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아래턱뼈의 비계측적 특징

        허경석(Kyung-Seok Hu),고기석(Ki-Seok Koh),박광균(Kwang-Kyun Park),강민규(Min-Kyu Kang),정인혁(In-Hyuk Chung),김희진(Hee-Jin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0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3 No.2

        간추림 아래턱뼈는 얼굴뼈 중 가장 크고 튼튼한 뼈로 화석인류나 법의ㆍ법치학적 발굴 현장에서 그 원형아 잘 보존되어 발견된다. 따라서 아래턱뼈를 이용한 종족구별이나 남녀판별은 체질인류학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연구자들은 성별을 알고 있는 102 개의 한국인 아래턱뼈를 이용하여 13 개 항목의 체질인류학적 비계측 조사를 통해 한국인 남녀에 따른 아래턱뼈의 채질인류학적 특정 및 민족간의 차이를 확인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아래턱뼈의 13 개 비계측 항목 중 남녀에 따른 차이를 가창 많이 보인 항목은 아래터뼈의 아래모서리 형태로서, 남자의 68.1% 에서 아래턱뼈 아래모서리는 ‘패인형”으로 나타난 반면, 여자에서는 변형한 아래모서리롤 보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82.0%) 또한 혀끝부위의 모양에서도 남녀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남자의 턱끝은 두툼한 형태나 네오 형태가 대부본인 (91.7%) 반면, 여자의 아래턱뼈에서는 투툼한 턱끝모양이 나타 나지 않았고 네모 형태 (53.6%) 와 날카로운 형태 (46.4%) 가 비슷하게 관찰되었다. 이외에 다른 항목에 대해서는 남녀의 차이가 나다나지 않았다. 아래턱뼈의 비계측적 특징 중 턱목뿔근신경고랑 뼈다리의 출현빈도를 다른 민족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뼈다리로 인해 턱목뿔근신경관을 이룬 형태는 한국인을 포함한 동양인에서는 5% 정도 로 비교적 적게 나다났으나, 백인은 약 10.0%, 흑인은 15.0% 이상£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 KCI등재

        한국 옛사람과 현대사람 치아의 체질인류학적 특징

        허경석(Kyung-Seok Hu),오현주(Hyun Joo Oh),문형순(Hyung Soon Moon),강민규(Min Kyu Kang),최종훈(Jong Hoon Choi),김기덕(Kee Deog Kim),백두진(Doo Jin Paik),고기석(Ki Seok Koh),한승호(Seung Ho Han),정락희(Rak Hee Chung),박선주(Sun Joo Par 대한체질인류학회 199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2 No.2

