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테마파크의 ‘가상성’을 통한 관객성에 관한 연구

        태지호(Tae Ji-Ho) 인문콘텐츠학회 2009 인문콘텐츠 Vol.0 No.14

        본 연구는 테마파크의 가상성을 통한 관객성에 관한 논의이다. 테마파크는 공간형 콘텐츠로서 최근 문회콘텐츠의 종합체라 할 수 있을 만큼 그 문화적,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으며, 이에 따른 주목도도 커지고 있는 영역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테마파크를 가상성에 기반 한 문화콘텐츠라고 가정하고 이를 그 관객과 연관하여 논의한다. 이를 위해 우선 가상성에 대해 이론적인 고찰을 한다. 이는 가상과 실재라는 차원에서 미디어의 사실주의의 계보를 통해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르크 개념과 피에르 레비의 가상에 대한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테마파크의 가상적 측면을 논의하는데, 이는 이야기적 측면, 시공간적 측면, 시각적 측면으로 각각 나누고 이들이 가지고 있는 가상성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이러한 테마파크의 가상성은 결국 관객이 몰입하게 되는 요인이 되는 것인데, 이를 통해 관객의 참여를 유도하며, 관객성은 응시, 소비, 놀이의 측면으로 나타난다. 이는 테마파크 역시도 경험재라는 차원에서 심리적인 측면이 중요함을 뜻하는 것이며, 그리고 이를 가능케 하는 요인은 결국 테마파크의 실제 구성요소들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객성의 구분은 실제 상보적이기도 하며 순환적으로 나타나는 것이지만, 기존의 능동과 수동의 형태로 이용자를 구분하였던 것보다는 다층적이며, 실제 관객의 행위와 연관하면서 동시에 콘텐츠의 본질과 그 요소를 통해 설명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Only few attempts have so far been made at virtuality in space based contents. So,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study spectatorship with virtuality in theme park among the space based contents. For this,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addresses theories of virtuality. This focus on arguments of Jean Baudrillard and Pierre Levy. And then, this dissertation concentrates on characteristics of virtuality in theme park. That is based on three theses which are story, time/space and visuality. These characteristics affect immersion of spectators. So virtuality changes spectatorship forms into gaze, consumption and play. And these are reusult of participation at virtuality in theme park. Consequently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virtuality, building on studies which explore diverse spectatorship in theme park.

      • KCI등재

        공적 기억의 문화적 실천으로서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태지호(Ji Ho Tae),정헌주(Heon Joo Ju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4 亞細亞硏究 Vol.57 No.3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represents Korea"s modern history as public memory and its social implications. Acknowledging the past is continuously transformed and reconfigured by the act of memorizing in the present, it focuses on the sociality of memory and its performing cultural practice. In addition, it takes into careful consideration that memorizing of the past can take a form of “civilizing ritual” through representation system of the museum. Based upon theoretical accounts of museum, we examine how the museum represents Korea"s recent past with a focus on its narratives and cultural constraints by site visits and observation of visitors. The analysis consists of two parts: historical, political, and descriptive contexts of the museum and its contents and ways of representation. The analysis shows that the museum represents the economic growth as a main theme while its broader contexts and multifaceted aspects are forgotten. Specifically, it takes a closer look at (1) who is responsible for economic growth,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and political development, and (3) how economic growth was achieved. It finds that the museum “prohibits” labor and political development to represent a modern myth of economic growth. In sum, the museum"s representation of public memory is to visually mythify the role of the state in today"s prosperity and to implicitly provide moral ethics regarding the appropriate direction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문화콘텐츠 연구 방법론의 토대에 대한 모색

