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뇌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 청소년을 중심으로

        하태민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뇌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연구1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고, 연구2에서는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뇌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 하였다.청소년기는 신체, 인지, 정서 및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를 경험하게 되고, 청년기와 성인기의 안정된 사회적응양식의 토대를 형성하는 과업이 요구되는 시기이다. 따라서 행복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 심리특성인 심리적 안녕감의향상은 청소년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들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는 많으나 심리적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한편 최근건강, 행복, 평화를 삶의 질의 핵심 개념으로 보고 개인과 사회가 뇌를 활용하여건강, 행복, 평화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뇌교육이 뇌와 교육에 관한 분야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그동안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된 뇌교육프로그램은 뇌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심리적 문제점에 대한 치유와 긍정적 특성을 개발하는데있어서는 의미 있는 성과를 보였으나, 대상과 환경 및 목표를 고려한 체제적 절차모형에 따른 프로그램개발 연구는 미흡하였다. 이에 따라 체제적 절차모형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뇌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이 요구된다.

      • 미·중 군사력 경쟁과 한국 국방정책의 변화

        하태민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article, I will delve into the current military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S) and China and their subsequent effect on the security of the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My aim is to propose the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n South Korea's national defense policy and military strength. After the Cold War, the US has became and maintained the status as the most powerful nation in the world leading the 21st century warfares and international system. The US's hegemony has been built upon its control over international politics, diplomacy and economics, combined with military power covering maritime, air, aerospace and cyber space. However, its severe budget deficit and counterproductive warfare have forced the USinto economic slowdown revealing the limit of US hegemony. Consequently, this has provided a chance for China to be stood out in number of areas in comparison to the US. China had been focusing on its own economic development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US-led international issues even when it was discontented with how the US handled such matters. However, China is now vocally expressing its discords against the US policies and strategies in politics, economics and military. Even though China has publicly denied its' intention to rival the US, it is evident that China has strived to expand its'power base as it has successfully reduced the US's monopolistic influence on a number of areas. North Korea's provocations, previously discussed among North Korea, South Korea and the US, now has China as an additional party and are mainly dealt between the US and China. And it is a new challenge for South Korea, whose national security policy, under the Korea-US Alliance, has been organised around ground forces against North Korea. It is a new challenge for South Korea to deal with North Korea's current and future threats under this new US-China rivalry, which requires changes in a number of areas. After the Korean War, South Korea's national defense policy has been organised around ground forces per the ROK-US Defense Agreement. After establishing ROK-US Combined Forces Command in November 8, 1978, the US and South Korea agreed that for the security of the Korean peninsula, ground forces would be led by South Korean army while air force, navy and advanced intelligence units to be supported by the US. This organisation structure and command and control system have been maintained ever since. The fundamental base of all national security analysis is military power.As such, in this article, I will analyze military's role (and changing military strategies) in the power struggle between the US and China and how that competition affects South Korea's national security. My aim is to provide development directions for South Korea's national defense policy and military power so that South Korea can finally break out from its ground-centric, North-Korea