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엄지손가락과 첫째손샅의 등쪽 동맥분포

        허미선(Mi-Sun Hur),한희돈(Hee Don Han),곽현호(Hyun-Ho Kwak),허경석(Kyung-Seok Hu),이규석(Kyu-Seok Lee),김희진(Hee-Jin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3 No.3

        손등은 이식시 공여부로 흔히 사용되어 왔으며, 그중에서 등쪽손허리동맥피판(dorsal metacarpal arterial flaps)은 손가락 피부와 물렁조직의 결손부위를 덮는데 자주 사용되지만, 손등동맥의 해부학적 변이는 다양하므로 동맥피판을 다루는데 공여부 확보에 있어 어려움을 줄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엄지손가락, 집게손가락, 첫째손샅(first web space)의 등쪽 동맥분포를 밝히고, 동맥피판술에 도움이 되는 해부학적 자료를 만들기 위함이다. 재료는 한국성인 시신 손 26쪽(오른손 13쪽, 왼손 13쪽, 평균나이 67.7세)을 사용하였고, 해부 전 아래팔 중간부위의 노동맥에 붉은 Latex (Latex 671, Dupont Industry, France)를 주입한 후, 해부하였다. 첫째등쪽손허리동맥 가지의 형태는 등쪽자쪽엄지가지와 등쪽노쪽집게가지가 일어나는 형태에 따라 세 가지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등쪽자쪽엄지가지와 등쪽노쪽집게가지가 첫째등쪽손허리동맥에서 일어나는 경우(10예, 38.5%), 첫째등쪽손허리동맥을 형성하지 않고 노동맥에서 등쪽자쪽엄지가지와 등쪽노쪽집게가지가 각각 따로 분지되는 경우(5예, 19.2%), 그리고 등쪽노쪽집게가지는 노동맥에서 일어나고, 등쪽자쪽엄지가지는 엄지으뜸동맥에서 일어나는 경우(11예, 42.3%)가 있었다. 첫째등쪽손허리동맥 가지의 첫째등쪽뼈사이근에 대한 위치관계는 등쪽자쪽엄지가지가 근육에 대해 달리는 위치에 따라 두 가지 유형이 있었다. 등쪽자쪽엄지가지가 첫째등쪽뼈사이근의 표면을 달리는 경우는 17예(65.4%)가 있었고, 첫째등쪽뼈사이근에 덮여 달리는 경우는 9예(34.6%)로 관찰되었다. 등쪽노쪽집게가지는 모든 예에서 첫째등쪽뼈사이근의 표면으로 달렸다. 이상의 결과들은 엄지손가락과 첫째손샅의 등쪽 동맥분포에 대한 국소해부학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손 외상 치료와 동맥피판술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Distal thumb injuries are a common and difficult problem for hand surgeons. Coverage of soft tissue on the fingers may be difficult due to the size of the defect or the limitation of local flap mobilization. However, the variable anatomy of the dorsal hand vascular system sometimes prevents successful flap harv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vascular anatomy of the dorsal side of the thumb and the first web for the flaps. Twenty six hands (13 right and 13 left hands) from Korean embalmed cadavers were dissected. A catheter was inserted into the radial artery in the forearm, and the red colored latex (Latex 671, Dupont Industry, France) was injected until the dorsum of the hand was colored.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dorsal metacarpal artery (FDMA) and its branches were vary and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branching patterns; Both dorso-ulnar thumb branch (DUTB) and dorso-radial index branch (DRIB) arose from the FDMA (10 cases, 38.5%). Each DUTB and DRIB arose separately from the radial artery (5 cases, 19.2%). The DUTB and the DRIB originated from the princeps pollicis artery and the radial artery, respectively (11 cases, 42.3%). The typical course of the FDMA and its branches ran overlying the 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 in 17 cases of the 26 specimens (65.4%). However, in nine cases (34.6%) the DRIB ran on the 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 and the DUTB had a deep course within the substance of the 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 The FDMA flap represents a good option to cover defects for the thumb. These anatomical findings in the present study could provide useful knowledge of flaps for dorsal aspect of the thumb and the first web.