        태지호(Tae, Ji-Ho) 인문콘텐츠학회 2016 인문콘텐츠 Vol.0 No.41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 연구 방법론의 토대에 대한 모색이다. 문화콘텐츠는 학제간 연구이며, 그 세부 영역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논의가 쉽지 않다.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를 문화적 소재가 구체적으로 가공되어 매체에 체화된 무형의 결과물로 정의하고, 이를 통해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격적인 논의는 “‘문화’와 ‘콘텐츠’를 어떻게 다룰것인가”라는 문제에서 출발하여, 여기에 적용 가능한 여러 학문 영역의 연구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문화’에 대한 연구는 ‘이해’를 위한 해석학적이고 비판적인 논의이며, ‘콘텐츠’에 대한 연구는 ‘분석’을 위한 가치와 효과 중심의 논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 단의 연구 방법론은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이 아니다. 이에 대해서는 계속되는 조정과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문화콘텐츠학은 고유한 정체성을 지닌 학문 영역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an exploring study on foundations of methodology for cultural contents. Cultural contents correspond to interdisciplinary study, and its detailed areas are too diverse to be discussed easily. For discussion, this study defines cultural contents as intangible outcomes resulted from processing cultural materials concretely and embodying them in media. To start the discussion genuinely, this author focuses on the matter of “How should we deal with ‘culture’ and ‘contents’?” and suggests study methodology for the areas of different studies applicable to it. Research on ‘culture’ is the hermeneutical and critical discussion for ‘understanding’, and research on ‘contents’ is the discussion focused on value and effect for the sake of ‘analysis’. Nevertheless, study methodologies for the two ends cannot be differentiated clearly. Regarding this, it will be needed to conduct constant adjustment and research. Through this, the cultural contents studies will be able to be positioned as one of the sciences equipped with its unique identity.

      • KCI등재

        문화콘텐츠에 재현된 집단 기억의 문화기호학적 의미 연구

        태지호 ( Ji Ho Tae ) 한국기호학회 2015 기호학연구 Vol.43 No.-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를 통해 집단 기억이 어떻게 구현되고 그것이 가지는 사회적 함의는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이론적 차원에서 집단 기억과 정체성과의 관계, 문화적 재현의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집단 기억의 활용양상에 대해서 공간형 콘텐츠와 영상콘텐츠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화콘텐츠는 기억 산업의 형태로 나타나며, 다양한 의미작용의 모습을 지닌다. 동시에 문화콘텐츠는 집단 기억의 경합과 소통의 장으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새로운 역사 쓰기의 가능성을 가진다. 이러한 일련의 결과 속에서,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를 통해 재현된 집단 기억의 모습을 뜨거운 기억으로 진단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차가운 기억을 제안하였다. 차가운 기억은 기억의 윤리성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동시에 이는 기억 대상과 기억 주체라는 이분법에 함몰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f the way of how collective memory is realized through cultural contents and its social implications to us. In order to carry out the research project, this study consid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memory and identity, and meaning of cultural representation. And this study examined an applicative aspect of collective memory through the land based contents and the visual contents. As a result of research through this process, cultural contents is presented the shape of memory industry, and had various signification forms. And cultural contents is understood as a field of a contest and communication of collective memory. Also it have a possibility of alternative history. This dissertation realizes the state of the collective memory reproduced through cultural contents as a hot memory, and suggests a cold memory as alternative. Consequently, a cold memory is concept about the ethicality of memory.

      • KCI등재

        광고에 나타난 기억 활용 방식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태지호(Ji Ho Tae)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8

        본 연구는 광고에 나타난 기억 활용의 방식과 그 의미에 대해 중국과 유럽에서 공개된 현대자동차 기업 PR 광고를통해 다룬다. 이를 위해, 이론적 논의에서 광고가 상품의 의미를 문화적이거나 사회적인 차원으로 이해하게 만든다는점을 다루었다. 특히 기업 PR 광고는 일반적인 상품 광고보다 더욱 광범위하고 은밀하게 작동되는 이데올로기적 의미를내포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 PR 광고를 ‘브랜드 스토리 텍스트’로 바라보면서, 광고에서 기억이어떻게 재현되는지 살펴보기 위해 내러티브 이론을 연구 방법론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중국 광고인 ‘가족사진’은 행복의 가치가 가족으로의 회귀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는가족주의 이데올로기를 내포하고 있었다. 여기서 가족사진은 주인공이 과거를 기억하도록 하는 매개체이며, 현대 자동차는 그 기억을 현재화하거나 현실화하는 수단이 된다. 유럽 광고인 ‘내일을 향합니다’는 진보라는 가치를 국가 재건이라는 이야기를 통해 강조한다. 이를 위해 현대자동차뿐 만 아니라 현대그룹의 성과를 보여준다. 특히 광고에서 기억은 기업의 서사를 한국의 현대사 및 인류 역사와 맞대어비교하기 위해 활용된다. 이를 위해 소환된 기억은 창업주의 행적과 역할이며 광고는 이를 통해 진보라는 기업 가치를말한다. 더 나아가 광고는 기업 가치가 기업이나 국가를 넘어서는, 인류 및 세계사적 입장에서 추구하여야 할 가치임을견지하면서, 광고가 기억하는 과거가 보편성을 획득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종국적으로, 본 광고들은 현대(hyundai)의 신화를 가족주의와 국가주의 및 역사적 진보라는 현대(contemporary)의 신화로 새롭게 구축하기 위한 방편으로 기억을 활용한 것으로 이해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ways of using memory in advertisements and its meaning through PR advertisements of Hyundai Motor Company released in China and Europe. To this end, this study dealt with the fact that advertisements in theoretical discussions make the meaning of products understood as a cultural or social dimension. In particular, it was discussed that corporate PR advertisements have a broader and covertly operated ideological meaning than general product advertisements. This study viewed corporate PR advertisements as a 'brand story text' and set narrative theory as a research methodology to see how memories are reproduced in advertisemen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hinese advertisement 'Family Photo' contained the familial ideology that the value of happiness can be acquired through a return to the family. Here, family photography is a medium for the protagonist to remember the past, and Hyundai Motors become a means of presenting or realizing the memory. European advertisement 'Next Awaits' emphasizes the value of progress through the story of national reconstruction. To this end, it shows the achievements of Hyundai Motor as well as Hyundai Group. In particular, in advertisement, memory is used to compare the company's narrative with modern Korean history and human history. The memory summoned for this is the founder's track record and role, and advertisement refers to the corporate value of progress through this. Furthermore, advertisement emphasizes that the past remembered by advertisement can acquire universality, while maintaining that corporate value is a value that should be pursued from the standpoint of humanity and world history beyond a company or country. Ultimately, these advertisements are understood to have utilized memory as a way to newly build the myth of 'hyundai' into the myth of 'contemporary' of familialism, nationalism, and historical progres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천만 영화’의 서사구조 유형 분석

