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otective effects of Rg2 against UVB-induced DNA damage in HaCaT cells is dependent on p53 expression

        하세은,김민섭,정유헌,박종군 한국통합생물학회 2016 Animal cells and systems Vol.20 No.3

        Our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ginsenoside Rg2 protects the genotoxicity of UVB via earlier upregulation of p53 and GADD45 protein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g2 on the genotoxicity of UVB in cells transfected with p53 siRNA. The cells transfected with control siRNA, exposed to UVB and then post-incubated with 100 μM Rg2 showed increase in cell viability to about 20%, as compared to no significant increase in cell viability in cells transfected with p53 siRNA. The UVB-induced apoptosis was also decreased by 100 μM Rg2 to about 30% in control siRNA-transfected cells, as compared to only 10% decrease in the apoptosis in p53 siRNA-transfected cells. The p53 and GADD45 protein levels in control siRNA-transfected cells after UVB exposure increased to about 3.5 and 2.7 fold, respectively, as compared to the nontreated control. The increased p53 and GADD45 protein levels were downregulated by Rg2 in an Rg2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However, the protective effects of Rg2 were not shown in p53 siRNA-transfected cells. 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Rg2 protects cells against UVB-induced genotoxicity by increasing DNA repair, in possible association with modulation of protein levels involved in p53 signaling pathway.

      • KCI등재

        찔레 추출물의 B16 세포 멜라닌 형성 억제

        하세은,김형도,박종군,정연옥,김현종,박노복,Ha, Se-Eun,Kim, Hyoung-Do,Park, Jong-Kun,Chung, Yeon-Ok,Kim, Hyun-Jong,Park, Nou-Bog 한국자원식물학회 2009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2 No.4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leaf and root of Rosa multiflora on the proliferation of B16 cells,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were investigated.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MTT) assay demonstrated that the cell viability upon treatment with Rosa multiflora extract(0-200 ${\mu}g$/ml) was similar to that of untreated control. Treatment with leaf or root extracts(200 ${\mu}g$/ml) decreased the in vitro tyrosinase activity to about 65% of that in untreated control. Similarly, the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of B16 cells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Furthermore, the melanin synthesis of B16 cells decreased by the two extract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However, the extracts did not change the level of tyrosinase mRNA, as determined by RT-PCR.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Rosa multiflora extracts inhibit the tyrosinase dependent melanin biosynthesis, and therefore, are candidates for skin-whitening agents. 본 연구는 찔레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 활성 및 티로시나아제활성 저해를 분석하였다. 찔레 추출물의 세포활성을 분석한 결과 찔레 잎과 뿌리 추출물의 경우에는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유사한 결과를 관찰하였다. 모든 농도에서 세포 활성이 나타나지 않아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찔레 잎과 뿌리추출물은 상대적으로 고농도(200 ${\mu}g$/ml)에서 약 30${\sim}$32% 정도를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B16 세포에서 티로시나아제활성 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상대적으로 고농도(200 ${\mu}g$/ml)에서 양성대조군인 알부틴보다 20${\sim}$25% 정도 낮은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멜라닌 함량 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찔레 잎과 뿌리 추출물의 경우 티로시나아제의 저해 효과와 유사하게 농도 의존적인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관찰하였다. RT-PCR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추출물 처리군들은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티로시나아제 mRNA 수준이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또한 농도 의존적인 변화도 없었다.

      • KCI등재

        UVB를 조사한 HaCaT 세포의 세포사멸과 p53 및 GADD45 유전자 발현에 대한 파프리카 추출물 및 성분들의 효과

        Se Eun Ha(하세은),Hyung-Do Kim(김형도),Jea Ran Kang(강제란),Jong Kun Park(박종군)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5

