finally, children were living their lives through various experiments in the store play as ‘master’ of their lives. Conclusions By looking at reviewing the children’s play~learning, we were able to face competent children living vigorously as members of the world. Rather than falling into nihilism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curriculum entangled with competent childhood, we expect to be entangled together, marveling at becoming and creating. We hope that new languages will continue to be discovered and become by reading the meaning and value of play together with more and more multiple perspective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 동물 기르기에 대한 의미 탐색

        허정민(Hue Jung-Min),성소영(Sung So-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동물 기르기가 유아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탐색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 동물 기르기를 방해하는 요소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자는 원장 및 교사 9인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금붕어를 기르는 어린이집 교실에서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유아들은 교실의 동물에 높은 흥미와 호기심을 가졌으며 유아는 교실에서 동물을 기르면서 세심한 관찰자가 되고 또한 적극적인 학습자가 되었다. 애정으로써 동물을 돌보면서 유아들은 생명에 대한 존중의식을 갖게 되고 함께 돌봄 공동체를 형성해 가면서 책임감을 배우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동물 기르기는 돌봄에 대한 진정한 의미를 상실, 학습만을 강조하는 풍토, 기르는 동물의 잦은 교체, 동물에 대한 애정의 부족 등으로 인해 그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진정한 “돌봄”으로서의 유아교육기관에서 동물 기르기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raising animals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nd understand the obstacles to it. The researcher interviewed 9 directors and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nd conducted a participatat observation in a daycare classroom where children and a teacher keep goldfish. Children were highly interested in and had curiosity for classroom animal. Children carefully observed them, and became active learners. As taking care of classroom animals, children learned respects for life, built the “care community”, and developed a sense of responsibility. However, obstacles on raising animals were found, such as the lack of real care, emphasis on learning aspect, lack of love for animals/pet, and frequent replacement, which made it less meaningful.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nd necessity for raising animals as the real meaning of “care”.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와 함께 만들어가는 ‘교사-되기’ 배움공동체 과정과 의미 생성

        허정민(Hue, Jung 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예비보육교사와 함께 만들어가는 ‘교사-되기’ 배움공동체 과정과 그 속에서 생성되는 의미에 주목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1학년도 1학기 영유아교수방법론 수업(15주) 동안에 사회복지⋅보육과 2학년 학생(80명)과 교수자는 자전적 탐구 글쓰기를 기반으로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나누며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한 사례분석 및 사유의 과정을 함께 가졌다. 자전적 탐구 글쓰기와 공유하기를 기반으로 ‘교사-되기’ 배움공동체를 생성하며 가르친다는 것의 의미 등을 함께 고찰해 보았다. 결과 ‘교사-되기’ 배움공동체를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관계 맺기, 이해하기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여백이 있는 교육계획안은 교육과정과 수업의 회절과 생성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또한,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에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얽힘, 학습자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얽힘, 교수자의 관거와 현재의 얽힘 등이 드러나 있었다. 서로의 얽힘 속에서 교수자와 학습자는 용기를 내어 함께 긍정적⋅윤리적 배움공동체를 형성해 나갈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도전은 또 다른 교사-되기를 그려나가는 여정과도 연결되었다. 결론 예비보육교사 양성과정이 더욱 의미 있게 구현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 운영 체제와 지원 방안 등에 다양한 구성원들의 질문과 대화의 장이 열리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focused on ‘Becoming-teacher’ learning community with professor and pre-daycare teachers make together process and sense-making. Methods For this study,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during the Teaching Methods for Young Children(15 weeks), 2nd grade students (80 students) and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Childcare learn how to look back and share their lives based on autobiographical inquiry writing and case analysis to become good teachers. Based on autobiographical inquiry writing and sharing, we considered the meaning of teaching while creating a ‘becoming-teacher’ learning community. Results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or and students and understanding each other were critical to this sympotetic journey. Education plan with sufficient margins enabled the diffraction and creation of curriculum and lessons. The becoming curriculum is together reflected previous, current and future entanglement between the professor and students. Based on such entanglement, they were able to make a positive and ethical learning community together. Conclusions This challenge led to another journey of becoming a teacher. We expect that this study helps to achieve systems to nurture and support daycare center teacher, and leads to lively convers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a variety of members.