        태지호(Ji-Ho Tae),김대근(DaeKeun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는 한국에서 개봉한 영화 중, 관객 동원 1000만 명을 넘은 영화(‘천만영화’)의 서사 구조와 그 유형을 분석함으로서 이것이 현재 한국 영화 산업계에서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지를 다루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영화 산업의 상품으로서 영화와 그 서사의 관계를 파악함과 동시에, 영화의 흥행과 서사 구조의 보편성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아울러 이에 대한 접근으로서 구조주의적 분석과 원형 혹은 신화 서사적 분석의 특징에 대해 다루었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노드럽 프라이의 원형 서사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총 27편의 ‘천만영화’의 영화를 유형화 하였다. 연구결과 ‘희극구조가 13편, ‘로맨스’구조가 7편, ‘비극’구조가 4편, ‘아리러니 및 풍자’구조가 3편으로 나타났다. ‘희극’과 ‘로맨스’구조는 전체 천만영화에서 높을 비율을 나타냄과 동시에 흥행 순위에 있어서도 상위권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에서 흥행한 영화들에 대한 서사적인 규칙과 관습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국 영화 산업에서 대중들의 영화 소비에 대한 대략적인 지형도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산업적 관점에서 영화를 제작할 때 어떠한 방식으로 영화의 서사를 구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ypes of films that has attracted more than 10 million viewers ("10 million films") among films released in Korea, and deal with the implications of the current Korean film industry.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s and their narrative as a product of the film industry. To approach this, We dealt with the features of structuralist analysis and archetype or mythological narrative analysis. For a detailed analysis, a total of 27 films of “10 million films” were categorized using Northrop Frye"s original narra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13 comedy structures, 7 romance structures, 4 tragic structures, and 3 irony and satire structure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edy” and “romance” structures had a high percentage of all 10 million films, and occupied the top ranks in the box office ranking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narrative rules and customs of films hitting Korean box offices, an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examine a rough topography of the film consumption of the public in the Korean film industry. This can be said to provide a clue as to how the narrative of the film should be constructed when producing a film from an industrial perspective.

      • KCI등재
      • KCI등재

        헤테로토피아로 본 영화 〈창〉의 공간구조 분석

        태지호(Ji-Ho Tae),김대근(Dae-Keun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8

