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 교육행정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분석

        한승록,김옥주 한국교육개발원 2004 한국교육 Vol.31 No.3

        This study attempts at identifying the direction of developing internet service system for educational information in university. To give better service for all the users, the internet service system of university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improvement of efficiency and democrac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Problem 1] :What kinds of informations are being serviced on internet homepage in university within sub domain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Problem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atisfactory levels of users with the university Internet service system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ir social position ? The summary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faithfulness of public service within the sub domain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on university internet homepage. For example, the informations about curriculum administration and student administration were more faithfully serviced than another sub domain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atisfactory levels of users with the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d in university homepage according to the social positions of users. That is to say, the group of school staff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of professor and the group of students in the satisfactory levels about all of three factors(transparency, accessibility and interaction). 이 연구는 바람직한 대학교육행정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구축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우리나라 각 대학의 홈페이지를 통해 서비스 되고 있는 교육행정정보의 영역별 내용을 분석하고, 서비스되는 행정영역별 정보의 투명성과 접근성에 대한 사용자 집단의 인식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대학 교육행정 서비스 전반에 대한 구성원 집단 간의 만족도 차이를 정보서비스의 ‘투명성’, ‘접근성’, ‘상호작용성’의 차원에서 비교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학의 6개 교육행정 하위영역 중 ‘교육과정행정’, ‘학생행정’ 등에 대해서는 타 영역에 비해 비교적 충실하게 서비스되고 있으나 ‘인사행정’, ‘지역사회행정’ 등은 제한적으로 서비스되고 있으며, ‘재무행정’, ‘시설행정’ 등은 매우 소극적으로 서비스되고 있었다. 서비스 되는 정보의 투명성과 접근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으나 주로 서비스 제공집단인 직원집단이 서비스 수혜집단인 학생집단이나 교수집단보다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행정서비스에 대한 구성원 집단 간의 만족도 차이 검증에서는 직원집단과 교수집단, 직원집단과 학생집단간에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역량모델 중심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전략적 고찰 :

        한승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최근 기업교육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역량모델을 기반으로 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개발 전략이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한 대안적 접근전략으로 활용가능한가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검토를 통하여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개발 전략으로서의 역량모델의 개념과 적합한 개발 절차를 이해하고, 역량모델을 기반으로 한 실제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사례를 통하여 역량기반교육과정 개발에서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들을 검토한 다음,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한 대안적 접근전략으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첫째, 역량모델이 기업교육뿐 아니라 학교 교육분야에서도 교육과정 개발의 한 대안이 되기 위해서는 ‘역량’의 개념에 대하여 보다 유연하게 대처함으로써 종래의 단순 지식이나 기능만으로서가 아니라 창의적 사고 등 보다 고등한 사고능력으로까지 역량의 범위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접근이 활용차원에서뿐 아니라 이론과 원리를 보다 정교하게 하고 이를 실천·응용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셋째, 역량기반교육이 단지 단순 지식이나 기술에 관한 것뿐 아니라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촉진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지지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개발에 역량모델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교육·훈련의 상황적 특성에 따라 개발 모형과 기법이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안내되어야 한다. 등으로 요약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flect on a strategy of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competency-based model. Every corporation focuses its attentions on seeking self-motivated employees who are able to demonstrate their full abilities on their tasks. The competency based HR management which is in the spotlight can be regard as a trial to achieve the self-motivated employees. Competency is an internal characteristic of the ones with better performance level than the others with average level of performance. And competency based model is recently perceived as one of powerful strategies for developing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in busines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up and answered. First, what are the general view, the basic ideas and the foundation of competency-based model. Second, what is the development procedure of competency-based model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 in business. Third, Is there any possibility of adapting the competency based model to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rough this study, following suggestions could be made. If the competency based model would be used in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ere must be clear definition about competency including higher thinking ability. And, there must be enough studies about specific procedures and methodologies in competency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

        음악과 전자교과서 모형 설계 및 개발

        한승록,조성기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02 음악교육공학 Vol.- No.1

        단순한 텍스트 위주의 서책형 교과서는 컴퓨터와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른 웹(Web)과 멀티미디어에 의한 교수-학습의 질적 변화에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인 흐름에 맞추어 현재 일부 개발되고 있는 타 교과의 전자교과서 모형을 분석하였고, 전자교과서의 구성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여 음악과의 특징과 내용에 맞는 전자교과서의 모형을 설계․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전자교과서의 구성요소와 유형을 알아보았고,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내용체계를 분석해 보았다. 다음으로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전자교과서화 할 수 있도록 요소들을 구성하고 설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은 김소영(1998)이 제안한 전자교과서의 구성요소로서 크게 구조적인 측면과 기능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설계하였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0)의 전자교과서의 유형을 따랐다. 학습내용과 관련된 구조적인 측면은 음악교과의 영역별 학습내용의 제시와 구성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기능적인 측면은 전자교과서가 갖추어야할 영역별 기능과 상호작용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전자교과서의 유형을 활용목적이나 규모, 실행기반과 교수-학습의 방식에 따라서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학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교수, 학생, 교사 집단간 요구의 차이 분석 :

