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lass ceiling in video games: Unequal gender status in Pokémon Series

        한석희,Han, Sukhee Korea Game Society 2017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7 No.6

        본 연구는 포켓몬 시리즈의 남성/남성 지배 포켓몬들과 여성/여성 지배 포켓몬들의 특징을 분석하면서 포켓몬 시리즈의 성 지위에 대해 탐구한다. 1세대부터 8세대까지 802의 포켓몬 캐릭터가 존재한다. 각 포켓몬들은 태어날 때 다른 성 비율을 지니고 있다: 하나의 포켓몬은 남성, 여성, 동등, 무성의 "확률"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를 이러한 포켓몬들은 3가지 기준으로 분석 한다: 1) 출연 빈도 2) 능력 3) 종류의 다양성, 그리고 이것을 성별의 기준으로 비교한다. 포켓몬 시리즈는 다른 비디오 게임과 다르게 다양한 캐릭터들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이는 사람들이 비디오 게임 캐릭터들의 성 지위를 보다 깊고 의미 있게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This study explores the gender status of $Pok{\acute{e}}mon$ Series by analyzing the aspects of male/male-dominated $Pok{\acute{e}}mons$ and female/female-dominated $Pok{\acute{e}}mons$. Counting from the First Generation to the Seventh Generation $Pok{\acute{e}}mon$, there are 802 characters. Each $Pok{\acute{e}}mon$ has different gender ratio; the one $Pok{\acute{e}}mon$ could have more "possibility" to become male, female, equal, or genderless when he/she is born. This study examines those $Pok{\acute{e}}mons$ in three criteria: 1) Frequency 2) Stats 3) Diversification of Type, and it compares them based on their gender. $Pok{\acute{e}}mon$ Series is different than other video games as it provides many characters ($Pok{\acute{e}}mons$). Thus, it helps the audience to view the gender status of video game characters more closely and meaningfully.

      • KCI등재

        대전액션게임에서 나타나는 여성 캐릭터들의 지위 분석

        한석희(Sukhee Han) 한국게임학회 2016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6 No.5

        본 연구는 여러 가지 대전액션게임들에서 나타난 여성 캐릭터들의 지위를 분석한다. 2016년7월 15일부터 17일까지 미국 Las Vegas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대전액션게임 대회 EVO 2016 이 개최 되었다. EVO 2016에서 9개의 대전액션게임들이 경쟁을 위해 선택 되었는데, 본 연구는게임들에서 나타나는 여성 캐릭터들의 지위를 1) 출현 빈도 2) 능력의 2가지 기준으로 탐구한다. 대전액션게임에서 여성 캐릭터들이 남성 캐릭터들에 비해 어떠한 차이를 지니고 있는지를분석 한 뒤, 가상 세계에서 나타나는 여성 캐릭터들의 지위와 인권에 대해서 생각해 본다.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of female characters in several fighting action games. From July 15 to 17, 2016, the world-famous fighting action game tournament EVO 2016 was held in Las Vegas, Nevada. In this tournament, nine fighting action games were selected for competition, and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female characters on the basis of 1) Appearance 2) Ability in these fighting actions games. After doing comparison between female characters and male characters in the fighting action game, it reflects on the status and right of female characters in the virtual world.

      • KCI등재

        오버워치 루트 박스 시스템 분석

        한석희(Sukhee Han) 한국게임학회 2018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는 미국의 블리자드社의 FPS 장르 게임 Overwatch의 루트 박스(Loot Box)의 구조를 탐구한다. 현재 최근 게임 산업 가장 큰 논란거리 중 하나는 게임 유저들이 고성능의 게임 아이템을 복권 형식으로 구입하는 “확률형 아이템”이다. 본 연구는 확률형 아이템과 비슷한 해외의 루트박스 사례를 다각적으로 탐구하여, 어떠한 구조를 지니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법적인 해석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루트 박스 시스템의 장단점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국내의 확률형 아이템 문제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system of Loot Box in Overwatch, FPS genre game produced by an American company Blizzard. Currently,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the recent industry is “Probability-Type Item” that game users purchase high-end game items as a form of lottery. As this study examines a foreign case of Loot Box that is similar to Probability-Type Item, it would show how it is constructed and does legal approaches. Throughout this, it not only analyzes pros and cons of the Loot Box system, but also provides thought-provoking messages for the issue of the Probability-Type Item.