      • KCI등재

        전형적인 팔신경얼기 말단가지를 구성하는 각 척수신경의 정량화

        허미선(Mi-Sun Hur),이규석(Kyu-Seok Lee) 대한체질인류학회 201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4 No.3

        이 연구는 한국성인 시신의 팔신경얼기 6쪽에서 팔신경얼기의 말단가지를 구성하는 각 척수신경의 양을 정량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팔신경얼기의 가지부분에서 분지하는 신경으로 등쪽어깨신경은 C5으로 구성되었고 참여하는 신경섬유 개수는 355±180개였고 긴가슴신경은 C5, C6, C7으로 구성되었고 C6에서 참여하는 신경섬유가 743±346개로 가장 많았다. 줄기부분에서 분지하는 신경으로 빗장밑근신경은 C5로 구성되었고 참여하는 신경섬유는 242±71개였으며 어깨위신경은 C5와 C6로 구성되었고 C5에서 참여하는 신경섬유가 1,942±505로 더 많았다. 신경다발의 몸쪽부분에서 분지되는 신경으로 가쪽가슴근신경은 C5, C6 그리고 C7으로 구성되었으며 C7에서 참여하는 신경섬유가 2,917±785개로 가장 많았고 안쪽가슴근신경은 C8과 T1으로 구성되었으며 C8에서 참여하는 신경섬유가 964±430개로 더 많았다. 위어깨밑신경은 C5와 C6로 구성되었으며 C5에서 참여하는 신경섬유가 1,179±92개로 더 많았고 아래어깨밑신경은 C5, C6 그리고 C7으로 구성되었으며 C6에서 참여하는 신경섬유가 1,070±390개로 가장 많았고 가슴등신경은 C6, C7 그리고 C8으로 구성되었고 C7에서 참여하는 신경섬유가 2,335±324개로 가장 많았다. 신경다발의 먼쪽에서 분지되는 말단신경으로 근육피부신경은 C5, C6 그리고 C7으로 구성되었으며 C6에서 참여하는 신경섬유가 4,009±1,883개로 가장 많았고 정중신경은 C5에서 T1으로 구성되었으며 C7에서 참여하는 신경섬유가 9,651±2,663개로 가장 많았다. 자신경은 C7, C8, T1으로 구성되었으며 C8에서 참여하는 신경섬유가 10,075±1,473개로 가장 많았으며 안쪽위팔피부신경과 안쪽아래팔피부신경은 모두 C8과 T1으로 구성되었으며 T1에서 참여하는 신경섬유가 각각 1,752±390개와 3,080±1,140개로 더 많았다. 노신경은 C5에서 T1으로 구성되었으며 C7에서 참여하는 신경섬유가 7,958±2,333개로 가장 많았으며 겨드랑신경은 C5와 C6로 구성되며 C5는 3,229±434개, C6는 3,255±1,177개로 비슷한 참여량을 보였다. 이 결과는 신경의 손상의 예측이나 신경이식 등 임상적 시술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quantity of the nerve fiber of the terminal branches of the typical brachial plexus in the 6 sides of the Korean adults. The dorsal scapular nerve, which is derived from ramus of the brachial plexus, was comprised of C5 and participating nerve fiber was 355±180. The long thoracic nerve was composed of C5, C6 and C7, and was mainly originated from C6, and participating nerve fiber was 743±346. The nerves, which are branched out from trunk, nerve to subclavius muscle was composed of C5 and participating quantity was 242±71. The suprascapular nerve was comprised of C5 and C6, and the nerve fiber was mainly derived from C5 (1,942±505). The nerve, which is originated from proximal portion of the cord, the lateral pectoral nerve was constituted of C5, C6 and C7. The main component was C7 as the 2,917±785 nerve fiber. The medial pectoral nerve was made with C8 and T1. The main component was C8 as the 964±430 nerve fiber. The upper subscapular nerve was derived from C5 and C6. The nerve fiber was 1,179±92 in C5, mainly participated. The Lower subscapular nerve was constituted of C5, C6 and C7. C6 was the main component and contributing nerve fiber was 1,070±390 in C6, principal component. The thoracodorsal nerve was formed by C6, C7 and C8. The chief component was C7, contributed of 2,335±324. The nerves, which are came out from the distal portion of the cord, musculocutaneous nerve was derived from the C5, C6 and C7. The C6 was principal component, and was joined with 4,009±1,883. The median nerve was contributed from C5 to T1. The chief component was C7 added with 9,651±2,663. The ulnar nerve was composed of C7, C8 and T1. The C8 was the main component comprised of 10,075±1,473. The medial brachial and antebrachial cutaneous nerves was constituted of C8 and T1. In the both nerves, the main component was T1 participated with 1,752±390, 3,080±1,140 respectively. The radial nerve was composed of C5 to T1. The C7 was principal component added with 7,958±2,333. The axillary nerve was made up C5 and C6. In the nerve, the both spinal segments were similarly participated to the nerve. This results could be applied for the injuries and neurotization procedure of the terminal nerves of the brachial plexus.