        치아는 씹기와 발음 뿐만 아니라, 미용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치아의 계측적, 비계측적 특징은 종족간 인류학적 비교나 고고학적 의의 그라고 개인의 신원 확인에 이용될 수 있으므로 체질인류학적, 고고학적 그리고 법치학적인 중요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는 활발히 이루 어지지 않아 한국사람 치아의 제정인류학적 특성에 관한 포괄적인 자료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연구자들은 가야, 고려 및 조선인의 치아 1085 (71 구 ) 개와 한국 현대사람 남녀의 치아 1397 (96 구 ) 개를 대상으로 각 치아마다 5 가지 항목을 계측하고,9 개 항목의 비계측 특정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치아 계측치와 비계측적 특정이 옛 사람과 현대 사람에서 나타나는 차이 점을 비교하였다. 한국 옛사람과 현대사랍 치아의 계측치들을 비교해 보았을 때, 치아의 얼굴쪽혀쪽 너비는 옛사람과 현대사람에서 계측치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치아의 안쪽먼쪽 너비 항목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한국사람 치아의 비계측 특정을 조사해 본 결과, 위턱 안쪽앞니에서 삽모양앞니의 출현율은 옛사람에서 96.4%, 현대사람에서 94.2% 를 보였으며, 위턱 가쪽앞니에서 삽모양앞니는 옛사람 93.1%, 현대사람 90.6% 의 빈 도로 옛사람에서 삽모양앞니의 출현빈도가 더 높았다. 아래턱 둘째작은어금니의 혀쪽 교두의 수를 비교한 결과, 옛사람에서는 l 개 (48.0%) 또는 2 개 (52.0%) 의 혀쪽 교두만야 관찰되었으나, 현대사람의 아래턱 둘째작은어금니는 1 개 (52.3%),2 개 (46.7%) 또는 3 개 (1.0%) 의 혀쪽 교두를 가지고 있였다. 현대사람 위턱 첫째작은어금니에서 테라결절은 치아의 안쪽면에 나타난 경우가 53.7% 로 가장 많았으나, 위턱 둘째작은어금니에서는 결절이 나타나 지 않은 경우가 48.7% 호 가장 많았다. 반면에 옛사람은 현대사랍보다 더 높은 빈도의 테라결절 발현 양상을 보 였다. 위턱 첫째큰어금니에서 카라벨리결절의 출현빈도는 옛사람에서 18.4%, 현대사랑에서 36.2% 로 현대사람에서 더 많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교합면 고랑모양은 위턱 첫째큰어금니에서 ‘4-’ 모양이 가장 많았으나 ( 옛 사람 94.3%, 현대사람 94.3%), 위택 둘째큰어금니에서는 ‘+4’모양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 옛사랍 40.5%, 현대 사람 76.5%) 옛사랍 , 현대사람 모두에서 아래턱 첫째큰어금니 교합변 고랑의 형태는 ‘Y5’모양이 가장 많았으며, 아래턱 둘째큰애금니에서는 ‘+4’모양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큰광대근과 작은광대근의 해부학적 연구

        최다예(Da-Yae Choi),허경석(Kyung-Seok Hu),김희진(Hee-Jin Kim) 대한치과의사협회 2012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0 No.10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arrangement of the zygomaticus major muscle, and to describe morphology of zygomaticus minor muscle. After a detailed dissection, the zygomaticus muscles were observed in 66 embalmed cadavers. It was found that the insertion of zygomaticus major was divided into superficial and deep bands(42/70, 60%). Zygomaticus minor was inserted not only upper lip also alar portion(5/54, 9.2%). The arrangement and insertion patterns of the zygomaticus muscles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critica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of smile pattern and treatment of fold.

      • KCI등재

        두경부재건을 위한 전외측 대퇴유리피판: 해부학적 연구

        박주용,박현도,윤관현,곽현호,허경석,강현주,김회진,최성원,Park, Joo-Yong,Park, Hyun-Do,Youn, Kwan-Hyun,Kwak, Hyun-Ho,Hu, Kyung-Seok,Kang, Hyun-Joo,Kim, Hee-Jin,Choi, Sung-Weon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5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7 No.4

        The anterolateral thigh flap was originally described in 1984 as a septocutaneous flap based on the descending branch of the lateral circumflex artery. This flap has some significant advantages for reconstruction of the head and neck. It can be raised as a subcutaneous flap, a fasciocutaneous flap, or a myocutaneous flap and can resurface large defects in the head and neck. In addition, it has a large and long vascular pedicle, and because of the distance of the donor site from the head and neck, it can easily be harvested with a 2-team approach. However, the number and locations of cutaneous perforators vary individually, and thus, it is not widely used because flap elevation is often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owing to unexpected anatomical variation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lassify the vascular anatomy and to assess the suitability of anterolateral thigh flap for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in Korean. We performed an anatomic study on cadavers and analyzed the anatomic pattern of the lateral circumflex femoral arterial system and the perforators nourishing the anterolateral thigh flap. This study suggest the characteristics of vascular anatomic patterns of anterolateral thigh flap of Korean and utility of this flap for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 KCI등재

        한국인 머리뼈모형 제작

        윤관현(Kwan-Hyun Youn),허경석(Kyung-Seok Hu),송우철(Wu-Chul Song),고기석(Ki-Seok Koh),김희진(Hee-Jin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3 No.4