        본 연구는 파프리카 추출물과 그 성분인 비타민 C, 라이코펜과 베타-카로틴이 UVB (ultraviolet-B)에 의한 유전독성의 감소에 효과를 보이는 지를 HaCaT 세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 세포의 세포활성은 파프리카 추출물을 경우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비타민 C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라이코펜과 베타-카로틴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점차 세포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UVB로 상해받은 세포를 추출물이나 그 성분으로 후 배양할 경우 정상 배양액으로 배양한 대조군에 비해 파프리카 추출물과 비타민C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활성을 증가시켰으나 라이코펜과 베타-카로틴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세포의 핵 분절율은 파프리카 추출물과 비타민 C의 경우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라이코펜, 베타-카로틴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핵 분절율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UVB를 조사한 후 파프리카 추출물이나 비타민 C를 처리한 경우 정상 배양액으로 배양한 대조군에 비해 핵 분절율을 감소시켰지만 라이코펜과 베타-카로틴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세포 상해에 반응하는 유전자인 p53과 GADD45의 단백질 수준을 Western blot으로 분석한 결과, 파프리카 추출물만 처리했을 경우 p53과 GADD45 단백질 수준은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해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UVB를 조사한 후 파프리카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p53 단백질 발현량이 감소하였다. 비타민 C를 단독 처리할 경우 대조군에 비해 p53과 GADD45 단백질 발현량은 감소하였으며, UVB를 조사한 후 비타민 C를 처리한 경우에도 농도 의존적으로 p53과 GADD45 단백질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라이코펜과 베타-카로틴만 단독 처리할 경우 p53과 GADD45 단백질 발현량이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UVB를 조사한 후 베타-카로틴을 처리한 경우에도 상대적인 고농도에서 p53과 GADD45 단백질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파프리카 추출물과 비타민 C는 UVB에 의해 손상된 세포의 세포 독성을 회복하는 효능이 있다고 생각된다. 라이코펜과 베타-카로틴의 경우에는 UVB에 의해 발현된 p53 단백질의 수준이 농도 의존적으로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UVB에 의한 세포고사가 라이코펜과 베타-카로틴에 의해 강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paprika extract and its components including vitamin C, lycopene and beta-carotene on cell death in ultraviolet B (UVB)-exposed HaCaT cells were investigated. The cell viability upon treatment for 24 hr with either paprika extract or vitamin C alone was similar to or greater than that of the untreated control. However, the viability of the cells treated with lycopene or beta-carotene decreased to about 20% of that in the untreated control. When UVB-exposed cells were post-incubated for 24 hr in medium containing paprika extract or vitamin C, cell viability in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as compared to those post-incubated in a normal growth medium. In contrast, post-incubation of UVB-exposed cells with lycopene or beta-carotene decreased cell viability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as compared to those post-incubated in a normal growth medium. The nuclear fragmentation analysis showed that paprika extract or vitamin C decreases UVB-induced apoptosis. The apoptotic nuclear fragmentation resulting from UVB exposure was also protected by the paprika extract or vitamin C post-incubation. However, the UVB-induced apoptotic nuclear fragmentation of the cells treated with lycopene or beta-carotene in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either paprika extract or vitamin C treatment alone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the level of p53 and GADD45 protein. Interestingly, post-incubation of UVB-exposed cells with paprika extract or vitamin C decreased the p53 and GADD45 protein level as compared to those post-incubated in a normal growth medium. In contrast, incubation of UVB-exposed or non-irradiated cells with lycopene or beta-carotene increased the p53 and GADD45 protein level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as compared to those incubated in a normal growth medium. 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prika extract and vitamin C help the survival of the UVB-exposed cells, while lycopene and beta-carotene potentiate the apoptotic death of UVB-exposed cells, in accordance with the respective changes in p53 and GADD45 protein levels.

      • KCI등재

        HaCaT 세포에서 자외선 B에 의해 유도되는 DNA 상해에 대한 국내 수종 자생 식물 에탄올 추출물의 저해효과

        이석희,하세은,조형권,박종군,Lee, Seok Hee,Ha, Se Eun,Cho, Hyoung Kwon,Park, Jong Kun 한국식품영양학회 201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7 No.5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extracts from Korean plants on the DNA damage response in HaCaT cells exposed to ultraviolet B (UVB) were investigated. The activity of cells treated for 24 hr with ethanol extracts from Vaccinium spp. (VS), and Vitis vinifera L (VV) alone was similar to that of the non-treated control, but gradually decreased at concentrations above $200{\mu}g/mL$. However, when post-incubation of UVB-exposed cells was carried out for 24 hr in medium containing VS or VV extracts, the cell activity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that in the normal growth medium. The cell viability of UVB-exposed cells also increased when post-incubated in medium containing VS or VV extract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Nuclear fragmentation analysis showed that post-incubation with VS or VV extracts decreased the UVB-induced apoptosis by about 10 and 13%, respectively, of that in cells post-incubated in growth medium. After 24 hr of post-incubation in medium containing VS or VV extracts, the level of CPD and 8-OHdG decreased in time- and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VS and VV extracts assist the survival of UVB-exposed cells, in accordance with the respective decrease in the levels of UVB-induced DNA damage.

