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 친구의 유・무와 통합캠프 참여에 따른 비장애 청소년의 장애수용태도 및 공감의 차이

        하주현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experiences and disability awareness of non-disabled adolescents, and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s and empathy scores due to the experience of having disabled friends and participation in integrated camp. Forty-two teenagers who attended the integrated disability and non-disability camp at K university in N city, Chungcheongnam-do were surveyed for interaction experience with the disabled,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test, empathy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enagers had a lot of contact experiences with the disabled, and when a disabled friend encountered a difficult task, there was a higher percentage of them willing to help indirectly rather than directly.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adolescents'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abled friend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empathy. Third, the head of youth according to the integrated program of disability and non-disability. It can be seen that the experience of having the disabled friends or participating in integrated camps not only improves emotional empathy of non-disabled adolescents, but also partially affects the attitude of disability acceptance.

      • KCI등재

        탄소나노튜브 표면 처리 실험실 종사자의 공기중 나노입자 노출에 관한 연구

        하주현,신용철,이승철,김부욱,최병순,강동묵,백남원,Ha, Ju-Hyun,Shin, Yong-Chul,Lee, Seung-Chul,Paik, Samuel Y.,Kim, Boo-Wook,Choi, Byung-Soon,Kang, Dong-Mug,Paik, Nam-Won 한국환경보건학회 2010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6 No.5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laboratory workers' exposures to airborne nanoparticles at a university laboratory where acid treatm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e surfaces of engineered carbon nanotubes (CNTs). The surface area concentrations, number concentrations, and mass concentrations of airborne nanoparticles were measured at personal breathing zones (PBZs) for various tasks using direct reading instruments. For all three metrics, airborne nanoparticle concentrations during the experiments were higher than background level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s for all three metrics. Among the various tasks that were performed as part of these experiments, one task that involved filtering a mixture of acid and CNTs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in all three metrics, with concentrations of $116.6\;{\mu}m^2$/cc, 24320 pt/cc, and $9.0\;{\mu}g/m^3$, respectively. Nanoparticle surface area concentrations measured at a representative area fluctuated with those at the PBZs in the laboratory. This result indicates that nanoparticles generated during the experiments were not just limited to the PBZs of the workers but were also present throughout the room, potentially exposing co-located workers. CNTs were detected by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in an air sample collected while handling the CNTs. All the tasks were performed inside fume hoods, with the sliding sashes open to their required heights. It was noted that the capture velocities of the fume hoods were much lower than the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s recommendation level (0.4 to 0.6 m/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due to inadequate control, laboratory researchers performing acid treatment experiments on surfaces of CNTs were exposed to airborne nanoparticles generated during the tasks.

      • KCI등재

        예술교육과 창의성

        하주현 한국문화교육학회 2006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 No.1

        제 7차 교육과정의 기본방향인 창의성 교육은 현실적으로 입시교육에 눌려 제대로 실시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최근 문화관광부의 문화예술교육은 예술교육을 통한 인간의 창의성 개발이라는 목적 하에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의성의 어원, 창의적인 사고과정과 창의적인 인물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예술 교육의 창의성을 이해하는 기초로 삼았으며, 나아가 예술교육의 교육적 가치와 예술교육과 창의성을 공통점을 살펴봄으로써, 예술적 활동의 내용이 창의적 활동과정이 되어야함을 주장하였다. 끝으로 문화예술교육이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창의적 구성요소를 경험할 수 있는 내용 및 방법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경험적 타당화 작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Unfortunately, the education of creativity that is a main direction i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dying because of the entrance exam. Recently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executes diverse policies to develop creativity through the art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origins of creativity, the thinking processes of creativ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persons and suggested that the contents of artistic activities should be made of creative activities. Finally, developing contents and methods in which diverse creative components can be experienced is needed and empirical validation of creative art education is needed.

      • KCI등재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한 말소리의 음성 정보 전달 - 청각장애인을 중심으로 -

        하주현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1 No.4

        이 연구는 말소리의 지각이 어려워 언어 발달의 지연을 겪는 청각장애인에 게 음성정보를 보다 구체적이고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시각화 방법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들은 실생활에서 글자를 통해 많은 정보를 얻기 때문에 말소리와 글자와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 로 읽기와 쓰기 능력을 향상하는 것이 중요(이규식 외, 2004; Barca 외, 2013)하다.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는 글자의 움직임을 활용하여 말소리를 표 현하는데 적합(김현정, 2007)한 분야이며 음소, 음절 글자인 한글은 말소리 를정확하게글자로표기할수있는구조를가졌다.이러한이유로이연구 에서는 말소리의 음성정보인 세기, 높낮이, 길이를 시각화하는 도구로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사용하였다. 먼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속성 중 말 소리와 관련이 있는 공간, 운동, 속도, 리듬을 선정하였으며, 각 속성을 기 준으로 글자 움직임을 구현한 영상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영상 중 음성정보 를 전달하는데 적합한 속성과 그에 따른 글자 표현 방법을 선별하기 위해 두 차례의 전문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음성정보 전달에 있어 공간과 운동 이 가장 많이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속성에 대한 글자 표현 방법이 말소리의 크기, 높낮이, 길이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KEDI 교사용 창의적 인성 평정 체크리스트 개발 및 타당화

