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녀 대학생의 음주 문제 위험요인:사회 인지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의 역할

        한소영,이민규,신희천 한국상담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음주와 관련된 위험 요인들의 음주 문제와 음주량에 미치는 영향이 대학생 집단에서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기존 연구에서 대학생의 음주 문제를 잘 설명하는 위험 요인으로 나타난 모델링, 음주에 대한 결과 기대, 우울과 불안을 ‘사회 인지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이들이 양적 음주와 음주 문제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구조 방정식 모델링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남녀 집단 모두에서 정서적 요인이 음주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경로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연구 모델의 적합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대학생의 경우 사회 인지적 요인은 양적 음주와 음주 문제 모두에 유의미한 직접적인 경로를 가지고 있었으며 양적 음주가 음주 문제를 설명하는 직접적인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여자 대학생의 경우 사회 인지적 요인은 양적음주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음주 문제에 영향을 주는 간접적인 경로만 유의하였다. 즉, 남자 대학생은 음주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 또래 및 가족들의 모델링이 음주 문제에 큰 영향을 주며, 여자 대학생은 양적 음주가 음주 문제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 등을 논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risk factors on alcohol consumption and drinking problem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fitness of a model composed of social cognitive factors and emotional factors such as family modeling, peer modeling, cognitive outcome expectancy, depression and anxiety, and also to identify the best model for male and female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model of male group, social cognitive factors significantly predicted alcohol consumption and drinking problems. However, the direct path from alcohol consumption to drinking problem was not significant, which indicated alcohol consumption was not definitely indicative of drinking problems for male group. In the model of female group, social cognitive factors significantly predicted alcohol consumption, but not drinking problems. Furthermore, alcohol consumption mediated the effect of social cognitive factors on drinking problems. Emotional factors predicted drinking problems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future directions of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서울시 도시공원의 장소적 재현 - 기념성, 상징성, 장소기억을 중심으로 -

        한소영,조경진,Han, So-Young,Zoh, Kyung-Jin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2

        본 연구는 근대에 조성되기 시작한 서울의 도시공원의 조성과 관련한 제 전반의 사항들이 어떤 흐름으로 변화해왔는지를 고찰하기 위함을 주요 목적에 두고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개방 이후 조성된 서울의 대부분 공원들이 다양한 형태의 기념성,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거나 혹은 장소 자체 기억을 재현할 것이라는 가설을 전제하고 연구를 착수하였다. 공원 내 상징성, 기념성, 장소기억의 물리적 혹은 비 물리적 요소들의 재현양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 내 기념성 및 상징성이 물리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 기념비, 동상 등의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이는 공원의 조성 목적이 기념공원에 부합하는 경우 좀 더 적극적인 형태로 기념비적 요소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그 이외의 경우는 공원 전체의 개념과는 관계없이 국가에서 임의로 지정한 상징성을 띠는 조각물이나 동상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장소기억의 경우, 과거에는 기념성이나 상징성 구현 방법과 같이 동상이나 일부 건조물 등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일정 시기 장소기억을 공원 전체에 조화시키는 양상을 띠기 시작한다. 둘째, 비 물리적 재현요소들의 경우 공원 명칭에서 기념성 및 상징성을 드러내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 들어서는 명칭에서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경우는 많이 약화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공원의 부분 장소 명칭에서 장소기억과 관련하여 지어지는 경우가 많아졌다. 공원 내에서 벌어지는 이벤트의 경우, 탑골공원 등 개방 초기 조성된 공원들에서 일부 당시의 시대 상황을 기념하기 위해 설정된 경우 등이 있었다. 장소기억이 강조되어 최근 조성된 공원들의 경우 이와 관련하기 보다는 다양한 형태로 시민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가장 큰 목적에 두고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lace representation i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urban parks in Seoul, which bega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 order to grasp place representation,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hat most urban parks are undertaken with the idea of monumentality and symbolism or memories of the place itself. Diverse ways of representation through physical or non-physical aspects of symbolism, monumentality, and place memor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physical aspects of representation in the parks, monumentality and symbolism are expressed mostly through monuments or statues. In the case that the intention of the park is commemorative, celebrative elements are more actively utilized. In other cases, symbolic sculptures or statues, which are randomly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are so often used regardless of the overarching concept of the urban park. In addition, in the case of place memory, monumentality or symbolism are commonly represented through bronze statues or partial remnants of the past. Recently, however, the site in itself has been constructed to coordinate the memories of a certain place into the configuration of the park. Secondly, in relation to the non-physical representation elements, many urban parks tend to reveal monumentality or symbolism through the names they are given. Recently, this tendency has significantly dropped, but some places of parksare frequently denominated in consideration of place memory. In the case of events held in parks, parks which were constructed in the beginning of the park movement, such as Tapgol Park, hold certain events to commemorate certain causes that took place in those days. On the other hand, the main purpose of recently-constructed urban parks relating to place memory is to encourage citizens to participate in events in a variety of ways.

