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배제가 인기제품 선호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의 분노와 따뜻한 이미지의 조절효과 -

        최지은 한국산업경영학회 2020 경영연구 Vol.35 No.4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ocial exclusion on popular product preferences. Based on prior research related to embodied recognition, presenting a warm image would mitigate the impact of social exclusion on the preference of popular products. Also, the degree of negative emotions derived from social exclusion may vary depending on consumers, and this study focused on anger, which is caused by other people's wrongs or unfairness. And then,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social exclusion w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eferences of popular products for consumers who are angry about social exclusion. Specifically, it was suggested that there would be a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social exclusion, the anger felt by consumers, and warm image presentation. As a result of an experiment, consumers who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preferred popular products to those who did not, and consumers preferred popular products under conditions where warm images were not presented. As expected, these effects have only been seen under consumers who have felt a high level of anger over their social exclusion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anded the scope of research related to social exclusion and embodied recognition.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배제가 인기제품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체화된 인지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근거로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소비자들에게 따뜻한 이미지를 제시하면, 사회적 배제가 인기제품의 선호에 미치는 영향이 완화될 것으로 보았다. 또한 사회적 배제에 대해서 느끼는 부정적 감정의 정도는 소비자들마다 다를 수 있는데, 본 연구에 서는 타인의 잘못이나 불공정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 감정인 분노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사회적 배제에 대해 분노를 느끼는 소비자들의 경우에 사회적 배제가 인기제품의 선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배제와 소비자들이 느끼는 분노, 그리고 따뜻한 이미지 노출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제안한 가설의 검정을 위하여 실험 연구를 진행한 결과,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소비자들은 그렇지 않은 소비자들보다 인기제품을 더 선호하였으며, 따뜻한 이미지가 제시되면 이러한 선호가 완화되었다. 그리고 예상했던 바와 같이 이러한 효과는 사회적 배제에 대해 높은 분노를 느낀 소비자에게서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배제와 체화된 인지 관련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였다.

      • KCI등재

        붓스트랩을 통한 공간자료의 분석

        최지은,박만식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4

        공간선형회귀모형에서는 종속변수에 내재된 공간 상관성을 모형화하기 위하여 공분산모형(covariance model) 혹은 세미베리오그램(semi-variogram)을 추정하는데 여기에는 공간적 연관구조를 나타내는 모수들을 포함한다. 이 모수들을 추정하기 위해 가중최소제곱법(weighted least squares estimation), 최대우도추정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잔차최대우도추정법(residual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모수추정방법들은 모수의 구간추정(interval estimation)을 근사적인 형태로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들 모수의 신뢰구간을 구하기 위해 붓스트랩(bootstrap) 방법을 적용하였다. 붓스트랩 방법으로는 공분산함수(covariance function)를 분해하여 붓스트랩 표본을 생성하는 방법과 잔차(residual)가 따르는 다변량 정규분포에서 난수를 생성하여 붓스트랩 표본을 생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공간자료에서 자료들 간의 연관성을 유지시켜주기 위해 사용하는 블록(block) 붓스트랩 방법을 제안하고, 블록의 개수를 정하는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안한 방법들을 비교하기 위해 모의실험을 수행하였고, 풍속자료를 이용하여 제안된 방법들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In the spatial linear regression model, we estimate the covariance model or the semivariogram, each of which contains several parameters representing the spatial association in order to include distance the spatial association into the error term. For estimating these parameters, we usually employ the weighted least method,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or the residual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However, it is implausible to obtain the confidence intervals of the parameters using the common estimation methods. In this paper, we introduce some bootstrapping methods to make the interval estimation possible. We also propose block bootstrapping methods and how to determine the number of blocks. To compare the various bootstrapping methods, we use the simulation studies and the analysis of wind speed data.