      • KCI등재

        텅드럼과 0세반 영아들의 마주침, 그리고 교사의 함께-되기

        허정민(Jung Min Hue),이진희(Jin-Hee Lee),박소연(So Yeun Park)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2023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3 No.4

        이 연구는 0세반 영아들과 교사가 마주치게 된 텅드럼이 어떤 기억들을 불러일으키고, 어떤 이야기를 생성하게 하며, 어떻게 관계 맺고 행위하게 하는지를 조명한다. 아울러 함께-되기(becoming-with)의 관계적 페다고지에 주목하면서, 영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함께 만들어가는 시간공간물질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2022년 4월부터 2023년 2월까지 교사와의 12차례의 면담, 상시적인 비공식적 대화, SNS를 통한 놀이기록 공유, 교실 관찰, 원장 면담, 부모기록물 수집 등으로 데이터를 생성하였으며, 연구자들도 함께 얽혀 서로 횡단하고 중첩하며 리좀적 운동을 이어 나갔다. 연구결과, 텅드럼과의 마주침이 영아들로 하여금 다양한 감각과 기억을 불러일으켜 주체적이고 창발적으로 행위하게 만듦을 발견하였다. 아이들은 텅드럼의 물질성을 감각하고 고유한 의미를 부여하여 놀이를 이어 나갔으며, 교사는 이러한 영아들의 힘에 감탄하면서 함께 교육과정을 만들어가는 공동주체가 되어갔다. 교육적 행위에는 학습자와 교사라는 존재, 놀이와 배움의 담론을 바라보는 철학적 시선의 변화가 필요하며, 놀이기반 관계적 페다고지를 실천하기 위하여 함께 차이를 생성해가는 배움공동체가 중요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illuminated how encounters with a tongue-drum invited specific memories, stories, relations, and actions from 0-year-old classroom children and their teacher.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relational pedagogy of ‘becoming-with’, we hoped to understand spacetimematterings of the child-centered, play-centered curriculum, co-created by stakeholders. From April 2022 to February 2023, we generated research data through 12 interviews and frequent informal talks with the teacher, as well as sharing play observational records through SNS, classroom observations, interviewing the director, and collecting relevant documents including parental responses. Simultaneously, researchers also became engaged in mutual entanglement, transecting across and overlapping with one another through continuous rhizomatic movements. We discovered that encounters with a tongue-drum made the infant-toddlers respond with a variety of senses and memories, leading to agential, emergent actions. They sensed specific materiality of the tongue-drum, endowed unique meanings, and responded with various plays, while their teacher marveled at powerful capacities of infant-toddlers and became a co-actor of their co-created curriculum. We suggest that shifts of philosophical perspectives upon the ontology of learners and teachers as well as discourses of play and learning are needed for implementing the play-based, relational pedagogy, along with facilitating learning communities among everyone involved to make differences together.