      • KCI등재

        경험디자인을 위한 물놀이 튜브의 사용자 경험 유형 연구

        한소영,고정욱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7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1 No.4

        User experience design is an important methodology for increasing the experience satisfaction of users through user observation. Furthermore, in current times when the use of SNS is on the rapid increase, online information can be actively utilized as the practical data for experience design. Among the 2017 SNS proof photos, the tubes for water play gained a great deal of attention as a summer holiday related post. In light of this background, we are going to propose a design direction to improve the experience satisfaction level of users by analyzing the experience of water play tube user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evious research to achieve this end, it was identified that most of the studies were on "prediction-oriented experience measurement method," which is carried out in design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measurement of the final result of user experience and proceeded with three steps. First of all, we investigated the market growth and product types of water play tubes and selected samples based on sales volume and news articles. Second, after the 1st gathering of 100 representative samples by analyzing the online reviews which is the result of the user experience after using water play tubes, the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KJ method involving the participation of expert groups. Third, the data was visualized by conducting the frequency analysis of approximately 1,000 review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user experiences were analyzed into "purchasing experience," "playing experience," "maintenance and management experience" and "other experience." "Purchasing experience" and "playing experience" were shown to be a positive experience in many cases, and "experience before playing among the playing experience groups" and "maintenance and management experience" were shown to be a negative experience in many cases. In detail, the frequency of "user visual experience" was shown to be highest, and therefore it could be found that visual differentiation and aesthetics are the most important design factors for the design of water play tube. Thes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fully utilized as a tube design creation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water playing experience satisfaction. 경험디자인은 사용자관찰을 통해 사용자의 경험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방법론이다. 또한 SNS(Social Network Service)사용이 급증하는 현시대에 온라인 정보는 경험디자인을 위한 실질적인 자료로써 적극 활용될 수 있다. 2017년 SNS인증사진 중 여름휴가 연관 게시물로 물놀이튜브가 높은 주목을 받았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 물놀이 튜브사용자 경험을 분석하여 경험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디자인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선행연구 고찰 결과 대다수 연구가 디자인 과정상에 실시하는 “예측을 위한 경험 측정방법” 연구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반면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의 최종 결과측정에 중점을 두어 3단계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물놀이튜브의 시장신장세와 제품종류를 조사하여 판매량과 언론기사를 토대로 표본을 선정하였다. 둘째, 물놀이 튜브 사용 후 사용자경험의 결과인 온라인리뷰를 분석하여 100개의 대표 표본을 1차 취합한 후 전문가집단이 참여한 KJ기법을 통해 경험유형의 군집화 분석을 하였다. 셋째, 약1,000개 리뷰를 빈도 분석하여 데이터를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 분석된 사용자경험은 크게 “구매경험”, “놀이경험”, “유지 및 관리경험”, “기타경험”으로 분석되었다. “구매경험”과 “놀이경험”은 긍정적인 경험으로 많이 나타났으며, “놀이경험 그룹 중 놀이 전 경험”과 “유지 및 관리경험”은 부정적 경험으로 많이 나타났다. 세부항목으로 “사용자 시각적 경험” 빈도가 가장 많이 나타나 물놀이 튜브 다자인은 시각적 차별성과 심미성이 가장 중요한 디자인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물놀이 경험만족도 향상을 위한 튜브 디자인 창출 방법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경험과 상담성과에 대한 질적 연구

