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재직조건 또는 일정근무일수 조건이 있는 상여금의 통상임금성

        최파라 법조협회 2015 法曹 Vol.64 No.7

        On Dec 18, 2013,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set out detailed standards on the previously contested ordinary wage, especially mentioned ‘fixedness’ element of ordinary wage. However after th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still there exist arguments about ordinary wage. In particular, lower courts’ decisions whether bonuses paid only to those employees working for the employer on a specific date, and bonuses paid contingent on whether an employee meets a certain number of working days condition included in ordinary wages are different each other, and it causes confusion. The confusion is about ‘fixedness’. Lower courts’ different decisions on the issue whether bonuses with a condition working on a specific date or a requirement working for specific days are due to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fixedness’. And some of lower courts’ decisions misunderstood the ruling of 2013 Supreme Court decision. To avoid contradictions, courts should understand the Supreme Court decision(majority opinion), and make a distinction between the issue of ‘interpretation of requirements’, ‘legal validity of requirements’ from the issue of judging ordinary wage. 대법원 2013. 12. 18. 선고, 2012다89399 전원합의체 판결은, 그 동안 논란이 되어 왔던 통상임금의 판단기준, 특히 고정성의 의미와 구체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렇지만 전원합의체 판결 이후에도 일부 명확하지 않은 쟁점들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전원합의체 판결은 재직조건이나 일정근무일수 조건이 있는 임금항목은 통상임금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는데, 재직조건, 일정근무일수 조건이 있는 상여금의 통상임금성 판단과 관련하여 일부 하급심 판결의 결론이 상이하여 실무상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여금의 재직조건, 일정근무일수 조건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논쟁의 내용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하급심 판결의 결론이 다른 이유를 분석함으로써 실무 혼란의 현 주소를 조명한다. 그리고 재직조건 또는 일정근무일수 조건이 있는 상여금의 통상임금성과 관련하여, 전원합의체 판결이 제시한 통상임금의 판다기준과 일관되면서도 구체적 타당성 있는 판단을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 KCI우수등재

        실무연구(實務硏究) : 재직조건 또는 일정근무일수 조건이 있는 상여금의 통상임금성

        최파라 ( Para Choi ) 법조협회 2015 法曹 Vol.64 No.7

        대법원 2013. 12. 18. 선고, 2012다89399 전원합의체 판결은, 그 동안 논란이 되어 왔던 통상임금의 판단기준, 특히 고정성의 의미와 구체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렇지만 전원합의체 판결 이후에도 일부 명확하지 않은 쟁점들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전원합의체 판결은 재직조건이나 일정근무일수 조건이 있는 임금항목은 통상임금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는데, 재직조건, 일정근무일수 조건이 있는 상여금의 통상임금성 판단과 관련하여 일부 하급심 판결의 결론이 상이하여 실무상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본 논문에서는 상여금의 재직조건, 일정근무일수 조건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논쟁의 내용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하급심 판결의 결론이 다른 이유를 분석함으로써 실무 혼란의 현 주소를 조명한다. 그리고 재직조건 또는 일정근무일수 조건이 있는 상여금의 통상임금성과 관련하여, 전원합의체 판결이 제시한 통상임금의 판다기준과 일관되면서도 구체적 타당성 있는 판단을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On Dec 18, 2013,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set out detailed standards on the previously contested ordinary wage, especially mentioned ‘fixedness’ element of ordinary wage. However after th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still there exist arguments about ordinary wage. In particular, lower courts’ decisions whether bonuses paid only to those employees working for the employer on a specific date, and bonuses paid contingent on whether an employee meets a certain number of working days condition included in ordinary wages are different each other, and it causes confusion. The confusion is about ‘fixedness’. Lower courts’ different decisions on the issue whether bonuses with a condition working on a specific date or a requirement working for specific days are due to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fixedness’. And some of lower courts’ decisions misunderstood the ruling of 2013 Supreme Court decision. To avoid contradictions, courts should understand the Supreme Court decision(majority opinion), and make a distinction between the issue of ‘interpretation of requirements’, ‘legal validity of requirements’ from the issue of judging ordinary wage.

