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채만식 수필에 나타난 공간 서사와 의미 양상

        허만욱(Heo, Man-Wook)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9

        본고는 채만식 수필에 나타난 장소성과 그 공간 표상을 해석한 결과다. 장소는 인간 실존이 외부와 맺는 유대를 드러내는 동시에, 인간의 자유와 실재성의 깊이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인간의 실존과 경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1930년대는 일제의 정신적 · 육체적 핍박이 최절정에 달했던 식민지 시기이면서 일제의 근대화가 뿌리를 내리는 시기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관련하여 장소성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은 채만식 수필의 의미를 밝히는 하나의 과정이며, 나아가 그의 문학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한 과정이기도 하다. 작품 속 공간들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작가의 서사전략을 드러내면서 그의 의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장소성을 구현하기 때문이다. 당시 채만식은 근대 지식인이면서 식민지 조선의 식민지인이라는 이중적인 정체성을 가진다. 그리고 그 특유의 예각화된 감수성으로 당대에 작동하는 식민 권력의 힘을 유효하게 감각하였다. 그 결과 그에게 삶의 장소들은 식민지와 근대화라는 중층적 시대 상황 속에서 혼돈과 갈등을 유발하는 공간이 되고, 결국엔 장소상실이라는 무장소성으로 연결된다. 장소상실은 새로운 공간을 장소화하며 장소애를 회복하고자 한다. 이때 장소와 공간의 재편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바로 ‘동시대성의 원리’다. 곧 장소는 시간과 역사의 흐름 속에서 주체의 감각과 시선을 통해 ‘지금, 이곳’의 공간을 새롭게 의미화하고 그 공간을 특별한 장소로 만들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또한 반대로 공간에 의해 주체의 정체성이 새롭게 훈육되고 길들여지는 진행형의 문제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소성에 대한 천착은 당대를 살고 있는 개인의 세계 대응 양상과 작품 안에 함축된 의미를 확인할 수 있는 전략이 된다. 하나의 제재를 형상화함에 있어 그것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문학적 방법을 찾고자 하는 작가의 노력, 즉 문학적 표현을 극대화하기 위해 채만식은 소설, 희곡, 평론, 그리고 수필 등 다양한 장르 선택을 시도하였다. 그 가운데 수필은 소설적, 평론적 요소를 반영하는 상호 텍스트성을 통해 체험의 직접성을 드러내면서 그의 문학적 성과를 극대화했다. 이는 식민지적 근대화의 경험에 의해 그가 속한 장소가 환기하는 표상과 그 한계를 극복해 내는 지점을 마련한다. The concept of place has an important meaning in understanding human existence and experience in a way that confirms the depth of human freedom and reality while also revealing the bond between human existence and the outside world. In the 1930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which spiritual and physical persecution reached its height, the moderniz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took root. An examination of the meaning of place-property in relation to this periodical situation, includes the process of clarifying the meaning of the Chae Man-shik Essay, and yet another process is required to understand his literature correctly. The spaces in his works reflect the situation of the times, expose the artist’s narrative strategy, and realize the way place-property is closely related to his consciousness. At that time, Chae Man-sik had a dual identity as a modern intellectual and a colonizer of colonial Korea. With its distinctive egalitarian sensibility, I sense the strength of the colonial power that is still at work today. As a result, the places of life for him become chaotic and conflicted spaces in the middle-age situation of colonization and modernization, and eventually lead to non-place-property of loss of place. Loss of place causes new space to be situated in place and topophilia is restored. The principle of ‘contemporaneity’ should be noted in the reorganization of place and space. Place refers to the fact that in the flow of time and history, the space of ‘now and here’ is newly reified and is made special through the senses and gaze of the subject. On the contrary, it can be said that the identity of a subject is newly formed and tamed by a space. Therefore, this strategy can confirm the global correspondence of the person living in the present and the implication of the work. In order to maximize literary expression, the artist tried to select various genres, such as novels, plays, critiques, and essays, in order to augment the artist’s efforts to discover the literary method that best expresses the sanctions. Among these, the format of essay highlighted his literary achievement by revealing the immediacy of experience through the intertextuality that is reflected in novel form and criticism. This provides a place to overcome the representations and limitations of his place through the experience of colonial modern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채만식 수필과 근대의 도시 읽기