      • KCI등재

        국내 자생 향장식물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효과

        차재영(Jae Young Cha),하세은(Se Eun Ha),심선미(Seon Mi Sim),박종군(Jong Kun Park),정연옥(Yeon Ok Chung),김현중(Hyun Joong Kim),박노복(Nou Bog Park)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60여 종의 자생 향장식물 및 한약재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분석하였다. 양성 대조군인 페녹시에탄올을 처리한 군에서의 저해존의 크기에 대한 실험군의 상대적 비율을 분석한 결과 P. aeruginosa 에 대해서는 단삼과황련에서 가장 강한 항균력이 나타났다. 이는 양성 대조군에서 보인 저해존의 단삼의 경우 97%, 황련의 경우 84% 에 해당하였으며 그 외에도 작약, 스테비아, 때죽나무, 후리지아, 생강나무, 뽕나무, 오배자, 지유, 황금에서 항균력이 나타났다. S. aureus 에 대해서는 오배자, 황련, 단삼이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이는 양성 대조군에서 보인 저해존의 오배자의 경우 78%, 황련의 경우 99%, 단삼의 경우 92%에 해당하였다. 또한 작약, 찔레, 스테비아, 창포, 후리지아, 오디, 생강나무, 구절초, 고삼, 관중, 지유, 황금, 은행나무, 소나무, 인동초, 이나무에서 항균력을 나타냈다. C. albicans에 대해서는 황금의 경우 35%, 황련의 경우 33%의 항균 활성을 보였다. M. furfur에 대해서는 오배자에서 가장 강한 항균력이 나타났는데 양성 대조군에서 보인 저해존의 57%에 해당하였으며 그 외에도 작약, 찔레, 황련, 진피, 목단피에서 항균력이 나타났다. P. acnes 에 대해서는 황련, 단삼, 오배자, 작약에서 가장 강한 항균력이 나타났다. 이는 양성 대조군에서 보인 저해존의 황련과 단삼의 경우 99%, 오배자의 경우 87%에 해당하였으며, 작약의 경우 꽃에서 추출한 경우 89%, 줄기에서 추출한 경우 35%, 뿌리에서 추출한 경우 22%에 해당하였다. 또한 찔레, 스테비아, 창포, 오디, 오이, 은방울꽃, 생강나무, 구절초, 고삼, 관중, 지유, 후박에서도 항균력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지리산 자생식물 중에서는 작약, 찔레, 생강나무, 구절초, 소나무에서, 한약재 중에서는 황련, 오배자, 지유, 단삼, 황금에서 강한 항균력을 보였고, 관련되는 성분과 가능한 작용 방식을 논의하였다.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about 60 endemic Korean herbs and medicinal plants were investigated. When compared to the group treat-ed with phenoxyethanol as a positive control, the growth of Pseudomonas aeruginosa was inhibited by Styrax japonica, Stevia rebaudiana, Morus Leaf, Coptis chinensis and Slavia miltorrhiza Bunge, the latter showing the strongest inhibition (97%). The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was inhibited by Acorus calamus, Pinus densiflora, Ginkgo biloba, Dryopteris crassirhizoma, Chrysanthernum zawadskii, Slavia miltorrhiza Bunge and Coptis chinensis, the latter showing the strongest inhibition (99%). The growth of yeast type fungi Candida albicans was inhibited to about 35% by Scutellaria baicalensis Geogr and about 33% by Coptis chinensis as determined by paper disk method. The growth of bacterium Malassezia furfur was inhibited by Paeonia lactiflora, Rosa multiflora, Coptis chinensis, Citrus aurantium L. subsp,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and Galla rhois, the latter showing the strongest inhibition (57%). The growth of Propionibacterium acnes was inhibited by Galla rhois, Paeonia lactiflora, Morus bombycis, Cucumis sativus, Stevia rebaudiana, Coptis chinensis and Slavia miltorrhiza Bunge. Interestingly, Coptis chinensis and Slavia miltorrhiza Bunge showed the strongest inhibition (99%) similar to that in postive control. The possible components and their action modes were suggested and discussed.

