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본 유령영화의 공포와 진혼의 연구 : 요쓰야 괴담(四谷怪談)을 중심으로

        최중락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paper looked into the horror of a ghost and code of repose of souls around <Yotsuya ghost story>reproduced into a movie after World War II and Japanese horror which appeared from the late 1990s with Kabuki Kyogen during the Edo Period as a source. The ghost symbol of this paper is the Japanese people's outlook on the work and view of souls about the dead. There have existed the spirit faith and ancestral spirit faith on the basis of the primitive religion form, i.e. animism. The ancestral spirit faith is the belief in 'Souls of Ancestors' Defense of Descendants.' The ancestral spirit faith developed into the concept of a patron saint of a clan in order to reinforce the solidarity of a clan, and a chief of a clan performed rites. With an ancient country system established, people of the days perceived a soul of royal families and aristocrats who died under a false accusation as not a patron saint but as a vengeful spirit which conveyed a disaster. Administrators were politically exploiting a ghost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rites for and soothing a vengeful spirit. As the world entered the Middle Ages, a ghost was expanded into a warrior and a woman. However, the horror of a ghost reduced but a living person got to be established as a main entity who got a ghost to ascend to Heaven. In early modern times, a female ghost got established in the center of ghost narration. A female ghost's becoming the center was because men's death was replaced by women's death as the era of wars switched to the era of peace. Women's death in the process of childbirth became the terror of the male-dominated society. The ghost represented in modern movies is expanded into a woman and even a child. Children are others from an adult's perspective. In order to surmount the horror imparted by a ghost, Japanese adopted various methods of repose of souls. In ancient times, they constructed religious Matsuri and Shrine in order to soothe vengeful spirits, and in the Medieval days, they did repose of vengeful spirits through literary works and Noh(能) which was the play of repose of souls. Even in early modern times, Japanese people tried to do repose of souls by memorizing ghosts through Kabuki and ghost story narrative. Even up to the present, ghost narrative is being handed down. However, the representative ghost narrative in modern times is a horror movie. The ghost in<Yotsuya Ghost Story> created with the ghost story in early modern times as a material, and the ghost turning up in modern Japanese horror appears as an existence creating horror, and a woman who is excluded after becoming a victim of a hero's desires. There exists only a female ghost who is characterized as a tool for effectively representing the humanity lost in the process of a high-level of economic growth of Japan, and undersized hero stemming from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The background of Japanese horror is family nuclearization and family down which began with the high-level economic growth. The ghost appearing in a suspense thriller <Ring>is the character victimized by the mass media coverage. The ghost imparts horror to unspecified masses while projecting its deep grudge onto the video. The only available way for a person, who watches the video, to get away from the horror, i.e. the way of soothing the ghost soul, is through the spread and propagation by copying videos. There was the coverage of the mass media that the Miyajaki Stomu's infant murder case, which was once a social phenomenon in the late 1990s, stemmed from a violent, grotesque video. However, the tragedy began with the social structure which mass-produced boys who watched videos while being left alone other than a personal matter of video watching. In addition, the female ghost and child ghost of <Jueun> who was victimized