      • KCI등재

        유아들의 놀이에서 드러나는 특성과 변화 과정 탐색

        이진희(Lee, Jin-Hee),허정민(Hue, Jung-Min),장은정(Jang, Eun-J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5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놀이에서 드러나는 특성과 변화 양상을 ‘함께’ 들여다보며 발견하고자 하였다. 2019년 3월 넷째 주부터 7월 다섯째 주까지 K도에 위치한 한 어린이집의 만 5세 반 교실을 주 1회 참여관찰하고 담임교사와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교사의 놀이기록 및 학부모 저널, 연구자 일지, 놀이 흐름도 등을 추가로 수집하였다. 유아들이 ‘가게놀이’라는 공동의 주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험 속에서 놀이를 통해 만나는 세상을 확장해가는 모습이 발견되었다. 또한, 놀이~배움의 과정에서 도전적으로 해결해가야 할 상황에 부딪히거나 어려움이 있는 순간에 교사나 친구의 도움을 받으며 용기를 내어 함께 극복해가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나아가 유아들은 교실 내에서뿐만 아니라 교실 밖의 다양한 관계 속에서도 끊임없이 소통하고 서로에게 진지한 관심을 가지며, 윤리적인 놀이~배움 공동체 문화를 만들어 가는 모습을 보였다. 사회문화적 가치, 일상경험, 관계성이 내재된 놀이~배움의 구체적 맥락 속에서 유아들의 경험과 흥미, 상호교류를 주의 깊게 지켜봄으로써 고유한 특성과 변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교사의 사유와 실천의 중요성을 제안한다. This study focuses on illuminating disposition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discovered through young children’s play. Once a week, a 5-year-old classroom at a day-care center located in K province was observed from the 4<SUP>th </SUP><SUP></SUP>week of March to the 5<SUP>th </SUP>week of July, 2019,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held with the classroom teacher. Reflective journals and observational documents of the teacher, parental journals, researcher journals and the rhizome mapping of play were collected for further analysis. The participating children shared interests in a play theme, ‘running a shop’, and broadened the world they encountered through active play participation experiences. They also gathered up the courage to handle challenging tasks to rise above himself/herself in the process. The children ceaselessly communicated with one another in the midst of diversified relationships in and out of the classroom, showed sincere interests in others, and built an ethical community culture of play~learning. This study suggests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nd praxis in deep understandings of young children’s uniqu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within specific play~learning contexts in which sociocultural values, daily experiences, and relationships are embedded, by attentively noticing children’s experiences, interests, and mutual exchanges.

      • KCI등재

        한 어린이집 유아교사의 놀이와 배움을 잇기 위한 보육일지 재구성 과정 및 의미 생성

        이진희 ( Lee¸ Jin-hee ),허정민 ( Hue¸ Jung-min ),장은정 ( Jang¸ Eun-j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5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놀이와 배움을 잇기 위한 한 어린이집 교사의 보육일지 재구성 과정 및 의미 생성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8년 8월부터 2021년 현재까지 양식과 내용의 변화과정이 담긴 일지 원자료를 수집하는 동시에, 이에 담긴 교사의 고민과 의도, 맥락, 실천 과정 등을 이해하기 위한 심층 면담을 총 16회 진행하였다. 아울러, 이 기간 동안 작성된 교사저널을 수집하여 함께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교사는 외부에서 주어지는 보육일지 작성요령 등을 무비판적으로 차용하거나 방법론적 참신성만을 쫓는 것이 아니라, 보육일지라는 기록의 본질적 의미를 지속해서 사유하면서 보육일지에 담을 내용과 형식을 함께 고민하고 실험해 나갔다. 놀이와 배움의 사건이 이루어지는 순간들을 포착하여 이해해가는 과정을 드러내어 줄 수 있는 보육일지를 변화시켜 가는 과정은 교사가 끊임없이 생성해가는 의미와 얽혀가며 유아 이해 및 과정중심의 보육과정 운영 평가와 동시에 작동하였으며, 교사의 교육과정 수행성에 대한 사유와 새로운 실천을 가능하게 하였다. 유아들의 능동적 흥미와 진지한 관심사를 중심으로 누리과정을 운영하기 위하여 교사의 자율성이 현장에서 의미 있게 작동할 수 있는 실천방안 및 지원체계를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개선해갈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minate continuous process of intra-active reconstruction and meaning-making of daily journals by a childcare center teacher for bridging children's play and learning. Along with collecting the childcare daily journals as raw data that show changes in both the format and content from August 2018 to February 2021, a total of 16 in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teacher’s concerns, intentions, contexts, and ethical practices in her reconstruction process. The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during this period were also collected and analyzed. Rather than merely complying with given national guidelines for childcare daily journal writing or pursuing methodological novelty, the participating teacher attempted to delve into essential meanings of childcare daily journals and experimented with its format and featured contents. Her continual reconstructions of the childcare daily journal for capturing and understanding meaningful moments of play and learning were entangled with her ongoing meaning-makings, understandings of the children and process-oriented evaluation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which allowed her to think over and come up with new ideas for curriculum performativity. This study suggests a critical need for further research and reformative endeavors regarding meaningful practices and structural systems to support teachers’ autonomy for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order to cherish children's active interests and sincere concerns for their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