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흰쥐 해마의 발생과정에 미치는 납의 영향 및 Ascorbic Acid 의 보호 효과

        한정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63

        한글초록:흰쥐 해마의 발생과정에 미치는 납의 영향 및 Ascorbic Acid 의 보호 효과한정미건국대학교 대학원 수의학과 석사과정국문초록납은 강력한 신경독성 물질로 발생 초기에 노출된 아동에서 행동발달 장애, 인지발달 장애, 학습능력 장애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 발달 단계에 납에 노출되었을 때 신경독성을 유발하는 기전은 아직 충분이 밝혀져 있지 않으나 최근 Apoptosis가 납의 신경독성에 의한 신경세포사의 기전으로 거론되고 있다.비타민 C는 여러 효소의 작용을 위한 공동인자로서 필수 영양물질이다. 비타민 C는 유리 라디칼에 의한 세포손상을 방어하는 매우 효과적인 항산화제이기도 하다.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단계에서 납에 노출된 흰쥐에서 해마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납에 의하여 유발된 독성에 대하여 비타민 C가 방어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해 보았다.임신한 쥐의 음용수에 0.2% 농도의 납을 포함시켜 실험 기간 동안 자유로이 섭취할 수 있도록 제공하였다. 비타민 C는 임신 6일부터 출생 후 23일까지 구강을 통해서 하루에 한 번씩 투여하였다. 새끼의 해마를 분리하여 western blotting으로 Bcl-2와 Bax의 발현을 살펴보았고, 또한,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해마의 구조를 관찰하였다.Western blotting 실험에서 납 투여군에서는 Bax와 Bcl-2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되었으나, 비타민과 납을 같이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납투여군에 비하여 Bax는 감소하였고 Bcl-2는 증가되었다. 납투여군 해마 조직에서는 손상된 세포의 수가 증가되었으며, 미세구조상 Apoptosis로 보이는 세포가 관찰되었다.결론적으로 Apoptosis는 발생 단계 해마에서 납으로 인한 세포사의 중요한 하나의 과정인 것으로 보이고, 비타민 C는 납에 의한 신경독성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영문초록:Protective Effect of Ascorbic Acid Against Lead-induced Neurotoxicity in Developing Neurons of Rat Hippocampus AbstractLead, a potent neurotoxin, has been known to cause the behavioral abnormalities, cognitive deficits, and impair of learning ability in the exposed children. Although the exact mechanism of neurotoxicity in the case of lead exposure has not been fully elucidated, apoptosis is recently suggested to be the mechanism of neuronal cell death. Ascorbic acid (Vitamin C) is an essential dietary nutrient required as co-factor for many enzymes. It is also very efficient antioxidant protecting cells against free radical-mediated toxic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hippocampus of rats affected by exposure to lead. Possible protective effects of ascorbic acid against lead-mediated toxicity was tested. Pregnant rats were exposed to 0.2% lead acetate in drinking water to take it freel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scorbic acid was fed orally once a day from gestation day 6 (GD 6) to postnatal day 23 (PND 23). Hippocampus of pups were dissected out and analyzed the expression pattern of Bcl-2 and Bax by western blotting, in addition,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ing and electron microscopy (EM) were performed to study the structures of hippocampus.In western blot analysis, the expression of Bax and Bcl-2 was increased in the lead treatment (Pb)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Lead plus vitamin C treatment (Pb+Vit C) group showed the increase of Bcl-2 and decrease of Bax compared with the lead treated group. The damaged cells were increased in the hippocampus of lead treated group, and the apoptotic features were observed by electron microscopy.In conclusion, apoptosis is likely to be an important process to the lead induced cell death in hippocampus during development. And, ascorbic acid may exert some protective effects on the neurotoxicity caused by lead exposure in the developing rat hippocampus

      • 북한의 문예정책과 구비문학의 활용 양상 연구

        한정미 淑明女子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북한에서는 정책에 의해 획일화된 문화가 전개되고 있으며, 문예물은 “사람들을 참된 삶의 길로 이끌어주는 생활의 교과서”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런데 문예정책의 기저에는 주체사상에 입각한 문예이론이 있다. 따라서 구비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은데, 인민성을 강조하는 북한으로서는 인민들에 의해 생산되고 전개되는 구비문학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구비문학 장르 중 특히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은 민요와 설화이다. 하지만 인민의 장르라고 하더라도 당에서 마련한 지침에 합당하지 않으면 개조하여 실현했다. 그런가 하면 새로운 민요나 설화를 만들어서 실현하기도 했는데, 그럴 수 있는 근거로 구비문학의 ‘가변성’(개변성)을 들었다. 시대에 따라 새로운 노래나 이야기가 만들어지고, 시대에 맞추어서 노래나 이야기가 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말이다. 그래서 북한에서는 남한에서는 쉽게 들을 수 없는 노래나 이야기가 존재하고, 때로는 원작 의식이 강한 노래(신민요)마저도 새로운 느낌의 노랫말로 불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북한의 민요에는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가까이 두고 사는 인민들의 긍지와 사회주의 국가에서의 행복한 생활을 주제로 한 것이 전체 민요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그리고 북한에서는 민요 중 통속민요를 활용하여 개작하는 경우가 잦은데, 통속민요는 첫째, 전국적 단위의 노래라는 점 둘째, 누구나 쉽게 따라 부를 수 있을 만큼 널리 알려진 노래라는 점 셋째, 정서적으로 밝고 경쾌한 것이라는 점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처럼 북한에서는 주제적으로, 정서적으로 밝고 경쾌한 것을 선택하고, 특히 통속민요를 통해서 이러한 점을 실현하려고 한다. 그런데 생활에서 오는 기쁨, 자연에서 오는 기쁨을 노래한 정서는 신민요와 맥이 통하는 것이다. 국토예찬과 명승감상에서 오는 기쁨을 노래한 것과 역사적 사실이나 사건을 회상하는 것 등은 신민요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주제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북한에서는 민요를 신민요적 정서로 받아들여 이를 전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에서 민요는 국가의 정치 경제적 상황과 맞물려 구현되고 있다. 북한 당국에 의해 실제로 민요가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북한 당국이 각 시대마다 추구하는 이념은 민요를 통해서 전달하고 있으며, 그럼으로써 인민을 북한 당국이 요구하는 인간형으로 만들고자 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민요 중에서 특히 통속민요를 활용하는 예가 높듯이, 설화 중에서도 특히 활용이 높은 장르가 있는데, 전설이다. 북한에서 전설을 특히 비중 있게 다루는 것은 전설의 ‘진실성’ 때문이다. 