only national defense policy. I have based my study on the theories by Gilpin and Organski. In addition, I have studied US military's role in securing and maintaining hegemony and its military reforming process as well as Chinese military's roles and reforming process. Lastly, I have considered the changes in security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proposed development directions on South Korea's national defense policy. The post Cold War era saw increases in cross-border economic interdependency in The North East Asia region, however competition has not been subdued due to differences in national interests. The US and Japan's concern over China's national power have surfaced and there are many potential elements of conflicts including North Korea's nuclear/missile, national territory,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issues, all of which convinced the concerned parties to pursue the strengthening of military power. Thus, South Korea's security and unification condition are still in a state of uncertainty.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e have realized that national safety is the only element that can guarantee a nation's existence and happiness, and it will continue to do so as long as the international society exists. South Korea should not forget the fact that it had lost the sovereignty repeatedly by neighboring countries due to its geographical disadvantage. Even without the threats from North Korea, potential and/or actual threats always surround South Korea. As the famous Latin quote by Vegitus, "If you want peace, prepare for war", South Korea needs independent and cooperative security capability which enables it to flexibly respond against neighboring countries'military threats. South Korea needs to strengthen its military readiness posture based on advanced weapon system to effectively respond against potential military threats including North Korea. Therefore, South Korea must educate the public to understand that national security budget is not a waste of money but is a productive means to develop the country and enhance national interest. South Korea must strive to be reborn as a trusted and proud military organization. Furthermore, South Korea needs to closely monitor and predict whether the military rivalry between the US and China will result in actual power transition. South Korea must not overlook a rising power and face tragic consequences as it had done repeatedly over the course of its history. To serve this purpose, in-depth analysis on changes in international scenes and the power struggle between the US and China must be conducted. 본 논문은 동북아 지역에서 심화되고 있는 미국과 중국의 군사력 경쟁 현황을 살펴보고, 그것이 한국의 안보(security)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후 한국의 국방정책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탈냉전 이후 미국은 세계 유일 초강대국 지위를 확보하였고, 21세기 국제정치를 주도해오고 있다. 국제관계에서 미국의 주도성은 전 세계의 정치, 외교, 경제 영역에 대한 통제 시스템과 세계적 범위에서 해양, 항공, 우주, 사이버 공간을 통제할 수 있는 군사력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러나 현재 미국은 심각한 재정적자에 직면해 있으며, 이라크, 아프카니스탄 등의 지역에서 장기간의 전쟁수행 등으로 인해 국가경제성장 또한 둔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 결과 미국은 세계 문제해결에서 능력의 한계를 노출하고 있으며, 국제규범을 무시한 전쟁의 일방적인 결정 등은 세계적 리더십을 발휘할 명분을 약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국가능력 및 리더십의 약화는 국제체제에서 중국의 지위를 상대적으로 제고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중국은 개혁개방과 탈냉전 이후 미국과 직접적인 정치·군사적 대결을 피하면서, 경제성장에 집중한다는 전략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2000년대부터 중국은 회피전략에서 벗어나 미국의 대외전략에 적극적으로 맞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전략 변화를 두고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 일각에서는 ‘중국위협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중국은 현재 중국위협론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미국 중심의 국제질서에 대한 도전 자체를 부정하고 있다. 하지만 약화된 미국의 영향력을 대체하면서, 자국의 영향력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중국 전략 변화는 북한 문제에 대한 인식 및 해결방안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추동하고 있다. 과거 북한의 도발과 위협은 북한, 한국, 미국의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는 북한 문제에서 중국의 대북정책, 나아가 한반도 정책이 주요한 변수가 되었으며, 문제 해결 방식에서도 미중관계의 갈등과 협력이 핵심적인 정책 환경으로 자리매김된 것이다. 동북아 지역의 전략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안보 및 국방정책은 냉전 시기에 수립된 한미동맹을 중심으로 한 대북 일변도의 정책을 추구하고 있으며, 지상군 위주 병력 집약형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이것은 1978년 11월 8일 한미연합군사령부 창설 이후 한미군사협의회(MCM) 합의에 의해 결정된 것으로, 한반도 안보에 지상군은 한국군 위주로, 해·공군 및 첨단 정보 전력은 미국이 지원한다는 원칙에 기초한 것이다. 