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블록체인의 태동, 현재 그리고 미래

        한형성,배수진,김진태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9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8 No.1

        This study divided the history of the blockchain into the beginning, expanding and spreading period, looking at the major features and issues of blockchain technology for each period. In 2008, Bitcoin was assessed to have technical features that enable the efficiency, speed and security of transactions through direct P2P transaction between network users. However, issues such as limited quantity of coin mining, small block size, overconsumption of energy, and user-unfriendly characteristics were also problematic. Ethereum was developed in 2013 with the aim of 'decentralized blockchain platform’ to enable DApp(decentralized application) and smart contract by using Ethereum. However, governance in network, the irrevocability of smart contracts and transaction processing based on fees were issues to be addressed. Various kinds of Altcoin showed the possibility that blockchain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various industries during the spreading period that started in 2017. On the other hand, however, issue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cryptocurrency and blockchain, the decision of the blockchain algorithm and whether ICO(initial coin offering) should be legally permitted have emerged as issues.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each historical period of the blockchain technology from 2008 to the pres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the basis for future blockchain studies by helping to understand the blockchain development process and issues raised with blockchain technology. 본 연구는 블록체인의 역사를 태동기, 확장기, 확산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로 블록체인 기술의 주요 특징과 쟁점들을 살펴보았다. 2008년 비트코인으로 시작된 블록체인은 네트워크 사용자간의 직접적인 P2P방식을 통하여 거래의 효율성, 신속성, 보안성을 실현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지만, 발행량 제한, 블록크기 제한, 에너지 과소비, 사용자 비친화적인 특성 등이 문제로 제기되었다. 2013년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플랫폼’을 목표로 만들어진 이더리움의 탄생은 블록체인의 확장기로 볼 수 있다. 이더리움은 블록체인의 태동기에 만들어진 비트코인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기술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이더리움은 다양한 산업영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디앱(Dapp)의 개발과 스마트 계약을 가능하게 했지만, 거버넌스 문제, 스마트 계약의 비가역성 문제, 수수료 기반 처리시스템이 가진 문제 등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나타났다. 2017년부터 시작된 확산기에는 다양한 알트코인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가지고 있던 한계들을 뛰어 넘어 블록체인 기술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암호화폐와 블록체인과의 관계, 블록체인 알고리즘의 결정 문제, ICO의 법적 허용 여부와 관련한 문제가 해결해야 될 쟁점들로 부각되었다. 2008년부터 현재까지 진행된 블록체인 기술의 각 시기별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본 본 연구는 블록체인 기술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블록체인과 관련하여 현재 제기되는 쟁점들을 이해하는 것을 도와서 향후 블록체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과세관청의 세무조사가 경영자와 이해관계자 간의 정보비대칭을 감소시키는가?

        한형성,배수진,김진태 한국회계정보학회 2014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4 No.2

        본 연구는 과세관청의 세무조사 이후 추징세액이 자기자본의 100분의 5(대규모법인의 경우 1,000분의 25) 이상의 추징세액이 발생되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이 공시를 한 기업을 대상으로 세무조사에 대한 공시가 경영자와 이해관계자 간의 정보비대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분석을 하였다. 또한 분석결과에 대한 강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경영자와 이해관계자 간의 정보비대칭에 대한 대용치(Proxy)를 일별 절대수익률의 표준편차(ASR), 일별 상대수익률의 표준편차(SR), 일별 초과수익률의 표준편차(AR)를 각각 이용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2004년부터 2012년까지 세무조사 및 세무조사를 통해 추징세액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를 한 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무조사 대상연도는 세무조사 이전연도 보다 상대적으로 경영자와 이해관계자 간의 정보비대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이 과세관청으로부터 세무조사를 받아 추징세액이 발생되는 경우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은 해당 기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지만, 경영자는 이해관계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수준의 정보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어 경영자와 이해관계자 간의 정보비대칭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이 된다. 둘째, 세무조사 이후연도는 세무조사 대상연도보다 상대적으로 경영자와 이해관계자 간의 정보비대칭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세관청의 세무조사 이후 이해관계자들이 기업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더불어 경영자 또한 비조세비용의 감소를 위하여 자본시장에 기업의 정보를 적극적으로 공시를 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이 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과세관청의 세무조사 이후 경영자와 이해관계자 간의 정보비대칭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과세관청의 세무조사 및 추징세액에 대한 정보를 공시함으로써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이 기업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경영자 또한 자본시장의 이해관계자들에게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비조세비용 증가를 최소화하고자 하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과세관청의 세무조사에 관한 정보는 자본시장의 정보비대칭을 감소시킴으로써 이해관계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비경영계열 대학생에 대한 회계교육은 필요한가?

