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말선초 노당(蘆堂) 심덕부(沈德符)의 활동과 역사적 의미

        하정승 포은학회 2023 포은학연구 Vol.32 No.-

        심덕부(沈德符: 1328-1401)는 본관은 청송(靑松)이며 자는 득지(得之), 호는 노당(蘆堂) 혹은 허강(虛江)이다. 그는 여말선초 정치사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이다. 조선후기의 학자 이덕무(李德懋)는 그의 저서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에서 고려조와 조선조 양조(兩朝)에서 모두 ‘상신(相臣)’을 역임했던 자는 배극렴(裵克廉: 1325-1392)과 심덕부 단 두 명뿐이라고 언급하였다. 이긍익(李肯翊) 역시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에서 태조조(太祖朝) 상신 5명을 언급하면서 배극렴, 조준(趙浚), 김사형(金士衡), 정도전(鄭道傳)과 더불어 심덕부를 거명하고 있다. 이는 그만큼 여말선초 정치사에서 심덕부의 비중과 역할이 컸음을 말해준다. 심덕부의 정치적 활동은 크게 고려조와 조선조로 나눠볼 수 있으며, 고려조에서의 활동은 음직(蔭職)으로 처음 출사한 이후 우왕대(禑王代)에는 서해도원수(西海道元帥)가 되어 왜구의 침입을 막았고, 특히 1380년의 ‘진포대첩(鎭浦大捷)’에서는 총사령관으로 승리를 이끌었으며, 1388년 요동 출병 때에는 서경도원수(西京都元帥)로서 조민수(曺敏修)가 이끄는 좌군에 속하였는데, 이성계가 위화도(威化島)에서 회군(回軍)할 때 적극 동조하여 이후 정국(政局)의 주요 인물로 부상하였다. 이성계가 소위 ‘우창비왕설(禑昌非王說)’을 내세워 ‘폐가입진(廢假立眞)’을 추진하며 창왕을 몰아내고 공양왕을 옹립할 때 정도전(鄭道傳), 정몽주(鄭夢周)등과 더불어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이른바 ‘흥국사(興國寺) 9공신’의 핵심이었다. 이같은 공로로 그는 공양왕 즉위 이후 문하시중(門下侍中),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 등 최고위 관직을 역임하면서 정계의 핵심으로 활동하였다. 1392년 조선조가 개국한 이후에는 위화도회군을 도왔던 인물들을 봉할 때 ‘회군공신(回軍功臣)’ 1등으로 추록되며, 청성백(靑城伯)에 봉해졌다. 또한 신도궁궐조성도감(新都宮闕造成都監)의 책임자가 되어 한양으로의 천도를 기획하고 신도시 건설을 주관한 이가 심덕부였으며, 태조대에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 영삼사사(領三司事), 정종대에 좌정승(左政丞)을 역임했던 사실은 그가 조선초기 정치사에서도 주요 역할을 맡았음을 말해준다. 그는 정치가로 재임하면서 각종 제도의 개혁을 건의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관찰사제를 폐지하고 안렴사제를 부활할 것, 제사(諸司)의 사무를 도당(都堂)에 직접 보고하고, 각 관청에서 재정을 집행할 때 도당에 그 결과를 보고하여 도당의 역할을 강화할 것, 자섬저화고(資贍楮貨庫)의 폐지 등을 들 수 있다. 심덕부의 사상과 정치적 활동을 살펴보는 것은 폭풍과도 같았던 여말선초의 역사를 되짚어보는 작업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 시대의 중심에 서있었던 심덕부라는 인물을 통해 미처 놓친 역사적 이면과 총체적 면모를 살피는 것이 심덕부 연구가 갖는 미덕이자 의미일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심덕부의 생애와 성품을 통해 그의 학문적 연원과 사상 형성의 단초(端初)를 고찰하고, 정치적 활동을 고려조와 조선조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여말선초 정치사에서 차지하는 그의 위상과 그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Sim Deokbu(沈德符: 1328-1401)’s family origin is Cheongsong(靑松), his other names are Deukji(得之), Nodang(蘆堂), Heo Gang(虛江). He is a very important figure in political history of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Dynasty. In his book 'Cheongjanggwan Jeonseo(靑莊館全書)', the scholar Lee Deokmu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stated, “In both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only two individuals, Bae Geukryeom(裵克廉: 1325-1392) and Sim Deokbu, held the position of Chief State Councillor.” Lee Geungik(李肯翊), in the 'Yeonryeosilgisul(燃藜室記述),' also mentioned five Chief State Councillors who served King Taejo, including Bae Geukryeom, Jo Jun , Kim Sahyeong, and Jeong Dojeon, along with Sim Deokbu. This indicates the significant importance and role of Sim Deokbu in political history of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Dynasty. Sim Deokbu's political activitie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e Goryeo period and the Chosun period. Examining his activities during the Goryeo period, he served as the 'Commander of the Western Sea Province,' successfully repelling Japanese invasions. Particularly in the 'Battle of Jinpo(1380),' he led the victory as the overall commander. In 1388, as the 'Commander of the Western Capital Province,' he actively supported Lee Seong-gye's 'Wihwado Rebellion(威化島 回軍)’' and rose to prominence as a key figure in the early Chosun Dynasty. He also planned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to Hanyang and was in charge of the construction of new cities.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 he held positions such as 'Director of the Ministry of Personnel' and 'Chief of the Three Bureaus,' and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ng, he served as the 'Chief State Councillor of the Left.' This indicates that h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arly Chosun political history. Sim Deokbu proposed various reforms during his tenure as a politician. A prime example is the abolition of the Observational Bureau, strengthening the role of the Dodang(都堂), and the abolition of the Jasumjeohwago(資贍楮貨庫). Therefore, examining his ideology and political activities entails a review of the tumultuous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s. It can be said that understanding Sim Deokbu's life and character, and investigating his scholarly roots and the origins of his ideology, is an essential aspect of exploring the comprehensive aspects of the historical flow through the central figure of that era. In this paper, we seek to shed light on Sim Deokbu's position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olitical history by examining his life, character, scholarly origins, and the formation of his ideology, differentiating his political activities during the Goryeo and Chosun dynasties.