진실성은 증거를 통해서 확보할 수 있는데, 이야기의 증거란 다름 아닌 ‘꾸며낸 이야기’가 아닌 ‘진짜 있었던 이야기’로 인식하도록 만들기 위한 장치를 마련하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 같다. 전설은 실제로 있었던 이야기에 기초해서 인민의 염원에 의해 보태고 다듬어져서 구성된 것이라는 점을 인식시킴으로써, 이야기 자체에 의문을 제시하거나 문제제기를 하지 못하도록 만든 것 같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설을 교양하도록 한 것은 “전설에는 인민들의 지향이 반영되어 있고, 시대현실, 역사, 풍속 등을 알게 하여 사람들을 박식하게 하고, 민족문화유산의 풍부성을 인식시켜 민족적 긍지와 자부심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민족적 긍지와 자부심은 민족 구성원이라면 자연스럽게 갖게 되는 것인데, 굳이 교양 학습을 하면서까지 과업을 달성하려는 이유는 무엇일까? 단군 이야기는 수도 평양의 입지적 정통성을, 명승지나 명산 관련 인물의 이야기는 북한 땅의 입지적 정통성을 각각 확보하기 위한 것이고, 김일성 부자의 이야기는 국가권력의 정통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민족적 긍지와 자부심’은 다름 아닌 입지적 정통성과 국가권력의 정통성에서 비롯된 긍지와 자부심이었던 것이다. 인민들에게 입지적 정통성과 국가권력의 정통성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교양 학습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은 궁극적으로, 국가적 권위이다. 그런데, 한 국가의 권위를 세우는 데 핵심적 구실을 했던 것은 설화 중, 신화이다. 그렇다면 북한에서 선택한 이들 이야기들은 신화적 지향을 띠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신화로 인정하게 되면, 전적으로 ‘꾸며낸 이야기’가 되기 때문에, 확실한 유형의 증거물을 가지고 있는 전설로 다루고 있을 뿐, 전설을 통해서 얻고자 했던 것은 신화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입지적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연물을 숭배하도록 하고, 국가권력의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권력자를 숭배하도록 하는 것은 다름 아닌 신화적 현상이기 때문이다. 구비문학 장르를 정책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은 북한만의 문제는 아니다. 고대 건국 신화, 신화의 양식을 가지고 있는 <용비어천가> 등의 악장, 1970년대의 민중극, 탈춤, 민중가요 속의 민요 등도 정치적으로 도구화 한 예이다. 이들 장르들은 구비문학 장르가 이념과 결부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일맥 상통하는 것이다. 구비문학 장르가 이념과 결부되어 전개되는 것이다. 그러나 건국신화나 북한의 구비문학은 국가주의적인 시각에서, 민중극.탈춤.민중가요 등은 민중주의적인 시각에서 활용되고 있다는 점은 서로 다르다. 민중적인 차원에서 구비문학을 선택한 것은 열린 구조이며, 즉흥성을 지닌 장르라는 점 때문에 선택되었다. 열린 구조와 즉흥성은 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서로 나눔으로써 정부에 대한 저항의식을 적극적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민중의식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는 환경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민중 운동의 장에서 구비문학을 활용하는 것은 바로 민중의식을 제고하기 위함에 있는 것이다. 요컨대, 이념의 상향 전달 구조일 때는 민중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구비문학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런데 국가적인 차원에서 활용한 구비문학에서는 민중성을 찾을 수 없다. 북한에서는 인민의 장르라는 점에서 구비문학을 선택했지만, 정작 민중의식은 없다. 그 자리에는 북한 당국이 추구하는 이념이 있을 뿐이다. 다시 말해 이념의 하향 전달의 구조일 때는 민중성을 제거함으로써 구비문학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북한에서 구비문학을 선택한 것은 국민이 잘 아는 장르를 선택함으로써, 보다 쉽게 이념을 전달하고자 함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민요가 언제 어디서나 부르기 쉽기 때문에 당의 지도이념을 전달하는 것 또한 쉬울 것이라는 장르적 인식 때문에 선택한 것이 그 한 예이다. 구비문학을 정치적으로 도구화하는 것은 북한만의 특수한 사항이 아니다. 문화사 전반에 있어 구비문학의 이념적 활용은 계속되어 왔다. 다만, 고대에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현대에 이르러서는 민중적인 차원에서 각각 활용하는 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고대의 구비문학 활용 시각과 같은 양상을 보인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구비문학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North Korea has implemented the policy on literature and art that was designed to build the revolution through works of art. They were focused on the Juche-oriented idea of literature and art. Juche is the official government-sponsored ideology of North Korea and consists of two fundamental ideas: that the proletarian revolution belongs to the people, and that the people have a single ethnicity. So, North Korea made use of traditional folk art as a tool of revolution and education. Among traditional folk art, folk songs (called minyo) and folk tales were often preferred but often revised according to the policies of North Korea. Likewise, they created the new songs and tales based on their guidelines, while they stressed that it was natural that the contents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This became the reason why the lyrics of Sin-minyo, which was based on the original work, could be easily converted into the new and innovative words. First of all, North Korea has been spreading emotionally bright and cheerful folk songs. They, however, had to be customized by the intent of the communist party. Sometimes, their titles or partial lyrics were converted into the styles later sanctioned by the communist. Accordingly, the themes of folk songs mostly consist of the North Korean peoples pride on living in beautiful nature and their happiness of the present society. North Korea often made use of the revised Tongsok-minyo among folk songs, which was sung by all the people, and was easy to sing and spread, and emotionally bright and cheerful. This Tongsok-minyo contains a little the character of Sin-minyo, which was based on history in particular, in particular the admiration of nature and history of Korea. North Korea intends to convey their political ideology North Korean people through folk songs, and to create those who will be prototypes and models they desire. Furthermore, one of the most useful genres as their political tools is the folk tale, especially legendary tale. The legendary tales have mostly been used as an instrument for inculcation Juche ideology and justifying their political power because they hav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ability to persuade North Korean people to allow their authority. North Korea can form the validity from their people by making the utmost of the legendary tales. Their people will follow the divines of the legendary objects, and they are