이 기본 원칙은 한국의 최고정책결정자 및 군 지휘부의 의도와 일치되어, 오늘날까지 한국군의 병력 및 지휘구조로 이어져오고 있다. 일반적으로 안보·국방정책 분야 연구에서는 군사력(military power)이 기본적이면서 핵심적인 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 미국과 중국 관계를 동북아 지역, 나아가 세계적 범위에서의 패권경쟁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군사력을 중심으로 한 패권경쟁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미국과 중국의 군사 혁신 및 전략 변화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들이 한국의 안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나아가 현재 지상군 위주의 대북 일변도 국방정책에서 벗어나 새로운 전략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한국 국방정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미중 관계를 길핀(Gilpin)의 패권안정이론(Hegemony Stability Theory)과 오간스키(Organski)의 세력전이이론(Power Transition Theory)에 기초하여 이론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미국과 중국이 패권국의 지위를 유지 또는 확보하고, 세계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데서 군사력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를 논의하고, 현재 미국과 중국은 미래 대비 군사혁신을 어떻게 추진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양국의 국방정책 변화가 한반도 안보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의 국방정책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동북아 지역은 탈냉전에 접어든 이후 역내 국가들 간에 경제적 상호의존성이 급속하게 증대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가들 간의 이해관계 상충으로 인해 경쟁과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중국의 급격한 경제성장과 이에 따른 국력전반의 증강은 미국과 일본의 대중 견제를 표면화시켰으며, 이와 더불어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 영토·자원·환경 등과 같은 다양한 분쟁 요소들이 중첩되면서 동북아 지역 국가들은 안보의 불확실성에 대비하여 군사력 증강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동북아 안보환경은 한국의 통일·안보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미치고 있다. ‘무정부(anarchy)’를 기본 원리로 하는 국제정치에서 생존, 안보의 확보는 국가의 궁극적인 존재 이유가 되었으며, 안보의 절대적, 상대적 우위 확보는 국가전략의 핵심 목표로 받아들여져 왔다. 과거 약소국의 지위에 있었던 한국은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주변 강대국들에 의해 국권이 상실된 역사를 경험한 바 있다. 한국은 현재 약소국의 지위에서는 벗어났지만,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여전히 주변국의 현재적·잠재적 안보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이러한 위협은 북한의 안보위협이 해소된다고 할지라도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평화를 원하거든 전쟁에 대비하라’라는 격언은 이러한 한국의 안보 상황을 고려했을 때 시사 하는 바가 적지 않을 것이다. 한국이 향후 주변국의 안보위협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주적이면서도 협력적인 안보능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먼저 북한뿐만 아니라 잠재적 안보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각 군 간 균형적 발전을 도모하고, 지휘구조를 효율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첨단무기체계에 기초한 군사대비태세 강화가 시급하게 요구된다. 나아가 미중 간의 군사력 경쟁이 과연 세력전이로 귀결될 것인지에 대한 체계적인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이것은 동북아 세력전이에 대한 예측력을 제고하는 것이며, 중국과 같은 신흥 대국에 대한 대비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를 위해서 국제정세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이 필요하며, 향후 동북아 국제환경을 설명하고, 미래를 예측하기 위한 이론적·실증적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한식 프랜차이즈 스토리텔링 광고의 지각된 속성이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음식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하태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토리텔링은 문학, 관광분야를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한식 프랜차이즈 기업들이 스토리텔링을 접목하여 브랜드 및 자사제품을 홍보하는 등 외식산업에도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광고가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 등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토리텔링의 지각된 속성을 이해용이성, 관련성, 정보제공성, 흥미성, 진실성, 차별성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는 20대 이상을 대상으로 534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제안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AMOS 18.0과 SPSS 18.0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스토리텔링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한 결과 정보제공성을 제외한 이해용이성, 관련성, 흥미성, 진실성, 차별성은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이해용이성과 정보제공성을 제외한 관련성, 흥미성, 진실성, 차별성이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광고태도는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태도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소비자의 음식관여도 수준에 따라 스토리텔링의 지각된 속성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관련성, 흥미성, 진실성은 음식관여도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관련성과 흥미성은 음식관여도가 높은 소비자는 낮은 소비자보다 광고태도에 더 높은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고 진실성은 음식관여도가 낮은 소비자에게 보다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이 스토리텔링을 적용하고 광고효과를 이해함에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바이오 센서를 위한 마이크로어레이 ISFET 집적공정개발