      • KCI등재

        목은(牧隱) 이색(李穡)시의 품격 연구

        하정승 동방한문학회 2001 東方漢文學 Vol.0 No.20

        Mokeun-Leesack is the representative scholar and literary man. When he became a chief of Sungkyunkwan(成均館), he made a new regulation for Sungkyunkwan. He was absorbed in his studies, and contributed garetly to the development of Sung-confucianism. He took charge of supervisor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five times. He had many disciples and performed a important master of the age. He gained a great reputation of the master writings. Many critics as Choirib(崔립) and Kimchanghyub(金昌協) said that he had been the greatest writer of his times. Seogeojung(徐居正) criticised that Mokeun's poetry had many dignities-Poeun(圃隱)'s Woonghon(雄渾), Doeun(陶隱)' Gankyul(簡潔), Sambong(三峰)', Homae(豪邁), Yangchon(陽村), Jeona(典雅). In this manuscript, I investigated the representative dignity of Mokeun's poetry-Woonghon(雄渾), Jeona(典雅), Gongchi(工緻). Woonghon is the first of the 『Esipsasipum(二十四詩品)』, and taken for the greatest dignity. It has been said that Woonghon could be seen in the writings of Janja(莊子), Samachon(司馬遷), Leeback(李白), Doobo(杜甫). Woonghon is the dignity that can be finded in the writings of the poet pursuing knowledge and Hoyeonjigi(浩然之氣). Jeona is affiliated with eight dignities in Youhyop's 『Munsimjoryong』. Youhyop desided that Jeona was the dignity of Confucianism. Gongchi is the dignity of poetry which the use of words is skillfull, complicated and trained in. This manuscript is written as one of the writings considering the dignity of poetry in the end of Koryo. The comparison of the dignity of Mokeun's poetry with other poets poetryin the same age is leaved as a problem to be solved after this.