subject to believe North Korean political authority as part of the legend. In other words, North Korea used the effects of the legendary tale focused on the national authority by showing the material evidence, so-called legendary objects. Their people should believe that their political revolution and power was right and fair, and worship the founder of a nation, according to the succession of a legendary tale. Former nations as well as North Korea used the myth or legend to justify their foundation of Nations. For example, the birth-myth of a nation gives people the belief and trust by decorating the founders outstanding talents, or emphasizes the succession of the royalty by connecting the previous nations. Other birth-myths related to founders such as Gyeon-hwun, Gung-ye of the Three Kingdom era, and Wang-gun of the Goryo dynasty also had the same function as any other myth. As well, movements of music such as Yongbiuchunga or Sindoga were used in order to certify the foundation of a nation. In the 1970, there were folk plays, mask dances, and folk popular songs. For example, Jinoguigut, a folk play written by Kim Ji-ha, expressed the peoples interest in the social reality, while oral folk songs such as Sanoramyun, Tabakne, Jinju-nanbongga, Saeyasaeya, and Arirang were sung during the movement of democratization. The birth-myth or North Korean traditional folk art was based on the national interest and tool, while folk dramas, mask dances and folk songs were used as methods to democratize the country. But all these traditional arts are focused on an ideology.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may adopt traditional folk art with the peoples idea and emotion because it has a factor that is very open to the pubic and that is easy to make and revise. The opened and extempore work played an important role because people could collect their opinions and express their resistance against their current government. Traditional folk art can make the people strengthen their ideology. That is, in order to convey an ideology, traditional folk art should be revived, based on the public nature. Meanwhile, traditional folk art is also regarded as a tool that shows national authority. It should be chosen with works all the people know well to inform the people of the ideology more easily. Especially folk songs are a good tool to teach the partys ideology because they are very easy to sing and learn.

      • 신증후군의 사구체맥관막의 미세섬유의 분포

        한정미 경북대학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신증후군의 각종 원발성 원인 질환의 사구체 간질내에 나타난 세섬유의 종류와 그 분포를 규명하기 위해 대조군 5례, 미소변화병 11례, IgA 신병증 6례, 막성사구체신염 6례, 막증식성 사구체신염 6례, 초점성 분절성 사구체경화증 2례를 전자현미경으로 검색하였다. 그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혈관간 기질내에는 액틴 섬유로 보이는 6-10nm 굵기의 필라멘트, 직선형의 중간 섬유인 14-17nm의 필라멘트 및 곡선형의 14-17nm의 필라멘트가 있었다. 그 외에도 35nm 굵기의 관상 필라멘트와 교원 섬유가 있었다. 신질환별 분포는 대조군에서 5례 모두 6-10nm 필라멘트와 직선형 및 곡선형의 14-17nm 필라멘트가 있었다. 미소변화병에서는 7례(64%)에서 세 가지 섬유가 있었고 3례(27%)에서 6-l0nm 필라멘트와 곡선형의 14-17nm 필라멘트만 있었으며 1례(9%)에서 6-10nm 필라멘트만 있었다. IgA 신병증에서는 2례(33%)에서 세 가지 세섬유 모두 있었고 4례(67%)에서 6-10nm 필라멘트와 곡선형 14-17nm 필라멘트만 있었다. 막성사구체신염에는 1례(17%)에서 세 가지 세섬유와 35nm의 관상 세섬유가 있었고 3례(50%)에서 세 가지 세섬유가 있었으며 2례(33%)에서 6-10nm 필라멘트와 곡선형 14-17nm 필라멘트만 있었다. 막증식성사구체신염에서는 6례(100%)모두 세 가지의 세섬유와 교원 섬유가 있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혈관간 기질내에는 6-l0nm 필라멘트, 직선형 몇 곡선형의 14-17nm 필라멘트가 있으며 이들의 종류와 분포는 혈관간기질의 증가와 관련이 없다는 것이 인정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distrubitions of the mesangial microfilaments in various primary glomerulonephritis causing nephrotic syndrome. The renal tissues obtained from the nephrectomy or biopsy: five cases of control group, 11 cases minimal change disease, 6 cases IgA nephropathy, 6 cases membranous glomerulonephritis, 6 cases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and 2 cases focal segmental glomenulosclerosis, were examined by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three types of microfilaments in the mesangial matrix in control renal tissues and primary glomerulonephritis causing nephrotic syndrome. The most delicate microfilaments were actin like 6-10 nm filaments. Other filaments were straight or curved intermediate filaments with14-17nm in diameter. In addition, 35nm tubular fibrils and collagen fibrils were present. According to the renal diseases, in minimal change disease all three types of the filaments were present in 7 cases (64%), actin filaments and curved intermediate filaments in 3 cases(27%), and only actin-like filaments in 1 case(9%). In IgA nephropathy three types of the filaments were found in 2 cases(33%) and actin-like filaments and curved intermediate filaments in 4 cases(67%). In membranous glomerulonephritis three types of filaments were in 3 cases(50%), three types of filaments and 35nm tubular fibrils in 1 case (17%), and actin-like filaments and curved intermediate filaments in 2 cases(33%). In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all three types of filaments and collagen fibrils were in 2 cases(100%).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mesangial matrix basically contains three types of filaments, such as actin-like, straight intermediate, and curved intermediate filaments, and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of the filaments and increase of mesangial matrix.