      • KCI등재
      • KCI등재

        평균임금 산정방법의 해석상 문제점과 입법적 개선방안

        최파라(PARA CHOI) 한국법학원 2015 저스티스 Vol.- No.148

        근로기준법상 평균임금은 퇴직금과 각종 수당을 계산하는 기준임금으로 기능한다. 특히 평균임금은 퇴직금 산정을 위해 산정되는 경우가 많은데, 근로자가 퇴직금을 많이 받기 위해 퇴직 직전 3개월간의 임금을 높여 평균임금을 증가시킬 유인이 발생할 수 있고, 실제 성과수당이나 영업수당이 있는 사업장에서는 근로자가 퇴직 직전 의도적으로 성과수당 등 임금을 높이는 사례들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 한편 사용자의 대기발령, 휴업 등으로 퇴직 직전의 평균임금이 현저하게 낮아진 경우 근로자의 퇴직금이 부당하게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판례는 일찍부터 이와 같이 근로기준법 관련규정에 의하여 퇴직 직전 3개월간의 임금에 의해 평균임금을 산정하는 것이 현저하게 부적당한 경우,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4조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평균임금을 산정하여야 한다고 판시하여 왔다. 그러나 판례가 말하는 평균임금을 산정하는 것이 현저히 부적당한 때가 언제인지 불명확할 뿐만 아니라, 현저히 부적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그 평균임금을 어떠한 방법에 의해 산정해야 할 것인지에 대하여 아직까지 고용노동부장관이 기준을 정한 바가 없어, 이를 둘러싼 법적 분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실무는 민사소송을 통한 법원의 개별적 판단에 의해 분쟁이 해결되고 있으나, 법원 판단에 대한 예측가능성이 떨어지고 잦은 소송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휴업수당 산정을 위한 평균임금을 “정상적으로 임금을 지급받은 최종 시점을 기준으로 소급하여 1년의 기간에 해당하는 임금을 3개월분으로 환산하여 월 평균임금을 산정”한 것이 정당하다고 한 대판 2013.10. 11, 2012다12870을 글감으로 하여, 평균임금 산정에 관한 현행법령의 해석상 문제점을 지적하고, 보다 공평하고 예측가능한 평균임금 산정방법을 마련하기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The average wage is a tool to calculate other wages including retirement payment. Employees have a motivation to boost the average wage temporarily to increase retirement payment, and it happens very much especially about incentives. On the other hand, employers can make employee’s average wage go down by temporary shutdown. The Supreme Court decided that effects of making average wage fluctuation intentionally and remarkably shall not be included in the calculating sequence, and Enforcement decree of the Labor Standards Act Article 4 shall be applied to such a case. But the standard on the remarkable increase of average wage is vague, and the calculation method of average wage in that case is also uncertain. So, to resolve the legal disputes on the average wage, this article analyzes the interpretative problems of the current Labor Standards Act, and suggests the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on the calculation of the average wage.

      • KCI등재후보

        의료인의 형사책임

        이경환,최파라 대한의사협회 2013 대한의사협회지 Vol.56 No.8

        The Medical Service Act and many other laws regulate the actions of medical professionals. Receiving rebates from pharmaceutical companies has been criticized as unethical but not punished until 2011. However, it is now strongly forbidden. Unlicensed acts of medical care,which include providing medical care beyond the scope of the license or giving directions to an unlicensed person to practice medical care, are strictly punished even in the case of licensed medical professionals. It recently became an issue whether a doctor who wrote prescriptions to patients after examining them over the telephone violated the Medical Service Ac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administration of propofol since it recently became a major controversy. Furthermore, public health doctors are legally forbidden to work outside of a public health institution. The number of regulations on the medical industry is increasing every day. New laws usually toughen up punishment for those violating regulations. There is a legal maxim that says, “Ignorance of law excuses no on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medical professionals to steadily study and become familiar with applicable laws and related criminal cases to prevent themselves from becoming criminally l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