        한형성,배수진,김진태 한국회계학회 2018 회계저널 Vol.27 No.6

        본 연구는 비경영계열 대학생에 대한 회계교육이 금융이해력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 전공, 학년에 따른 교육효과를 분석했다. 금융이해력은 OECD-INFE의 ‘2016년 금융이해 력’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금융지식, 금융행위, 금융태도의 세 가지 영역으로 세분하여 측정 하였다. 분석결과, 회계교육이 비경영계열 대학생의 전반적인 금융이해력 상승, 특히 ‘금융 지식’과 ‘금융행동’의 상승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회계교육이 금융이해력 상승에 미치는 효과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인문사회계열과 경제계열 전공학생이 자연과학, 공학, 예·체능계열 전공학생보다, 저학년이 고학년 학생보다 컸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비경영계열 대학생에 대한 회계교육이 금융이해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회계교 육은 계열별 교육성과에 차이가 있으므로 교육 대상자의 학문별 특성에 맞는 회계교육과정 과 교수법을 개발하여 계열별로 차별화된 회계수업을 진행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추 가로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회계교육이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회계교육보다 금융이해력 향 상에 보다 높은 성과를 달성 수 있음을 제시하여 교육과정 구성 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교육으로서의 회계교육이 어떠한 방향성을 가지고 개선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 of accounting education on financial literacy in non-business college students and the accounting educational effect on financial literacy according to gender, major and grade. We presented the effects of accounting education by analyzing the difference of financial literacy between educated experimental group and non-educated control group during experimental period(one semester). Financial literacy was measured by using the 'OECD-INFE Survey of financial literacy of 2016', divided into three areas: financial knowledge, financial behaviour, and financial attitude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accounting education is effective in raising the overall financial literacy of non-business college students, especially in the areas of 'financial knowledge' and 'financial behavior'. The effect of accounting education on financial literacy was greater for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In addition, students majoring in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economics showed greater educational effects than those in the natural sciences, engineering and art college, and the college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had greater accounting educational effect than those in the higher gra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basic data on how the accounting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of the universities in Korea can be improved.

      • KCI등재

        A Study on the Model of Competency Based Liberal Accounting Education for the 21 Century

        한형성,배수진,김진태 한국국제회계학회 2020 국제회계연구 Vol.0 No.93

        [Purpose]The present study intends to explore possibilities of education on accounting through liberal educational courses in universities to cultivate the human resources required for students in the 21st century. [Methodology]The association of the contents of liberal educational courses of accounting with the cultivation of the four core competencies (4C: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Skill, Creativity, Communication Skill, and Collaboration Skill) was examined. Next, the concrete ways of cultivating the core competencies, in terms of knowledge, function, and value, were developed, by exploiting the approach of cultivating ‘Special Capabilities in the Liberal Educational Courses of Accounting’. [Findings]The contents of liberal educational courses on accounting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4C of students. The matrix of association of liberal educational courses on accounting with major courses of students in departments of non-business administration was presented to facilitate the liberal education of accounting, with a focus on the cultivation of the 4C of students. [Implications]The model of liberal educational courses on accounting will positively contribute to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of accounting education desired by contemporary Korean society by influencing conventional major educational courses of accounting.