        한소영,신희천 한국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2 No.4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exploring and identifying how cli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satisfaction was associated with counseling outcome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Authors investigated experiences relating to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in the counseling process from ten clients showing successful counseling outcome by employ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Results showed that clients experienced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in various ways, and counselors' needs support interventions suggested by SDT effectively influenced clients’ needs satisfaction. Clients reported that experiencing needs satisfaction led positive counseling outcome and was a positive counseling outcome per se.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along with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이론에 바탕을 두고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경험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경험에 어떤 요인이 영향을 주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상담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성공적 상담성과를 보인 10명의 내담자의 경험을 심층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내담자들은 상담과정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과 불만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결정이론에서 제안하는 욕구 지지 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 가지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이 상호작용하며 욕구 만족 경험에 서로 영향 미치는 양상을 보였다. 내담자들은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경험이 상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았으며,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특히 자율성과 유능감 만족 경험 자체가 상담성과라고 응답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임상적 의의를 비롯하여,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하였다.

      • KCI등재

        커피찌꺼기의 열분해 반응속도 및 급속열분해를 이용한 바이오원유 제조에 관한 연구

        한소영,최연석,최상규,김석준,정연우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33 No.8

        Converting biomass to biocrude oil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worldwide as a renewable energy technology and a solution to global warming caused by overuse of fossil fuels because it is a carbon neutral fuel that originates from biomass and, thus, could help prevent climate change. Fast pyrolysis is an effective technology for producing biocrude-oil, and woody biomass is usually used as feedstock.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with this feedstock, high production cost and low higher heating value (HHV) have frequently reported as challenging barriers to commercialization. Thus, coffee ground residue was selected as an alternative feedstock to overcome this barrier due to its higher HHV than other biomasses, as well as an expected improvement in the recycling rate of organic waste from many coffee shops. A kinetic study on the thermal decomposition reaction of ground coffee residue was carried out previously to investigate pyrolysis characteristics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its kinetic parameters were studied using two calculation models. A bubbling-fluidized-bed reactor was used for fast pyrolysis and the yield and characteristics of the biocrudeoil from ground coffee residue were investigated at reaction temperatures of 400-600°C. The activation energy of the decomposition reaction was calculated separately to be 41.57 kJ/mol and 44.01-350.20 kJ/mol with the above two methods. The highest biocrude-oil content was about 51.7wt% at 550°C.

      • KCI우수등재

        공원복지 역할 및 이념 전개 양상에 관한 연구

        한소영,조한솔,조경진,Han, So-Young,Cho, Han-Sol,Zoh, Kyung-Ji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1