        허만욱(Heo, Man-Wook)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69

        본고는 1930년대 채만식 수필을 ‘도시성’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도시 ‘경성’의 근대성을 분석하여 제국주의 근대를 살아가는 주체의 존재와 그 의미를 파악하는 한편, 작품에서 구현되는 모더니티의 양상을 살핌으로써 모더니즘 작가로서의 채만식의 새로운 면모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는 곧 리얼리스트 채만식 문학의 모더니즘적 성격에 대한 하나의 논의이며, 리얼리즘의 관점에 갇혀 보다 적극적으로 모더니즘적 평가를 하지 못했던 아쉬움을 보완하는 일이 될 것이다. 채만식 수필에서 ‘경성’은 전통과 근대, 식민과 피식민, 자본과 착취 등이 뒤섞인 양상으로 나타난다. 곧 이중도시로서의 ‘경성’은 동시성의 비동시성, 아나크로니즘, 불균등성, 그리고 자본주의 등이 도시의 횡측을 분할하며 식민지 근대의 현실을 그대로 재현하는 공간이었다. 특정 텍스트와 그것이 창출된 시공간적 맥락이 서로 불가분의 관계임을 전제한다면, ‘경성’의 근대성을 경험한 채만식의 수필은 이미 모더니즘 문학의 한 자리에 서게 된다. 채만식은 근대화된 도시 공간에서 이질적이고 혼재된 풍경을 발견하는 한편, 도시 산책이라는 모더니티의 체험을 문학적 모더니즘으로 변형시키고, 경성의 도시적 면모를 제국과의 식민지 관계로 확장시키며 자본 착취에 따른 피식민지의 빈곤을 고발하기도 한다. 식민지 시대의 근대는 근대성과 탈근대성이 공존하는 독특한 모던의 시간이 연출되었다. 근대성에 대한 비판이란 근대화의 과정에서 이미 의식에 내면화되어 있는 근대성의 의식구조를 근본적으로 반성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에서 근대와 단절하려는 용기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탈근대적인 사유 역시 지금 현재 자기 부정의 일부로서의 비판적, 반성적 근대성일 수 있다. 채만식의 작품 이면에 내재해 있는 모더니티에 대한 비판이나, 식민 도시가 지닌 한계를 인식하고 탈근대적 사고를 지향했던 포스트 모더니즘적인 감수성과 문제의식에 주목한 것도 이 때문이다. 채만식 수필에서 적어도 모더니즘으로 이해되는 그의 수필 인식과 표현 대부분은 전통적인 것에 기반을 둔 근대적 삶의 비판적 향유가 전면에 드러난다. ‘낡은 질서에 대한 새로운 정신의 부정의 불길’을 담으려는 모더니즘의 원리를 일반적 원칙으로 수용한 것이며, 기존체계에 대한 합리적 반발로서의 모더니즘의 일반론을 식민지라는 암울한 역사적 상황에 접목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채만식을 리얼리즘 작가로 한정하는 시각의 상당부분을 유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This paper analyzes the modernity of the city “Gyeongseong” based on the theme of “city” in Chae Man-Sik’s Essay in the 1930s that covered the existence and meaning of a subject living in imperialist modernity. He tried to discover a new perspective as a modernist artist by looking at the aspects of modernity embodied in his work. Along with the sharp criticism of modernity that underlie his work, he also paid attention to postmodern sensibilities and problem consciousness, which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colonial cities and pursuing postmodern thinking. In Chae Man-Sik’s Essay, “Gyeongseong” is a mixture of tradition and modernity, colonialism and colonialism, capitalism and exploitation. In other words, ‘Gyeongseong’ as a dual city was a space where the asynchronicity of synchronicity, anachronism, inequality, and capitalism divided the city, revealing the historical reality of colonial modernity. Assuming that a specific text and the spatio-temporal context in which it is written are inseparable, the essay by Chae Man-Sik, who experienced the modernity of “Gyeongseong”, has a place in modernist literature. Like the double city, “Gyeongseong”, the works generally present a double textual character by presenting the surface and the inner side, and this textual characteristic may be an inevitably chosen strategy for the strict censorship system. During the colonial era, modernity and postmodernity coexisted in a unique manner. Criticism of modernity was viewed as the courage to break from modernity in a true sense, by fundamentally reflecting on the consciousness structure of modernity that is internalized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In this context, postmodern thinking can also be a critical reflection of modernity as a form of self-denial. Soon, postmodern is the modernity that begins at this moment. Chae Man-Sik’s Essay is a beautiful essay that combines thoughts on the daily life in colonial cities in the 1930s with a cold modernist perspective. Most of the recognition and expressions in Chae Man-Sik’s Essay, which is classified as modernist, reveals the critical enjoyment of modern life based on the traditional. It is clear that the modernist principle of containing the flame of the negation of the new spirit against the old order’ was accepted as a general principle, and it can be said that the general theory of modernism as a rational opposition to the existing system was grafted into the dark historical situation of colonization. This also suggests the possibility of withholding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perspective that limits Chae Man-Sik’s Essay as a realist artist.

