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혼에 따른 재산분할심판에서 당사자 간 일부 재산분할 합의의 소송상 효력

        한애라(Han, Ae-Ra) 한국가족법학회 2018 가족법연구 Vol.32 No.2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1meu1116 rendered on July 12th, 2013 decided that the court is not bound by the parties’ partial division agreement on certain assets and does not need to divide those assets as agreed upon by the parties, as the division of property case is non-contentious and thus principle of ex officio examination by the Non-contentious Case Litigation Procedure Act shall apply mutatis mutandis to it. However, a division of property should be by agreement between parties, and only if no agreement is made the Family Court shall determine the amount and method of division. A partial agreement as well as an agreement on the entire property is valid. If an agreement has been made on certain assets, a party’ request to divide the assets should be dismissed, and the party can file a civil claim based on the agreement. Therefore, if a partial agreement on certain assets has been made before or during the Family Court’s division procedure, the court should not order ex officio the division of the assets disregarding the parties’ agreement, and the claim on the certain assets should be partially dismissed. In my view, the court’s decision that the court may disregard the parties’ division agreement on certain assets and divide them ex officio should be reconsidered and the parties’ own agreements should be respected.

      • KCI등재
      • KCI등재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 여성에서 보조생식술의 임신율

        한애라,박찬우,차선화,김혜옥,양광문,김진영,궁미경,강인수,송인옥,Han, Ae-Ra,Park, Chan-Woo,Cha, Sun-Wha,Kim, Hye-Ok,Yang, Kwang-Moon,Kim, Jin-Young,Koong, Mi-Kyoung,Kang, Inn-Soo,Song, In-Ok 대한생식의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7 No.1

        목 적: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 환자에서 보조생식술의 임신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으로 진단받고 본원에서 보조생식술을 시행받은 23명을 연구군으로, 동일기간 난관요인으로 보조생식술을 시행받은 이들 중 연구군과 연령 및 체질량지수가 일치하는 120명의 여성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열람하였다. 보조생식술 관련 여러 계측치 및 임신율, 유산율, 출산율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연구군의 평균 연령은 $32.7{\pm}3.3$세였고, 평균 체질량지수는 $21.0{\pm}3.2kg/m^2$였다. 생리주기 제 2~3일에 측정한 황체형성호르몬과 난포자극호르몬은 각각 $0.61{\pm}0.35$, $2.60{\pm}2.35$ mIU/ml였고, 에스트라디올은 $10.13{\pm}8.17$ pg/ml이었다. 난소자극 주기에서 사용된 생식샘자극호르몬의 총 양과 투여기간 및 hCG 투여일의 $E_2$ 수치는 연구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보조생식술 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 (IVF-ET) 주기에서는 연구군에서 자궁내막두께와 수정율, 출산율이 유의하게 낮았고, 유산율은 유의하게 높았으며, 그 외 난소자극 및 인공수정 (SO-IUI) 및 동결보존배아이식 (FET) 주기에서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 여성에서 생식샘자극호르몬 치료를 통한 전반적인 보조생식술의 임신율은 22.0%로 대조군의 그것과 유사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더 많은 용량의 호르몬이 필요하다. 연구군의 IVF-ET의 경우, 주기 중 현저하게 높은 $E_2$ 수치와 유의하게 얇은 자궁내막을 보이며, 더 높은 유산율과 더 낮은 생존출산율을 보여, 이의 극복을 위해 자궁내막 수용성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Objective: To investigat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outcomes in women with WHO class I anovulatio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Design: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Methods: Twenty-three infertile women with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H-H) who undertook ART procedure from August 2003 to January 2009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 total of 59 cycles (H-H group) were included; Intra-uterine insemination with super-ovulation (SO-IUI, 32 cycles), in vitro fertilization with fresh embryo transfer (IVF-ET, 18 cycles) and subsequent frozenthawed embryo transfer (FET, 9 cycles). Age and BMI matched 146 cycles of infertile women were collected as control group; 64 cycles of unexplained infertile women for SO-IUI and 54 cycles of IVF-ET and 28 cycles of FET with tubal factor. We compared ART and pregnancy outcomes such as clinical pregnancy rate (CPR), clinical abortion rate (CAR), and live birth rate (LBR)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age ($32.7{\pm}3.3$ vs. $32.6{\pm}2.7$ yrs) and BMI ($21.0{\pm}3.1$ vs. $20.8{\pm}3.1kg/m^2$) between two groups. Mean levels of basal LH, FSH, and $E_2$ in H-H group were $0.62{\pm}0.35$ mIU/ml, $2.60{\pm}2.30$ mIU/ml and $10.1{\pm}8.2$ pg/ml, respectively. For ovarian stimulation, H-H group needed higher total amount of gonadotropin injected and longer duration for ovarian stimulation (p<0.001). In SO-IUI cyc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PR, CAR, and LBR between the two groups. In IVF-ET treatment, H-H group presented higher mean $E_2$ level on hCG day ($3104.8{\pm}1020.2$ pg/ml vs. $1878.3{\pm}1197.7$ pg/ml, p<0.001) with lower CPR (16.7 vs. 37.0%, p=0.11) and LBR (5.6 vs. 33.3%, p=0.02) and higher CAR (66.7 vs. 10.0%, p=0.02)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subsequent FET cycl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PR, CAR, and LBR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H-H patients need higher dosage of gonadotropin and longer duration for ovarian stimul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Significantly poor pregnancy outcomes in IVF-ET cycles of H-H group may be due to detrimental endometrial factors caused by higher $E_2$ level and the absence of previous hormonal exposure on endometrium.