      • <완월회맹연> 인물 심리의 형상화 연구 : 성격의 형성 동인과 갈등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한정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fer the process of personality formation in the 18th century Korean novel, "Wanwolhoemaengyeon", and to in‐depth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and the conflict in the work. This study was attempted in a complementary dimension to existing discussions that overlooked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in <Wanwolhoemaengyeon>, and we started with the following problem consciousness from the perspective of reflecting that we had failed to cope with the psychological problems behind the character behavior in depth. First, the violent behavior of characters that do not fit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work is being captured, and the point is that the problems underlying the psychology that influence the behavior of such characters should be revealed. Second, <Wanwolhoemaengyeon> is somewhat deviated from the schematic type division shown in the existing Korean full‐length novels, and has points where the properties of characters cannot be clearly divided by the concept of good and evil. Thus, they must reasonably prove their behavioral logic while keeping in mind the inner properties of a character. Third, despite the delicate expansion of the character's psychological context in <Wanwolhoemaengyeon>, in the existing research,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events‐oriented characters was grasped, or characters were classified into vertical and horizontal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order, so a reexamination was required. In particular, looking at the characters of <Wanwolhoemaengyeon>, their actions are related to accidental and unexpected life events, and since there are characters with their own personal history, it could not be overlooked. This is because, only through in‐depth analysis of their psychology, they can be logically convinced of their actions in the work.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premise that not only their innate personal disposition, but also the specific experiences they experienced during their live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character's personality. This research is a way to logically explain the behavior of <Wanwolhoemaengyeon> characters, 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perly grasping the nature of the conflict in the text. In Chapter II, a preliminary review process required for character psycholog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iagnos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psychological theory necessary for character analysis, and prepare a specific methodology, related theories were reviewed and the concepts of key terms to be coped with in the study were summarized. In addition, after presenting the main conflict structure of the work, criteria for classifying character types wer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al periodic background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ccordingly, by examining the properties of the characters in the work, focusing on the keywords ‘self’ and ‘ideology’, the main character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such as the ideological harvest type of the adaptive self, the fusion type of the volitional self and the ideology, the confrontation type between the impulsive self and the ideology, and the satisfying type of needs of the instinctive self. ‘The ideological harvest type of the adaptive self’ emphasized the Confucian ideology and norms, and in such a framework, it showed how to properly regulate or control their emotions and behaviors. The ‘fusion type of the volitional self and the ideology’ usually followed the norm, but when it was in a certain situation, it was revealing its strong will that was hidden inside itself in concrete behavior patterns. The ‘confrontation type between the impulsive self and the ideology’ showed a somewhat contradictory figure to the ideology of the day through behaviors contrary to the norm, and was impulsively leading one's actions. The ‘satisfying type of needs of the instinctive self’ had a strong tendency to satisfy instinctive needs, and showed that it did what it wanted, ignoring the principles and ideologies to be kept. In Chapter III, among the four types of characters presented earlier, the conflict aspect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character exposed to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The aspect of 'the conflict that one character experiences internally' was focused on the three characters including Jang Seong‐wan, Ju Seong‐yeom, and Jeong In‐gwang. As a result, Jang Seong‐wan showed a process of serious inner anguish between her filial piety toward her parents and her virtuous ideology toward her husband, due to her overly ethical nature. The result appeared in the direction of damaging her own body. The personality in Ju Seong‐yeom was perceived to be excessively trying to suppress the psychological shocks obtained in the process of overturning the secret of her birth several times. She suffered a family identity conflict according to this personality, resulting in her accompanying physical symptoms of diseases. Jeong In‐gwang suffered a serious internal conflict between his filial piety for his parents and his affection for his wife because of his upright and violent personality, and this conflict soon resulted in an outbreak of violence against his wife. Next, the aspect of ‘confli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four characters such as So Gyo‐wan, Jang Heon, Jeong In‐jung, and Yeo Bu‐in. First, So Gyo‐wan is a female character with a violent personality, showing the seriousness of the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with her daughter‐in‐law, Lee Ja‐yeom. Jang Heon is a character that causes conflicts in the relationship with her son‐in‐law Jeong In‐gwang, and because of her own opportunistic personality, she was not recognized by her son‐in‐law and was turned