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반 논문 : 흥부전의 인성론적 의미

        허원기 ( Weon Gi Heo ) 한민족문화학회 2006 한민족문화연구 Vol.19 No.-

        이 논문에서는 자본주의적 인간형과, 심성적 인간형, 장부적 인간형이라는 세 가지 인성론에 바탕을 두고 흥부전이 지향하고 있는 인성 논쟁의 향방을 검토하였다. 흥부전에서는 자본주의적 인간인 놀부에 대한 반감을 직접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나 심성적 인간인 흥부에 대하여 전적으로 동조하거나 공감을 표시하는 것은 아니다. 물질적인 여건이 열악한 상태에서 정의로만 현실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장부적 인간론은 자본주의적 인간론과 심성적 인간론을 비판하는 사상적 기반이 된다. 장부적 인간론으로 자본주의적 인간을 바라볼 때, 개인의 무한한 물질적 욕망추구는 다른 생명을 착취하고 억압하거나 또는 생명 그 자체의 자기파멸을 불러올 수 있는 것이기에 적절히 제어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장부적 인간론의 관점에서 심성적 인간을 바라볼 때, 인간 감정의 정당성과 심성의 도리만을 관념적이며 교조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생명의 실질적인 건강을 이룩하는데 겉치레가 되며 방해가 될 수 있다. 흥부전은 세상의 모든 자본들은 생명을 돕고 기르는 것이 되어야만 의미가 있으며, 인간의 심성이라는 것도 생명의 한 작용일 뿐이라는 것을 표명하고 있다. 흥부전에서는 장부적 인성론을 중요한 인간관으로 새롭게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장부적 인간론은 인간을 생명적 존재로 파악하고 있다는 점에서 생태주의적 인성론의 대안으로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s a dispute of inseongnon (人性論) in Heungbujeon(흥부전) by three type humanities: human of capitalism, simseongnon(心性論)`s human, jangburon(藏腑論)`s human. A human is `desiring and owning being` by the human of capitalism, `emotional being` by the simseongnon`s human, and `living being` by the jangburon`s human. In Heungbujeon, the human of capitalism was rouse antipathy, and the simseongnon`s human was not gain sympathy. In these critical attitude, the jangburon`s humanity is laid. In the jangburon`s humanity, Human is `living being`, and make that enjoy and complete life enough of an ideal. That bring up and look after life regarded as the good, And, that injure and oppress life regarded as the evil. The human of capitalism is injured and oppressed healthy life. In this a standpoint, the human of capitalism that pursuit unbounded desires controlled for realize life ideal. And also, The simseongnon`s human disturbed and oppressed in that enjoy and complete life enough of an ideal. In Heungbujeon, it insist that all capitals must serve to complete life, and also simseong is a way function of life. The jangburon`s human as found in Heungbujeon have a essential meaning by a ecological human being.

      • KCI등재
      • KCI등재

        『삼국사기(三國史記)』의 문학사적(文學史的) 성격(性格)과 의미(意味)

        허원기 ( Weon Gi Heo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2 동방학 Vol.25 No.-