      • KCI등재

        청소년기부터 성인기 전이 시기 남녀의 건강위험행동 발달궤적과 영향요인

        최지은,박연재,김현경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0 No.4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health risking behaviors (HRBs) in Korean youth (aged 17–20 years) were examined using multi-group latent growth modeling focusing on alcohol use, smoking, and sexual behaviors. Gender differences and effects of early risk factors were also investigated.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data on 2,351 youth (women: n = 1,175) were analyzed. The findings indicated significant individual variability in the initial and growth rates in all three HRBs, except for female youth’s initial level of sexual behavior; Male youth showed higher initial levels and greater increases than female youth. Poor emotional adjustment, poor school adjustment, delinquent behavior, and deviant peer association during early adolescence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HRBs trajectories. Moreover,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the trajectories. Some of these risk factors were gender-specific and varied across the three HRBs. These findings will inform prevention and intervention efforts to reduce HRBs among Korean youth.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기 후기부터 성인기 초기(고등학교 1학년부터 대학교 1학년 연령)까지의 건강위험행동(음주, 흡연, 성관계)의 발달궤적을 규명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중학생 시기의 개인적․맥락적 요인을 확인하며, 발달궤적과 영향요인에서의 성차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남자 1,176명과 여자 1,175명으로, 다집단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잠재성장모형 검증 결과 여자의 성관계 초기값을 제외하고, 남녀의 음주, 흡연, 성관계의 초기값과 변화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고등학교 1학년 때에 건강위험행동을 더 많이 보이고 대학교 1학년 시기까지 그 빈도가 더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 발달궤적에는 중학교 때 남녀의 낮은 학교적응 수준, 높은 문제행동 수준, 남자의 비행또래, 여자의 정서문제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흡연 발달궤적에는 중학교 때 남녀의 문제행동 수준, 남자의 낮은 학교적응 수준과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행동이 영향을 미쳤으며, 성관계 발달궤적에는 중학교 때 남녀의 높은 문제행동 수준, 여자의 낮은 학교적응 수준과 비행또래가 영향을 미쳤다. 뿐만 아니라 중학교 때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행동은 청소년의 정서문제, 학교 부적응, 그리고 문제행동을 야기함으로써 이후 건강위험행동으로 이어지는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건강위험행동 예방을 위한 실천적 노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A new distribution record of Chrysosplenium grayanum Maxim. (Saxifragaceae) in Korea: Evidence from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최지은,인경호,김봉석,김경희,김진석,김용인,이병윤,임채은 국립생물자원관 2020 Journal of species research Vol.9 No.1

        Chrysosplenium grayanum Maxim. (Series Nepalensia), which had been known to be restricted to Japan, was newly discovered from Mt. Cheongtae in Yeonggwang-gun, Jeollanam-do,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Species identification was confirmed us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NA sequence data, while comparing with materials obtained from Japan and herbarium specimens. Chrysosplenium grayanum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remaining taxa of the genus Chrysosplenium by having glabrous plant body, opposite leaves, cylindrical papillae with roundish head at the tip on the smooth seed surface, and four stamens. Molecular sequence data of the nuclear ribosomal ITS regions, chloroplast rbcL and matK genes strongly supported that this previously unknown Chrysosplenium species from Korea is C. grayanum. Taking the molecular and the morphological evidence into consideration, it is clear that newly discovered Chrysosplenium population in Korea is conspecific with the widely distributed C. grayanum in Japan. In this paper, we provide a description, illustration, and photo images of Chrysosplenium grayanum from Korea and also a key to the Chrysosplenium species in Korea.

      • KCI등재

        판촉의 종류와 제시형태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의 인지욕구와 설득지식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최지은,박종철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4 No.3

        This research divided sales promotion into price-off promotion and value-added promotion and suggested that consumer response would be influenced by promotion type and framing. Specifically, the authors suggested that in case of price-off promotion cent-off promotion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percentage-off promotion and this effect would be moderated by consumers' need for cognition. In addition, the authors posited that in case of value-added promotion 1+1(buy-one-get-one-free) promotion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two-for-one promotion and this effect would be moderated by consumers' persuasive knowledge. The results of two studies indicated that while consumers with low need for cognition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 towards price-off promotion than percentage-off promotion, consumer with high need for cognition showed the same level of consumer response towards both promotions. In addition, consumers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 towards 1+1 promotion than two-for-one promotion and this effect was limited to consumers with low persuasion knowledge. This study expanded the scope of promotion literature and provided marketing practitioners practical implications. 본 연구에서는 판매촉진의 유형을 가격인하적 판촉과 가치부가적 판촉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판촉의 제시형태에 따라 소비자 반응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가격인하적 판촉의 경우 비율제시와 가격제시에 따라 소비자 반응이 달라질 것이라고 예상하였으며, 소비자의 인지욕구 수준에 따라 이러한 소비자 반응이 조절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또한 가치부가적 판촉의 경우 제품세트 제시와 무료사은품 제시에 따라 소비자 반응이 달라질 것이라고 예상하였으며, 이러한 소비자 반응은 소비자의 설득지식 수준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 가격인하적 판촉의 경우 제시형태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인지욕구가 낮은 소비자는 비율제시보다 가격제시일 때 더 긍정적 반응을 보인 반면에, 인지욕구가 높은 소비자는 제시형태 간에 유의한 반응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가치부가적 판촉의 경우에는 제품세트 제시보다 무료사은품 제시일 때 더 긍정적인 소비자 반응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효과는 설득지식이 낮은 소비자에게만 국한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판촉의 유형을 가격인하적 판촉과 가치부가적 판촉으로 분류하고, 이러한 판촉의 효과를 조절하는 소비자의 개인특성변수(인지욕구와 설득지식)를 제안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마케팅 실무자에게 판촉의 실행에 관한 실질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인터넷 검색 목표와 소비자의 심리적 반발 성향이 팝업광고에 대한 짜증에 미치는 영향