        한승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대학의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교수, 재학생, 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대학 교육과정 개선의 필요성 인식도, 대학 교육과정 개선의 방향 인식도 등에 대한 집단간 요구분석을 수행하였다. 교수집단은 교육과정 시행자로, 교사집단은 교육과정 실천가로, 재학생 집단은 교육과정 수혜자로 개념화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교수집단이 가장 낮았으며, 교사집단, 학생집단 순이었다. 둘째, 대학 교육과정 개선의 필요성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현장 중심 교육의 비중을 높이고, 전공분야의 최신 문제와 이론을 반영한 중장기적 전략에 따른 교육과정으로 개편되어야 한다고 주장되고 있다. 셋째, 대학 교육과정 개선의 방향은 “현장중심 수업”, “졸업 후 갖추어야 할 능력 중심”, “학생의 특성, 선호도, 기초학습 능력 우선고려”, “통합된 교육경험 제공” 등으로 요약된다. College curriculum must be followed educational goals set by each college, but the curriculum must als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mands of the academic world, their students, and the society the colleges are to serve ultimately. Thus in this research, an analysis of demand from three different groups - that is, professors group as executers of college education, students group as its recipients, and active school teachers group as its practicers - was carried on in three different aspects: the degree of satisfaction toward college curriculum, the necessity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s of it.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imate the current college curriculum and then propose a new direction for reconstructing it in college of education. Outcom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the degrees of satisfaction toward college curriculum were generally low. Among them the professor group showed the lowest in average, and the student group showed the highest. Second, there was a strong demand for improving current college curriculum. In today\ s knowledge-based society, universities are ought to give their students more opportunities in the active field, and their curriculum should answer the changes of times and environment and reflect the latest issues and theories in every discipline. Third, for the improvement of college curriculum, matters such as \ the change of times and society,\ \ characteristic and traits of individual students,\ and \ emphasis on academic system\ were mentioned as the priorities to be considered. And a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 field oriented courses\ , \ emphasis on developing skills required after graduation\ , \ priorities in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of students with fundamental studies\ and \ experiencing integrated education\ were pointed out.

      • KCI등재

        현직교사 연수과정에서 영화 활용 수업이 학습동기 및 학습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승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8

        이 연구는 현직 교원 연수과정에서 학교 교육현장과 관련한 영화 활용 수업이 교사들의 학습동기 및 학습효과성에 어느 정도의 긍정적 효과를 보이는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대학에서 수행되는 현직교원 연수과정은 일반적으로 교수자의 강의중심으로 진행되며 따라서 학습자들의 활발한 참여가 부족하다고 지적되고 있다는 점에서 학교 교육현장과 관련한 교육용 영화를 연수과정에 활용하면 연수생들의 학습동기를 활성화하여 결과적으로 학습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영화는 비록 어느 정도의 허구적 요소를 지니고 있기는 하지만 관객들이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를 지니고 있으며, 이 스토리 속에서 등장하는 캐릭터들이 만들어가는 이야기들은 곧 관객 자신 및 자기 주변의 이야기로 받아들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교육용 영화 활용 수업은 교사들이 학교에서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구체적 상황을 영화로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현장 교사들의 학습동기 및 학습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간주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how film based instruction effect o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effectiveness in the in-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 It was expected that teachers' learning motivation and engagement would be improved when they participated in the classes of film based instruction. Because, film based instruction tend to increase the observers’ learning motivation and effectiveness in the sense of that it represent their daily teaching experiences. The films used for this study were 5 educational films as ‘Black’, ‘The School of Rock’, ‘Freedom Writers’, ‘Detachment’, and ‘Whiplash’. All of these films were edited according to the study time of 30 minutes. After watching the films the students were asked to construct 3 types of works based on Howard Gardner’s the Art Propel(analyizing structures of scenarios and characteristics, making sense map). The result showed that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effectiveness scores were improved after film based instruction and the differences of learning motivation and effectiveness scores between two groups were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