        본 연구는 1997년 개봉한 임권택 감독의 영화<창>에 나타난 공간 구조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영화의 공간은 등장인물의 성격과 특징을 포함하여 인물을 둘러싸고 있는 당대의 현실 및 외재적 상황을 파악하게 해주는 영화적 조건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공간개념을 활용하였다. 헤테로토피아 개념은 당대의 성격을 규정하면서, 우리 삶을 둘러싼 자본과 권력, 제도와 규범이 공간을 통해 어떻게 가시화되고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제 속에서 본 연구는 우선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과 그 함의에 대해서 다루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영화 <창>의 공간이 헤테로토피아로 논의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영화 <창>의 공간은 일탈의 헤테로토피아, 저항 불가능성의 헤테로토피아, 경계의 헤테로토피아로 구분되었으며, 이는 영화의 대사, 장면, 편집 등과 같은 영화 요소들에 대한 분석과 병행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한 영화 <창>에 드러나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우선 영화 <창>에서의 여성들은 수동적으로 재현되며, 헤테로토피아의 경계를 부유하고 있었다. 그리고 영화 <창>은 역사와 기억을 동시에 재현하고 있으며, 그 경합의 장으로서 헤테로토피아를 제시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structure of director Im Kwon-taek"s film 〈Downfall〉, which was released in 1997. The space of the film contain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and allows us to understand the contemporary reality and external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charact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Michel Foucault"s concept of heterotopia. The concept of heterotopia defines the character of the era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how capital, power, institutions and norms surrounding our lives are being visualized through spac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first dealt wit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Michel Foucault"s concept of heterotopia and its meaning. And through this, w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that the space of the film 〈Downfall〉 can be defined as a heterotopi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ilm"s dialogue, scenes, and editing, the space of the film 〈Downfall〉 was divided into a heterotopia of deviation, a heterotopia of resistance impossibility, and a heterotopia of boundaries. The meaning of the film 〈Downfall〉obtained through this analysis is as follows. The woman in the film 〈Downfall〉 is passively represented and floating on the border of heterotopia. And the film 〈Downfall〉 represent history and memory at the same time, and presents a heterotopia as the arena of competition.

      • KCI등재

        1919년은 어떻게 기억되는가 Ⅱ - 3.1운동 100주년 기념식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식의 수행을 중심으로

        태지호 ( Tae Ji-ho ) 한국기호학회 2021 기호학연구 Vol.66 No.-

        본 연구는 3.1운동 100주년 기념식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식을 통해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대한 기억이 현재 우리에게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억과 기념식 그리고 기념식 중계가 일련의 연속적인 재현이라는 과정에 놓여있음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기념식과 기념식 중계는 제도적 실천과 재현 관습을 내포하고 있음을 다루었다. 우선 기념식에 대해 참여자들의 몸에 체화되는 기억 퍼포먼스로써, 이는 근대적 통치성을 담지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후 기념식 중계에 대해서는 그것이 일상의 문화 정치의 전형으로 제시되는 미디어 이벤트의 특성을 공유함과 동시에 그것은 텔레비전 방송 재현 시스템 속에서 구성된 몽타주 기억임을 다루었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본 연구는 기념식 중계를 구체적인 연구 대상으로 삼고, 이를 통해 기념식의 의미와 더불어 그것의 중계가 재현되는 양상을 다루었다. 연구 결과, 이 둘 기념식 모두 기념사의 의미를 공고히 함과 동시에, 숭고와 유희라는 대별되는 가치를 대중적인 참여와 미디어의 향연을 통해 수행되는 문화적 실천임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기념식 중계는 기념식 실황에 매체 구성적 실천이 더해진 새로운 미디어 이벤트임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저자의 기존 연구인 ‘1919년은 어떻게 기억되는가’에서 다루지 못한 기념식을 논의함으로써, 기존 연구를 계승 및 보완하는 동시에 연구사의 연속성을 강화하는 연구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commemoration of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this, this study has suggested a proposition that the memory, commemoration, and broadcasting the commemoration are in the process of a series of consecutive representations and addressed the fact that the commemoration and broadcasting the commemoration, in particular, imply the institutional practice and representation convention. First of all, the study has discussed that the commemoration features modern governance as a memory performance embodied among the participants and addressed that broadcasting of the commemoration is a part of montage memory built in the television reproduction system while sharing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events presented as the epitome of everyday cultural politics. For this discussion, this study has adopted the commemoration broadcasting as a specific research subject, through which the study has dealt with the representation of its broadcasting while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commemoration. The study has found that both commemorations are a cultural practice of implementing the two separate values of nobility and play with public participation and media’s feast while consolidating the meaning of the commemoration. In addition, the commemoration broadcasting has been confirmed to be a new media event with the media constitutive practice added to the actual status of the commemoration. This study find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discusses the commemorations that are not addressed in my previous study, ‘How is 1919 remembered?’, thus building up the continuity of research history while inheriting and complementing the previous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