        머리뼈모형을 이용한 해부학 교육은 아주 오래 전부터 행해져 왔으며, 이는 실제 뼈를 이용하는 것보다 편의성과 경제성에서 많은 도움이 된다. 하지만 국내에서 사용되는 머리뼈모형은 대부분 서양인을 대상으로 제작된 것으로 실제 한국인 머리뼈와 많은 차이를 보인다. 이에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골절이나 질병에 의한 변형이 없으며, 비교적 한국인 특징이 잘 드러난 머리뼈(남성, 50세)를 바탕으로 머리뼈모형을 제작하였다. 먼저 입방체 모양의 틀을 제작한 다음 실제 머리뼈를 넣고 실리콘을 부어서 경화시켰다. 실리콘을 절개한 후 실리콘틀에서 실제 뼈를 꺼낸 다음 그 자리에 레진을 부어 탈포와 경화과정을 거쳐 원형을 복제하였다. 실제 뼈에서 잘 드러나지 않았던 구조와 복제하는 과정에서 생긴 결함들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실제 뼈에서 훼손되었거나 일반적인 형태가 아니었던 구조는 코선반뼈, 치아와 이틀활, 목정맥구멍, 날개갈고리, 침대돌기 등으로 깎거나 덧붙여서 보완하였다. 복제하는 과정에서 생긴 결함은 주로 작은 구멍들과 절개선 사이에 생긴 흠집들이었으며 이를 바로 잡았다. 또한 붓돌기는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제보다 길이를 더 짧게 하였다. 개선된 머리뼈모형을 원형복제와 동일한 방법으로 새로 복제하였다. 모형용 도료를 색칠하여 뼈의 느낌을 주었으며 이때 봉합선의 색깔을 약간 강조하여 관찰이 쉽게 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한국인 머리뼈모형과 서양인 머리뼈모형을 10개 항목에 걸쳐서 계측하였으며 9개 항목의 지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머리길이너비지수(length-breadth index), 머리길이높이지수(length-height index), 이마광대지수(frontozygomatic index), 코지수(nasal index) 등에서 서양인 머리뼈모형과 큰 차이를 보였으며 기존에 연구된 한국인 머리뼈 평균에 가까웠다. 이처럼 실제 한국인 머리뼈를 이용한 모형은 서양인 모형에 비해 비교적 한국인 머리뼈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으며, 이는 해부학 교육용 모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natomy education using skull models has been widely performed for a long time and known that it is actually much convenient and economical. However, until now, most of skull models used in anatomy class are imported from the United State or Europe. Therefore, the models showed characteristics of Caucasian skulls, and had several differences from skulls of Koreans. Hence, we made a specific replica model of skull which have various Korean characteristics. We used Korean male skull (aged 50 years) without defect due to diseases or fractures. The silicon was poured over the skull in the cubic frame and hardened. We took out the skull from the silicon frame and poured the resin into the frame to duplicate the original skull. After defoamation and hardening the resin, the skull model was taken out of frame. And we modified defects which occurred during duplicated process and made detailed structures which unrevealed in real skull. After completion of the skull model, we measured ten items of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nd American skull models and compared 9 categories of index.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ngth-breadth index, length-height index, frontozygomatic index, nasal index between the Korean and American skull models; As aforementioned, the skull model, compared to Caucasian skull models, had numerous distinctive Korean skull features and this model can be used for anatomy education in South Korea.

      • KCI등재

        Phylogenic Oto-stomatognathic Connection of the Mammalian Jaw

        Hun-Mu Yang(양헌무),Kyung-Seok Hu(허경석),Hee-Jin Kim(김희진) 대한체질인류학회 2015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8 No.2