        하태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바이오 센서를 위한 마이크로어레이 ISFET 집적공정개발 하 태 민 명지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과 지도교수 홍 상 진 현대 사회의 기술 발전으로 인하여 개인 스스로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현장 실시간 검사 (Point of care test, POCT)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현장 검사는 계측 장비(센서)의 휴대가 간편해야 하며, 이는 센서의 소형화와 저전력을 사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마이크로 어레이 (Micro array) 형태의 바이오 센서는 신호 처리 속도가 빠르고, 소량의 샘플로 판독이 가능하며, 각각의 생체 샘플 신호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반도체 마이크로 공정 제조 기술로 바이오 센서 모듈의 소형화 공정이 가능하여 다른 형태의 바이오 센서와 비교했을 때 가격 경쟁에 유리하다. 선택적 이온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Ion sensitive field effect transistor, ISFET)를 사용한 바이오 센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샘플과 기준 전극의 화학 반응 차이에서 오는 이온의 농도 변화를 계측하여 성분의 특성을 확인하며, 다양한 형태의 멤브레인 (Membrane) 조합으로 바이오 분야 이외에 환경, 군사 분야에서도 각광받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 어레이 형태의 센서 배치는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하면서도 계측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혈액 성분의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바이오 센서 프레임 제작 집적공정 안정화를 목표로 가로 6.55 ㎜, 세로 4.55 ㎜ 크기의 모듈에 여섯 개의 ISFET, 세 개의 MOSFET, 하나의 기준 전극, 온도 보상을 위한 다이오드와 전도성 보상용 전극 센서를 마이크로어레이 형태로 배치하였다. 특히, 생산 수율과 가격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6 인치 웨이퍼 기반의 반도체 마이크로 공정 기술을 적용하였고 바이오 센서의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각 단위 공정 및 연속 공정에서 발생하는 공정 불량을 확인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연구용 반도체 공정 장비의 레시피 안정화를 통하여 해결하였다. 제작된 바이오 센서 프레임의 완성도를 확인하기 위해 멤브레인이 사용되지 않는 pH 센서의 동작 특성을 평가하였고, 이를 위하여 60㎷/pH의 계측 정밀도를 가지는 테스트 회로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바이오 센서 프레임의 완성도를 확인한 결과로 제조 공정의 생산 수율은 79.2%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안정된 집적공정 레시피가 확보되었다. 제작된 바이오 센서 모듈과 시제품에서 계측된 값을 비교한 개별적인 특성 평가의 결과는 pH 값의 민감도 (pH resolution) 특성 수율이 80%, 온도에 대한 민감도 (Temperature resolution) 특성 수율이 92%, 장시간 사용에 대한 안정성 (Stability) 특성 수율이 81%, 포화 전류 특성 (I-V characteristic)에 대한 특성 수율이 90% 그리고 응답 속도 (Response time)에 대한 특성 수율이 90%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혈액 측정용 바이오 센서가 가져야 할 개별적인 특성에 대하여 각각 80% 정도의 특성 평가된 수율이 확인되는 이유는 바이오 센서 연속 집적공정을 통해 제작된 프레임의 완성도가 센서의 특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하였다. 본 학위청구논문 연구 목표인 바이오 센서 프레임 제작 집적공정 안정화와 최적화 과정을 통하여 단위 공정 안정화와 연속 공정 시의 재연성을 확보하였으며, 테스트 보드 제작 과정을 통하여 센서별로 다른 입력 신호를 소프트웨어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이루어졌다. 주제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마이크로 센서 어레이, 반도체 마이크로 공정기술, 현장 실시간 검사. Fabrication of Micro-arrayed ISFET for Bio-Sensors Ha Taemin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Hong Sangjeen Along with the rapid changes in technology, automation, robotics, and economic, the healthcare environment accelerate the changes, and it is no wonder that point-of-care-testing (POCT) give rise to a paradigm shift. From a vantage point of POCT as portable and low consumed power, semiconductor micro manufacturing technology is needed in this area. Micro array bio chips bring speed, parallelism, complexity and redundancy, low cost, and integrated intelligence. These attributes are due to the massively parallel manufacturing of miniature system allowed by micro-fabrication techniques. Micro-fabrication provided much of benefit to make things to be smaller enough and simultaneously. Ion sensitive field effect transistor (ISFET) is basically a chemically activating electronic device for measuring pre-determined ion concentration of a solution in a way of measuring proton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Employing mature semiconductor fabrication technology and integrated circuit technology add the benefit of ISFET based sensor for a potential easiness in use in various environment for realizing advanced sensor technology.