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벼 육묘일수가 지연된 어린모 이앙재배시 질소분시 방법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희석,양운호,박정화,윤영환,김제규,양원하,박종욱 한국작물학회 2008 한국작물학회지 Vol.53 No.3

        벼 어린모의 육묘일수가 지연될 경우 모소질이 불량하여 본답의 이앙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답 이앙재배시 질소 분시방법이 노화된 어린모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시험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어린모(8일모) 비하여 육묘일수가 지연된 8일 지연된 16일모는 성묘율, 배유양분 잔존율 및 근활력이 낮아졌다. 2. 초기생육은 육묘일수가 지연된 16일모가 8일모 관행 시비구(40-30-30)보다 낮았으나, 16일모 기비중점 시비구(70-0-30%)의 초장, 경수, 신근수 및 근활력은 8일모 관행 시비구(40-30-30%)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3. 출수기 생육은 육묘일수가 지연된 16일모 기비중점 시비구(70-0-30%)가 경수, 건물중, 엽면적이 가장 높았고, 16일모 관행 시비구(40-30-30%)는 가장 낮았다. 4.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는 육묘일수가 8일로 지연될 경우 등숙비율, 천립중이 떨어지며, 기비중점 시비구(70-0-30%)는 수수와 수당립수가 많았고, 수량은 8일모 관행 시비구(40-30-30) 비해 3% 증수되었다. 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육묘기간이 8일정도 지연된 어린모를 본답에 이앙하여 재배할 경우 기비중점 시비가 생육 및 수량에 유리한 재배방법으로 사료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appropriate split application method of nitrogen fertilizer in infant rice seedlings which show poor seedling growth resulted from extended seedling nursery duration more than 12 days. The 16 day-old infant rice seedling (DOIRS) showed poor seedling growth than 8 day-old seedling. Early growth of transplanted 16 DOIRS was poor, compared with that of transplanted 8 DOIRS. However, the poor plant growth estimated by plant height, tiller number, and the number of newly developed roots was compensated by 70-0-30% (basaltillering-panicle initiation) of nitrogen split application. In 70-0-30% plots among split nitrogen application methods, tiller number, biomass, and leaf area at heading stage of rice showed the highest values. Sixteen DOIRS plots showed lower grain filling and 1000-grain weight, resulted in lower yield of rice than 8 DOIRS plots in the same nitrogen split application. However the lower yield in 16 DOIRS plots was recovered by 70-0-30% of nitrogen split application method to a similar level in 8 DOIRS plots in which nitrogen was split applied by 40-30-30%.