      • KCI등재

        반복 유산 및 착상실패를 보이는 환자에서 Th1 면역반응에 대한 연구

        한애라,양광문,곽영희,Han, Ae-Ra,Yang, Kwang-Moon,KwakKim, Joanne 대한생식의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7 No.3

        목 적: 반복적 유산 또는 반복적 착상실패 환자의 T 림프구의 Th1 면역반응 정도를 알아보고, T 림프구 활성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반복적 유산 및 반복적 착상실패를 경험한 37명의 환자를 연구군으로 설정하고, 유산이나 불임의 병력이 없이 정상분만의 경력이 있는 11명의 가임 여성을 대조군으로 모집하였다.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이들의 말초혈액 중 T helper 세포 내 TNF-$\alpha$와 INF-$\gamma$ 및 IL-10의 발현도를 측정하고 Th1/Th2 세포 비율 (TNF-$\alpha$/IL-10 및 INF-$gamma$/IL-10 발현도)을 계산하여 Th1 면역반응의 우세 정도 및 T 림프구의 활성도를 분석하였으며, 활성 표지자인 CD154와 CD69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연구군의 평균연령은 $35.3{\pm}4.3$세였으며, 이들에서 T helper cell 내 TNF-$\alpha$/IL-10의 발현 비율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42.1{\pm}2.3$ vs. $28.7{\pm}2.7$, p=0.002), CD154와 CD69의 발현율 또한 대조군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았다. CD154의 경우, T helper cell ($1.7{\pm}0.5$ vs. $0.3{\pm}0.2$, p=0.038)과 T suppressor cell ($0.6{\pm}0.2$ vs. $0.1{\pm}0.0$, p=0.024) 모두에서 유의하게 높은 발현을 보인 반면, CD69의 경우, 전체 T 림프구 ($5.6{\pm}1.9$ vs. $1.3{\pm}5.4$, p=0.046)와 T suppressor cell ($4.8{\pm}1.3$ vs. $1.8{\pm}0.2$, p=0.035)에서 통계적으로 높은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반복적 유산 및 반복적 착상실패를 보이는 여성에서 T 림프구의 활성도와 Th1 면역반응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이들 여성에서 활성화된 T 림프구가 Th1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초기 임신의 유지와 착상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o evaluate whether T helper 1 (Th1) immune response is predominant in women with reproductive failures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 and recurrent implantation failure) and the activation of T cell is related to Th1 propensity. Methods: Women with a history of recurrent implantation failure or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 comprise the study group (n=37). Controls are normal fertile women without a history of infertility or pregnancy losses (n=11). Th1/Th2 ratios of interferon (INF)-$\gamma$/interleukin (IL)-10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IL-10 expression on $CD3^+/4^+$ cells, CD154, and CD69 expression on T cells are measured by flow cytometric analysis. Results: The ratios of TNF-$\alpha$ to IL-10 expressing on $CD3^+/4^+$ cells (Th1/Th2 cell ratios) are significantly higher in study group ($42.1{\pm}2.3$)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s ($28.7{\pm}2.7$) (p=0.002). The overall trend of CD154 and CD69 expression on T cells are elevated in study group than those of controls. The proportion (%) of $CD3^+/4^+/154^+$ cells ($1.7{\pm}0.5$ vs. $0.3{\pm}0.2$, p=0.038) and the % of $CD3^+/8^+/154^+$ cells ($0.6{\pm}0.2$ vs. $0.1{\pm}0.0$, p=0.024) are significantly higher in study group. The % of $CD3^+/69^+$ cells ($5.6{\pm}1.9$ vs. $1.3{\pm}5.4$, p=0.046) and % of $CD3^+/8^+/69^+$ cells ($4.8{\pm}1.3$ vs. $1.8{\pm}0.2$, p=0.035) among $CD3^+/8^+$ cells a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study group. Conclusion: Women with reproductive failures have Th1 propensity with increased T cell activation. These finding means that activated T cell has a harmful effect on early pregnancy and implantation by induction of Th1 immunity.