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process integration of ISFET based arrayed biosensor consists of 9 channels including reference electrode. The biosensor arrays are fabricated on a 6 inch silicon wafer with 15 photo masks, and individual die size is 6.55 x 4.55 ㎟. Total 18 process modules, including source/drain implanting, gate oxide, signal path, passivation and the forming of electrode, are integrated for the biosensor array platform. With the test circuit constructed for pH measure on chip, it is demonstrated that the basic functionality of the fabricated biosensor array with the sensor reading accuracy in two decimal point of a prepared reference solution with the mixture of buffer solution. As result, used tantalum oxide film as gate oxide, resolution of pH is 60 ㎷/pH on manufactured integrated test circuit and yields of ISFET sensor on semiconductor micro manufacturing for wafer on a chip is total 79.2 % at 2,070 sensor modules. We convinced that the presented platform fabrication technology can lead the development of bio sensor chip application with further investigation of membrane technology for the detection of various matters. Keyword POCT, ISFET, Micro array, Semiconductor micro-fabrication, Wafer on a chip, Membrane, Bio sensor platform.

      • 딥러닝 기반에 PIR 센서를 이용한 상황 인식에 관한 연구

        하태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딥러닝 기술들이 발전·개발되면서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딥러닝 분야가 많은 발전을 이루면서 입력되는 다양한 데이터들에 대한 처리 방법들이 여러 가지 개발되었다. 또한, 입력되는 데이터는 개인의 개발 방향에 따라 특징적인 값들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런 데이터들을 처리하기 위해 입력단의 수정이 꼭 필요한 단계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도 딥러닝을 사용하기에 앞서 센서로 입력이 되는 데이터를 먼저 전처리한 후 딥러닝을 통해 분류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딥러닝에서 사용되는 여러 알고리즘이 있는데 이런 알고리즘 중에서도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시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를 학습하고 분류하며 사용하였다. 또한, 이식률을 높이기 위해 미리 모델을 학습하여 미리 준비된 모델 내에서 분류를 진행하게 된다. 미리 모델을 학습함으로써 컴퓨터의 성능을 중요하게 여기던 딥러닝 기술들을 조금은 가벼운 프로그램으로 변형하여 성능이 낮은 컴퓨터에서도 사용에 무리가 없게 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연구된 내용은 PIR 센서(Pyroelectric Infrared Sensor)를 사용하여 센서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터를 전처리 과정을 거쳐 학습을 진행한다. 전처리 과정은 처음 입력하는 TXT 데이터를 WAV 데이터로 변환하여 작업 처리에 유용하게 변환한다. 이후 1차원(1D: 1D dimension)인 데이터를 2차원(2D: 2D dimension)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며 인식의 성능을 높였다.

      • 도시 공공공간과 환경조형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하태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Urban space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human activities and an environmental factor that has a physical and emotional influence on the residents. For a city which gives citizenship to public space for residents, an urban plan and a basic philosophy based on the convenience, stability, sanitation and pleasantness for the residents should be thoroughly prepar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cent and existing standard examples of environment modeling of urban public space centering on its theories, and functions and values of environment modeling and future urban environment required in living space of urban people.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the meaning of space. And then, functions of modeling in urban public space was examined to diagnose a relation between urban space and environment modeling through historical review of urban environment art and mutual complementary relation between people and natural environment. And then it presented problems about environmental art of urban space and a direction of environmental modeling of future city. This study reviewed a correlation between urban public space and environmental modeling and presented its point of view by referring related research and books. Through such efforts, it confirmed the concept and the meaning of urban space, aesthetic value of urban public space, environmental modeling, and a direction of environmental modeling of urban public space as the most important part of human activities. Large models such as environmental sculpture, modeling or other structures have a function to change existing environment, but before planning,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signboards or street-furniture are objets that form environment. It is expected that environmental models exert their functions, models are mutually harmonized with their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urban public space, and harmony, balance and order in urban public space are achieved, which lead to emotional stability and peace of the residents and people-centered environment through composite models arranged in urban space.