      • KCI등재

        HaCaT 세포에서 자외선 B에 의해 유도된 DNA 상해반응에 대한 복분자와 쑥 추출물의 효과

        이석희(Seok Hee Lee),하세은(Se Eun Ha),이준경(Jun Kyoung Lee),박종군(Jong Kun Park)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는 복분자와 쑥 추출물이 UVB (자외선-B)에 의한 유전독성의 감소에 효과를 보이는 지를 HaCaT 세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 세포의 세포활성은 복분자와 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자외선을 조사한 세포에 복분자와 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활성을 증가하였다. UVB를 조사한 후 세포의 핵 분절율은 복분자와 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정상 배양액으로 배양한 대조군에 비해 핵 분절율을 각각 약 20%, 15% 정도 감소하였다. DNA 상해 회복에 반응하는 cyclobutane pyrimidine dimer (CPD)의 잔여량을 확인한 결과, 복분자와 쑥 추출만 처리한 경우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UVB 조사한 후 복분자와 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정상 배양액으로 배양한 대조군에 비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세포 상해에 반응하는 유전자인 phospho-p53과 GADD45의 단백질 수준을 Western blot으로 분석한 결과,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 세포에 복분자와 쑥 추출물만 처리한 경우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UVB 조사한 후 복분자와 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phospho-p53과 GADD45 단백질 발현량이 감소하였다. 위의 결과에서 복분자와 쑥 추출물은 UVB에 유도된 DNA 상해와 p53 및 GADD45와 같은 상해 반응 단백질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아 UVB에 의해 손상된 세포의 유전독성을 회복하는 효능이 있다고 생각된다.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RC) and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P) on DNA damage response in ultraviolet B (UVB)-exposed HaCaT cells. Cell activity upon treatment for 24 h with RC or AP alone was similar to or greater than that of the nontreated control. When UVB-exposed cells were postincubated for 24 h in medium containing RC or AP, cell activity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Nuclear fragmentation analysis showed that postincubation with RC or AP decreased UVB-induced apoptosis by about 20% and 15%, respectively, of that in cells postincubated with growth medium. When UVB-exposed cells were postincubated for 24 h in medium containing RC or AP, the level of cyclobutane pyrimidine dimer de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treatment of cells not exposed to UVB with RC or AP alone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the levels of phospho-p53 and GADD45 protein. Interestingly, when UVB-exposed cells were postincubated for 24 h in medium containing RC or AP, phospho-p53 and GADD45 levels de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Our results suggest that RC and AP extract assist the survival of UVB-exposed cells in parallel with a decrease in levels of UVB-induced DNA damage and damage-response proteins, such as p53 and GADD45.

      • KCI등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s1⁺ of Schizosaccharomyces pombe, a Homologue of Human CIP29/Hcc-1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Cell Division

        Jae Young Cha(차재영),Sang Min Shin(신상민),Se Eun Ha(하세은),Jung Sup Lee(이정섭),Jong Kun Park(박종군)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12

        세포주기조절에서 유전자 발현의 조절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유전자인 CIP29/Hcc1과 상동성을 가지는 분열형 효모의 새로운 유전자 mas1+을 분리하였다.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하여 cDNA를 얻고 이 c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mas1+의 전체 염기서열은 735 bp로서, 245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고 있다. mas1+의 프로모터에서는 M-G1에 특이적인 전사를 보이는 유전자들에 보존되어 있는 PCB 서열이 발견되었다. 세포주기별 mas1+의 전사 수준을 분석한 결과 격막이 형성된 세포수의 빈도를 나타내는 격막 세포지표의 양상과 유사하게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mas1+ 결손 돌연변이를 25℃와 36℃에서 배양한 결과, 세포질 분열과정이 늦어진 다중격막 세포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이를 FACS로 분석하여 DNA 함량이 2C, 4C와 6C등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mas1+결손 돌연변이 세포를 질소 결핍 배양액에서 배양한 결과 다중격막 세포의 형성이 확연히 증가하였는데 이는 질소 결핍에 따른 세포분열의 가속화 단계에서 mas1+의 결손이 특히 부정적 영향을 초래함을 시사한다. mas1+ 유전자 결손 돌연변이 세포에 mas1+을 포함한 plasmid를 형질전환한 후 mas1+의 발현을 유도한 결과 정상의 세포 형태로 전환됨을 확인하였다. Mas1 단백질에 EGFP를 융합시켜 발현을 유도한 결과 핵내에서 위치함을 분열형 효모와 인간 배양세포인 HeLa에서 확인하였다. 또한, mas1+ 결손 돌연변이에서 상동성을 가지는 인간 유전자 CIP29/Hcc1을 발현시킨 결과 multi-septate 세포가 줄어들었다. 한편, 생쥐의 배발달 단계에 따른 CIP29 유전자의 전사체 수준은 세포 분열이 활발한 시기에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Mas1은 인간의 핵단백질인 유전자 CIP29/Hcc1과 구조 기능적으로 상동성을 가지며, 세포주기 중 M-G1에 속하는 세포질 분열에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The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cell cycle controls. In this study, a novel gene, the mas1?(mitosis associated protein) gene, a homolog of human CIP29/Hcc1, was isolated and characterized from fission yeast Schizosaccharomyces pombe (S. pombe) using a gene-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isolated gene contained a complete open reading frame capable of encoding 245 amino acid residues with a typical promoter, as judged by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It was also found that a PCB (pombe cell cycle box) is located in the promoter region, which controls M-G1 specific transcription in S. pombe.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mas1? transcript against adh1? showed that the pattern of express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septation index. Cytokinesis of mas1 null mutant was greatly delayed at 25℃ and 36℃, and a large number of multi-septate cells were produced. The mas1 null mutant had 2C, 4C and 6C DNA contents, as determined by FACS analysis. In addition, the number of multi-septate cell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cells were cultured in nitrogen starvation medium to increase proliferation, the abnormal phenotypes of mas1 null mutant dramatically increased. These phenotypes could be rescued by an overexpression of the mas1+ gene. The mas1 protein localized in the nuclei of S. pombe and human HeLa cells, as evidenced by Mas1-EGFP signals. The abnormal growth pattern and the morphology of mas1 null mutant were complemented by a plasmid carrying human CIP29/Hcc-1cDNA. In addition, CIP29 /Hcc-1 transcript level increased in active cell proliferation stages in the developing mouse embryo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as1? ishomologous to the human CIP29/Hcc1 gene and is involved in cytokinesis and cell shape control.

