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발전방향

        한정원,Han, Jeong-W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6 No.12

        Rapid Aging Society demands the transformation of medical paradigm of diagnosis and treatment towards prevention and management. This paper explores the norm and development of digital health care, focusing on Busan Metropolitan City. Digital health care which combines new ICT technology and medical technology is predictive, preventive, personalized and participatory; and suggests alternative to solve the problem of demographic changes and increasing social cost of medical welfare. Community Health Center in Busan is unique one based in the minimum community of collecting data from self-leading health management. Digital transformation using basic health data and social information can build preventive care system in the community. Easy access leads community center to test bed of developing new technology, as a living lab. In order to use the newly developed goods and service effectively, user-participatory test is nicessary. Finally community nurse and activists can specify health-welfare converged service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empowerment training.

      • KCI등재

        Effect of Job Demands and Resources by Nurses on Health Problem and Turnover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 Burnout and Engagement

        한정원,Han, Jeong-Won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8

        본 연구는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바탕으로 간호사의 직무요구와 직무자원, 직무소진과 직무열의, 건강문제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정하여, 간호 조직의 성공적인 자원관리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들은 서울시 소재하는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32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간호사의 직무요구는 직무소진 증가와 직무열의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자원은 직무열의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무요구는 직무소진을 매개로 건강문제와 이직의도 증가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자원은 직무소진과 직무열의를 매개로 건강문제와 이직의도 감소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소진은 건강문제 증가와 이직의도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직무열의는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사들이 지각하는 직무자원과 직무요구가 건강문제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소진과 직무열의의 매개 효과로 파악한 기초자료로 간호 관리자들이 조직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used a job demand-resources model as the basis to examine the effects of job demand and job resources on health problems and turnover intention. A total of 320 nurses who were employed at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job demand and job resources had a direct effect on the levels of work burnout and work engagement. Work burnout had a direct effect by increasing the levels of health problems and turnover intentions of nurses; conversely, work engagement had no direct impact on either of the two levels. Job demand and job resources had an indirect effect on increased levels of health problems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can be used by hospital administrations to confirm the organizational significance of job resources in increasing job performance and work involvement, as well as to understand the consequences of perceived job demand by nurses.

      • KCI등재

        산재근로자의 외상후 스트레스 경험

        한정원 ( Jeong-won Han ) 한국산업보건학회 2021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31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meaning and nature of post-traumatic stress among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Methods: In this study,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an in-depth interview were us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8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among adult men and women over the age of 20, those who are able to express their opinions, have experienced injuries due to industrial accidents, and those who have been injured for more than 6 month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1st May 2021 to 30th September. The in-depth interview with research participants took approximately 30 minutes to 90 minutes on average.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eleven thematic collections, and 27 themes. The Five categories were ‘maze with no exit’, ‘erased existence ’, ‘impenetrable barrier’, ‘tightly closed iron gate’, and ‘overcoming reality hurdles’. Conclusions: This study can help understand and describe the experiences of post-traumatic stress among workers who have experienced industrial accidents by taking a phenomenological approach. It suggests the need for program intervention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psychosocial rehabilitation as well as an institutional approach toward these targets.

      • KCI등재

        자기회귀교차지연 모델을 활용한 청소년 우울과 신체화 증상의 인과관계

        한정원(Han Jeong W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6

        본 연구는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우울과 신체화 증상에 대한 종단적 상호 인과관계를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통해서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하는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1년 2차, 2013년 4차, 2015년 6차에 모두 참여한 1968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SPSS 18.0 프로그램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전 시점의 우울과 신체화 증상은 모두 다음 시점의 우울과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전 시점의 우울은 다음 시점의 신체화 증상의 교차지연효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전 시점의 우울의 정도가 높을수록 다음 시점의 신체화 증상의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전 시점의 신체화 증상은 다음 시점의 우울의 교차지연효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전 시점의 신체화 증상의의 정도가 높을수록 다음 시점의 우울의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신건강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나, 인지적이고 심리적인 요인들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변화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종단적 연구들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longitudinal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the somatic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through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using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1,968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econd, fourth, and sixth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depression and the somatic symptoms of depression at a previous point in time affect depression and the somatic symptoms of depression at a later point in time. It was also found that depression at a previous point in time has a cross-lagged effect on the somatic symptoms of depression at a later point in time, implying that more severe depression at a previous point in time leads to increased severity of somatic symptoms at a later point in time. It was found that the somatic symptoms of depression at a previous point in time have a cross-lagged effect on depression at a later point in time, indicating that more severe somatic symptoms of depression at a previous point in time lead to increased severity of depression at a later point in tim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eline information about nursing interventions for adolescent mental health.