away from the people around her. Owing to his anti‐ethical nature, Jeong In‐jung caused constant sibling conflicts between his older brother, Jeong In‐seong and his younger brother Jeong In‐ung, drawing attention as a problematic character in the work. Lastly, Gyo Han‐pil's wife, Yeo Bu‐in, is a character with an obsessive personality, showing a rather violent and anti‐human behavior in the context of a conflict with the second wife, Ho‐bu‐in. As described above, the various aspects of the conflict according to the character's personality were analyz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ersons concerned. The investigation of the cause of the behaviors of the characters presented in Chapter III was conducted more closely in Chapter IV while analyzing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underlying their personality formation. In Chapter IV,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that is the motive for the formation of the character's personality in a conflict situation and the corresponding response process were analyzed in detail. For the convenience of discussion, the trauma, complexes, and various psychological problems experienced by each character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term ‘psychological experience’ and used comprehensively. It could be seen that the provision of defense mechanisms against such psychological experiences had an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character's personality. The characters covered in this study have in common that they suffered from trauma, complexes, and various psychological problems in their own growth process. In terms of how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these characters formed their personality, the process was inferred by dividing into ‘psychological motive of internal character conflict’ and ‘psychological motive of intercharacter conflict’. Above all, looking at the ‘psychological motive of character’s inner conflict’, Jang Seong‐wan was mentally shocked while growing up due to the trauma of having insensitive parents who deviated from the normative order of the day, and as part of the reaction, it can be inferred that the psychological defense mechanism of identification with Yeo Bu‐in was activated,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an over‐ethical personality. Ju Seong‐yeom experienced self‐identity confusion as the secrets of her birth were overturned several times. She tries to consciously and excessively erase the mental stress arising from her reality in order to manage her own inner conflict, but this, on the contrary, led to the formation of an overly restrained personality, resulting in intensifying her inner conflict. As for Jeong In‐gwang, in addition to his feelings of hatred toward his immoral father‐in‐law, it can be seen that the psychological defense mechanism of the formation of reaction against affection toward his wife was unconsciously manifested and acted as a motive for the formation of his intense and violent personality. Next, looking at ‘the psychological motive of the conflict between characters’, first, the fundamental motive behind So Gyo‐wan's violent personality was found in the extreme psychology of repression and narcissism.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her growth, she suffered the emotional stress of having to become a good daughter and the oppressive situation of the patriarchal ideology, and she was later faced with complex psychological problems, including anxiety from her position as the second wife, the alienation she received from her in‐laws, and the jealousy she had with her daughter‐in‐law as the same woman. From a comprehensive review of all this, it could be revealed that the psychological repression of her ideology and the extremes of narcissism were manifesting as violence towards her underlings, who surpassed herself. As Jang Heon separated from her parents, who passed away early shortly after her birth, it could be inferred that she suffered a traumatic trauma of a lack of maternal love and a failure to form a superego, and that the psychological defense mechanism of pathological identification emerged unconsciously and formed an opportunistic personality. Jeong In‐jung can be seen as a character with his deep‐rooted sense of inferiority and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the complex of a son, who was not recognized by his father. It could be confirmed he showed the psychological defense mechanism of a fighter who turned his own flaws outward rather than discovering them inside, and that this functioned to make him act to embody an anti‐ethical personality. Finally, in the case of Yeo Bu‐in, it could be deduced that the wedded wife complex and the jealousy of favoritism following the recruitment of the second wife acted as the motive behind her to form her obsessive personality. In Chapter V, the meaning of the study of characters’ psychological formation appearing in <Wanwolhoemaengyeon> was extracted and its significance in the novel history was examined. First,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through grasping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the character and the intrinsic motivation closely, the actions of the characters in the work were able to be understood and empathized in depth. In that it was able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behavioral logic of the characters, which was somewhat far from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work, the author’s character setting strateg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state of mind underlying the psychology of one character rather than evaluating that it was designed in only one aspect of the action. Second, in that it tried to reveal the suppression of Confucian ideology through the formation of characters with strong tendency to violence regardless of the good and the bad, men and women, the point where medieval ideology is broken could be captured through the characters in the work. Third, it can be revealed through the author’s view of affirming the character