      • KCI등재

        분열형 효모에서의 mas2⁺ 유전자의 세포 내 기능

        신상민(Sang Min Sin),차재영(Jae Young Cha),하세은(Ha Se Eun),심선미(Sun Mi Sim),김형도(Hyoung Do Kim),이정섭(Jung Sup Lee),박종군(Jong Kun Park)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1

        유전자 발현의 조절은 세포주기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 새로운 mas2? (mitosis associated protein) 유전자는 인간의 SMARCAD1와 상동성을 갖고 분열형 효모인Schizosaccharomyces pombe (S. pombe)에서 gene-specific PCR방법에 의해서 분리하였다. 분리된 유전자는 SNF2 도메인이 위치해 있고, 이것은 염색체 재구성에 관련되어 있다. adh1?을 이용한 mas2? 전사체의 발현량 분석은 mas2?의 발현수준은 S. pombe에서 격막 형성 전에 가장 높았다. mas2? 완전돌연변이의 세포분열은 26와 35℃에서 지연되는 현상이 보였고, 다수의 다중 격막이나 핵분열이 일어나지 않는 세포들을 발견하였다. 세포들을 완전배지인 YES에서 증식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배양했을 때, 정상과 다른 형태의 표현형을 가진 mas2? 완전돌연변이 세포들이 증가했다. 이런 표현형들은 mas2? 유전자의 과발현에 의해서 감소하였다. Mas2 단백질은 S. pombe의 핵내에 위치하였다. 이런 결과들은 mas2?가 인간의 SMARCAD1과 상동성을 갖고 있고, 염색체 재구성과 격막 형성 조절에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The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cell cycle controls. In this study, a novel mas2? (mitosis associated protein) gene, a homolog of human SMARCAD1 was isolated and characterized from a fission yeast Schizosaccharomyces pombe (S. pombe) using gene-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isolated gene contained a complete open reading frame capable of encoding 922 amino acid residues with a typical promoter, as judged by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It was also found that an SNF2 domain is located, which is involved in the chromosome remodeling.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mas2? transcript against adh1? showed that the expression level of mas2? is high before septum formation in S. pombe. When mas2? null mutant cells were grown at 27 and 35℃, the cytokinesis of mas2? null mutant was greatly delayed and a large number of multi-septate and mis-segregated cells were produced. In addition, the number of multi-septate cell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cells were cultured in YES rich medium to increase proliferation, the abnormal phenotypes mas2? null mutant dramatically increased. These phenotypes could be rescued by an overexpression of the mas2? gene. The Mas2 protein localized in the nuclei of S. pombe, as evidenced by Mas2-EGFP signa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as2? is homologous to human SMARCAD1 gene and involved in septum formation and chromosome remodeling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