      • KCI등재

        산재환자의 외상후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정원(Jeong-Won Han),이병숙(Byoung-Sook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산재환자에게 나타나는 외상후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 있어 회복탄력성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개 광역지역에 소재한 산재병원, 종합병원 및 준 종합병원에 입원중이거나 통원하고 있는 158명의 산재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수집은 2017년 7월 1일부터 9월30일까지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이루어졌다.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외상후 스트레스와 삶의 질, 회복탄력성은 음의 상관관계를, 삶의 질과 회복탄력성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외상후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대한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효과를 규명하기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으나 조절효과는 없었다. 외상후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은 삶의 질에 45%의 설명력을 보여주었으며 이 중 외상후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23%의 직접효과가 있었고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22%의 간접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외상후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심리적 변수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산재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의 외상후 스트레스를 줄여줄 뿐만 아니라 회복탄력성을 증가 시켜주는 중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t-traumatic stress on the quality of life and effects of resilience in industrial accident patien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58 patients in an industrial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 in two metropolitan urban areas.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 to September 30, 2017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d Sobel’s test using SPSS 21.0.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post-traumatic stress, quality of life, effects of resilience and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quality of life, effects of resilience. The effects of resilience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but not moderating effects on post-traumatic stress and quality of life. Post-traumatic stress and resilience explained 45% of the effects of industrial accidents on quality of life, post-traumatic stress explained 23% of the effects on quality of lif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22%.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s that improve quality of life by reducing post-traumatic stress and increasing resilience among workers who experience industrial accidents.

      • KCI등재

        노노(老老) 전문상담사 양성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한정원 ( Jeong Won Han ),우미향 ( Mee Hyang Woo ),김영순 ( Young Soon Kim ) 한국가족관계학회 2007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2 No.3

        As the aged society, Korea has recently expanded various social service program for elderly people. Noticing the importance of use of elderly force, the purpose of this paper were to develop the counselling program for elderly people, to run the model program and to evaluate it. To find out the necessity of the program and the main area of interests of elderly people, survey was held before the model program being run. Many respondents, most of them are over 60s, answered that counselling program was necessary to maintain the quality of later life. Targeting young old, this program were developed to intensify the importance of elderly counselling that will be gradually put in the important post in Korea. The program were composed of 10 sessions which included various field of counselling, especially focusing elderly issues. 30 elderly people were participated at the model program. The target of the program were, originally, elderly people aged over 60, the actual participants were mainly in their 50s. From that fact, it can be noted that people in their 50s, as young-old, or people who are in front of aged generation are socially active and need continuous education in society. Considering the program result evaluation, participants wanted the successive program in the more specified form that can be used in the real counselling field. This program can be used in the relevant organizations, contributing to expand the importance of elderly force and need of various social services.

      • KCI등재

        Effect of Job Demands and Resources by Nurses on Health Problem and Turnover Intention

        Jeong-Won Han(한정원)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8

        본 연구는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바탕으로 간호사의 직무요구와 직무자원, 직무소진과 직무열의, 건강문제와 이직의 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정하여, 간호 조직의 성공적인 자원관리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들은 서울시 소재하는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32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 었다. 연구 결과, 간호사의 직무요구는 직무소진 증가와 직무열의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자 원은 직무열의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무요구는 직무소진을 매개로 건강문제와 이직의도 증 가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자원은 직무소진과 직무열의를 매개로 건강문제와 이직의도 감소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소진은 건강문제 증가와 이직의도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직무열의는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사들이 지각하는 직무자원 과 직무요구가 건강문제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소진과 직무열의의 매개 효과로 파악한 기초자료로 간호 관리자들 이 조직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used a job demand-resources model as the basis to examine the effects of job demand and job resources on health problems and turnover intention. A total of 320 nurses who were employed at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job demand and job resources had a direct effect on the levels of work burnout and work engagement. Work burnout had a direct effect by increasing the levels of health problems and turnover intentions of nurses; conversely, work engagement had no direct impact on either of the two levels. Job demand and job resources had an indirect effect on increased levels of health problems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can be used by hospital administrations to confirm the organizational significance of job resources in increasing job performance and work involvement, as well as to understand the consequences of perceived job demand by n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