      • KCI등재
      • KCI등재

        양촌(陽村) 권근(權近) 한시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과 미적 특질

        하정승 포은학회 2019 포은학연구 Vol.23 No.-

        Keun Kwon(Yangchon,1352-1409) is one of representative poets in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 Dynasty. A collection of his works, <Yangchonjib> includes 40 poems under 36 titles of requiems(輓詩). Keun Kwon is a important poet as a bridge between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former part of the Chosun Dynasty. He succeeded Mokeun, the greatest poet of the Goryeo Dynasty and wrote so many requiems. Furthermore, the creation of his requiems passed down to the poets of the literary world of the former part of the Chosun Dynasty such as Keojung Soe. That’s why he is called the most important poet to write requiem in the closing years of the 14C and the opening of the 15C. Depending on format, Yangchon’s requiems are divided into several parts - Chileonyulsi (21poems under 20 titles), Oeonyulsi (11poems under 10 titles), Chileogeolgu (7poems under 5titles), Oeongeolgu(1poems under 1 titles). They mostly follow a particular format - Chileonyulsi and Oeonyulsi., which is the trend of the creation of requiems in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 Dynasty. The main characteristic of his requiems is sensory details arising from their signature lyricism. They have a very visible presence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That kind of versification relates to Tang’s poetical style, which was selected by Doeun, Chukyakjae, Ungok. Keun Kwon succeeded them. 양촌(陽村) 권근(權近, 1352-1409)은 고려후기 문학사를 대표하는 주요한 시인 중 한명이다. 그의 문집인 『양촌집』에는 36제 40수의 만시류 작품이 전해진다. 권근은 문학사적인 측면에서 보면 고려후기와 조선전기를 잇는 가교 역할을 감당한 중요한 작가지만, 만시만을 놓고 보더라도 고려시대 최고의 만시 작가인 목은 이색을 계승하여 많은 양의 만시를 작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다음 세대인 조선초 문단의 서거정 등에게 이를 계승하였기 때문에 14세기 말엽에서 15세기 초엽의 가장 중요한 만시 작가라고 규정할 수 있다. 양촌 만시를 시체(詩體)로 구분해보면 칠언율시가 20제 21수로 가장 많고 그 외 오언율시가 10제 11수, 칠언절구가 5제 7수, 오언절구 1제 1수이다. 즉 양촌은 칠언율시와 오언율시로 대부분의 만시 창작을 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기본적으로는 고려후기 문단의 만시 창작 경향이 오언율시와 칠언절구로 짓는 것이었음을 생각해보면, 대체로 문학사의 큰 흐름을 따르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양촌시의 표현기법은 만시 특유의 서정성을 기본으로 한 감각적인 묘사에 그 특장이 있다. 특히 묘사 위주의 시에서는 유독 첩어의 사용이 빈번히 보이는데, 이는 의성어·의태어 같은 감각어를 사용하여 묘사를 주로 했기 때문이고, 이같은 감각적 시들은 작시법상 당풍(唐風)에 속한다고 할 수 있으며, 도은이나 척약재, 운곡 등이 이룩한 당시풍 만시의 기법을 계승한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양촌 권근 시를 통해 본 고려후기 중국 사행(使行)의 일 단면: 「봉사록(奉使錄)」의 시를 중심으로