      • KCI등재

        말초혈액 자연살해세포 분획 및 세포용해 활성도 분석을 통한 습관성 유산 위험군의 진단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최지영,황수진,한애라,유지희,박동욱,박찬우,김혜옥,차선화,김진영,송인옥,궁미경,강인수,양광문,Choi, Ji-Young,Hwang, Su-Jin,Han, Ae-Ra,Yoo, Ji-Hee,Park, Dong-Wook,Park, Chan-Woo,Kim, Hye-Ok,Cha, Sun-Hwa,Kim, Jin-Young,Song, In-Ok,Koong, Mi-Kyo 대한생식의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7 No.2

        목 적: 임신 전 $CD3^-/CD56^+/CD16^+$ 말초혈액 자연살해세포 (pbNK cell)의 분획과 세포용해 활성도를 정상군과 습관성 유산의 기왕력을 가진 환자군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고 습관성 유산의 위험도를 제시할 수 있는 각각의 cut-off value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전향적 연구로서 습관성 유산의 기왕력이 있는 여성을 환자군 (n=35)으로 하였으며, 대조군으로 불임이나 습관성 유산의 기왕력이 없으며 정상아의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조군 (n=15)으로 설정하였다.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pbNK cell 분획 및 세포용해 활성도를 측정 후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pbNK cells의 분획은 습관성 유산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14.2{\pm}5.2$ vs. $9.4{\pm}3.7%$, p=0.002, 95% confidence interval [CI] 1.8~7.8).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ROC) 곡선을 이용하여 pbNK cell의 분획에 대한 cut-off values을 12.1%로 정하였을 때 습관성 유산의 위험도는 8.4배 증가하였다. pbNK cell의 K562 세포용해 활성도를 3가지 다른 Effector to Target (E:T) 비율 (50:1, 25:1, 12.5:1)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각각의 경우에 있어 습관성 유산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된 결과를 보였다 ($48.3{\pm}19.0$ vs. $31.3{\pm}11.9%$ in 50:1 ratio, p=0.002; $37.0{\pm}18.1$ vs. $20.2{\pm}9.2%$ in 25:1 ratio, p<0.001; $23.5{\pm}12.7$ vs. $12.4{\pm}7.3%$ in 12.5:1 ratio, p=0.001). ROC 곡선을 이용하여 각각 E:T 비율에서 세포용해 활성도의 cut-off values (43.1% in 50:1, 26.9% in 25:1, and 17.4% in 12.5:1)을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습관성 유산의 위험도는 각각 10.0배, 11.4배, 그리고 15.0배 증가된 결과를 보였다. 결 론: 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습관성 유산 환자에서 pbNK cell의 분획과 세포용해 활성도를 측정하는 것은 면역학적 원인, 특히 동종면역 요인에 의한 습관성 유산의 유용한 진단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동종 면역반응에 의한 습관성 유산 환자에서 면역학적 원인의 치료 전, 후 pbNK cell의 분획과 세포용해 활성도를 측정, 비교하여 그 효과를 증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o testify whether the increased peripheral blood natural killer (pbNK) cells fraction and their cytolytic activity could coincide with patient's history of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 (RSA) and to evaluate these factors are can be valuable diagnostic markers in RSA. Methods: Women with a history of RSA comprised the patient group (n=35). Normal fertile women, who were experienced at least one healthy term birth without history of infertility or recurrent miscarriage, were included as the healthy control group (n=15). The pbNK cells of $CD3^-/CD56^+/CD16^+$ and their cytolytic activities against K562 cells were measured by flow cytometry and the values were compared between study and control groups. Results: Proportions of pbNK cells among peripheral blood monocytes (PBMC) ($14.2{\pm}5.2$ vs. $9.4{\pm}3.7%$, p=0.002, 95% confidence interval [CI], 1.8 to 7.8)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 group. The odds ratio of having RSA history was increased as 8.4 folds (59% of sensitivity, 80% of specificity, and 95% CI: 2.0 to 35.8) in patients who showed pbNK cells fraction above 12.1% which was determined as cut-off value by using ROC curve analysis. The cytolytic activities of pbNK cells which measured by three different ratio of effecter pbNK cells to target K562 cells and calculated by the percent of cytolytic K562 cel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tudy group than that of control group (in 50:1 ratio, $48.3{\pm}19.0$ vs. $31.3{\pm}11.9%$, p=0.002; in 25:1 ratio, $37.0{\pm}18.1$ vs. $20.2{\pm}9.2%$, p<0.001; in 12.5:1 ratio, $23.5{\pm}12.7$ vs. $12.4{\pm}7.3%$, p=0.001). With the cut-off values of cytolytic activity of pbNK cells as 43.1% (50:1), 26.9% (25:1), and 17.4% (12.5:1) each, the risk of having RSA history was increased by 10.0, 11.4, and 15.0 folds in patients who had increased in each effector of pbNK to target of K562 cells ratio. Conclusion: The analysis of pbNK cells fraction and their cytolytic activity can be valuable diagnostic markers for RSA. We are going to planning the large scaled studies which include the data of obstetric outcomes in subsequent pregnancies to clarify our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생식샘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길항제를 이용한 난소자극 투여법에서의 경구복합피임제의 전처지: 비교 연구

        추연실 ( Youn Sil Choo ),한애라 ( Ae Ra Han ),양승헌 ( Seung Heon Yang ),성나영 ( Na Young Sung ),차선화 ( Sun Hwa Cha ),김혜옥 ( Hye Ok Kim ),박찬우 ( Chan Woo Park ),송인옥 ( In Ok Song ),궁미경 ( Mi Kyoung Koong ),강인수 ( In S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10