type, which focuses on human nature, that <Wanwolhoemaengyeon> is a work in which the artist's delicate and keen insight into the human inner world is embodied. Lastly, this study explored the significance of <Wanwolhoemaengyeon> in the big flow of our novel history. In the 18th century, Korean full‐length novels tended to be differentiated into a group of works with a deeper approach to the human inner world and works centered on popular interest, and <Wanwolhoemaengyeon> was considered to belong to the former. In addition, in the flow of the novel history, this work, <Wanwolhoemaengyeon> could be placed in the stage between the crack in medieval ideology started from the 18th century and the ignition of change in earnest in the perception of human nature based on the crack. In line with the tendency of ideology to weaken in the 18th century, the author of <Wanwolhoemaengyeon> carefully shows signs of ideological cracks through the characters in the work. 이 논문은 18세기 국문 장편소설 <완월회맹연>을 대상으로 인물의 성격 형성 과정을 추론하고, 작품 속 인물과 갈등의 상호 관계를 심층적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그간 <완월회맹연> 인물들의 특성을 간과한 기존 논의들에 대한 보완적 차원에서 시도된 것이며, 인물 행위의 이면에 자리한 심리적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루지 못했다는 반성적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첫째, 작품의 전반적인 분위기에 어울리지 않는 인물들의 폭력적 행동 양상이 포착되고 있는데, 그러한 인물들의 행위에 영향을 끼치는 심리 기저에 놓인 문제점을 밝혀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완월회맹연>은 기존 국문 장편소설에서 보여주는 도식화된 유형 구분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 있으며 인물들의 속성 또한 선악 개념으로는 명확히 나눠질 수 없는 지점들이 발견되고 있으므로 한 인물이 지닌 내적 속성을 염두에 두는 가운데 그들의 행동 논리를 합리적으로 증명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완월회맹연>에는 인물의 심리적 정황이 섬세하게 확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에서는 사건 위주의 인물 관계만 파악하거나 위계적 질서에 따른 수직, 수평적 관계로만 인물을 분류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되었다. 특히 <완월회맹연>의 인물들을 살펴보면 그들의 행동이 우연적이며 돌발적인 생애사와 관련돼 있고, 저마다의 개인적 내력을 지닌 인물들이 포진해있기에 이를 간과할 수 없었다. 그들에 대한 심리를 심도 있게 분석해야만 작품 속 그들이 벌이는 행동을 논리적으로 납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그들이 타고난 개인적인 성향뿐 아니라 그들이 살면서 겪은 특정 경험이 곧 그 인물의 성격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는 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완월회맹연> 인물들의 행동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며 텍스트 속 갈등의 속성을 제대로 파악하는 데 긴요한 역할을 담당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Ⅱ장에서는 인물 심리 분석에 필요한 예비적 검토 과정을 거쳤다. 인물 분석에 필요한 심리학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진단해보고, 구체적인 방법론의 마련을 위해 관련 이론을 검토하고 논문에서 다룰 주요 용어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아울러 작품의 주요 갈등구조를 제시한 후 조선후기의 특수한 시대적 배경을 고려한 인물 유형 분류 기준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작품 속 인물들의 속성을 타진하여 ‘자아’와 ‘이념’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순응적 자아의 이념 추수형, 의지적 자아와 이념의 융합형, 충동적 자아와 이념의 대립형, 본능적 자아의 욕구 충족형 등의 네 가지로 나눠 주요 인물들을 배치하였다. ‘순응적 자아의 이념 추수형’은 유교적 이데올로기와 규범을 중시하는 가운데 그러한 틀 안에서 자신의 감정이나 행동을 적절히 규제하거나 조절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의지적 자아와 이념의 융합형’은 평소에는 규범에 따르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특정상황에 처하게 되면서 자신의 내면에 감춰져 있던 강인한 의지를 구체적인 행동 양상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충동적 자아와 이념의 대립형’은 규범에 어긋나는 행동을 통해 당대 이데올로기에 다소 대항적인 모습을 보이며 자신의 행위를 충동적으로 이끌어가고 있었다. ‘본능적 자아의 욕구 충족형’은 본능적 욕구를 채우고자 하는 성향이 강하며 지켜야 할 도리와 이념은 무시한 채 오직 자신의 마음대로 행동하는 모습을 보였다. Ⅲ장에서는 앞서 제시한 네 유형의 인물들 가운데 심리적 경험에 노출된 인물을 중심으로 그 성격에 따른 갈등 양상을 분석했다. ‘한 인물이 내적으로 겪는 갈등’ 양상은 장성완, 주성염, 정인광의 세 인물을 중심으로 살폈다. 그 결과, 장성완은 윤리적 성향이 지나친 성격으로 인해 부모에 대한 효와 남편에 대한 열 이데올로기 사이에서 심각한 내적 번민의 과정을 보여주었으며 그 귀결은 자신의 신체를 훼손하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주성염은 출생의 비밀이 여러 번 뒤집히는 과정에서 얻은 심리적 충격을 지나치게 억제하려는 성격이 감지되었다. 그녀는 이러한 성격에 따라 가문정체성 갈등을 겪게 되었고 신체적 병증을 동반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정인광은 강직하고 폭력적인 성격으로 인해 부모에 대한 효와 아내에 대한 애정 사이에서 심각한 내적 갈등을 겪었으며, 이러한 갈등은 곧 아내에 대한 폭력성의 발현으로 귀결되었다. 다음으로 ‘인물 간의 관계 속에서 겪는 갈등’ 양상은 소교완, 장헌, 정인중, 여부인의 네 인물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먼저 소교완은 폭력적 성격을 지닌 여성인물로 며느리 이자염과의 관계에서 고부갈등의 심각성을 보여주었다. 장헌은 사위 정인광과의 관계에서 갈등을 일으키는 인물인데, 자신의 기회주의적 성격 때문에 사위로부터 인정받지 못하고 또 주위 사람들로부터 외면을 받았다. 정인중은 반윤리적 성격 때문에 형 정인성과 동생 정인웅 사이에서 끊임없는 형제갈등을 일으켜 작품 속 문제적 인물로 주목받았다. 끝으로 교한필의 처 여부인은 강박적 성격을 지닌 인물로, 후처 호부인과의 갈등 상황에서 다소 폭력적이고 반인륜적인 행태를 보여주었다. 이상으로 해당 인물들의 성격에 따른 갈등의 제 양상을 당사자와 관련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Ⅲ장에 제시한 인물들이 보인 행동의 원인 규명은 Ⅳ장에서 그들의 성격 형성의 기저에 놓인 심리적 경험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가운데 보다 면밀하게 진행하였다. Ⅳ장에서는 갈등 상황에 놓인 인물의 성격 형성의 동인이 되는 심리적 경험과 그에 따른 대응 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논의의 편의를 위해 각 인물이 겪은 트라우마와 콤플렉스, 다양한 심리적 문제들을 ‘심리적 경험’이란 용어로 통칭하여 포괄적으로 사용했다. 그러한 심리적 경험에 대한 방어기제의 마련은 해당 인물의 성격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끼쳤음을 살필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다룬 인물들은 저마다의 성장과정에서 트라우마나 콤플렉스, 다양한 심리적 문제 상황을 겪었다는 공통점이 포착되었다. 이러한 인물들의 심리적 경험이 어떠한 방식으로 그들의 성격을 형성하게 되었는지 ‘인물 내적 갈등의 심리적 동인’과 ‘인물 간 갈등의 심리적 동인’으로 나누어 그 과정을 추론하였다. 먼저 ‘인물 내적 갈등의 심리적 동인’을 살펴보면, 장성완은 당대 규범적 질서에서 일탈하는 몰지각한 부모를 둔 트라우마로 인해 성장하는 동안 정신적으로 충격을 받았으며, 그 반작용의 일환으로 연부인에 대한 동일시의 심리적 방어기제가 작동되면서 윤리과잉적 성격을 형성하게 되었다고 추론할 수 있겠다. 주성염은 출생의 비밀이 여러 차례 번복되는 과정에서 자아정체성 혼란을 경험하게 되었다. 그녀는 자신의 내적 갈등을 다스리기 위해 현실에서 비롯된 정신적 스트레스를 의식적으로 과도하게 지우려고 하나 이는 오히려 과잉억제적인 성격을 형성하게끔 하여 그녀의 내적 갈등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정인광은 부도덕한 장인에 대한 혐오의 감정에 더해, 아내를 향한 애정에 대한 반동형성의 심리적 방어기제가 무의식중에 발현되면서 그의 강폭한 성격의 형성 동인으로 작용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인물 간 갈등의 심리적 동인’을 살펴보면, 먼저 소교완이 폭력적 성격을 형성하게 된 근본적 동인은 억압과 자기애의 극단적 심리에서 찾을 수 있었다. 즉 그녀는 성장과정에서 착한 딸이 되어야만 한다는 심적 스트레스와 가부장 이데올로기의 억압적 상황을 겪었으며, 이후 후처라는 지위에서 오는 불안감, 시댁 식구들로부터 받은 소외감, 같은 여성으로서 며느리에게 갖는 질투심 등의 복합적인 심리적 문제 상황에 직면해 있었는데, 이를 종합적으로 검토해본 결과, 이데올로기의 심리적 억압과 자기애의 극단적인 모습이 자기를 능가하는 아랫사람을 향한 폭력성으로 발현되고 있었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장헌은 갓 태어난 직후 일찍 세상을 떠난 부모와 분리되는 과정에서 모성애 결핍과 초자아 형성의 실패라는 정신적 외상을 겪게 되었고, 병적 동일시의 심리적 방어기제가 무의식중 발현되면서 기회주의적인 성격을 형성하게 되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정인중은 뿌리 깊은 열등의식과 부친으로부터 인정받지 못한 아들 콤플렉스의 심리적 경험을 지닌 인물임을 알 수 있었다. 