        이 논문에서는 언어문자, 문학작품, 인간 등의 세 가지 차원에서, 『삼국사기』의 문학사적 성격과 의미를 검토해 보았다. 첫째, 『삼국사기』는 고대 구비문학 시대의 문학 유산을 중세의 동아시아 한문학 시대의 자산으로 정리하고, 우리 중세 한문학을 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傳, 史論, 表文등 다양한 한문 문체와 그 전범을 확립하여 고려 한문학이 중국의 한문학에 비해 손색이 없음을 증명했다. 또한 우리 한문학이 동아시아 문명공동체에서 국가의 위신을 세우고 국익을 도모하는데 크게 기여했음을 밝혔다. 둘째, 『삼국사기』에 수록된 작품들 중에 중요한 것은 건국신화를 비롯한 서사문학과 여러 가지 다양한 문체의 교술문학, 그리고 약간의 서정시이다. 고대의 건국신화는 『삼국사기』 안에서 신화성이 탈색되고 중세적 객관성이 강화되었다. 또한 패배하는 영웅과 성공하는 보통사람의 이야기가 등장하면서 중세의 서사문학이 시작되었음을 보여주었다. 傳, 史論, 寓言등의 교술 문학 작품은 넓고 다양하게 나타나며, 중세적 성격을 잘 반영한다. 서정시는 많지 않으나 중세의 징후는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삼국사기』에서는, 중세시대의 가치관에 의거하여, 수많은 인물들을 형상화했다. 왕으로는 통일군주인 문무왕과 망국의 군주인 보장왕과 의자왕을 비중 있게 기술하여, 칭송과 경계의 뜻을 확실히 하였다. 그리고 신하인 김유신을 왕보다 많은 분량으로 기술하여 왕보다 신하가 중요해질 수 있는 시대가 되었음을 알렸다. 또한 강수, 설총, 최치원과 같은 인물들의 계보를 다시 정리하여 한문학 능력을 지닌 중세의 전문문인관료들을 새로 조명하였다. This paper studied on the meaning of literary history about Samguksagi. I approached to literary history by three perspectives: language and characters, literary works, humans. My research came to the conclusion of the next. In Samguksagi, the ancient heritage of oral literature cleanup by the medieval Chinese literature. In this process, Korean Chinese literature has been established a standard of various writing style. This is an opportunity to increase international stature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In Samguksagi, numerous literary works were published. It is the myth of National Foundation, gyosul literature of various writing style, and a little bit of the lyric poetry. In here, Mythical characteristics was faded and the objectivity and realism were strengthened. Also the story of ordinary people to succeed and defeat the heroes have emerged. This is revealed the signs of medieval literature. In Samguksagi, King Munmu, King Euija, King Bojangwang were heavily represented. Through it, in the viewpoint of medieval values, and It was certainly emphasized the historical lesson. Also Kimbusik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ubjects with an emphasis on the Kimyooshin. And he rearrangement of the characters lineage, such as Kangsu, Seolchong, Choichiwon. By this way, he highlighted on the main professional bureaucratic writers.

      • KCI등재

        충주, 남한강 유역 설화의 문학지리

        허원기 ( Weon Gi Heo ) 한민족문화학회 2010 한민족문화연구 Vol.34 No.-

        충주, 남한강 유역의 설화 중에서 이 지역의 지역적 특색을 잘 보여주는 것들로는 영웅이야기, 부자이야기와 자연 및 인공사물을 다룬 이야기들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이 지역의 영웅설화로는 충주의 임경업과 신립, 단양의 온달, 영월의 단종 전설이 중요한 이야기로 전승된다. 이 전설들은 지역민들에게 영웅의 재능을 부각시켜 자부심의 근거로 삼는다든가, 비장한 전쟁체험을 공유한다든가, 중앙의 인물에게 토속적 색채를 강화한다든가, 현지인의 보상적 진혼방식을 통해 신격화하면서 전승자들의 의식을 반영하고 있다. 충주, 남한강 유역은 뱃길을 통해 자본과 물산이 활발히 유통되던 공간이다. 이러한 배경 아래, 부자들의 이야기가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한 사례로는 충주의 자린고비, 한도척, 황희숙, 여주의 허홍, 원주의 강상이야기가 있다. 이 이야기들은 근검절약을 통한 부의 축적과 자본의 순수한 사회적 환원을 중시하는 이 지역 사람들의 자본의식과 윤리가 잘 반영되어 있다. 탄금대, 달래강, 그리고 중앙탑과 미륵사지에도 많은 이야기들이 전승되는데 이는 충주지역 사람들의 공간의식을 일정하게 반영하고 있다. 이들 사물에 얽힌 전설들에는 낙원과 지옥이 결국 하나의 공간이며, 최고의 물맛을 지닌 고장, 국토의 중심에 살고 있다는 이 지역 사람들의 자부심이 반영돼 있다. 그리고 성과 속이 하나의 공간이라는 인식도 강하게 반영하고 있다. In the basin of chungju―namhangang, It orally main handed dawn that Heroic narrative, rich man narrative, natural things legend, and artificial things legend. For Heroic narrative, It were that Im Gyeong―eop, Sin Rip, Ondal, Danjong. These legends were pride to a local resident, tragic a war experience, intervention of locality, in compensation for repose of souls. For rich man narrative, It were that Jaringobi, Han Do―cheok, Hwang Hui―suk, Heo Hong, a river trader of Wonju. These legends were accounted accumulation of capital by frugality, and return profits to society. These stories let see the capital ethics and consciousness of this local resident. To at Tangeumdae, Dalraegang, Jungangtap, Mireuksaji also, Its handed dawn many story, and these stories let see space―consciousness of this local resident. These stories let see the concept of that a paradise and a hell are one space, and that holy world and this world are one space. And these stories let see pride of took residence to a the center of a country, and to the best of the taste of wate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온달전>의 인물 서사문법-겉/속, 밝음/어둠, 몰라봄/알아봄을 중심으로-