        하정승 포은학회 2020 포은학연구 Vol.25 No.-

        Keun Kwon(Yangchon,1352-1409) is one of representative poets in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 Dynasty. A collection of his works, <Yangchonjib> includes 1000 poems, which shows that he acted as a poet actively and enthusiastically. He was Mokeun’s disciple and after his office, he became a key figure in the school for his life. Yangchon went to diplomatic Trip twice. The first trip happened in 1389( King Gongyang 1) and the second trip happened in 1396(the first king of the Joseon Dynasty, Yi Seong-gye 1). The record of the first diplomatic Trip is <Bongsarok> in <Yangchonjib>. <Bongsarok> includes 126 poems, which is a vast quantity. The contents of this book are as follow ; the author's thoughts on various experiences, travels, Chinese culture and systems that he had seen and felt on the trip. Yangchon’s <Bongsarok> set an example for other books ; <Yeonhangrok>, <Jocheonrok>, etc. The subjects of poems of the diplomatic Trip in <Bongsarok> are as follow ; the vastness and splendor of the Chinese culture system, admiration for the long history, the expectation of seeing the emperor directly, friendship with Chinese literary men, joy and contemplation as a traveler, responsibility for work, longing for family and homeland, reflection on life. Yangchon emphasized frequently that Koryo was a civilized country and he was a cultural man who has cultivated Confucianism and Chinese literature himself. This aspect is one of the great features of poems about the diplomatic Trip in the late Koryo Dynasty. In fact, the tradition of poems about the diplomatic Trip in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in the Goryeo Dynasty dates back to Kim Busik and Jinwha’s poems. After them, the traditoion of poems about the diplomatic Trip was connected to Jung Mongju → Kim Kuyong → Lee Sungin → Jung Dojeon. Keun Kwon succeeds them and was succeeded by Lee jik. From this perspective, Keun Kwon can be evaluated as a bridge between poems of the diplomatic Trip in Koryo Dynasty and Chosun Dynasty. 양촌 권근은 고려후기를 대표하는 문인이자 학자이다. 그의 문집인 양촌집에 전해지는 시가 무려 1,000여 수나 된다는 사실은 양촌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그리고 활발하게 시인으로 활동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그는 목은 이색의 문생으로 환로에 오른 뒤 평생을 줄곧 목은계 사인의 핵심 인물로 활동하였다. 양촌은 모두 두 번에 걸쳐 중국 사행을 갔는데 첫 번째는 1389년(공양왕 1) 사행이고, 두 번째는 조선조 개국 후 1396년(태조 5) 사행이다. 이 중 1389년 사행의 기록이 양촌집에 수록된 「봉사록」이다. 「봉사록」에는 약 126제의 시가 수록되어 있어서 우선 그 분량이 상당히 많으며, 내용적으로도 여행에서 보고 느낀 각종 견문, 여행의 감회, 중국문물 및 제도에 대한 저자의 생각, 유적지에서의 영사(詠史)등 후대 조선조에서 기록된 수많은 연행록들과 비교해 볼 때 그 체제나 내용이 거의 대동소이하다. 이는 양촌의 「봉사록」이 후대 조선조의 수많은 ‘연행록’, ‘조천록’들의 선편(先鞭)이자 모범이 되었음을 보여주며, 양촌 「봉사록」의 문학사적인 의의를 말해준다. 물론 고려조 문학사에서는 양촌의 「봉사록」 이전에도 대(對) 중국 사행문학이 있었지만, 그 분량과 체계 면에서 양촌의 「봉사록」을 따라가지 못한다. 「봉사록」에 수록된 시를 시체(詩體)로 분류해보면 율시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그 외 절구와 고시 등 매우 다양하다. 「봉사록」 소재 사행시의 특징을 살펴보면 중국의 문물제도의 광대함과 화려함, 유구한 역사에 대한 찬탄, 황제를 직접 알현하는 것에 대한 기대감, 중국 문인들과의 교유, 길고 긴 사행 여정에서 목도한 것들에 대한 다양한 견문, 여행자로서의 기쁨, 사행 업무에 대한 책임감, 사행 길의 고단함, 가족과 고국에 대한 그리움, 인생에 대한 성찰과 반성 등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내용들은 이후 우리 문학사에서 전개된 수많은 연행록 관련 기록들과 그 궤를 같이한다. 특히 양촌은 곳곳에서 ‘거동궤, 서동문’의 ‘동문동궤’ 의식을 강조함으로써 고려가 문명국이고 본인 역시 유학과 한문을 수양한 교양인임을 밝히고 있다. 이점은 고려후기 문인지식층이 지닌 소위 ‘동인의식(東人意識)’이나 ‘문명의식’과도 궤를 같이 하는 것으로 고려후기 사행시의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다. 양촌의 「봉사록」을 동시대 다른 문인들의 사행시와 비교해 보는 것은 매우 재미있고 유익하다. 본고에서는 그 비교 대상으로 이색, 정몽주, 이숭인, 정도전의 시를 들어 양촌시와의 비교를 전개해 보았다. 이를 통해 시인들마다 같은 문물을 노래하더라도 섬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양촌시의 고유성, 혹은 문학적 특징이 좀 더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사실 고려조 한문학사에서 중국 사행시의 전통은 멀리 김부식의 재송(在宋) 기간 지어진 시편들과 진화(陳澕)의 「봉사입금(奉使入金)」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김부식과 진화 이후로 이색→정몽주→김구용→이숭인→정도전으로 이어진 사행시의 전통은 권근을 거쳐 조선초엽의 형재(亨齋) 이직(李稷)으로 계승된다. 이같은 관점에서 보자면 권근은 고려조의 사행문학과 조선조의 사행문학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麟齋 李種學의 유배시에 나타난 意境과 미적 특질