        턱관절장애는 귀통증, 귀울림, 어지러움 및 청각 손실 등과 같은 귀의 이상증상과 관련이 있다. 씹기근육, 가운데귀공간 및 턱관절의 밀접한 해부학적 관련성을 바탕으로 턱관절장애-귀관련질환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고막긴장근 (tensor tympani muscle)은 턱관절장애 관련 귀질환 (TMD-related otologic complications)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근육이다. 삼차신경이 분포하는 고막긴장근은 망치뼈자루에 붙어 귓속뼈의 소리전달조절 기능을 한다. 병적인 고막긴장근의 자발적 수축 (voluntary eardrum movement)은 다양한 귀질환의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고막긴장근이 씹기근육과 공동수축을 하는 것은 턱관절장애 관련 귀질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현상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문헌을 바탕으로 귀와 씹기계통의 계통발생학적 연관성을 고찰하고, 고막긴장근과 씹기구조의 계통발생학적 연관성이 턱관절장애 관련 귀질환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등자근 (stapedius muscle)이 청각반사 (acoustic reflex)와 관련되어 소리전달조절 역할을 하는 것과는 달리, 고막긴장근은 청각반사와는 별개로 수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고막긴장근이 삼차신경감각핵 (trigeminal sensory nucleus)에서 들어온 고유감각에 의해 조절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계통해부학적으로 포유류의 망치뼈, 모루뼈 및 등자뼈를 포함한 가운데귀 구조는 포유류가 아닌 턱뼈 척추동물 (non-mammlian jawed vertebrate)과는 달리 씹기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포유류가 아닌 턱뼈 척추동물에서 포유류로의 진화과정에서 이러한 기능적 분리가 이루어졌으나, 포유류에서 고막긴장근과 씹기근육의 신경연결은 일부 남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계통발생학적 흔적은 귀-씹기계통의 병적 연관성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계통발생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씹기근육의 비정상적 수축 시 고막긴장근이 귀-씹기계통 계통발생학적 흔적을 통해 과도한 공동수축을 일으켜 다양한 귀의 이상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Otologic complaints, including otalgia, tinnitus, vertigo, and hearing loss, are known to be related to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s). There have been several hypotheses regarding the clinical correlation between otologic complaints and TMDs, based on clinical phenomena with corresponding symptoms, the close neur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otic and masticatory structures, and anatomical features of the tympanic cavity and jaw joint. Function of the tensor tympani muscle seems to be crucial to understanding TMD-related otologic symptoms. The tensor tympani inserts into the handle of the malleus and it modulates sound transduction in situations of excessive noise. This muscle is innervated by the trigeminal nerve, like the masticatory muscles. Voluntary eardrum movement by pathological tensor tympani contraction results in various otologic symptoms. Thus, co-contraction of the tensor tympani with the masticatory muscle could be a possible cause of TMD-related otologic symptoms. The tensor tympani is rather unrelated to the acoustic reflex, in which the stapedius is strongly involved. The tensor tympani seem to be controlled by proprioceptive information from the trigeminal sensory nucleus. The peripheral innervation pattern of the tensor tympani and masticatory muscles is also supposed to be interconnected. The middle ear structure, including the malleus, incus, and tensor tympani, of mammals had been adapted for acoustic function and lacks the masticatory role seen in non-mammalian jawed vertebrates. The tensor tympani in non-mammals is one of the masticatory muscles and plays a role in the modulation of sound transduction and mastication. After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the mammalian middle ear, the nervous connection of the tensor tympani with other masticatory apparatus still remains. Through this oto-stomatognathic vestige, the tensor tympani seems to contract unnecessarily in some pathological conditions of the TMD in which the masticatory muscles contract excessively. We hypothesized that the phylogenic relationship between the tensor tympani and masticatory apparatus is a significant and logical reason for TMD-related otologic complaints.

      • KCI등재

        삼차-얼굴신경연결과 얼굴표정근육 운동의 해부학 및 기능적 고찰

        양헌무(Hun-Mu Yang),허경석(Kyung-Seok Hu),김희진(Hee-Jin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3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6 No.1