        허원기 ( Heo Weon-gi ) 영주어문학회 2020 영주어문 Vol.46 No.-

        이 논문은 인물 서사문법의 측면에서 <온달전>의 문학적 성취를 전반적으로 구명해본 것이다. 중심인물들의 개별적 성격과 인물 구성의 전체적 관계 양상을 꼼꼼하게 분석해보고, 이러한 인물서사문법의 문학사적 위상과 의미를 함께 검토해 보았다. 인물의 서사문법을 분석하면서 중요한 분석틀로 사용한 개념은 겉/속, 밝음/어둠[잘남/못남], 몰라봄/알아봄의 3가지 대립항이다. 이를 통해 인물서사분석의 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온달전>에서 “겉모습은 꾀죄죄하여 우스웠으나 속마음은 밝았다. [容貌龍種可笑, 中心曉然]”는 문장은, 겉과 속으로 인물의 성격을 구성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겉’과 ‘속’을 기반으로 하여, ‘밝음[잘남]’과 ‘어둠[못남]’, ‘몰라봄’과 ‘알아봄’은 중요 등장인물 네 사람의 성격을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온달은 겉은 어둡고 못났지만 속은 밝고 잘난 사람, 평강공주는 겉과 속이 모두 밝고 잘난 사람, 평강왕은 겉은 밝고 잘나 보이지만 속은 어둡고 못난 사람, 맹인인 온달의 모친은 겉은 어둡고 못났지만 속으로는 밝은 눈을 가진 잘난 사람이다. 이러한 겉과 속의 밝음[잘남]과 어둠[못남]이 등장인물의 성격을 전체적으로 구성하는 기본 틀이며 요소이다. 서사적인 측면에서는 겉으로는 바보같이 어두워 보였던 온달이 내면의 밝음을 외면으로 온전하게 실현해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전개한다. 그리고 주제적인 측면에서는 사람이 사람을 볼 때는 모름지기, ‘겉의 어둠만 바라봄’에서 그치지 말고 ‘속의 밝음까지 알아봄’에 이르러야 한다는 주제를 담고 있다. 이러한 인물 서사문법은 비단 <온달전> 한 작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겉/속, 밝음/어둠, 몰라봄/알아봄을 기본 구조로 하는 인물의 서사문법은 그 연원이 오래 되었다. 그 이전의 모습은 『장자』의 「덕충부」, 사마천의 <평원군열전>, <소진열전>, 반고의 <주매신전>, 유종원의 <종수곽탁타전> 등에 잘 나타나고, 그 이후의 모습은 『삼국유사』, 『고려사·열전』의 <강감찬전>, 고전소설인 <소대성전>, <장풍운전>, <박씨전>, <황씨부인전>, 연암소설, <영이록> 등에서 그러한 모습들을 다수 확인할 수 있다. 김부식의 <온달전>은 한국문학사에서 이러한 인물의 서사문법을 구현한 최초의 작품이라는 점, 그리고 그것이 네 사람을 통해서 입체적으로 구현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is paper discussed the literary accomplishments of Ondal-jeon in the character narrative grammar. The three main concepts used as analysis frames are the three antagonistic terms: outside/inside, bright/dark, and know/ignore. The sentence in < Ondaljeon >, “The outside was funny because it was shabby, but the inside was bright," provides an important basis for the character's character both inside and outside. Based on ‘outside' and ‘inside', ‘bright[handsome]' and ‘dark[ugly]', ‘know' and ‘ignore' are important concepts to understand the personality of the four important characters. Ondal is dark and ugly on the outside, but bright on the inside and a handsome person. Princess Pyeonggang is a bright and handsome person on the outside and inside. King Pyeonggang looks bright and good on the outside, but dark and ugly on the inside. Ondal's mother, who is blind, Ondal's mother, a blind woman, is a good person with dark and ugly eyes on the outside, but bright eyes on the inside. Brightness[handsome] and darkness[ugly] on the outside and inside are the basic frame and elements of the person's character as a whole. In terms of narrative, Ondal at first looked silly dark on the outside, but eventually completes the brightness of the inside with the outside. In terms of the theme, it contains the theme that when a person looks at a person, they should be able to recognize the ‘brightness of the inside' rather than just looking at ‘the darkness of the outside'. Such character narrative grammar is not limited to only one work of < Ondal-jeon >. The narrative grammar of these characters has a long history. Several similar examples can be found before and after that. < Ondal-jeon > is the first work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o embody such a character's narrative grammar, and it is embodied in three dimensions through four people. In this respect, < Ondal-jeon >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literary history.