        하정승 동방한문학회 2017 東方漢文學 Vol.0 No.73

        Injae(麟齋)-Lee, Jong-Hak(李種學) lived a life of extreme ups and downs in the troubled state of politics in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 Dynasty. He was the son of Mokeun-Lee, Saek. When his father, Mokeun came to be persecuted by the authorities for the Kim Jeo affair and the Yun Ee & Lee Cho affair, so was Injae. After Jeong Mongju was killed on Seonjuk bridge and Goryo Dynasty was on the wane, he had been through a terrible ordeal, such as confinement and exile. At last he was strangled to death proceeding to his new place of exile. Injae always was ostraciz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late Goryo dynasty. He was called as Mokeun's son rather than Lee Jong Hak, his own name. His loyalty to Goryo Dynasty also hasn't attracted attention, because Poeun is more famous as an ardent patriot in Goryo Dynasty. Injae left behind many works which were excellent in literary value, but they haven't been highlighted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poetry. I think that Injae's poetr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works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poetry, which illustrated of exile life. His 123poems in the collection of works, <Injaeyougo(麟齋遺稿)> featured his own tragic exile life in Suncheon and Jincheon. The characteristic of Injae's poems is a major dignity of poetical style, which insists of loneliness and solitude in a place of exile. In his poetry, there are other motives–frustration and sorrow that are felt in a place of exile, the love of nature, a yearning for a life in seclusion, political aspirations, and a praise for a scenic attraction in the Gwandong district as well. In this manuscript, I especially focused on Injae’s poems that express emotions and feelings when he was in exile. I would like to referred to the dignity of Injae's poetry as Cheowan (悽惋)․Bigae(悲慨). <Injaeyougo(麟齋遺 稿)> is mostly made up of poems that were written in a place of exile. These are the very poems that show Injae’s quality as excellent poet. 인재 이종학은 고려말엽의 혼란했던 정치 상황 속에서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그는 당대의 대학자이자 정치가인 목은 이색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우왕 사후 창왕과 공양왕조에서 목은이 김저 사건과 윤이․이초 사건으로 곤경을 당하자 부친과 마찬가지로 정치적 박해를 받아야만 했다. 또한 그는 포은 정몽주가 선죽교에서 죽임을 당하고 고려 왕조가 기울어 가자 순군옥에 투옥되고 함창에 유배되는 등 시련을 겪으면서 결국 移配 도중 교살당하게 되었다. 고려말엽의 문학사에서 그는 항상 소외당하여 왔다. 이종학이라는 본인의 이름보다는 평생을 목은의 아들로 일컬어졌고, 또 포은의 충절에 가려져 이종학의 충성과 절개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가 남긴 상당한 분량의 유배시들은 그 뛰어난 문학성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한시사에서 언급되지 않거나 혹 언급은 되더라도 비중있게 다뤄지지 않았다. 하지만 한국 유배시의 사적 흐름에서 그의 시는 초기에 등장했던 가장 중요한 작품들 중의 하나로 생각된다. 그의 문집 『麟齋遺稿』에 남겨진 113제 123수의 시는 그같은 비극적 삶의 결과물이다. 그의 유배시는 전라도 平陽[順天]과 충청도 常山[鎭川]에서 유배를 당했을 때 지은 시로 구성되어 있는데, 시의 격조는 전반적으로 유배지에서의 쓸쓸함과 고독, 유배인으로서의 좌절과 비개감을 드러낸 것이 주를 이루고, 기타 자연에 대한 동경과 은일적 삶의 추구, 사대부로서 갖는 경세제민의 포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중에서도 특히 유배지에서의 쓸쓸하고 고독한 심경과 관직에 대한 미련 및 그에 따른 좌절감을 다룬 시들에 주목하고자 한다. 필자는 이종학의 유배시의 詩品을 悽惋으로 규정하고 그 미감을 고찰해 보았다. 특별히 유배시, 그중에서도 悽惋의 미에 주목했던 것은 『麟齋遺稿』를 구성하고 있는 시들이 대체로 유배시라는 이유도 있지만, 그 유배시야말로 이종학의 시인으로서의 자질과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漁村 沈彦光의 한시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특질