        본 연구는 기존의 문헌고찰을 통해 삼차-얼굴신경 연결이 얼굴표정근육에 미치는 신경해부학 및 기능 해부학적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삼차신경의 눈신경, 위턱신경 그리고 아래턱신경은 머리뼈의 해부학적 구조를 통해 얼굴 부위로 빠져나와 얼굴 피부와 근육에 분포하여 감각성분을 제공한다. 특히 눈신경의 눈확위신경(안쪽가지와 가쪽가지), 위턱신경의 눈확아래신경(아래눈꺼풀가지, 바깥코가지, 안쪽코가지, 가쪽위입술가지, 안쪽위입술가지) 그리고 아래턱신경의 턱끝신경(입꼬리가지, 가쪽아래입술가지, 안쪽아래입술가지, 턱끝가지)은 여러 가지를 내어 얼굴의 넓은 부위에 분포한다. 얼굴신경은 붓꼭지구멍을 빠져나와 다섯 개의 가지(관자가지, 광대가지, 볼가지, 턱모서리가지 및 목가지)로 나뉘어 얼굴표정근육에 분포한다. 삼차신경과 얼굴신경은 얼굴부위에서 연결을 이루어 ‘다른 뇌신경기원 신경연결’을 이룬다. 이러한 삼차-얼굴 신경연결은 눈부위(눈확위신경과 관자가지), 광대부위(광대신경과 관자 및 광대가지), 아래눈확부위(눈확아래신경과 광대가지), 아래턱뒤부위(귓바퀴관자신경과 얼굴신경줄기), 볼부위(볼신경과 볼가지 및 광대가지) 그리고 턱끝부위(턱끝신경과 볼가지 및 턱모서리가지)에서 관찰된다. 얼굴표정근육은 근막에 둘러싸이지 않은 채로 머리뼈와 피부를 바로 연결하여 정교한 얼굴표정을 나타낸다. 대뇌 피질에서 겉질뇌줄기로를 통해 얼굴신경운동핵으로 전해진 운동정보는 얼굴신경을 통해 얼굴표정근육으로 전해지고, 삼차신경을 통해 얻어진 얼굴부위의 고유감각은 삼차신경감각핵을 통해 시상을 거쳐 대뇌겉질 및 소뇌로 전해지며, 이러한 정보는 얼굴신경이 얼굴표정근육을 정교하게 움직일 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얼굴신경의 운동성분은 삼차-얼굴신경연결을 통해 삼차신경을 타고 얼굴표정근육에 전해지며, 얼굴신경이 분포하는 곳에서 감각신경이 얻어져 삼차-얼굴신경연결을 통해 삼차신경으로 전달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and communications of the trigeminal nerve (TN) and facial nerve (FN) and considerate their relationship with the anatomy and function of the facial expression muscles (FEMs) by means of the literature study. The TN emerged on the face via various structures of the skull, and received sensation of the skin and muscles on the face. The FN supplied the motor components to the FEMs, as ramifying five branches after running through the stylohyoid foramen. The TN and FN constituted “nervous communication between heterogeneous cranial nerves” on the ocular (supraorbital nerve and temporal branch), zygomatic (zygomatic nerve and temporal/zygomatic branch), infraorbital (infraorbital nerve and zygomatic branch), retromandibular (auriculotemporal nerve and FN trunk), buccal (buccal nerve and buccal/zygomatic branch) and mental areas (mental nerve and buccal/marginal mandibular branch). The exquisite movement of the FEM which was controlled by the facial motor nucleus would be referred by the proprioception from the TN. The motor components from the FN could be delivered to the FEM via the TN as recruiting the heterogeneous nervous communications. The sensation from the FN also could be conveyed to the TN via the communication.

      • SCOPUSKCI등재

        3차원 전산화단층찰영 영상을 이용한 얼굴 연조직 두께 계측

        정호걸,김기덕,한승호,신동원,허경석,이제범,박혁,박창서,Jeong Ho-Gul,Kim Kee-Deog,Han Seung-Ho,Shin Dong-Won,Hu Kyung-Seok,Lee Jae-Bum,Park Hyok,Park Chang-Seo 대한영상치의학회 2006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Vol.36 No.1

        Purpose : To evaluat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program to measure facial soft tissue thickness using 3D computed tomographic images by comparing with direct measurement. Materials and Methods : One cadaver was scanned with a Helical CT with 3 mm slice thickness and 3 mm/sec table speed. The acquired data was reconstructed with 1.5 mm reconstruction interval and the images were transferred to a personal computer. The facial soft tissue thickness were measured using a program developed newly in 3D image. For direct measurement, the cadaver was cut with a bone cutter and then a ruler was placed above the cut side. The procedure was followed by taking pictures of the facial soft tissues with a high-resolution digital camera. Then the measurements were done in the photographic images and repeated for ten times. A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was adop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measurements resulting from the two different methods. Comparison according to the areas was analyzed by Mann-Whitney test. Results :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irect measurements and those using the 3D images (p>0.05).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measurements on 17 points but all the points except 2 points showed a mean difference of 0.5 mm or less. Conclusion : The developed software program to measure the facial soft tissue thickness using 3D images was so accurate that it allows to measure facial soft tissues thickness more easily in forensic science and anthropology.