        최지은,박종철 한국광고학회 2015 광고학연구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팝업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부정적 반응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팝업광 고에 대한 소비자의 짜증에 초점을 맞추어 짜증의 영향요인과 조절요인을 규명하고자 하 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검색 목표와 소비자의 심리적 반발 성향을 제안하였으 며, 이 두 변인에 따라 팝업광고에 대한 짜증의 수준이 달라질 것임을 제안하였다. 시나리오 기 법을 이용한 실험 결과, 탐색 목표보다 구매 목표를 가진 소비자가, 그리고 심리적 반발 성향이 낮은 소비자보다는 높은 소비자가 팝업광고에 대해 더 높은 수준의 짜증을 나타냈다. 또한 두 변 수 간에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반발 성향이 낮은 소비자의 경우 에는 인터넷 검색 목표가 짜증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심리적 반발 성향이 높은 소비 자는 인터넷 검색 목표가 구매 목표일 때 더 높은 수준의 짜증을 보였다. 그리고 구매 목표 상황 일 때 심리적 반발 성향이 높은 소비자가 낮은 소비자보다 더 높은 수준의 짜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팝업광고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팝업광고가 인터넷 검색 목표와 같은 상황변수나 심리적 반발 성향과 같은 개인의 기질적 특성 에 따라 그 효과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팝업광고에 대한 학문적 이해의 폭을 넓혔으며, 마케팅 혹은 광고 실무자에게 팝업광고의 실행과 관련된 실질적 지침을 제공하였다.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persuasive effect of pop-up ads. Specifically, this research aims to verify the antecedents of irritation towards pop-up ads. The author suggests that browsing goal and consumers' psychological reactance trait would influence irritation towards pop-up ads. The author conducts an experiment adopting a scenario approach. As a result, this research verifies that consumers with purchasing goal tend to feel higher level of irritation towards pop-up ads than consumers with exploratory goal, and consumers with high reactance are more likely to feel irritation towards pop-up ads than consumers with low reactance. In addition, this research reveals that there is an interaction between browsing goal and consumers's psychological reactance. Specifically, consumers with high reactance tend to feel more irritation toward pop-up ads when they have purchasing goal rather than exploratory goal, while consumers with low reactance tend to feel the same level of irritation toward pop-up ads in case of both goals. This research makes important contributions on pop-up ads literature. Also,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offer marketing practitioners managerial implications.

      • KCI등재

        개인화 제품 선호의 영향요인: 선물 구매상황에서 선물 구매자와 선물 사용자의 관계 특성과선물 구매자의 자아해석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최지은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6 No.4

        Factors influencing preference toward personalized products in gift-giving situations: social relationship as moderating effect between gift buyers and gift recipients and self-construal of gift buyers 본 연구에서는 선물을 구매하는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개인화 제품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선물 사용자와 선물 구매자간의 관계 특성과 선물 구매자의 심리적 특성인 자아해석 간에 상호작용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 독립적 자아해석 구매자의 경우 선물 사용자와 선물 구매자간의 사회적 거리가 멀 때보다 가까울 때 개인화 제품에 대해 높은 선호를 보인 반면에, 상호의존적 자아해석 구매자의 경우 제품 사용자와의 관계 특성이 개인화 제품 선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문적으로 개인화 제품 관련 연구의 폭을 넓혔으며, 개인화 제품의 마케팅을 담당하는 실무자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