      • KCI등재

        판소리동화의 판소리 변용 연구

        허원기 ( Weon Gi Heo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7 동화와 번역 Vol.13 No.-

        Lee Cheong-jun(이청준) recreated Pansori(판소리) into a fairy tale. The object is Heungbu-ga(흥부가), Sugung-ga(수궁가), Simcheong-ga(심청가), Chunhyang-ga(춘향가), Onggojip-taryeong(옹고집타령). His Pansori fairy tales have some distance from Pansori. In Pansori fairy tales, sub-characters receive little attention, but main characters get excessive attention. And the shapes of main characters are modified from the main character of Pansori. The theme of the works is converted more then. The theme of Pansori fairy tales stand out the essential issues of human life more then reflect the spirit of the age. The style of Pansori fairy tales did away with the elegant archaic words and the colloquial vulgarism. In esthetic side, a sublime and an elegant style is overwhelming; a tragic beauty and a comic emotion appeared very slightly. Also, a kind of playing and a type of sinmyeongpuli(신명풀이) is weakened. However, an open ending shows esthetic homogeneity.

      • KCI등재

        이야기인문학의 전통과 가능성

        허원기(Heo, Weon-gi)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4 스토리&이미지텔링 Vol.7 No.-

        이야기인문학은 이야기를 통해 관계와 소통을 극대화하는 인문학을 말한다. 이야기인문학은 방법적으로 ‘이야기로 하는 인문학’이며 내용상으로 ‘이야기로 된 인문학’이다. 이야기인문학은 인문학의 관계와 소통 정신을 극대화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에서 인문이라는 말은 ‘하늘의 무늬’에 대비되는 ‘인간의 무늬’를 지칭하는 것이다. 그리고 인문은 우주와 자연의 무늬인 천문, 지문과 긴밀한 상관관계 속에 존재한다. 동아시아인들은 인문이 도를 얻게 될 때 천문과 지문도 함께 지극해 진다고 여겼다. 인문의 중요한 대상으로는 시서예악을 거론하는데 이들은 관계와 소통의 절차와 방식들을 중심내용으로 삼고 있다. 판소리 <흥보가>와 『장자』와 『사기』는 동아시아의 이야기인문학의 전통적 사례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흥보가>는 이야기 자체의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직접적으로 추구하였고, 장자는 이야기를 통한 사유를 잘 전개하고 있으며, 사마천은 『사기』를 통해서 이야기로 기억하는 역사의 모습을 잘 보여주었다. 또한 이들은 문사철이 적극적인 관계와 소통을 통하여 융합하는 최고의 경지를 이룩하였다. 관계와 소통을 중시하는 이야기인문학은 인문학의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인문학을 창조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가능성을 다음과 같이 지니고 있다. 그것은 첫째, 분과인문학을 넘어 융합인문학으로 가는 기제로서의 가능성, 둘째, 인문학의 근본문제에 집중할 수 있는 가능성, 셋째, 다매체 시대에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동력으로서의 가능성, 넷째, 다른 학문을 발전시키는 중심동력으로서의 가능성, 다섯째, 지행합일의 실학적 인문학으로서의 가능성이다 Story-Humanities is a field that maximizes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with the medium of the story. In East Asia, the meaning of ‘Inmun[人文]’ is ‘Pattern of human[人紋]’ in contrast to the ‘Pattern of sky[天文]’. East Asians thought than when Inmun is achieved, Cheonmun[天文] and Jimun[地文] are achieved at its utmost. An important subject of the humanities was Siseoyeak[詩書禮樂], and it emphasized the procedures and ways of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Heungboga, Jangja[莊子], and Sagi[史記] are important texts for traditional Story-Humanities in East Asia. Heungboga pursued pleasure and beauty of the story itself directly. Jangja is a good example of the thinking that led to the story. Sagi of Samacheon is a good example of history that is remembered through story. These showed the highest state of convergence among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in the humanities. Story-Humanities have the following possibilities. The first is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mechanism to fusion humanities. The second is the possibility of being able to focus on th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humanities. The third i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new culture in a new multi-media era. The fourth is the potential as a power to develop other studies. The fifth is the possibility as the Silhak-humanities of Jihaeinghabil.[知行合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