      • KCI등재

        An Unus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adial and the Ulnar Nerves

        Mi-Sun Hur(허미선),Kyu-Seok Lee(이규석) 대한체질인류학회 2013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겨드랑부위에서 노신경에서 자신경으로의 연결가지의 형태변이를 기술하는 데 있다. 노신경과 자신경 사이 연결가지를 포함한 팔신경얼기를 한 덩이로 떼어내, Guanidine-HCl (0.2 M)에 2주 동안 담근 후, 초음파세척기로 여러 번 처리하여 신경다발 주위의 결합조직을 부드럽게 하여 신경다발을 분리하였다. 노신경에서 자신경으로의 연결가지를 구성하는 척수신경은 대부분이 C7이었고, 일부 C8이 참여를 하였다. 같은 시신 오른 팔에서 위팔세갈래근에 분포하는 자신경의 분포변이가 관찰되었다. 이 자신경가지는 위팔세갈래근 안쪽갈래의 안쪽 2/3 부위에 분포하였다. 자신경과 노신경 사이의 연결가지와 위팔세갈래근에 분포하는 자신경 가지의 신경섬유 수는 각각 523개와 525개였다. 이 결과는 노신경에서 자신경으로 연결되는 신경섬유가 노신경이 원래 분포하는 부위에 분포하는 것을 나타내며, 또 다른 가능성으로는 노신경의 근육가지가 자신경가지와 분포영역에서 가깝게 달리며 합쳐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case report describes an unusual communicating branch from radial to ulnar nerves in the axilla region on the right side of the Korean cadaver of a 59-year-old male. The brachial plexus containing the communicating branch were extracted en bloc. The extracted specimens were immersed in Guanidine-HCl (0.2 M) for two weeks and then treated several times with an ultrasonic cleaner for an hour to soften the connective tissue around the nerve bundles. The spinal root origins of this communicating branch were found to be largely C7 and some C8. Unexpectedly, the branches of the ulnar nerve innervated the medial two-third of the medial head of the triceps brachii muscle on the right side in the same cadaver. Numbers of nerve fibers of the communicating branch and the main distributing branch of the ulnar nerve to the triceps brachii muscle were 523 and 525, respectively. This result implies that nerve fibers moving from the radial to the ulnar nerves may innervate the original distributing territories of the radial nerve. Another possibility is that a part of radial muscular branch to the triceps beachii muscle may be fused to the ulnar nerve in their distributing territories.

      • KCI등재

        Dextrocardia and Situs Inversus with Incomplete Inversion

        Mi-Sun Hur(허미선),In-Hyuk Chung(정인혁),Kyu-Seok Lee(이규석) 대한체질인류학회 2014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7 No.4