      • KCI등재

        비료의 장기연용이 벼의 생육·수량 및 미립발달에 미치는 영향

        韓熙錫,李文熙,沈載成 한국작물학회 1991 한국작물학회지 Vol.36 No.1

        동일포장에서 동일시비조건으로 무비구, PK구, NK구, NP구, NPK구, NPK+웅비구, NPK+생고구, NPK+석탄구를 20년간 연용하였을 때 토괴의 이화학적 성질변화, 수도의 생육, 수량구성요소, 수량 및 미입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의 화학적 성분은 3 요업 무처리 시용구에서 성분간 함유율이 낮았으며, 3요소+웅비, 생고시용구에서 유기물, 유효인산, CEC가 높았다. 석회시용구는 토양산도 및 SiO2 가 증가되었다. 2. 토양의 공극율은 3요소구에서 49.8% 인데 비하여 3요소+웅비, 생고구에서는 51.4~53.1 % 였다. 토양경도는 3요소구가 가장 높은 반면 3요소+석회구가 가장 낮았다. 입단구조는 3요소구가 7.1%인데 비하여 3요소+생고구가 19.6%로 가장 잘 발달되었다. 3. 생육상황은 유기물 시용구에서 초장, rud수, 근수, LAI, TDW는 높았지만 3요소 무처리구에서는 공히 낮았다. CGR은 영화분화기 때에 전처리간에 생산량이 가장 많았으며 3요소+웅비, 3요소+생고, 무칼륨구가 가장 높았지만 3요소, 3요소+석회, 무인산구는 출수기에 무비, 무실소구는 성숙기에 각각 가장 높으면서 전생육기간동안 증가하는 경향이였다. 그러나 3요소+웅비, 생고구가 영화분화기 때부터 CGR의 증가율이 빨리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현미수량에서 20년간의 수량평균치는 무비, 무실소 45~55%, 무인산 15%, 무칼륨 5%의 수량감소를 나타내었지만 3요소+웅비 11 %, 3요소+생고 14 %의 증수를 나타내었다. 1988년간의 수량과 비교해 보면 20년간 평균치보다 3요소구에서 36%의 증수를 나타내었다. 5. 이삭의 일, 이차지경의 분화수는 3요소+웅비, 생고, 석회처리구에서 17~21개로 많이 분화되었지만 3요소 무처리구에서는 13~15개로 낮았으며 퇴화지경수는 반대로 3요소+웅비, 생고, 석회처리구가 적었다. 6. 입중분포에 있어서 비중 1.15 이상의 미립 분포비율은 무비, 무실소, 3요소+웅비, 3요소+석회구가 60%정도 높았지만 무인산, 3요소+생고구는 약 45%로 낮았다. 7. 미립형태에서 완전미 비율과 입중분포는 밀접한 관계이며 완전미 비율이 높은 무비, 3요소+웅비, 생고, 석회구는 입중이 무겁고 반대로 심백미, 복백미 등이 적었으며 무칼륨구에서 심/복백 정도가 5/3으로 가장 높았다. 특히 동할미는 무인산, 무칼륨구에서 현저히 높았다. 8. 등숙속도에서 완전등숙율은 무칼륨 3요소구에서 30 DAH, 무인산 3요소+석회구에서 35 DAH, 3요소+웅비, 생고구에서 40 DAH, 무비구에서 45 DAH로 동화산물의 전류축적이 빨랐는데 이는 등숙속도가 빠를수록 미립형태에서 심백미, 복백미, 동할미가 많아졌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20 years long term fertilizations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paddy soil and the growth, yield, yield components and grain development of rice. Non-fertilized, PK, NK, NP, NPK, NPK + compost, NPK+straw and NPK+lime have been applied since 1968 after surface paddy soil was removed. NPK+compost and NPK+straw applications increased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available P and CEC, and lime increased soil acidity and SiO2 content. While chemical contents in non-fertilized treatment were low as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Soil porosity was higher in NPK+straw (51.4%) and NPK+lime(53.1%) than in NPK application (49.8%). Soil hardness was highest in the NPK application and was lowest in the NPK + lime. Continuous application of straw with NPK markedly increased the content of aggregate with over 1mm(19.6%) as compared with NPK application (7.1%). Plant height, tiller number, root number, leaf area index and total dry weight were higher in the applications of compost, straw and lime with NPK than in any other treatments. Brown rice yield in non-fertilized, PK and NP applications was decreased 45, 55, 15 and 5% of that in NPK application, respectively, while application of compost, straw and lime with NPK increased the yield by 11, 14 and 4%, respectively, during 20 years. The number of differentiated rachis branchs in the application of compost, straw and lime was 17 to 21 and that in the other application was 13 to 15, whereas the degenerated rachis branchs was low in the application of compost, straw and lime with NPK. The applications having higher level of perfect rice grain such as non-fertilized, NPK+compost, NPK+straw and NPK+lime had high grain weight and had low level of white core rice, white belly rice. The white core and belly rice was highest in the NP application and notched belly rice kernel was markedly increased in NK and NP applications. The period of grain filling was 30 DAH at NP and NPK applications, 35 DAH at NK and NPK+lime, 40DAH at NPK+compost and NPK+ straw, and 45DAH at non-fertilized, respectively.

      • 벼 무논점파 파종기의 개발 및 노동력 절감 효과

        한희석,양운호,김제규,양원하,윤영환,이동철,안종웅,곽창길,문종길,양선목 한국작물학회 2008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8 No.10