      • KCI등재

        한국인 앞쪽니와 큰어금니의 비계측 특징과 다른 종족들과의 비교

        김희진(Hee-Jin Kim),허경석(Kyung-Seok Hu),강민규(Min-Kyu Kang),고기석(Ki-Seok Koh) 대한체질인류학회 200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3 No.2

        간추림 사람 치아의 비계측적 특성은 유전적인 영향 또는 환경적인 영향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이러한 특정은 어떤 종족의 특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이용된다. 연구자들은 치아의 체계적인 비계측적 변이와 특성을 조사하고 이 자료를 다른 종족의 결과와 비교하여 한국인 치아의 비계측 특정에 따른 만족간의 체질인 류학적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 3 로는 168 구의 한국인에서 발거한 치아와 정상적인 치아상태를 가진 160 명의 생체 치아모델 상에서 앞니와 큰어금니에서 판찰되는 15 개 항목의 비계측 특징을 조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부분의 한국인 위턱 앞니는 삽모양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아래턱 앞니는 삽모양을 보인 경우는 없었으며 흔적으로 나타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위턱 안쪽앞니와 가쪽앞니에서 이중삽모양앞니 출현반도는 각각 31.2%, 7.6% 였다. 한국인에서 삽모양앞니의 출현빈도는 다른 종족들에 비해 가장 높았다. 2 쐐기모양앞니는 위턱 가쪽앞니에서만 10.2% 의 빈도로 나타났다. 3 송곳니 먼쪽면에 나다나는 덧결절은 낮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아래턱 송곳니보다 위턱 송곳니에서 더 많이 관찰되었다. 4 위턱 큰어금니의 교두는 대부분야 4 개 (첫째큰어금니 96%, 둘째큰어금니 : 81.7%) 였으나, 아래턱 첫째콘에 금나는 교두가 5 개인 경우가 가장 많았고 (81.1%), 둘째큰어금니에서는 4 개인 경우 (52.0%) 가 가장 않았다. 5 큰애금니 교합연의 교두 -고랑 형태 유형을 비교한 결과, 위택 첫째큰어금니는 “4형”이 가장 많았고 위턱 둘째큰어금니는 ‘4-형”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6 카라벨리특징 (Carabelli’s trait) 의 출현빈도는 대부분 첫째큰어금니에서만 관찰되었고 이중 큰 교두 형태로 관찰된 경우는 남자에서만 9.9% 였다. 한국인에서 Carabelli 결절 출현빈도는 서양인에 비해 아주 낮았다. 7 아래턱 큰어금니의 교합면 교두 고랑 유형은 ‘ Y5 형’과 ‘+5 형’이 각각 45.6%, 51.6% 효 거의 비슷한 출현 율을 보인 반면, 아래턱 둘째큰어금니의 교합면 유형은 ‘+4 형’이 46.3%, ‘+5 형’은 40.0% 로 대부분 “+" 자형의 고랑 형태를 보였다. 한국인은 비교한 다른 종족들에 비해 5개의 교두를 가지며 Y 형태의 교합면 고랑을 나타내는 유형 (Y5형) 의 출현빈도가 낮은 반면, 5 개의 교두를 가지며 + 형태의 교합면 고랑을 가지는 유형 (+5 형 ) 의 빈도는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8 제 6 교우가 관찰된 경우는 아래턱 첫째큰어금니에서 5.3%, 아래턱 둘째큰어금니에서 5.1% 였다 제 7 교두는 아래턱 첫째, 둘째큰어음니에서 각각 7.5%, 4.1% 로 관찰되었다.