        좌우바뀜증은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비정상적 형태로, 오른심장증과 함께 배의 장기가 거울에 비친 모양으로 좌우가 완전히 바뀌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오른심장증과 좌우바뀜증은 뒤바뀐 해부학적 구조를 하고 있으므로 중요한 임상적 의미를 가진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오른심장증과 좌우바뀜증의 해부학적 구조들을 관찰하는 데 있다. 오른심장증과 좌우바뀜증은 72살 여자 시신에서 확인되었다. 가슴과 배의 장기 위치에 초점을 맞추어 관찰하였다. 이 시신에서는 콩팥을 제외하고는 가슴과 배의 구조들이 완전히 좌우 자리가 바뀐 형태였다. 간은 왼쪽에 위치하였지만, 왼쪽에 위치한 콩팥이 오른쪽에 위치한 콩팥보다 위쪽에 위치하였다. 이 결과는 오른심장증과 불완전한 좌우바뀜증에 대한 사례를 보고함으로써, 정확한 진단 및 관련 수술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Situs inversus totalis is a very rare anatomical abnormality, which is characterized by dextrocardia and “mirror image” distribution of abdominal organs. Dextrocardia and situs inversus have important surgical implications due to altered anatom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anatomical structures of the situs inversus with dextrocardia in Korean. Presence of situs inversus with dextrocardia was confirmed in a 72-year-old female cadaver during dissection in a gross anatomy course. It was observed by focusing on the positions of the thoracoabdominal structures. In this cadaver, clearly inverted morpholoiges existed in the structures of the thoracoabdomen except the kidneys. The left-sided kidney was located at a slightly higher level than the right-sided kidney although the liver was located on the left side. We reported herein a case of dextrocardia and situs inversus with incomplete inversion, which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accurate diagnosis and relevant surgical procedures.

      • KCI등재

        An Anatomic Variation of the Accessory Abductor Digiti Minimi Muscle

        Mi-Sun Hur(허미선),Kyu-Seok Lee(이규석) 대한체질인류학회 2012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5 No.3

        Guyon’s canal을 지나는 덧근육은 흔하게 발견되며, 그 중 가장 많이 관찰되는 근육은 새끼벌림근 덧근육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새끼벌림근 덧근육의 해부학적 변이를 나타내고, 주위구조와의 관계를 기술하는데 있다. 새끼벌림근 덧근육은 61세 남자 시신의 왼쪽 팔에서 관찰되었다. 새끼벌림근 덧근육의 형태, 경로, 주위구조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해부하였다. 새끼벌림근 덧근육은 아래팔근막에서 일어나 아래쪽으로 내려왔고, Guyon’s canal에서 자신경을 비스듬히 덮으며 지나갔다. 새끼벌림근 덧근육은 새끼두덩부위에서 힘줄이 되었고, 새끼벌림근의 힘살 일부가 이 힘줄에 부착되었다. 이 힘줄은 다섯째 손허리뼈머리의 자쪽면에 닿았다. 새끼벌림근 덧근육에는 자신경줄기에서 나온 가지가 분포하였다. 이 결과는 새끼벌림근 덧근육에 대한 해부학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이 근육의 진단과 수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ccessory muscles passing through Guyon’s canal are common; the most common anomalous muscle at Guyon’s canal is the accessory abductor digiti minimi muscle (AAD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and describe the gross anatomy of an anatomic variant of the AADM relative to the surrounding structures. The AADM was found in the left forearm and hand of a 61-year-old male cadaver during dissection in a gross anatomy course. It was observed by focusing on the shape, the cours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structures. The AADM originated as muscle fibers from the antebrachial fascia. It coursed downward in the distal forearm and crossed the ulnar nerve and artery obliquely at Guyon’s canal. The AADM narrowed and became a long tendon in the hypothenar region. The abductor digiti minimi muscle was partly attached to the tendon of the AADM, running along the tendon. The tendon of the AADM inserted into the ulnar side of head of the fifth metacarpal bone. The AADM was innervated by several twigs from the ulnar nerve. We reported herein another variant of the AADM at Guyon’s canal, which may be helpful to surgeons performing diagnoses and surgical procedures.