        본 연구는 공원이 과거에서부터 시민들에게 꾸준히 혜택을 주고 있는 복지이념 수행의 장이었다는 것을 전제로, 그 실체는 무엇이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그 역할을 수행해 왔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서부터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복지수단으로서의 공원역할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찾아보고, 공원복지에서 논의되고 있는 이념은 사회복지 이념과의 어떤 차별성을 띠는지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공원 발달 과정에 있어 공원이 제공하는 복지혜택이 어떻게 변모되어 왔는지를 조망해 보고자 공원의 발전 과정에 따라 시기를 구분하고, 각 시기별 사회적인 상황과 맞물려 공원이 시민들을 대상으로 제공한 복지 기능의 역할 및 형태를 살펴보았다.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공원복지 기능 및 요소의 전개과정에 따라 그 근간이 된 이념의 특성과 전개양상을 찾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제까지 공원이 수행한 공원복지 기능은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치료적(remedial) 기능으로, 이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직접적인 원호, 육성, 갱생에 기여하는 직접적 서비스 기능이다. 둘째, 예방적(preventive)기능으로, 이는 개인과 가정, 집단 그리고 지역사회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부여된 공원복지 기능이다. 셋째, 개발적(developmental)기능으로, 이는 공원이 사회발전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도록 변화촉진체계로 기능함을 말한다. 공원복지 수혜 계층과 수혜 혜택의 질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첫째, 공원복지 대상이 빈민계층에서 일반국민으로 대상이 넓어졌으며, 공원의 혜택을 받는 실제 이용계층 역시 특수계층에서 일반 대중으로 평준화되고 있다. 둘째, 공원복지의 의미가 자전적 형태에서 인간의 기본적 권리로 이동되었다. 셋째, 공원복지의 목적이 최저조건(minimal condition)을 제공하는 것에서 최적의 조건(optimal condition)을 제공하는 것으로 바뀌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원복지이념은 초창기에는 이념적 특성에만 그치는 자전적 성향이 컸으나, 시간이 흐르며 다양한 사회적 요구와 함께 여러 사회적 이점을 만들면서 적극적인 복지이념을 발현하는 장이 되었다. 더불어 현 세대 공원과 복지는 참여와 삶의 보편적 웰빙을 위한 접점에 놓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원 복지이념과 실천이 어떻게 연결되어 왔는지에 대한 고찰과 함께, 복지혜택을 제공하는 측면에서의 공원의 의미와 가치를 제고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 다양한 공원의 역할, 가치 및 이념을 조망하는 연구의 선례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Under the premise that parks have been a performing field of welfare ideology that benefits the citizen from the past, the present study began with a basic question on what substance a park has and how it has worked.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theoretic background that can explain the roles of a park as an instrument for welfare, of which topic is currently being discussed, and examine how the ideology in the debate regarding welfare characteristics of parks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social welfare. In addition, this study divide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parks defined by Galen Cranz in an attempt to view how welfare benefits offered by parks have changed in their development and looked into the roles and types of welfare functions that parks provided to the citizens under a certain social situation by period.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the ideology underlying a welfare park were examined by function and element in its pro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unctions that parks have performed so far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y have a remedial function. Parks have given direct services to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relief, fostering, and rehabilitation. Second, parks have played a preventive function. They aim to reinforce the functions of individual, family, group, and community. Third, they have exerted a developmental function. They function to promote change of society in a way for it to contribute to social development. Looking into the roles and functions of parks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beneficiary class and benefits, the following were discovered. First, the beneficiaries of welfare characteristics in parks have expanded to the general public from the poor class, and the benefits of parks have spread into the public including the underprivileged in a real sense. Second, the significance of welfare characteristics in parks has also changed from literal benefits to caring for basic human rights. Third, the purpose of welfare characteristics in parks has changed from providing minimal conditions to optimal conditions. At its beginning, the ideology of welfare in parks remained ideal, confining itself to their idealistic characteristics; but as time went on, they created several social benefits in response to various social demands, developing into a field where welfare ideology manifests and is realized in an active manner. Furthermore, it was witnessed that the parks and welfare of the present times are standing at the point of contact for participation and universal well-being. The present study reconsidered the meaning and value of parks from perspective of them as a provider of welfare benefits as well as examined how the welfare ideology of parks is connected to practice. By doing so, this study discovered the various roles, values, and ideology that parks should bear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good example for future research related to the topic.