      • KCI등재

        동아시아공동체 형성과 중국의 인식

        한석희(Sukhee HAN),강택구(Taek Goo KANG) 한국정치학회 2009 한국정치학회보 Vol.43 No.1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중국이 동아시아공동체라는 이슈를 어떻게 인식하고 또 어떤 형태의 동아시아공동체를 구상하고 있는지를 살펴본 후, 동아시아공동체 형성을 위해 2005년 이후 동아시아정상 회의(EAS)에서 중국이 취한 정책을 검토함으로써 동아시아공동체 형성에 대한 중국의 의도를 파악해 보려는 데 있다. 중국이 인식하고 있는 동아시아란 아세안 10개 국가와 한ㆍ중ㆍ일 3개 국가이며 이들 지역을 대상으로 자신의 전략적 목표인 ‘조화세계’를 이룩하고 자국의 이미지를 제고하면서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동아시아공동체 형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2005년 제1차 EAS 개최 이후 중국은 역내 자신의 영향력을 제고하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EAS에 대한 기존의 적극적인 입장에서 소극적 입장으로 돌아섰다. 회의 내용 역시 에너지와 기후변화의 이슈를 논의하는 방향으로 입장을 전환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기본적인 외교정책이 ‘인접국가와의 선린 및 동반자관계’와 ‘중국위협론’ 완화라는 점에서 중국이 미국을 비롯한 관련 국가들과 마찰을 일으키는 정책을 주도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할 수 있다.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bserve how China views the issue of East Asian community and what form of East Asian community China envisions, and then review policies that China has chosen to create an East Asian community after the 2005 East Asia Summit (EAS), which would reveal China’s intentions on the creation of a East Asian community. In China’s eyes, the concept of East Asia only includes the 10 ASEAN members and Korea, Japan and China, and China is actively pursuing the creation of an East Asian community in order to achieve its strategic goal of “Harmonious world,” improve its image and achieve sustainable economic growth. After holding the first EAS in 2005, China consider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promote its influence in the region and shifted from an active to passive stance on the EAS. The topics of the meeting were also modified into discussing energy and climate change issues. Despite such changes, in the light that China’s basic foreign policy is to keep friendship and partnership relation with neighboring states and appeasing “China threat theory” it can be predicted that China will not push a policy that will lead to clashing with related states such as the U.S.

      • KCI등재

        미국의 대중(對中)압박에 대한 중국의 대응

        한석희(Han Sukhee)(韓碩熙)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20 신아세아 Vol.27 No.3

        2018년 미·중 무역전쟁이 시작된 이후 미국의 중국에 대한 경제·외교·군사적 압박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은 2020년 1월 15일 제1단계 합의(Phase I)에 성공함으로써 3년간 지속되었던 무역전쟁을 일단락 짓는 듯 보였으나 생각지도 않았던 코로나19의 확산과 중국의 홍콩보안법(香港国安法) 통과로 양국관계는 새로운 냉전의 단계로 진입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으며, 점차 갈등의 강도와 범위가 심화되는 형국이다. 그러나 중국은 미국의 지속적인 압박에 별다른 대응수단이 없고 또 시진핑의 정치적 정당성의 부족으로 미국에 대한 강도 높은 저항을 해야 하는 처지에 놓여있다. 결국 중국은 미국과의 타협보다는 자력갱생을 중심으로 내수 진작 및 자급자족 형태의 경제운용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버티기는 오래갈 수 없으며 일단 11월 미국대선 이후 중국의 대미정책은 변화할 가능성이 높다. Since the start of their trade war in 2018, US economic, diplomatic and military pressure on China has intensified. Although they successfully concluded a Phase 1 trade deal, the COVID-19 pandemic and China’s implementation of the Hong Kong security law have forced these two countries into a new Cold War. China, having no substantial retaliatory measures against the US, and coupled with Xi Jinping’s weak political legitimacy, has no effective leverage against the US. China’s only option has been a self-reliance policy, but this response is unsustainable over a long time.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on November 3 could give China a chance to change its attitude toward the US.

      • KCI등재

        [特輯/21世紀 中國의 選擇] 中國의 浮上과 東아시아 秩序 變化: 中國 第4世代 指導部의 和平發展戰略을 中心으로

        한석희(HAN Sukhee)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4 신아세아 Vol.11 No.3