      • KCI등재

        엄지손가락과 첫째손샅의 등쪽 동맥분포

        허미선(Mi-Sun Hur),한희돈(Hee Don Han),곽현호(Hyun-Ho Kwak),허경석(Kyung-Seok Hu),이규석(Kyu-Seok Lee),김희진(Hee-Jin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3 No.3

        손등은 이식시 공여부로 흔히 사용되어 왔으며, 그중에서 등쪽손허리동맥피판(dorsal metacarpal arterial flaps)은 손가락 피부와 물렁조직의 결손부위를 덮는데 자주 사용되지만, 손등동맥의 해부학적 변이는 다양하므로 동맥피판을 다루는데 공여부 확보에 있어 어려움을 줄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엄지손가락, 집게손가락, 첫째손샅(first web space)의 등쪽 동맥분포를 밝히고, 동맥피판술에 도움이 되는 해부학적 자료를 만들기 위함이다. 재료는 한국성인 시신 손 26쪽(오른손 13쪽, 왼손 13쪽, 평균나이 67.7세)을 사용하였고, 해부 전 아래팔 중간부위의 노동맥에 붉은 Latex (Latex 671, Dupont Industry, France)를 주입한 후, 해부하였다. 첫째등쪽손허리동맥 가지의 형태는 등쪽자쪽엄지가지와 등쪽노쪽집게가지가 일어나는 형태에 따라 세 가지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등쪽자쪽엄지가지와 등쪽노쪽집게가지가 첫째등쪽손허리동맥에서 일어나는 경우(10예, 38.5%), 첫째등쪽손허리동맥을 형성하지 않고 노동맥에서 등쪽자쪽엄지가지와 등쪽노쪽집게가지가 각각 따로 분지되는 경우(5예, 19.2%), 그리고 등쪽노쪽집게가지는 노동맥에서 일어나고, 등쪽자쪽엄지가지는 엄지으뜸동맥에서 일어나는 경우(11예, 42.3%)가 있었다. 첫째등쪽손허리동맥 가지의 첫째등쪽뼈사이근에 대한 위치관계는 등쪽자쪽엄지가지가 근육에 대해 달리는 위치에 따라 두 가지 유형이 있었다. 등쪽자쪽엄지가지가 첫째등쪽뼈사이근의 표면을 달리는 경우는 17예(65.4%)가 있었고, 첫째등쪽뼈사이근에 덮여 달리는 경우는 9예(34.6%)로 관찰되었다. 등쪽노쪽집게가지는 모든 예에서 첫째등쪽뼈사이근의 표면으로 달렸다. 이상의 결과들은 엄지손가락과 첫째손샅의 등쪽 동맥분포에 대한 국소해부학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손 외상 치료와 동맥피판술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Distal thumb injuries are a common and difficult problem for hand surgeons. Coverage of soft tissue on the fingers may be difficult due to the size of the defect or the limitation of local flap mobilization. However, the variable anatomy of the dorsal hand vascular system sometimes prevents successful flap harv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vascular anatomy of the dorsal side of the thumb and the first web for the flaps. Twenty six hands (13 right and 13 left hands) from Korean embalmed cadavers were dissected. A catheter was inserted into the radial artery in the forearm, and the red colored latex (Latex 671, Dupont Industry, France) was injected until the dorsum of the hand was colored.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dorsal metacarpal artery (FDMA) and its branches were vary and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branching patterns; Both dorso-ulnar thumb branch (DUTB) and dorso-radial index branch (DRIB) arose from the FDMA (10 cases, 38.5%). Each DUTB and DRIB arose separately from the radial artery (5 cases, 19.2%). The DUTB and the DRIB originated from the princeps pollicis artery and the radial artery, respectively (11 cases, 42.3%). The typical course of the FDMA and its branches ran overlying the 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 in 17 cases of the 26 specimens (65.4%). However, in nine cases (34.6%) the DRIB ran on the 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 and the DUTB had a deep course within the substance of the 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 The FDMA flap represents a good option to cover defects for the thumb. These anatomical findings in the present study could provide useful knowledge of flaps for dorsal aspect of the thumb and the first we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