그는 자신의 결함을 안에서 발견하기보다는 외부로 돌리는 투사의 심리적 방어기제를 보였으며 이는 그로 하여금 반윤리적 성격을 배태하게끔 작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부인의 경우는 후처의 영입에 따른 본처 콤플렉스와 편애에 대한 질투심이 곧 그녀의 강박적 성격을 형성하게 된 동인으로 작용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완월회맹연> 인물 심리 형상화 연구가 갖는 의미를 추출하고 그 소설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먼저 이 연구가 갖는 의미는 인물의 심리적 경험과 밀접한 내적동기의 파악을 통해 작품 속 인물들의 행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곧 작품의 전반적인 분위기와 다소 동떨어진 인물들의 행동 논리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작가의 인물 설정 전략이 행위의 일면만 두고 평가하기보다는 한 인물의 심리 기저에 놓인 마음 상태를 분석해낼 수 있도록 마련되었다는 것이다. 둘째로, 선인과 악인, 남성과 여성을 불문하고 폭력 성향이 강한 인물의 형상화를 통해 유교적 이데올로기의 억압을 드러내고자 했다는 점에서, 중세 이념이 와해되는 지점을 작품 속 인물들을 통해 포착할 수 있었다. 셋째로, 인간의 본성에 중점을 둔 인물형을 긍정하는 작가의 시각을 통해 <완월회맹연>은 인간 내면에 대한 작가의 섬세하고도 예리한 통찰력이 구현되고 있는 작품임을 밝힐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우리 소설사의 큰 흐름 속에서 <완월회맹연>이 갖는 의의를 짚어보았다. 18세기에 이르러서 국문 장편소설은 인간의 내면에 대한 접근을 심화한 작품군과 통속적 흥미 위주를 본위로 하는 작품들로 분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완월회맹연>은 이 중 전자에 해당된다고 보았다. 아울러 소설사의 흐름상 18세기부터 시작된 중세 이념의 균열과 이를 바탕으로 한 인간 본성에 대한 인식 변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전 단계에 이 <완월회맹연>이란 작품이 놓일 수 있었다. 곧 18세기에 이념성이 약화되는 경향과 맞물려 <완월회맹연>의 작가는 이념적 균열의 조짐을 작품 속 인물들을 통해 조심스럽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雙珠奇緣' 硏究

        한정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雙珠奇緣>은 19세기 후반에 출현하여 20세기초까지 여러 필사본을 남기며 꾸준한 인기를 누렸던 방각본 고소설작품이다. 이는 태몽 중 얻게되는 신물인 雙珠를 통한 남녀의 기이한 만남을 다룬 작품으로, 전체적으로 볼 때 결연과 군담을 비롯해 주변인물의 활약을 다루고 있어 특징적이다. 이 작품의 기존 연구는 <쌍주기연> 자체의 특성은 간과되고 오로지 작품 내 소재를 중심으로 한 유형적인 분류에서 언급된 정도였고 작품론이 부재한 상태였다. 따라서 본고는 <쌍주기연>을 구조와 삽화적 측면에서 고찰함으로써 작품만의 특성을 추출해내기 위한 연구로서 시도되었다. 연구대상 작품은 완전한 스토리라인을 갖춘 경판 33장본으로 정했다. II장은 <쌍주기연>의 전모를 파악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여기서는 작품의 서사적 전개와 아울러 여러 가지 삽입 화소의 구체적인 양상을 검토하였다. <쌍주기연>을 이루고 있는 기본구조가 영웅일대기와 기봉화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작품을 통해 있는 그대로 제시하고 작품 내에 수용된 여러 가지의 화소들을 추출하여 그 기능을 살펴보았다. III장에서는 II장의 분석들을 토대로 하여 <쌍주기연>이 지닌 구성적 특성을 추출했다. 그 결과, <쌍주기연>의 구조는 영웅일대기구조와 기봉구조를 절충하여 수용한 것임을 밝혀냈다. 두 개의 절충적 구조를 취하는 <쌍주기연>은 기존 삽화의 확장적 수용을 통해 작품의 흥미를 배가시키고 있음을 '남장화소의 해학적 변용', '자객퇴치화소의 결연담적 전환', '군담화소의 역할 증대' 등의 몇 가지 특징적 화소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또한 장면의 구성방식에 있어서 기존 화소를 축소시키는 가운데 이질적 화소들을 무리 없이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장면전환의 긴박감을 고조시키고 있음을 밝혔다. IV장에서는 <쌍주기연>의 고찰을 통해 이루어진 결과를 토대로 하여 작품이 갖는 통속소설적 성격을 살피고 이것이 소설로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가를 고찰했다. 본고에서 다룬 <쌍주기연>은 조선후기 고소설의 통속화 경향 속에서 자연스럽게 등장한 작품이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통속적 성격을 지닌 <쌍주기연>의 의의와 사적 위상을 정립하기 위해 동시대에 등장한 여러 통속적 작품들을 예로 들어 통속화 경향을 살폈다. 그 결과 <쌍주기연>은 당시 고소설의 통속화 경향과는 다른 삽화 수용방식을 꾀하여 독자들에게 보다 나은 흥미를 제공하였으며, 통속성에 대해 재고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쌍주기연>의 서사구조가 두 유형의 소설구조를 절충하는 방식으로 드러나기에 그 소설사적 위치는 영웅소설과 기봉류소설 사이에서 찾을 수 있었다. Ssang-joo-ki-yeon is one of the ancient novels, which was published in the later 19th century and had basked in steady popularity with variform editions until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story line focuses on the bizarre rendezvous of a couple via the token of trust, i.e. two marbles (ssang-joo) shown in the so-called "pregnancy dream." The whole content centers particularly around the formation of ties, war episodes, and activities of the diverse walks of life. The previous studies on Ssang-joo-ki-yeon mainly discuss its subject matter only to classify the pattern while ignoring the innate properties of the novel per se, thereby lacking any theoretical explica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thesis makes an attempt to inquire into Ssang-joo-ki-yeon in terms of its structure and anecdotalism with a view to extracting the pur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itself. We chose the Seoul-area (kyeong-pan) version made of 33 acts, among others since it is complete in its plot. Chapter II gives the entire picture of this novel, Ssang-joo-ki-yeon. The narrational development and detailed episodic aspects of the work are dealt with. In other words, we illustrate the fact that this framework is constituted of the life of a hero and eccentric encounters through naming some instances. In addition, we examine the respective function of each episode introduced in the novel. Based on the analysis in chapter II, we look into the structural attributes of the work in chapter III. As it turns out, this novel has a blended construction of the biography of a hero and the encounter. We argue that Ssang-joo-ki-yeon increase its gusto by accepting and expanding the existing episodes, the facts of which are supported by the examples, "the humorous illustration of a manlike dressing-up," "the slaying of an assassin turning into the relation-forming," "the multiplication in role-playing of war episodes," etc. Besides, we observe that the composing manner of scenes is characterized by enhanced tension, which is possible by reducing the number of the existing episodes and inserting the alien episodes in a reasonable way. Chapter IV is alloted a task to examine what makes Ssang-joo-ki-yeon a lowbrow novel when mirroring the findings in the preceding chapters and how it could be realized as a novel. Ssang-joo-ki-yeon was naturally begotten amid the popularizing tendency of ancient novels in the latter part of Chosun era. Thus we come to take a look at the popularization through various popular literary works in order to present the implications and status of Ssang-joo-ki-yeon in that age. As a result, the novel in ques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gave a better kind of excitement to the readers by taking a different way of popularizing than the other novels in that period, viz. adopting an episodic insertion. Moreover, Ssang-joo-ki-yeon provided a chance to give a second thought to the matter of popularity. As far as the position of Ssang-joo-ki-yeon in the history of novels is concerned, we can presume that it should be placed between the hero novels and the novels of extraordinary encounters since its narrative structure exhibits itself somewhere between these two types of novels.