      • KCI등재

        1970년대 한국가정의 경제생활

        한형성 역사학연구소 2019 역사연구 Vol.- No.37

        The study aims to provide a detailed analysis of the economic life of Korean households in the 1970s. The study analyzed a home accounting book and conducted interview with the housewife who wrote the home accounting book in the 1970s.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articles on the economic life of Korean households in newspapers and women's magazines published in the 1970s. In the 1970s, most Korean households suffered from price hikes due to oil shocks. Housing, food, heating, education, medical, electricity, water and transportation costs were raised by more than two digits each year. The price increase was almost transferred to Korean households, and Korea’s domestic capital strengthened its capital accumulation and monopoly through collusion with the Park Chung-hee regime.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it is not reasonable to understand the Park Chung-hee regime as a combination of the positive side of "economic growth" and the negative side of "political dictatorship." The reason why the Park Chung-hee regime could be maintained in the 1970s was not because it gave economic stability to most Korean families at the time. Rather, it could be because the majority of the people in the 1970s felt the task of political democratization far away because maintaining the domestic economy through austerity was an urgent task. To sum up, for most Korean families, the 1970s were an era of poverty and patience with the hope that their children would get better in the future. 이 논문은 1970년대 박정희 체제의 여러 정책이 한국가정의 경제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수입과 지출의 항목별로 분석한다. 1970년대 한국가정의 경제생활에 대한 구체적 분석을 위하여 가계부에 대한 분석과 가계부를 작성한 주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했다. 또한, 1970년대의 신문과 여성잡지에 실린 가정경제와 관련한 특집과 기획기사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1970년대 한국가정의 대부분은 두 차례의 오일쇼크 때문에 살인적인 물가고에 시달렸다. 주거비, 식비, 광열비, 교육비, 의료비, 전기요금, 수도요금, 교통비 등은 해마다 두 자리 수 이상 인상되었다. 그리고 물가인상분은 ‘수익자부담원칙’을 명분으로 한국가정에 전가되었으며, 국내자본은 박정희 체제와의 유착을 통해서 자본축적과 독점을 강화했다. 1970년대 한국가정의 경제생활을 분석한 이 연구의 결론은, 박정희 체제에서 경제는 성장했지만 정치적 독재가 문제였다는 ‘개발독재론’이나, 박정희 체제가 대중의 자발적 동의에 입각해 있었다는 ‘대중독재론’이 한국가정의 경제생활에 대한 실체적 진실을 무시하는 이론이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1970년대 박정희 체제가 ‘승인’될 수 있었던 이유는 이 체제가 대부분의 한국가정에게 경제적 풍요를 주었기 때문이 아니었다. 그보다는 대안적인 정치세력이 부재한 조건에서, 국민 대다수는 내핍적인 생활을 통한 가정경제생활의 유지와 재생산이 당장의 급한 과제였고 정치적 민주화는 멀고 힘든 과정으로 여겼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이 과정을 굳이 동의의 과정이라고 한다면, 이 동의는 ‘자발적·의식적’ 동의가 아니라 ‘강제적·무의식적’ 동의에 가까울 것이다.

      • KCI등재

        ‘21세기 기업윤리’에 조응하는 교양회계교육

        한형성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교양회계교육을 받은 대학생을 두 개의 집단(전통적 회계교육을 받은 집단과 전통적회계교육과 함께 보충적 기업윤리관 교육을 받은 집단)으로 나누어, 전통적 회계교육과 보충적인 기업윤리관 교육이 대학생의 기업윤리관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통적 회계교육이 대학생의 ‘21세기 기업윤리관’ 형성에 영향이 있다는 실증적 근거는찾을 수 없었고, 보충적인 기업윤리관 교육이 대학생의 ‘21세기 기업윤리관’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가진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 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교양회계교육이 대학생들의 21세기에 요구되는 기업윤리관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통적 회계교육과 함께 기업윤리관과 관련한 보충적 교육이 필요하다는것이다. ‘2020년 다보스 선언’에서도 확인되었듯이, 21세기 기업경영환경에 조응하는 기업윤리관의형성은 기업과 공동체뿐 아니라 대학생 본인의 사회적 진출에도 큰 영향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21세기기업윤리관’에 조응하기 위한 교양회계교육의 교육내용과 교수법에 대한 향후 연구가 요청된다.