      • KCI등재

        채만식 수필에 대한 근대성 기제와 현재적 함의

        허만욱(Heo, Man-Wook)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7

        그동안 채만식에 대한 연구는 그의 소설과 희곡에만 집중되어 왔다. 한국의 근대, 근대화, 근대성 등과 연관된 문학적 논의에서 채만식의 소설은 도식성과 공리성에서 벗어나 문학의 고유 상상력을 통해 시대의 핵심에 접근하며 리얼리즘의 면모를 보여주었던 한국 근대문학사의 대표적 작가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힌다. 그런데 채만식은 소설과 희곡 외에도 분량적인 면에서도 결코 적지 않은 230여 편의 수필과 평론들을 발표한 문필가이기도 했다. 특히 수필은 근대 산문양식의 문학예술 가운데 하나로서, 직접적인 진술의 형태를 통해 작가의 의식을 그대로 드러내기 때문에 작가적 정체성이나 작가의식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유용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채만식 수필에 대한 논의는 결국 식민지 근대를 살았던 채만식의 문학관과 근대성에 대한 태도를 포착하는 일이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물질적 궁핍에 의한 생활고의 비애와 질병으로 인한 고통, 프로 문단과의 갈등과 문학의 태도 및 창작방법에 대한 이념에 관련한 텍스트를 집중적으로 소환함으로써 적빈한 생활이 강요하는 자괴감과 작가의 자존 사이에서 방황하고 갈등하는 경계인으로서의 냉소와 니힐리즘, 그리고 예술적 방법에 의한 문학활동을 무엇보다 중시한 채만식의 작가적 신념과 실천 등에 관한 고찰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그의 산문에는 자연을 소재로 한 감상, 유복했던 유년시절과 고향에 대한 추억, 어머니와 그의 여인들에 관한 소회, 당대의 현실인식과 저널리스트로서의 사회에 대한 비판의식, 그리고 식민성의 인식과 대응양상이라는 측면에서 독자적인 근대문학을 추구하고자 했던 고민과 흔적 등을 두루 발견할 수 있다. 작가의 생애와 작품은 긴밀한 길항관계를 맺는다. 그러므로 산문에 투영되어 있는 이러한 자전적 요소들은 그의 문학세계에 대한 태생적인 실마리를 제공할 가능성이 크며, 채만식 문학세계의 각기 다른 표현으로서 그 본질에 접근해 갈 수 있는 하나의 내적 기제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asp Chae Man-sik’s literary attitude through his essay. Chae Man-sik’s essay and my research on it will serve as an important source to fully grasp the author’s consciousness, related to the reality of the times and the literary spirit possessed by the author, and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scope of research as a part constituting a more diverse approach to Chae Man-sik’s literature. In the prose of Chae Man-sik, one can find the author’s anxieties, which can be traced to his own modern literature. The consciousness of oneself who is excluded as the other in the modern system by doubting the value of modernity is revealed in the prose form of cynicism by hiding away from reality and inserting an objective distance in his prose. This cynicism has naturally brought self-defensive self-reliance and nihilism of self-consciousness at the end of the impasse reached by the resignation of consciousness. His nihilism is embodied and deepened in the self-defeating consciousness due to the gap between the artist’s ideal and the reality that frustrates it. Therefore, nihilism in Chae Man-sik’s essay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excessiveness of the reality irregularity and the failure to find a subject to overcome such a reality of the times. The artist’s consciousness and self-reflection, which is negotiated with reality, have psycho-historical value as the awareness of the individual from a modern point of view. Soon Chae Man-sik’s essay is meaningful as a case of demonstrating a standard of constant reflection on modern experience. It is clear that Chae Man-sik was certainly looking for the world of literature toward which he aimed. He was especially filled with his own ideology, his artistic expression, and his desire to write good literature or a novel. Although his literary practice faced many obstacles, Chae Man-sik’s rigorous attitude to adhere to artistic values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his literature. The artist’s ceremony of Chae Man-sik, who pursued the possibility of Korean literature, such as the Korean style reader, unique in form and content, is deeply connected to the viewpoint of the aesthetic response to modernity, and made him impressive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