        목적 생식샘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길항제를 이용한 난소자극 투여법에서 경구복합피임제의 전처치가 체외수정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9년 9월 1일에서 2010년 2월 28일까지 본원 불임센터에서 체외수정시술을 위해 총 194회의 생식샘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길항제 요법을 시행한 환자 중 경구복합피임제를 전처치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의 진료 기록을 찾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경구복합피임제 전처치군의 경우 사용된 생식샘자극호르몬의 사용량이 전처치하지 않은 군보다 많았다(3019.38±1379.00 vs. 2551.52 ± 1157.05 IU, P = 0.054). 난소 자극 시작부터 난소 채취를 위한 마지막 생식샘자극호르몬의 투여일까지 기간 또한 경구복합피임제 전처치 군(11.5 ± 2.0)에서 전처치하지 않은 않은 군(9.5 ± 1.9)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길었다(P = 0.000). 배아 총 획득 갯수(2.8 ± 0.9 vs. 2.5 ± 1.0, P = 0.055) 및 난자수정률(77.2% vs. 65.5%, P = 0.017) 또한 경구복합피임제 전처치 군에서 처치 하지 않은 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 한편, 임신율에 있어서는 두 그룹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39.4% vs. 30.0%; P = 0.0304). 결론 체외수정시술을 위한 생식샘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길항제 사용 시 경구복합피임제를 전처치 하였을 때,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최종적인 체외수정시술의 결과적인 측면에서 현저한 장점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좀 더 명확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군을 포함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o evaluate whether oral contraceptive pill (OCP) pretreatments in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ntagonist ovarian stimulation protocols takes positive effects on in vitro fertilization (IVF) outcomes in respect to retrieved oocyte number, oocyte maturation rate, fertilization rate, good quality embryo rate, cycle cancellation rate, pregnancy rate and clinical abortion rate. Methods A total of 194 cycles using GnRH antagonist protocol was performed at infertility clinic of our institute from September 1st, 2009 to February 28th, 2010. The medical records of GnRH antagonist protocols for IVF with or without OCP pretreatment in our IVF unit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We compared the IVF outcomes between OCP pretreated (n=41) and no pretreatment group (n=153). Results In cycles with OCP pretreated group, the total used dosage of gonadotropin (3019.38±1379.00 IU) were higher than that of no pretreatment group (2551.52 ± 1157.05 IU, P = 0.054). The duration of ovarian stimulation in OCP pretreated group (11.5 ± 2.0)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9.5 ± 1.9, P = 0.000). The number of gained total embryo (2.8±0.9 vs. 2.5±1.0, P = 0.055) and fertilization rate (77.2% vs. 65.5%, P = 0.017)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CP pretreated group.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gnancy rate between two groups (39.4% vs. 30.0%, P = 0.304). Conclusion OCP pretreatment before GnRH antagonist protocol for IVF appears not to have reliable benefit in terms of IVF outcomes. Wellcontrolled and large-scaled studies are needed.