      • KCI등재

        비경영계열 대학생의 전공계열별 특성에 따른 교양회계교육모형

        한형성,배수진,김진태 한국국제회계학회 2022 국제회계연구 Vol.- No.106

        [Purpose]General elective accounting education for non-business students faces an education environment in which ‘accounting information users’ are centered. The purpose of study is to develop a general elective accounting education model that fully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in non-business major college students. [Methodology]In order to explore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of the general elective accounting education model and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model, we collected opinions from 20 experts in academia and industry and analyzed their opinions using the Delphi survey method. [Findings]While experts agreed on the necessity of general elective accounting education for non-business students, they provided different reasons. This study presents a modular general elective accounting education model considering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across majors. [Implications]The authors expect the model of general elective accounting educatio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s in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 methods. [연구목적]비경영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회계교육은 ‘회계정보 이용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환경을 가지고 있다. 연구목적은 비경영계열 대학생의 전공계열별 특성을 고려한 교양회계교육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교양회계교육모형의 교육내용과 교수법을 탐색하고 모형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델파이 조사 방법을 이용해 학계와 산업계의 20명의 전문가들로부터 교양회계교육에 대한 의견을 3차례에 걸쳐서 수집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전문가들은 비경영계열 대학생에 대한 교양회계교육의 필요성은 동의했지만, 그 이유에 대해서는 차이가 있었다. 인문사회계열 전문가들은 자본주의 사회의 이해, 이공계열 전문가들은 연구비의 투명한 관리와 졸업 이후의 진로, 예체능계열 전문가들은 공연예산 및 운영의 계획 수립을 위해 교양회계교육이 필요하다고 했다. 본 연구는 전공계열별 특성에 따른 차이를 고려한 모듈형 교양회계교육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시사점]교양회계교육모형이 학제적 융복합 교육을 통한 창의적 인재양성이라는 21세기 한국 사회가 회계교육에 바라는 교육내용과 교육방식의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주길 기대한다.