      • KCI등재

        Frequency and Quantity of the C7 Contribution to the Ulnar Nerve

        Mi-Sun Hur(허미선),Jung-Su Woo(우정수),Ho-Jeong Kim(김호정),Kyu-Seok Lee(이규석) 대한체질인류학회 2013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6 No.3

        말초신경을 연구하는 많은 해부학자와 임상가들은 팔신경얼기 끝신경의 척수신경 뿌리구성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자신경의 척수신경 뿌리구성은 명확하지 않다. 여러 해부학 교과서에는 자신경이 C8, T1의 앞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종종 C7도 포함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자신경에 참여하는 C7의 빈도와 참여량에 대한 문헌은 있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신경에 참여하는 C7의 빈도와 참여량을 관찰하는 데 있다. 한국성인시신의 팔신경얼기 100쪽을 사용하였다. 자신경을 포함하는 팔신경얼기를 겨드랑에서 떼어낸 후, Guanidine-HCl (0.2 M)에 2주 동안 담구어 신경다발을 둘러싸는 결합조직을 부드럽게 하였다. C7은 모든 경우에서 자신경에 분포하였다(100%). 자신경에 분포하는 C7의 말이집축삭의 수는 1,452±429 (mean±S.D.)였다. C7의 말이집축삭의 수가 C8의 말이집축삭의 수보다 적었고, T1의 말이집축삭의 수와 비슷하였지만, C7은 자신경에 자주 참여하는 것이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참여하는 성분으로 여겨질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사고로 인한 자신경 손상시 정확한 진단과 치료에 대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Many anatomists and clinicians who investigate the peripheral nerve concern about the composition of the spinal roots of each terminal nerve of the brachial plexus. From this viewpoint, the spinal root composition of the ulnar nerve is still unclear. Several anatomy textbooks describe that the ulnar nerve is composed of the ventral rami of the C8, T1 and often C7. There is no literature regarding the frequency and contribution quantity of C7 to the ulnar nerve.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frequency and contribution quantity of the C7 to the ulnar nerve. Fifty cadavers of brachial plexus were obtained from cadavers of Korean adults. The brachial plexus containing the ulnar nerve were extracted from the axilla and the extracted samples were immersed in Guanidine-HCl (0.2 M) for 2 weeks to soften the connective tissue around the nerve bundles. C7 was contributed to the ulnar nerve in all sides (100%). The numbers of the myelinated axons of C7 participating to the ulnar nerve was 1,452±429 (mean±S.D.). Thus the C7 can be considered as always participating component of the ulnar nerve, not often participation, although numbers of the myelinated axons of C7 was lesser than those of the C8, but similar to those of the T1.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a reference for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regarding ulnar nerve injury due to various accidents.

      • KCI등재

        Median Nerve Branch Innervating the Brachialis Muscle

        Mi-Sun Hur(허미선),Ho-Jeong Kim(김호정),Jung-Su Woo(우정수),Kyu-Seok Lee(이규석) 대한체질인류학회 2010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3 No.1

        정상적으로 근육피부신경이 분포하는 위팔근에 정중신경의 가는 가지가 분포하는 예를 한국성인 남성의 왼쪽 팔에서 관찰하였다(나이: 74세). 이 정중신경의 가지는 정중신경과 근육피부신경의 연결과 함께 출현하였으며 위팔근의 안쪽아래의 일부분에 분포하고 있었다. 이 신경가지는 다섯째와 여섯째 목신경에서 기원하였으며 328개의 유수신경섬유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변이는 과거에 보고된 정중-근육피부신경 연결형의 일부 형태에서 정중신경의 일부 성분이 두 신경의 신경연결을 경유하여 위팔근에 분포하는 형태와 달리 이 예에서는 정중신경에서 분지되어 나온 가지가 두 신경의 신경연결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분포하는 유형으로 현재까지 기술된 적이 없는 형태이다. We observed a slender nerve branch of the lateral root of the median nerve innervating the brachialis muscle, which is normally innervated by the musculocutaneous nerve, at the left arm of a Korean male (age, 74 years). The present nerve branch was accompanied with the communicating branch between the median and musculocutaneous nerves and supplied to the medial inferior portion of the brachialis muscle. The spinal root origins of this branch were C5 and C6. The nerve fiber number of the nerve branch innervating the brachialis muscle was 328. This variation may be very rare case and was different from previous observation.