        하주현,한윤영,유경재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2 창의력교육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creative personality checklist with which teachers can check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After lots of creative personality checklists and literatures were reviewed, six creative personality traits(curiosity, independence of judgement, risk sensitivity, intellectual openness, aesthetic appreciation) were extracted.. 218 school teachers were tested to get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is CPCT. After developing 21 items through expert's meeting, we have got a test by 218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PCT are as follow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goodness-of-fit test confirm that CPCT consisting 13 items are appropriate for measuring six creative personality traits(see Table 5, 6, 7). Also verifying concurrent validity, CPC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947) with K-SRBCSS(Korea-Korean Version of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as a reliability ranged from .488 to .842(see Table 8). 본 연구는 교사가 학생의 창의적 인성을 평정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창의적 인성 평정 체크리스트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KEDI 교사용 창의적 인성 평정 체크리스트를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에 개발된 국내외 교사평정 창의적 인성검사 도구검토 및 창의적 인성에 대한 문헌 분석을 토대로 호기심, 과제집착, 판단의 독자성, 위험감수, 사고의 개방성, 심미성 등 모두 6개의 창의적 인성특성을 추출하고,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를 도출하였다. 전문가 협의를 통해 창의적 인성검사문항을 제작하였으며, 초․중등 교사 230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내적신뢰도와 요인분석, 적합도검증, 상호상관계수, 공인타당도 분석을 통해 검사의 양호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창의적 인성검사의 하위 요인으로 호기심, 과제집착, 판단의 독자성, 위험감수, 사고의 개방성, 심미성 등 6개의 요인을 최종 확정하고 이에 대한 문항 선정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검사는 향후 학생의 창의적 인성을 평정하는 것만이 아니라 창의성 발달연구 및 창의성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는 데에도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공감, 창의적 인성의 관계

        하주현,박은희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al attitude, empathy, and creative personality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82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nam area and the parenting attitude test, empathy test, and KEDI creative personality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emotionally perceived the father’s parenting attitude was, the higher the emotional empathy of adolescents was. Second, the more they perceived their father’s parenting attitude as achievement-oriented, the higher their adolescents curiosity, task commitment, and risk-taking. These findings are in line with recent studies that emphasize the role of fathers, and it can be said that fathers influence adolescents’ empathy and creative personality more than mothers. we also propose follow-up studies for various age groups.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한 부와 모의 양육태도, 공감, 창의적 인성의 관계를 알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충남지역의 고등학생 82명이며, 부모양육태도검사, 공감능력검사, KEDI 창의적 인성검사를 실시하였다. 적률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 실시 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이라고 지각할수록 자녀의 정서적 공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성취지향적이라고 지각할수록 자녀의 호기심, 과제집착, 위험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이라고 지각할수록 자녀의 사고의 개방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최근 아버지의 역할을 강조하는 연구들과 일치하며, 청소년의 공감과 창의적 인성에 어머니보다 아버지가 더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저소득층 초등학생의 가족변인과 창의성에 대한 연구

        하주현,박은희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2 창의력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초등학생의 가족변인(출생순위, 부모의 교육수준,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의 차이에 따라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이 얼마나 다른지를 알기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초등학생 69명으로 집단통합창의성 검사, 양육태도검사, 가정환경 질문지 등을 실시하였다. 다변량 분산분석 실시 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자이거나 첫째일수록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부모의 학력에 따라 자녀의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 점수의 차이는 없었다. 셋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중 자율-통제변인과 성취-비성취변인에 따라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의 점수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부모의 양육태도를 자율적으로 지각할수록, 또는 성취지향적으로 지각할수록 자녀의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저소득층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다. 다만 추후 연구로 비 저소득층 초등학생을 비교집단으로 한 연구를 제안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low-income group children's family variables(birth order, education of parents, parents' nurturing behavior appreciated by their children) and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69 elementary students in low-income group were examined a collective creativity test, a parent attitude test and a family environment test. The result of multivariate ANOVA indicates as follows: First, the creative thinking scores of the single or the eldest chil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child. Second, the scores of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education of parents was not different statistically. Third, the autonomy/control variable and the accomplishment/non-accomplishment variable among parents' nurturing behavior are statistically different in the creative thinking and the creative personality. This study suggests another study to compare the creativity of the low-income group students and middle-income group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