      • KCI등재

        난관 폐쇄에 기인한 불임 환자에서 난관 개통술의 효용성

        박찬우,차선화,양광문,한애라,유지희,송인옥,김혜옥,강인수,궁미경,이경상,Park, Chan-Woo,Cha, Sun-Hwa,Yang, Kwang-Moon,Han, Ae-Ra,Yoo, Ji-Hee,Song, In-Ok,Kim, Hye-OK,Kang, Inn-Soo,Koong, Mi-Kyoung,Lee, Kyung-Sang 대한생식의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7 No.4

        목적: 불임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궁 난관 조영술을 이용한 난관 불임 선별검사에서 난관 막힘의 소견을 보인 경우 선택적 난관 조영술을 시행 후 실패 시 난관 개통술을 시행하여 난관 불임치료에 있어 난관 개통술의 효용성을 알아보고 난관 막힘 부위 및 형태에 따른 난관 개통률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난관 불임 선별검사로서 자궁 난관 조영술을 시행하였으며 자궁 난관 조영술 상 난관 막힘 소견을 보인 215명의 342개의 난관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난관 개통술을 시행하여 342개의 난관 가운데 248개의 난관이 개통되어 72.5%의 난관 개통률을 보였다. 막힘 부위에 따른 난관 개통률은 근위부 83.8% (197/235예), 협부 45.6% (47/103예), 원위부 100% (4/4예)를 보여 자궁-난관 접합부에 가까운 막힘 일수록 높은 개통률을 보였다. 막힘 형태에 따른 개통률은 점진형은 92.3% (157/170예), 오목형은 80.2% (69/86예), 볼록형은 25.5% (22/86예)의 난관 개통률을 보였다. 난관 막힘 부위와 형태를 종합하여 볼때 난관 근위부 점진형 막힘의 경우 91.6% (143/156예)의 높은 개통률을 보인 반면 난관 협부 볼록형 막힘의 경우에는 개통률이 11.3% (6/53예)에 불과하였다. 난관 개통에 성공한 156명 가운데 98명에서 임신에 성공하여 62.7%의 임신율을 보였다. 결론: 난관 개통술은 자궁 경부를 통한 시술로 수술적 방법이나 체외수정시술의 난자 채취에 비해 덜 침습적인 방법으로 입원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며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불임의 원인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난관 원인에 의한 불임 환자에서 우선적으로 시행해 볼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라 할 수 있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and efficacy of trans-cervical fallopian tube catheterization (TFTC) in diagnosis and optimal treatment modality for tubal blockage. Methods: The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those underwent TFTC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9. A total of 342 fallopian tubes in 215 patients which showed tubal blockage in hysterosalpingography (HSG), were subjected to TFTC. Recanalization rate (RR) was compared according to portion of tubal blockage; proximal, isthmic and distal portion and blockage type; tapering, concave, and convex type. Results: In total, RR was 72.5% (248/342 tube). According to the portion of tubal blockage, RR was 83.8% in proximal, 45.6% in isthmic and 100% in distal portion. RR was 92.3% in tapering, 80.2% in concave and 25.5% in convex type, respectively. There were 98 pregnancies in 156 patients after successful recanalization, which shows 62.7% pregnancy rate. Conclusio: TFTC were capable of recanalizing tubal blockage in 248 of 342 tubes in 156 of 215 patients (72.5%). The RR was increased with proximal portion and tapering type tubal blockage.