        하정승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4 東洋學 Vol.55 No.-

        Eochon-Shimeunkwang(1487-1540) is the writer in the middle of the Choseon Dynasty, especially during the reign of Jungjong in the first half term of the 16th- century. He is a also representative politician. Eochon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1513 and then successively filled various government posts.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poetry about death like Mansi(挽詩). Eochon 's Mansi(挽詩) is important to in Chinese poetry history. Because he was a prolific author of poet and left excellent works that have remarkable poetic imagery. The tradition of Mansi creation begins with Kimbusik in Korean traditional literary history. Writing Mansi had become a custom for paying one's respects to the souls of the dead since the 17th-century. The various tendency of creation had been developed during this time period. Eochon played a role of bridge which establish a link between late Koryo and the second half of the Chosun Dynasty. 『Eochonjib』, the collection of his works run 60 pieces of Mansi(挽詩). He was the most abundant production in writing of Mansi(挽詩) in 15-16century. His poems were excellent in literary value as well as quantity. They are outstanding in mourning death and expressing sorrow. There are many long pieces in Eochonjib's Mansi(挽詩). We can find even poems that are well-organized structure of narrative in his works. Probably these poems must have lengthen out because he had a strong hunger to express the lamentation over the dead. The dead are his loved ones such as his family, friends, and so on. In short, I hope that this paper have shed new light on Eochon's status in Chinese poetry history in Korea. 어촌 심언광(1487-1540)은 조선중기, 특히 16세기 전반기인 중종조에 주로 활동했던 문인이다. 그는 조선조에 강릉에서 배출된 대표적인 정치가이기도 하다. 어촌은 1513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오른 뒤로 대사간, 대제학, 공조판서, 이조판서, 의정부 좌참찬 등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말년에는 좌천되어 쫓겨나 있던 김안로를 천거했다는 탄핵을 받고 고향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내다 1540년 5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본고에서는 만시 등 주로 죽음과 관련된 시들을 살펴보았다. 한국한시사의 큰 흐름 속에서 만시 창작 과정을 살펴보면 어촌의 만시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필자가 특히 어촌의 만시를 다루는 이유는 일단 동시대 다른 문인들에 비해 문집에서 차지하는 그 분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그 내용이나 문학적 기법 면에서도 시적 형상화가 뛰어난 수작이 많기 때문이다. 필자는 16세기 전반기에 활동했던 시인 중에서는 죽음을 다룬 만시나 哀辭, 祭文의 작가로 어촌을 최고로 꼽고 싶다. 한국의 한시사에서 만시는 고려중엽 김부식의 한시에서 처음 보인 이후 고려말 목은 이색에서 꽃을 피우고, 17세기 이후로는 시인들의 필수 사항이 될 정도로 다양한 시인들과 다양한 창작 경향을 보이며 발전해 왔다. 이같은 한시사적 관점에서 놓고 보더라도 심언광은 고려말과 조선후기를 잇는 가교 역할을 하며 만시의 발전에 이바지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필자가 『어촌집』에서 찾을 수 있었던 만시 및 죽음과 관련된 작품들은 무려 60여 제에 이를 정도로 그 분량이 많다. 이는 한국의 挽詩史 전체를 놓고 보더라도 매우 많은 작품을 남긴 작가에 속하며, 특히 어촌이 활동했던 15-16세기로는 최고의 만시 창작 작가라고 여겨진다. 또한 어촌의 만시는 비단 분량뿐만이 아니라 그 내용적인 면에서 보더라도 만시가 갖춰야 할 여러 가지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으며, 특히 망자의 죽음을 애도하고 슬퍼하는 감정을 문학적으로 훌륭히 형상화하는데 성공한 것으로 판단된다. 어촌이 남긴 60제의 만시류 작품의 대상 인물의 지위는 대다수가 사대부들이다. 이를 유형별로 분류해보면 부모와 아들, 아내, 조카 등 가족의 죽음을 다룬 시들과 선·후배, 친구, 친구의 부모나 아내 등의 죽음을 다룬 것으로 크게 나눠볼 수 있다. 어촌의 만시는 분량이 대체로 길고 장편으로 된 것이 많다. 심지어 경우에 따라서는 기·승·전·결의 구조나 이야기형식을 띠고 있는 작품들도 보인다. 그만큼 시인은 망자에 대한 추억과 미련, 그리고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았던 것이다. 어촌은 본인과 인간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만시를 주로 썼다. 그만큼 어촌의 만시는 절실하고 애절하며 진실하게 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그 분량도 장편화 된 것으로 보인다. 본고를 통해 어촌의 시인으로서의 면모와 특히 韓國挽詩史에서 차지하는 그의 위상이 새롭게 부각되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운곡(耘谷) 원천석(元天錫) 시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 특질