        벼 재배농가에 일반적으로 보급된 벼 직파기술은 산파 및 줄뿌림 재배기술로서, 벼 직파재배면적은‘07년 전체 벼 재배면적의 약 5%정도로 농가 보급이 정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산파 및 줄뿌림형태의 직파재배는 파종직후 종자이동 등으로 인하여 입모가 불균일하고 생육이 고르지 못하다. 그래서, 벼 재배농민들은 안정적인 벼 직파재배기술에 대한 요구가 매년 점증하고 있다(‘03~’08, 작물원). 벼 무논점파 파종기의 개발 동기는 2003년 농가에서 콩 파종하는 광경을 보고, 벼 승용이앙기에 콩 파종기의 파종장치를 부착하여 파종기로 개발하였다. 그 동안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과 황금파종기 제작회사가 시험포장 및 회사에서 약 19회의 협의를 통해 무논점파기를 공동개발하게 되었다. ‘04~07년에는 무논점파기의 파종기 부분과 관배수로 장치의 기계구조 개발과 동시에 파종방법 및 물관리에 대한 재배기술 안정화 시험도 수행하였다. 벼 무논점파 파종은 조간 30cm 간격으로, 파종골(너비 4cm, 깊이 2cm)을 만들면서, 주간 12cm 간격으로 점파 위치별 4~8립을 파종하였다. 파종과 동시에 관배수로는 파종기의 중앙부위에 10cm 깊이로 작성되게 된다. 또한 무논점파 파종기의 벼 재배기간중 노력시간의 절감 효과를 조사한 결과, 중묘기계이앙대비 약 35%의 노력절감이 예상되었다. ‘08년 무논점파 재배기술이 시책건의(농림수산식품부)로 채택되었으며, 전국 8개 지역 (각도 1지역) 시범사업을 거쳐서, ‘09년 전국 100개 지역에서 시범사업으로 확대 수행될 예정이다. ’09년에는 벼 무논점파기 동력을 5마력에서 10마력으로 보강하고, 종자의 파종립수를 결정하는 파종량 조절이 한번에 자동조절되는 장치를 부가하는 등 기계를 개선할 예정이다. 금후 무논점파기의 파종성능을 개선 보완하면, 노력절감효과는 더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 비료의 장기연용이 벼의 생육, 수량 및 미립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희석,심재성,Han, Hui-Seok,Sim, Jae-Seong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2 自然科學論文集 Vol.5 No.1

        토양에 20년간 3요소+생고를 처리하였을때 토양의 화학적 성분, 공극율, 입단구조가 잘 발달되었다. 또한 이 처리에 의하여 CGR은 영화분화기때 가장 높았으나 무처리구나 3요소단용구에서는 전생육기간을 통하여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띈 반면 3요소+생고처리구에서는 영화분화기이후 계속 감소 하는 추세을 나타내고 있다. 현미수량에 있어서는 3요소+생고처리에 의하여 11%의 증가효과가 있었으며 이것은 주로 이삭의 일.이차기경의 분화수가 증가하였기 때문이었다. 또한 미립형태에 있어서도 완전미의 비율이 높았는데 이것은 등숙속도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등숙속도가 빠를수록 심백미, 복백미 및 동할미가 많았다. 3요소 + 생고속도는 40DAH이었다.

      • KCI등재

        슬관절 관절경으로 확인한 슬관절 반월상 연골의 손상양상

        한희석,정현기,최충혁 대한슬관절학회 1995 대한슬관절학회지 Vol.7 No.2

        The authors reviewed the result of I.D.K. patients, treated by arthroscopic surgery from November, 1987 to May 1995. We analysed 410 meniscus tears according to tear type, location and combined ligament injuries. The analyzed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male to female ratio in menisca1 tear incidence was 2.2:1 but the meniscal tear incidence was more frequent iq female than male patients over 50 years old and the age of l6 to 30 years old patients occupied about a half of peniscal tear cases. 2. The lateral meniscal injury was more frequeint than medial meniscus. In lateral meniscus, the predominant types qf meniscal tear were c6mplex aad flap type tear, and the major sites of meniscal tear were nod-poaterior portion and posterior horn of menkscus. In medial meniscus, tbe dominant types were also complex and Aap type, and main tear sit were entire, middle portion and mid-posterior portion of meniscus. 3. Both meniscal tears were detected in 38 cases(9.3% of menical tear cases), In these cases, the predominant meniscal tear types were cornplex and flap tear on posterior horn of medial meniscus and on mid-portion of lateral meniscus. 4. We found 79 cases discoid meniscal tears(34% of latcral meniscal tear cases) which were afl lateral discoid meniscus. The major tear types were complex and longitudinal tear, and the predominant sites of menisca1 tear were entire, ant.-middle and mid-posterior portion of latcra1 discaid meniscus. 5. The meniscal tear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was rnore frequent in chron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than acute injury. In meniscal tear combined with chron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the main tear types were complex and flap type tear, and the dominant tear sites were mid-posterior and posterior horn of meniscus. 6. The meniscal tear with collatera1 ligament injury was found in 10 cases and 9 cases were occurred in association with acute coliateral ligament injury. 7. The meniscal tear eombined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and medial collateral ligament injury was developed in 6 cases and 5 cases was oecurred in acute ligament injury. And we experienced 5 cases of anterior cruciate and medial collateral ligament injury with no meniscal te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