      • KCI등재

        불임 또는 습관성 유산 환자에서 중격자궁의 치료가 임신에 미치는 영향

        구화선,차선화,양광문,배주연,안현숙,한애라,박찬우,강인수,궁미경,이경상,Koo, Hwa-Seon,Cha, Sun-Hwa,Yang, Kwang-Moon,Bae, Ju-Youn,Ahn, Hyun-Suk,Han, Ae-Ra,Park, Chan-Woo,Kang, Inn-Soo,Koong, Mi-Kyoung,Lee, Kyung-Sang 대한생식의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7 No.4

        목적: 중격자궁은 흔하게 보고되는 선천성 자궁기형 중 하나이며 여성의 생식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아직 이견이 많고, 따라서 치료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아직 정립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중격자궁의 존재 및 치료 여부가 생식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8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불임 또는 습관성 유산을 주소로 제일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자궁난관 조영술을 시행한 총 2,838명의 환자들 중 중격자궁이 진단된 4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27명은 자궁경 하 자궁중격 절제술을 시행 받았으며, 17명은 진단 후 추가적인 치료를 받지 않았다. 대조군은 동일 기간 내에 자궁기형이 진단되지 않은 환자 42명을 나이를 고려 후 무작위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군의 임신율, 자연유산율, 그리고 생존분만율 등에 대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대상군들의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진단 후 21.8개월 이었다. 결과: 추적 관찰 기간 중 자궁경 하 질식 자궁중격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n=27)의 55.6% (15/27)가 임신에 성공한 반면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 (n=17)의 약 23.5% (4/17)만이 임신에 성공하여 치료받은 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높은 수치를 보였다 (p<0.05). 한편 생존분만율은 치료를 받은 환자군 및 자궁기형이 진단되지 않은 불임 또는 습관성 유산 환자 (대조군, n=42)에서 각각 75%와 84.6%를 보인 반면 치료 받지 않은 군에서는 50% (2/4)를 보여 치료 받지 않은 중격자궁 환자에서 낮은 경향을 보이지만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 결론: 중격자궁이 생식수행에 미치는 영향은 자연유산 등 산과적 합병증 뿐 아니라 오히려 임신력의 저하에 더 큰 악영항을 미칠 수 있으며 불임 환자에서 중격자궁의 존재 시 적극적인 치료가 임신성공률의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 되지만 보다 명확한 결론을 위해 규모가 크고 관찰 기간이 긴 대단위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s of uterine septum and their elimination on the reproductive outcomes in women who have history of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 (RSA) and/or infertility.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reproductive outcomes in patients who have had history of RSA and infertility who were diagnosed with uterine septum only by hysterosalpingogram (HSG) between January 2008 and December 2009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subjects who have had severe male factor, tubal factors, other uterine factors, endocrine abnormalities, peritoneal factors, and abnormal karyotyping among both partners were excluded. In 27 patients, confirmation of diagnosis by laparoscopy and elimination of uterine septum by trans-vaginal hysteroscopy was done. Seventeen patients were strongly suspected to uterine septum on HSG but tried to get pregnancy without any other procedure for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uterine anomaly. Age matched 42 patients who have history of RSA and/or infertility and diagnosed to normal HSG finding at same period were randomly selected as control. The medical records of reproductive outcom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between groups. Results: The mean time of observation after diagnosis was 21.8 months (10 to 32). 55.6% (15/27) of patients in patients who received trans-vaginal hysteroscopic uterine septotomy were success to get pregnancies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17 patients who did not receive proper management (23.5%, 4/17, p<0.05). In control population, 40.5% (17/42) were success to pregnancies and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both two study groups. The live birth rate which was excluded pregnancy loss by abnormal fetal karyotyping and congenital anomaly were 75% (9/12) in treated septated uterus group and 84.6% (11/13) in control group each which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In patients with septated uterus who did not receive proper management showed lower delivery rate (50%, 2/4) than that of other groups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According to present data, women with a uterine septum have an increased chance of successful pregnancy with improved obstetric outcome after proper management of the uterine cavity. And these results were showed in patients with no regard to their reproductive history. But, in case of failed to receive proper management, uterine septum can affect not only pregnancy ongoing but successful pregnancy too.