        하정승 포은학회 2018 포은학연구 Vol.22 No.-

        In this manuscript, I took a look at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Ungok - Wonchonsuk’s monody in 『Ungokhangrok』. 56 monodies under 28 titles were listed in this book according to the year of creation. By comparison with other poets of the same age, he was excellent poet writing a number of monodies of outstanding literary configuration. Monody is a poem that expresses the poet’s lamentation for a dead person focusing on recording and broadcasting the person’s life and expressing his grief over the person’s death. Monody has so many elements of sympathy and pathos that it includes many poems which show remarkable literary configuration. Monody’s remarkable and unique charm is that feeling of mourning somebody’s death is the same, regardless of his social status, whoever the dead person is. In Ungok’s monodies, many mourned person was a family members – parents, wife, daughter, brother and so on. Other poets of the same age, Mokeun, Doeun, Poeun wrote ‘Dobungsi - monody mourning death of friends’, though. Ungok’s monodies are mainly ‘Domangsi’ and ‘Gokjasi’. Some of Ungok’s monodies lament the death of Buddhist monk, which i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his some monodies. These monodies showed that he secluded himself in a mountain hermitage and Tang’s Poetical Style-Sunkyonghujeong(先景後情), Jeoungkyongkyoyung(情景交融). Until now, studies of Won Chonsuk have focused on regarding him as royal subject and hermit. It is necessary that examine his outstanding poetic world through his sensuous lyric poetry from now, which helps to find out various aspects of Ungok’s literature. 『운곡행록』에는 1,100여 수의 시가 대체로 창작 년도에 따라 실려 있는데, 본고에서는 죽음을 다룬 만시류 작품에 주목하고자 한다. 필자가 파악한 『운곡행록』에 수록된 만시류 작품은 대략 28제 56수에 이른다. 이는 동시대 다른 만시 작가들과 비교해도 상당히 많은 분량이며, 특히 질적인 측면에서는 문학적 형상화가 매우 뛰어나 14세기 만시 창작 연구에 있어서 운곡시는 반드시 거론되어야 마땅하다. 만시는 시인이 망자와의 추억을 회상하고 그의 삶을 기리며 그와의 영원한 이별을 아파한다는 면에서 문학적으로 매우 의미가 있다. 만시는 기본적으로 애상적이고 감성적 경향을 가질 수밖에 없기에 독자들을 감동시킬 요소가 많으며, 잘된 만시일수록 시인의 문학적 감수성과 기교가 어우러져 문학적 형상화에 성공한 작품들이 다수이다. 더구나 망자의 생전의 신분은 다양하더라도 그 죽음을 애도하는 감정만큼은 평등하다는 점에서 만시가 갖는 독특한 매력이 있다. 운곡의 만시에는 부모, 아내, 딸, 형 등 가족에 대한 시들이 유독 많다는 것도 중요한 특징이다. 이는 목은이나 포은, 도은 등 동시대 다른 시인들과 비교해 보면 분명한 차이가 나는데, 사대부들의 만시가 대체로 벗들의 죽음을 다룬 ‘도붕시’ 계열이 다수를 차지하는 데 비해 운곡은 ‘도망시’나 ‘곡자시’ 계열이 상당 수 있다. 운곡시에는 승려의 죽음을 다룬 만시도 있지만, 승려가 운곡에게 보내온 만시에 차운한 작품들도 적지 않다. 이는 목은, 포은, 도은, 척약재, 양촌 등 동시대 다른 시인들의 만시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것으로 운곡 만시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이며 은자로서의 삶의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표현기법적인 면에서는 감각적 묘사와 선경후정(先景後情), 정경교융(情景交融) 등 당시풍(唐詩風)적인 요소가 매우 짙다. 지금까지 원천석은 고려 왕조만을 섬긴 충신으로서의 측면과 절의, 그리고 태종이 직접 찾아나서도 응하지 않고 지조를 지킨 은자로서의 성격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이제는 기왕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그의 시세계가 얼마나 뛰어난지, 특히 만시 같은 감각적 서정시를 통해 살펴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같은 작업이 진행되었을 때, 원천석 문학의 다양한 모습이 온당하게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정몽주 문학에 나타난 성리학적 사유체계와 그 실천양상