      •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우울감, 경제적 스트레스, 고독감, 신체적 건강을 중심으로

        한정미 경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감, 경제적 스트레스, 고독감, 신체적 건강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있다. 조사기간은 2016년 7월 25일부터 8월 31일까지였으며, 총 140부중 130부가 회수되어 응답내용이 미비한 9부를 제외한 121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은 경남 창원시에 거주하는 노인복지관, 종합사회복지관, 노인일자리창출지원센터를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독거노인 중 의사소통 및 설문응답에 어려움이 없는 대상으로 확대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사용하여 기술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 및 관련변수들의 분석을 살펴보면,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주거형태, 비동거 가족과의 관계로 나타났으며,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력, 종교, 비동거 가족과의 관계로 나타났다. 경제적 스트레스에는 성별, 주거형태, 비동거 가족과의 관계로 나타났으며, 고독감에는 성별, 비동거 가족과의 관계로, 신체적 건강은 연령, 근로유무로 나타났다. 둘째, 독립변수인 우울감, 경제적 스트레스, 고독감, 신체적 건강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독거노인의 우울감, 경제적 스트레스는 자살생각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우울감은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그 다음으로 경제적 스트레스였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depression, financial stress, loneliness, and physical health affect the suicidal thoughts of the aged living alone. 121 cases, who were over 65 years old, living alone in Changwon Gyeong-Nam, using elderly centers, social welfare centers, or elderly working centers, and eligible to communicate and to read, were surveyed from July 25th 2016 to August 31st 2016.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test, regression analysis had been used for the analysis by SPSS. Study reveals first, factors such as sex, living status, and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who do not live together, affect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aged living alone and factors such as education, religion, and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who do not live together, affect depression. Factors such as sex, living status, and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who do not live together, affect financial stress, factors such as sex and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who do not live together, affect loneliness, and factors such as age and job affect physical health. Second, depression and financial stress increase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especially, depression affected the most.

      • 긍정심리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행복감,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정미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행복감,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하여 긍정심리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긍정심리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청소년의 행복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긍정심리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청소년의 대인관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기 위해 D시에 소재한 평생교육기관에서 긍정심리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를 하였다. 자발적으로 참여를 희망한 남자 중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0명씩 배치하였고, 실험‧통제집단 모두 동일한 자아탄력성, 행복감, 대인관계에 대한 측정도구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고영건(2009) 등이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위해 개발한 긍정심리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본 연구자가 남자 중학생 특성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실시하였고, 매회기당 45분씩 총 8회기로 4주간에 걸쳐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의 사후검사는 마지막 8회기 때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종료 3주 후 추수검사를 하였다.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으나, 사후검사와 추수검사를 실험집단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자아탄력성, 행복감, 대인관계 척도의 사전, 사후, 추수검사에 대한 양적분석을 실시하였고, 참여대상자의 소감문, 프로그램 활동 만족도 및 연구자의 관찰기록 내용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점수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수행하였고, 효과성 검증을 위해 공분산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자료의 통계적 처리를 위해 SPSS 18.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긍정심리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자아탄력성 사후, 추수검사와 내용분석의 결과는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 통제집단은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둘째, 긍정심리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행복감 사후, 추수검사와 내용분석의 결과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나, 통제집단에는 변화가 없었다. 셋째, 긍정심리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사후, 추수검사와 내용분석 결과는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나 통제집단에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통해 긍정심리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행복감, 대인관계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이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긍정심리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긍정정서와 개인내적 특성을 강화시켜줌으로써 긍정적인 성장‧발달과 자아실현 및 건강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조력하는 지지방안으로서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는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erifying the effects of positive-min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an improvement in self-elasticity, happi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low-income juvenile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s positive-mind group consultation effective to improve self-elasticity of low-income juveniles? Second, is positive-mind group consultation effective to improve happiness of low-income juveniles? Third, is positive-mind group consultation effective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y of low-income juveniles? There was public relations about positive-mind group consultation to recruit research participants, at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in D city. 20 male middle school students volunte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0 people each for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same measurement tools were used in both groups while taking pretest on self-elasticity, happi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y. Positive-mind group consultation program, originally developed by Yeong-gun Go et al.(2009) for adolescent mental health, was amended and supplemented to be suitable for male middle school students by researcher. It was divided into 8 sessions of 45 minutes each and carried out to experiment group over 4 weeks. Post-test of experiment group was done at the end of eighth session, and follow-up test was taken 3 week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There was not any measure for control group, but the post-test and follow-up test were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 with the experiment group. Quantitative analysis about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on self-elasticity, happi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y was taken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reviews from participants, satisfaction of program activities and observation reports from researcher were also run parallel with analysis. SPSS t-verification was perform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pretest scores i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analysis of covariance was for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and SPSS 18.0 was used for statistical data processing. Followings are the research results: First, the result of self-elasticity post-test, follow-up test and content analysis in experiment group, which went through positive-mind group consultation program, improved significantly, but there was no particular change in control group. Second, the result of happiness post-test, follow-up test and content analysis in experiment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but there was no change in control group. Third, the result of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y post-test, follow-up test and content analysis in experiment group had significant improvement, but no change appeared in control group. Through the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positive-mind group consultation program is effective to improve self elasticity, happi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y of low-income juveniles. In conclusion, through reinforcing positive emotion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low-income juveniles, positive-mind group consultation can be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in social welfare. Moreover, it helps youths to be in positive growth and development, self-realization, and to live happily as a healthy member of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