      • KCI등재

        한국인 손 벌레근의 형태변이

        허미선(Mi-Sun Hur) 대한체질인류학회 2015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손에 있는 벌레근의 다양한 형태를 분류하고 변이를 관찰하는 데 있다. 한국 성인 시신 45구의 손 70쪽을 사용하였다. 벌레근의 형태는 70쪽에서 관찰하였고, 굽힘근지지띠 먼쪽 모서리에서 각 벌레근 이는곳까지의 거리 계측은 52쪽에서 관찰하였다. 벌레근은 근육 모양에 따라 크게 3가지로 구분하고 벌레근이 닿는 부위에 따라 10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굽힘 근지지띠 먼쪽 모서리에서 벌레근 이는곳까지의 평균거리는 둘째, 셋째, 넷째, 다섯째 손가락 벌레근의 경우 각각 +1.8mm, -1.4 mm, +5.1 mm, +11.2 mm였다. 벌레근의 다양한 형태변이에 대한 이 연구 결과는 손과 관련된 진단 시, 벌레근의 기능을 이해하고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morphological patterns of the lumbrical muscles and their anatomical variations in the hands. The lumbricals in the hand were investigated in 70 specimens of 45 embalmed Korean adult cadavers. The shapes of the lumbrical muscles were observed in 70 specimens and the distances from the distal border of the flexor retinaculum to the origins of the lumbricals were measured using digital calipers in 52 specimens. The lumbrical muscles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based on their shapes, and also into 10 types based on their insertion sites. The average distances from the distal border of the flexor retinaculum to the origin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umbricals were +1.8 mm, - 1.4 mm, +5.1 mm, and +11.2 mm,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informa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function of the lumbrical muscles and for various types of diagnoses and surgery involving the hands.

      • KCI등재

        Unusual Course of the Accessory Meningeal Artery

        Mi-Sun Hur(허미선),Ho-Jeong Kim(김호정),Kyu-Seok Lee(이규석) 대한체질인류학회 2012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5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관자아래우묵에서 아래턱신경에 대한 덧뇌막동맥의 해부학적 경로 변이를 기술하는데 있다. 덧뇌막동맥이 아래턱신경 뒤줄기의 표면을 지나가는 경우가 95세 남자 시신의 양쪽 관자아래우묵에서 관찰되었다. 덧되막동맥의 경로 및 주위구조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해부하였다. 덧뇌막동맥은 중간뇌막동맥에서 일어났으며, 위쪽으로 올라가 아래턱신경 뒤줄기가 아래이틀신경과 혀신경으로 나누어지기 전의 신경 표면을 지나갔다. 그후, 덧뇌막동맥은 타원구멍으로 들어가기 전, 아래턱신경 앞줄기보다 깊게 지나갔으며, 아래턱신경 뒤줄기의 앞쪽으로 지나갔다. 덧뇌막동맥의 해부학적 경로 변이는 타원구멍과 관자아래우묵으로의 수술적 접근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case report describes a variation in the course of the accessory meningeal artery relative to the mandibular nerve in the infratemporal fossa. An accessory meningeal artery running superficially to the posterior division of mandibular nerve was found bilaterally in the cadaver of a 95-year-old male. It was observed by a topographic examination followed by a detailed dissection. The accessory meningeal artery arose from the middle meningeal artery. It then passed upward and coursed superficial to the posterior division of the mandibular nerve before its division into the lingual and inferior alveolar nerves. The accessory meningeal artery subsequently ran deep and rostral to the anterior and posterior divisions of the mandibular nerve, respectively, before entering the foramen ovale. The variation in the course of the accessory meningeal artery described herein should be helpful for surgeons in approaches to the foramen ovale region and infratemporal fossa.

      • KCI등재후보

        아래얼굴부위 근육의 해부학

        허미선(Mi-Sun Hur),이규석(Kyu-Seok Lee),김희진(Hee-Jin Kim) 대한치과의사협회 2012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0 No.10

        The use of botulinum toxin type A in the lower face has increasingly popular. And treatment of the depressor anguli oris muscle(DAO) and the mentalis muscle(MT), particularly in combination with filler substances, produces a remarkable improvement in the lower aged fa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topographical anatomy of the DAO, MT, and their related structures, thereby providing critical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safest and most effective site for BTX-A injections. The most effective injection sites of DAO and MT were suggested based on the new anatomical knowledge of the lower f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