        하정승 우리한문학회 2005 漢文學報 Vol.13 No.-

        Poeun Jung-Mongju was borned in 1337, and pass an examination with honors in 1360. He is a Confucian scholar and a politician who intended to rule the people by Confucian ideas. Poeun was engaged in a political oligarchy during his whole life. He had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education of Confucianism. Seoae Yu-Sungryong said, "Poeun took charge of Korea, and opend the teachings of Chosun". Poeun's disposition was magnanimous and large-minded. At the same time, he set a high value on Hoyunjigi(浩然之氣). He does not merely preach Confucianism, but lives it as well. Uam Song-Sieul said, "Poeun is a man who was borned for civil administration of Chosun," Byokcho Hong-Myonhee said, "Poeun is a man who kept Korea Dynasty in during thereign of Gongyangwang." Poeun is a man who made Confucianism put down new root in Chosun Dynasty and had influence on learned men after ages. 圃隱 鄭夢周는 1337년에 태어나 24세 되던 1360(공민왕 9)년에 등제하여 宦路에 오른 뒤, 1392년 56세로 생을 마치기까지 한평생을 정치현장에서 끊임없이 활동했던 실천적 지식인이었다. 그는 학자로서 닦은 깊은 학문적 수양과 정치가로서 겪은 풍부한 현실경험을 통해 일궈낸 나름의 정치이상을 고려왕조를 통해 펼쳐보려고 했으나 결국 그 뜻을 이루지 못하고 고려왕조와 함께 운명하였다. 포은은 다년간의 成均館 學官活動과 大司成의 職을 통해서 수많은 젊은 유학자들을 배출해 내었으며, 과거를 主試하여 인재를 선발하였고 五部學堂과 鄕校를 세우는 등 다양한 교육활동을 펼친 한 시대의 스승이었다. 뿐만 아니라 고려말의 불교식 喪制를 朱子家禮를 본떠서 家廟를 세우는 유교식으로 전환하게 하였고, 원나라의 유풍인 胡服을 중국식으로 바꾸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고려말 성리학이 도입되어 그 뿌리를 내리는 데에 포은의 공로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忠臣不事二君’의 의리를 끝내 지켜가며 고려왕조와 함께 생을 마감하였으니 어찌보면 이보다 더 극적인 귀감은 역사에서 찾기 힘들 정도이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西厓 柳成龍은 포은에 대해 평하기를, “위로는 고려 오백년 綱常의 무거운 짐을 맡았고, 아래로는 조선조 억만년 節義의 가르침을 열어 주었다”라고 간명하면서도 정확하게 지적하였던 것이다. 고려말 성리학 수용기에서, 포은 정몽주가 차지하는 사상사적 위치는 益齋 李齊賢과 牧隱 李穡을 계승하고 아래로는 冶隱 吉再로 이어지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조선조에 들어와 야은 길재의 학통을 金叔滋가 계승하고 이는 또 金宗直→金宏弼→趙光祖로 이어졌기에, 목은이 포은을 두고 얘기했던 “東方 理學의 祖”라는 말이 조선조에도 그대로 수용되었으며 中宗 때에는 文廟에 從祀되기에 이르렀다. 그 뒤 退溪 李滉을 거쳐 尤庵 宋時烈에 이르러서 포은에 대한 평가는 거의 절대적인 경지에 오르게 된다. 포은의 시문은 예로부터 ‘豪放’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필자는 이것이 그의 豪邁한 기질과 ‘浩然之氣’를 중시했던 삶의 태도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아울러 포은의 모든 삶의 궤적은 유교경전에 대한 깊은 통찰과 그러한 지식을 實踐躬行하려 했던 태도 및 유교적 의리론에 철저했던 유학자로서의 자세에서 기인한다. 즉 이같은 호방한 기질과 실천궁행하는 삶의 태도가 어려운 현실적 여건 속에서도 고려에 끝까지 충성하려는 ‘輔國’의 자세를 낳게 하였으니, 이것은 곧 포은에게 ‘經世濟民’하는 유자로서의 덕목을 실천케 하는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