      • KCI등재

        1920~30년대 가정회계와 가계부 담론

        한형성(Hyung-Sung Han) 韓國經營史學會 2015 經營史學 Vol.75 No.-

        본 연구는 1920~30년대 가정회계와 가계부 관련 담론을 분석하여, 이 담론이 한국가정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다. 1920~30년대 일제와 계몽지식인이 생산, 유통한 가계부 관련 담론은 중층적 역할을 했다. 일제는 가정경제의 유지와 재생산의 어려움을 개별 가정의 문제로 인식하게 함으로써 식민지 수탈을 은폐하거나 합리화하는 이데올로기적 통치기제로 가계부 관련 담론을 이용했다. 또한 가계부 관련 담론은 문맹타파, 농가경영의 합리화, 그리고 한국가정을 근대적 가정으로 만들고자 하는 계몽적 의도에서도 생산, 유통되었다. 가계부 작성능력이 문맹타파의 성과지표로 해석되었고 농가경영의 합리화를 위한 회계 지식이 강조되었다. 계몽지식인은 한국가정을 근대가정으로 만들기 위해서 가계부를 이용한 ‘가사의 과학화’를 주장했으며, 가정회계를 근대적 주부와 근대적 가정질서를 만들기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 생각했다. 결론적으로 1920~30년대의 가정회계와 가계부 관련 담론은 일제의 식민지수탈체제 유지를 위한 통치이데올로기가 가정에 관철된 것인 동시에 근대적 가정을 만들기 위한 지식인의 계몽적 열망이 중첩된 것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가정회계와 가계부 관련 담론이 1920~30년대 한국이라는 시, 공간적 배경에서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살펴 본 최초의 연구라는 점이다. 또한 지금까지 역사학을 비롯한 인문사회분야에서 이루어진 일제 식민지 시기의 일상생활과 관련한 연구 성과를 적극 흡수하여, 그 동안 국내 회계학계에서 상대적으로 미흡했던 회계와 일상생활과의 관련성에 대한 학제 간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연구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household-related discourse of the 1920~1930s and how the discourse affected korean households. The household-related discourse produced and distributed by Japanese imperialism and enlightened intellectuals did dual roles. Japanese imperialism took advantage of household-related discourse as the ideological mechanism to conceal or rationalize its colonial exploitation. The discourse made korean people thought of home economic difficulties as a problem of individual families. Also, household-related discourse was used for enlightening purposes such as literacy, the rationalization of farm management and the modernization of the korean home. The ability to write household accounting book was assumed as a indicator of literacy and accounting knowledge for the rationalization of farm management was emphasized. Enlightened intellectuals claimed the scientific home management by using household accounting book and thought home accounting as a useful means for creating a modernized housewife and modernized home. In conclusion, the household-related discourse of the 1920-30s were the ideological mechanism for the maintenance of Japanese imperialism’s colonial exploitation system and were enlightened intellectuals’ aspirations to create a modern home.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how household-related discourse affected korean household in 1920~30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the association between accounting and everyday life.

      • KCI등재
      • KCI등재

        1970년대 박정희 체제에서의 ‘가계부적기 운동’

        한형성(Hyung-Sung Han) 韓國經營史學會 2017 經營史學 Vol.82 No.-

        이 연구는 1970년대 박정희 체제에서의 경제성장이 당시 한국가정의 경제생활에 어떤 영향을 주고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를 `가계부적기 운동`을 통해서 살펴본다. 1970년대 `가계부적기 운동`은 내자조달을 위한 `저축증진운동`과 함께 진행되었다. 박정희 체제는 소비절약과 내핍을 통하여 가계저축을 늘릴 것을 강조하였고, <여성저축추진생활중앙회>와 같은 관변단체들이 가계부 배부, 가계지출모형 개발, `알뜰한 주부상` 선정 등의 `가계부적기 운동`을 추진하였다. 1970년대 `가계부적기 운동`에 있는 주부담론은 가정에서 저축을 못하는 이유가 살림을 책임진 주부의 무절제한 소비 때문이고, 주부의 소비를 통제하기 위해서는 가계부를 적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가계부적기 운동`은 초기에는 성과를 보였지만, 물가인상과 늘어나는 생계비 부담 때문에 운동의 한계를 드러냈다. 1970년대 대부분의 한국가정은 `인플레적 경제개발`에 수반되는 만성적인 물가인상 때문에 가계적자에 시달렸고, 가계저축률의 하락과 함께 `가계부 무용론`과 같은 `가계부적기 운동`에 대한 저항이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의의는 1970년대 박정희 체제에서의 `가계부적기 운동`의 배경, 성격,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이 운동에 내재한 주부담론이 한국가정에 수용 또는 거부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한국가정의 경제생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economic growth of the Park Chung Hee regime in the 1970s affected the economic life of Korean families through the `home accounting movement`. In the 1970s, the `home accounting movement` was carried out in conjunction with the `household saving promotion movement` to provide domestic capital. `Home accounting movement` led by an organization like the `women`s saving promotion association`, emphasized savings through household bookkeeping. Although the `home accounting movement` was successful in the early stages, it faced a backlash from the Korean family because of the price increase and the burden of living cost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nature, and process of the `home accounting movement`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home accounting movement` on the economic life of Korean families in the 197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