      • 산업정보학교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정체감에 관한 연구 : 서울산업정보학교를 중심으로

        하태민 韓國技術敎育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산업정보학교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정체감이 성별, 계열별, 학과명칭의 구체성의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산업정보학교의 학과개편과 교육과정 개발 그리고 학생들의 효과적인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특별시교육청 산하의 3개 산업정보학교 중 본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서울산업정보학교 재학생 259명(남학생 240명, 여학생 19명)이며,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Holland, Daiger 와Power(1980)가 개발하여 김봉환(1997)이 번안한 진로정체감 검사(MVS)와 Crites(1978)가 개발하여 김현옥(1989)이 번안한 진로성숙도 검사(Career Maturity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기술적 통계방법으로 표본의 특성을 분석하고, 빈도분석과 각 집단별 평균의 차이검증을 위하여 t검증과 분산분석(ANOVA)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남자의 평균 진로성숙도 점수는 72.99(SD=4.71)로 여자의 평균 진로성숙도 점수 70.21(SD=3.24) 보다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3.45, p<.01). 그러나 성별에 따른 진로정체감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남자와 여자의 평균차이(남자 M=7.69, 여자 M=7.79)는 약간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계열에 따른 진로성숙도와 진로정체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평균을 기초로 계열간의 차이를 보면 진로성숙도는 기계계열(M=72.24) > 건축·공예계열(M=71.80) > 전자·통신계열(M=71.70) 순이었으며, 진로정체감은 전자·통신계열(M=8.14) > 기계계열(M=7.99) > 건축·공예계열(M=7.01)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과명칭의 구체성 정도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분산분석을 통한 검증 결과(F=1.93, p>.01) 학과명칭의 구체성에 따른 진로성숙도 평균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진로정체감 점수의 차이 분석에서 실제로 얻어진 F의 값은 .39로 이는 P=.05수준에서 요구되는 F의 값 3.00에 미치지 못하므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진로성숙도 점수와 진로정체감 점수 사이의 상관관계 계수는 .48(p<.01)로 다소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성별에 따른 진로성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나머지 변인(계열별, 학과명칭의 구체성)에 따라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업정보학교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새로운 변인에 대한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인문계에서 직업교육과정을 선택하는 학생들에 대한 진로지도가 절실히 필요하며, 산업정보학교에서도 진로에 대한 갈등이 많은 학생과 진로정체감과 진로성숙도가 낮은 학생들을 위한 개별적이고 특화된 진로지도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areer Maturity and Career Identity of the Seoul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o their gender, course and the specific name of the course. This study was interested to offer the data for effective career guidance to the students and an advice for course re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course. The 259 students were sampled from a Seoul Vocational high school in Seoul, which were randomly sampled. The instrument for study was MVS and CMI(Career Maturity Inventory). MVS was developed by Holland, Daier power(1980) and adapted by Bong-Whan Kim. CMI (Career Maturity Inventory) was developed by Crites(1978) and adapted by Hyen-Hok Kim(1989). For hypothesis and verifi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C^(+). T-test and one 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used to analyse of difference between gender, course and specific name of the course.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 (1) Career Matur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gender(t=3.596, p<.01). But Career Identity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gender. (2) Career Maturity and Career Identity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course. The average of the engine course was scored high in Career Maturity(M=72.24). And in Career Identity of the course the computer course was high relatively(M=8.14). (3) There wasn't any signigicant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and Career Identity with the specific name of the cour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core of Career Identity wa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ANOVA analysis (F<.394). The study of the new various to elevate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and Career Identity should be followed in the Seoul Vocational high school. Above all there is needed the career guidance for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 who would decide to go to the Seoul Vocational high school. Also career guidance method should be developed and conducted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in the Seoul Vocational high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