      • KCI등재

        Comparative Study of Upper Limb Function according to Sensory Feedback Training Combine with 1 Hz Low-Frequency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in Patients with Stroke

        한소영,양병일 대한신경치료학회 2023 신경치료 Vol.2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upper limb function and hand dexterity on group with sensory feedback training after 1 Hz LF-rTMS and group with sensory feedback training after sham LF-rTMS of stroke patient.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June 2021 on 24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who satisfied the selection criteria.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to which sensory feedback training was applied after 1 Hz LF-rTMS and a control group to which sensory feedback training was applied after sham rTMS, and the intervention was applied 3 times a week, 40 minutes a day, for a total of 4 week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upper extremity function was evaluated in MFT and hand dexterity was evaluated in BBT. Results Upper limb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ontrol group (p >.05). Hand dexterity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1)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ontrol group (p>.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pper limb function and hand dexterity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s (p>.05). Conclusion The large mean change after sensory feedback training in the 1Hz LF-rTMS intervention group suggests that TMS-based sensory therapy is more effective than the sham TMS group in which only sensory training was performed.

      • KCI등재

        ICT기반 기지국 안테나 창조적 융복합 모델에 관한 연구

        한소영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CT environment-friendly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tenna model and to present future strategies. Wireless installation facilities increased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 expansion, and indiscriminate installation of base stations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Thus this research analyzes the current problems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s and successful eco-friendly instances. After considering construction policies of successful foreign base stations, domestic eco-friendly mobile communication maintenance policies, and applicable new-regeneration energy industries and possible ways of convergence, an expected result was proposed accordingly. It has been interpreted that the identification process of potential future technologies made it possible to grasp the upper hand in market shares and intel properties. It proposed a future strategic road map for base station antenna, with IP convergence process based on the patent and design strategy. This may be the instructions to establish the policie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futur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tenna. 본 연구의 목적은 ICT기반 친환경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 모델을 제시하고 미래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다양한 통신서비스 확장에 따라 무선설비의 설치가 급증하게 되었고 무분별한 기지국 설치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환경 친화적 이동통신 기지국 사례조사를 분석하였다. 선진 외국의 기지국 건설을 위한 정책과 국내 친환경 이동통신 기지국 정비 정책의 실황, 적용 가능한 신재생에너지산업의 동향을 파악하고 융복합 디자인 전략에 따른 기대효과를 제시하였다. 미래유망기술 도출 프로세스 적용에 따라 지식재산권 확보와 시장에서의 효과적인 경쟁우위 선점이 가능하다고 파악하였다. 이동통신기지국 안테나와 특허의 융복합을 통한 지재권 융복합 프로세스 및 디자인 전략으로 향후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미래 전략 로드맵을 제시하였고, 이는 향후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정책 및 미래 방향을 수립하는데 지침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우수등재

        연구보안제도 개선을 위한 비교탐색적 연구: 미국의 연구보안 사례를 중심으로

        한소영,장항배 한국전자거래학회 2022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7 No.1

        미국과 중국의 기술패권 전쟁이 전개되고 연구개발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세계 각국은 연구개발 투자를 증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정부 및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규모가 매년 꾸준하게 증가하였으며, 창조형 기술개발의 방향으로 전환되며 다양한 분야에서 첨단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예산과 시간, 노력이 투입된 국내의 첨단 핵심 기술이 해외로 불법 유출되는 사례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연구보안은 이처럼 연구환경에 존재하는 보호대상을 유출 및 탈취 등의 위험요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활동으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 등 각국에서 연구보안을 위한 법령 및 제도를 정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보안제도의 개선을 위해, 전 세계 연구개발비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구보안정책 및 법령의 정비를 위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미국의 연구보안 사례를 중점으로 우리나라의 연구보안 정책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As the technology hegemony war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develops and the importance of R&D increases,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increasing their R&D investment. In Korea, the size of R&D investment by the government and companies has steadily increased every year, and cutting-edge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fields as it shifts to the direction of creative technology development. However,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high-tech core technologies in Korea, which have invested a lot of budget, time, and effort, are illegally leaked overseas is also steadily increasing. Research security is an activity to safely protect protected objects in the research environment from risk factors such as leakage and deodorization, and laws and systems for research security are being reorganiz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United States and other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 this paper we aims to derive Korea’s research security policy direction, focusing on US research security cases which ranks first in R&D expenses around the world to improve the R&D system and actively discusses R&D policies and la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