        21 세기의 시작과 함께 국제사회의 관심을 끄는 화두는 중국의 부상과 국제질서의 변화이다. 지난 20 년간의 개혁 · 재방 정책으로 중국은 이미 경제 · 외교 · 군사 · 문화 분야에서 상당한 수준의 발전을 이룩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자국의 발전을 가속화해 나갈 전망이 높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국제사회, 특히 중국의 주변 국가들은 나날이 부상하고 있는 중국의 동아시아 지역 질서 및 국제질서에 대한 영향력 증가에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02년 후진타오 체제의 출범과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국가적 지위 향상에 따라 중국은 외교 전략의 변화가 불가피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러한 중국의 새로운 외교 전략이 자국의 안전과 번영에 가져올 영향에 대하여 다 양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胡鎬濤 중심의 중국 제4세대 지도부는 “和平發展”을 중심으로 그들 의 외교 전략을 만들어가고 있다. 和平發展은 중국이 자국의 국력신장에 합당한 지위와 영향력을 확보하고 또한 강대국으로서 합당한 대접을 받기위해 서는 국제사회에 좀 더 협력적이고 평화지향적인 태도를 견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이 개념은 전통적 안보분야에서 중국이 주변국들 과 우호적인 관계를 정립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런 점에서 중국의 周邊政策 또는 陸憐政策의 새로운 외교적 형태라고 볼 수 있다 . 이러한 평화중심의 외교 전략을 증명하는 하나의 중요한 사례가 제 2 차 북한 핵 문제 에 대한 중국의 태도라고 볼 수 있다 . 제 1차 북한 핵 위기와는 달리 중국은 제 2차 핵 문제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해가고 있으며 6 자회담의 중재와 같은 외교적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그러나 和平發展의 다른 한 편에서 중국은 ·‘東北조程” 및 반일감정 표출 과 같은 민족주의적 성향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다 이랴한 중국의 민족주의 적 성향은 중국정부가 공식적인 외교 전략으로 구체화하고 있는 和平發展論 에 대한 주변국들의 신뢰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和平發展論을 제기함으로써 전통적인 안보영역에서 중국의 패권 지향적 의지 및 능력야 없음을 강조해온 중국정부가 비 안보영역에서 주변국과의 갈등관계를 개의치 않고 자국의 위대성과 자부심을 발양하는 데에만 집중하고 있는 모습은 중국에 대한 주변국들의 평가에 상당한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 중국은 강대국으로서의 자국의 이미지 제고에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和平發展論을 제기하였다. 물론 앞으로 상당기간 동안 중국의 대외전략은 和平發展論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겠지만, 중국의 간헐적인 민족주의적 대외 행태는 중국의 강대국으로서의 이미지 형성에 상당한 걸림돌이 될 것이다. With the dawn of the new millennium,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the rise of China and its current and likely future impact on regional and international order. China's rise has been well recognized in the fields of economy, diplomacy, military, and culture, and its growing influence over regional and global settings has been taken for granted by the neighboring countries. Since China has been on the verge of renewing its diplomatic strategy, many neighboring states have interested in China's new diplomatic guideline. In the current leadership of China, Hu Jintao at the center of it, the fourth generation of Chinese leaders are proud of releasing a new concept of diplomatic strategy, called "Peaceful Development." One major definition of peaceful development, referring from Chinese comments, is that China should respect peace and coopera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particular, China, for securing international status and power, should maintain amicable and friendly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in the domain of traditional security. One of the best indicative examples of China's peaceful development is its response to the second North Korean nuclear brinkmanship. In contrast to its response to the first North Korean nuclear crisis in the early 1990s, China now has shown unexpected activeness and seriousness by hosting the "Six-Party Talks." Although China's peaceful development will last for a while as its official diplomatic strategy, it also has some restrictions-especially by China's relentless nationalism. One recent example is China's intentional distortion of Korea's ancient history - Koguryo. China's nationalistic sentiments thrown by a few Chinese soccer fans are another. Both examples point to that fact that Chinese nationalism can seriously tarnish its positive image as a status quo power.

      • KCI등재

        바이든 정부의 출범과 중국의 대미전략

        한석희(Sukhee Han)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21 신아세아 Vol.28 No.2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 이후에도 미중갈등은 지속되고 있다. 바이든 정부의 대중정책은 트럼프 정부에 비해 약화되기는커녕 오히려 더 효율적으로 중국을 공격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대중 강경정책에 대하여 중국은 거시적으로는 2035년까지 미국을 초월하여 세계 최강대국이 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지구전을 계획하고 있다. 즉 현재에는 미국과의 국력격차에 의해서 정면으로 도전할 수는 없지만 반도체의 자급 및 자체적 기술혁신을 궁극적으로 이룩하여 미국과의 경쟁을 유리한 방향으로 이끌고 가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미국의 디커플링으로 반도체 수급에 문제가 생기고 있으며, 자체적인 기술혁신은 아직도 요원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국면에서 한국은 딜레마에 직면하고 있다. 미국의 지속적인 대중압박과 중국의 버티기가 단시일 내에 끝날 것 같지 않고 그 승부도 아직까지는 예상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은 지속적으로 미국과 중국 모두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헤징전략을 지속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실행해왔던 安美經中 중심의 헤징이 아니라 선진기술 도입을 원활하게 하는 安美經美 중심의 헤징을 구사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The Biden administration was inaugurated in January 2021. In contrast to Chinese expectations, the new US government has followed the Trump administration policy and continued to pressure Beijing. Xi Jinping and Chinese leaders have made it clear that they will not give in to Biden’s strategy. China wants to challenge US pressure and pursues overtaking the US until 2023. For this, China is pursuing ‘Self-Reliance’ in the domestic development of semiconductors and other cutting-edge technologies. In this context, Korea has to maintain its hedging strategy, which means Korea has to maintain good relationships with both the US and China. But this tactic does not rely on the US for security and China for the economy, but instead relies on the US for security and the US for the economy. This will enable Korea to secure its defense in cooperation with the US military and guarantee its economic prosperity with US technology.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