      • KCI등재

        원발성 자궁경부 악성 림프종 6예 임상고찰

        공건영 ( Kun Young Kong ),권용순 ( Youg Soon Kwon ),최가원 ( Ga Won Choi ),한애라 ( Ae Ra Han ),안준우 ( Jun Woo Ahn ),유항조 ( Hang Jo Yoo ),김용만 ( Yong Man Kim ),김영탁 ( Young Tak Kim ),남주현 ( Joo Hyun Na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11

        목적: 원발성 자궁경부 악성 림프종의 임상 고찰을 통하여 최적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임상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1989년부터 2006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에서 진단, 치료 시행한 원발성 자궁경부 악성 림프종 환자 6명을 대상으로 진단시 연령, 출산력, 임상증상, 조직병리 소견, 병기 및 각각의 치료방법과 예후를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진단나이 평균은 63세, 5명에서 질출혈, 1명이 배뇨곤란을 호소하였다. 5명에서 자궁경부 병변이 있었고 1명은 비특이적 상태였다. 3명에서 자궁경부 세포진검사 시행되었고 그중 한명이 고등급 편평상피내병변 소견 보였다. 모두 조직병리검사를 통해 자궁경부 림프종이 진단되었다. 1명은 수술적 치료 (광범위 전자궁적출술 및 양측난소난관절제술, 골반 및 대동맥주위 임파선곽청술)시행, 2명은 수술 및 항암화학요법 복합치료 시행, 1명은 항암화학요법치료만을 시행하였다. 2명은 치료거부로 진단만 시행되었다. 치료 시행한 4명중 1명이 난소에 재발, 3명은 현재 관해상태이다. 결론: 원발성 자궁경부 악성 림프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서 매우 낮은 발생률과 전형적인 증상들이 없어 임상의들은 상기질환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원발성 자궁경부 악성 림프종의 축적된 많은 정보는 조기발견과 최적의 치료를 정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보다 많은 임상증례들의 축적과 분석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Objective: To provide clinical information for the best diagnosis and treatment of primary malignant cervical lymphoma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se cases. Methods: Between 1989 and 2006, six women with primary malignant cervical lymphoma were diagnosed and treated at our institution. Data were obtained from their medical records and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The mean patient age at the time of diagnosis was 63 (range 19-74). The chief complaint was vaginal bleeding in five women and the voiding difficulty for one woman. five of six patient had the cervical lesions (erosion and tumoral mass), while the other was non specific cervical findings. The Papanicolaou test was performed on three women, one of whom was HSIL. All six patients were confirmed with cervical lymphoma through the pathologic diagnosis. Surgical treatment (radical hysterectomy with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and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was performed in one case, simple hysterectomy with complementary chemotherapy in two, and chemotherapy in one. Two patients refused treatment. Among four patients treated, one experienced recurrence in an ovary and the others have remained in remission. Conclusion: Primary malignant cervical lymphoma is a rare malignancy. Physicians can miss early detection of this disease because of its ``silent`` symptoms and very low incidence. The accumulated data regarding this tumor can make it easy to detect at an early stage, thereby allowing it to be successfully treated.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obtain further information regarding the cervical lymphom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