by domestic violence does metaphor of the phenomenon of the days. There appears a ghost on the boundary between a norma family and an abnormal family. The space of a familiar 'family' changes into a dreadful space, and a ghost and horror come into existence through family dissolution. Occurrence of a ghost starts with dissolution of a 'family.' In addition, the major arena where horror comes about becomes a 'home.' Like this, the Japanese ghost in modern times is not the existence which breaks into a house from outside but the existence occurring inside. The ghosts in Japanese movies are children who are others of the adult society, not to mention women who are others of the male-dominated society. Such ghosts provide horror, which people can hardly contact in daily routines, through not only a surprise and hatred but also strange, grotesque shapes, gestures, sound, etc. Such grotesqueness is added to the appearance of a ghost gradually by a spectral appearance. The spectral appearance is similar to the horror of a vengeful spirit of the ancient period, and plays a part in expanding the ghost, which was limited to private horror, into public horror. 본 논문에서는 에도시대 가부키교겐(歌舞伎狂言)을 전거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영화로 재생산된 <요쓰야 괴담(四谷怪談)>과 1990년대 후반부터 등장한 재패니즈 호러를 중심으로 유령의 공포와 진혼의 코드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유령은 사자(死者)에 대한 일본인의 세계관과 영혼관이 표상이다. 일본에는 원시 종교형태인 애니미즘을 바탕으로 하는 정령신앙과 조령신앙이 존재했다. 조령신앙은 조상의 영혼이 자손들을 수호해 준다는 믿음이다. 조령신앙은 씨족의 연대를 강화하기 위해 씨족신 개념으로 발전하였고, 씨족의 수장이 제사를 집행하였다. 고대국가 체제가 갖추어지면서 억울하게 죽은 왕족과 귀족의 영혼을 수호신이 아니라 재앙을 전하는 원령으로 인식했다. 위정자들은 원령을 제사지내고 위무하는 과정에서 유령을 정치적으로 이용했다. 중세가 되면 유령은 무사와 여성으로 확대된다. 하지만 유령에 대한 공포는 줄어들고 살아있는 사람이 유령을 승천시키는 주체로서 자리 잡게 된다. 근세에는 여성유령이 유령서사의 중심에 자리한다. 여성유령이 중심이 된 것은 전쟁시대에서 평화시대로 남성의 죽음이 여성의 죽음으로 대체되었기 때문이다. 출산과정에서 여성의 죽음은 남성 중심사회에서 공포의 대상이 되었다. 현대 영화에서 표상되는 유령은 여성과 아동으로까지 확대된다. 아동은 어른의 관점에서 타자이다. 유령이 전하는 공포를 극복하기 위해 일본인은 다양한 진혼방식을 채택했다. 고대에는 원령을 진혼하기 위해 종교적인 마쓰리와 신사를 건립하였고, 중세에는 문학작품과 진혼의 연극인 노(能, Noh)를 통해 원령을 진혼했다. 근세에도 가부키와 괴담(怪談)서사를 통해 유령을 기억함으로써 진혼하려고 했다. 현재까지도 유령서사물은 계승되고 있다. 하지만 현대의 대표적 유령서사는 공포영화이다. 근세 괴담을 제재로 한 <요쓰야 괴담> 속 유령과 현대 재패니즈 호러에 등장하는 유령은 공포를 연출하는 존재, 그리고 남성주인공의 욕망에 희생되어 배제되는 여성으로 등장한다. 일본의 고도경제성장 과정에서 상실된 인간성과 모자관계에서 비롯되는 왜소한 남성주인공을 효과적으로 표상하기 위한 도구로 캐릭터화된 여성유령이 존재할 뿐이다. 재패니즈 호러는 고도경제성장 과정에서 비롯된 핵가족화와 가정 붕괴가 배경이다. 영화 <링>에 등장하는 유령은 매스컴의 보도로 희생된 인물이다. 유령은 원한을 비디오에 투사하면서 불특정 다수에게 공포를 전한다. 비디오를 관람한 사람이 공포에서 벗어나는 방법, 즉 유령을 진혼하는 방법은 비디오의 복제를 통한 증식과 전파를 통해 가능하다. 1980년대 후반 사회적 현상이 되기도 했던 미야자키 쓰토무의 유아살인 사건은 폭력적이고 엽기적인 비디오에서 비롯되었다는 매스컴의 보도가 있었다. 하지만 비디오 관람이라는 개인적 문제가 아니라 방치된 채 비디오를 관람하는 소년을 양산한 사회적 구조 속에서 비극은 시작된 것이다. 그리고 가정폭력에 의해 희생된 <주온>의 여성유령과 아동유령은 가정폭력이라는 당대의 현상을 영화 속에서 은유한다. 정상적 가족과 비정상적 가족의 경계에 유령이 등장한다. 친숙한 ‘가정’이라는 공간은 두려운 공간으로 변화하고, ‘가족’의 해체를 통해 유령은 발생하고 공포가 발생한다. 유령의 발생은 ‘가족’의 해체에서 비롯된다. 그리고 공포가 발생하는 주요 무대는 ‘집’이 된다. 이처럼 현대 일본의 유령은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존재가 아니라 내부에서 발생하는 존재이다. 일본영화 속 유령은 남성중심사회에서의 타자인 여성은 물론이고 어른사회의 타자인 아동들이다. 이런 유령들은 놀라움과 혐오만이 아니라 기괴하고 그로테스크한 형상과 몸짓, 소리 등으로 일상에서 접할 수 없는 공포를 제공한다. 이런 그로테스크함은 유령의 모습에서 차즘 요괴적 모습이 부가된 것이다. 요괴적 모습은 고대시대의 원령에 대한 공포와 유사하고, 사적공포로 제한되었던 유령이 공적공포로 확대되는 역할을 담당한다.

      • '남자는 괴로워(男はつらいよ)'의 일고찰 : 현대의 신화로서의 의미와 신화의 재생산 양상

        최중락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A genre film of Shouchiku Co., &#65378;Otoko wa Tsurai yo&#65379;was produced from 1969 to 1995. This film, which had been repetitively produced for 26 years with similar theme and pattern, has created a modern mythology. Further, such mythology continues today through a reproduction. The first chapter of this paper will first discuss traditionality and similarity of Shouchiku Co. &#65378;Otoko wa Tsurai yo&#65379; has lots of similarity with Shouchiku films produced in 1930s. A concept of a middle class in 1930s had been extended to a dispute of identifying with the middle class in 1970s. Further, 1930s' Shouchiku petit bourgeois films had viewed the crisis of family was originated from an intrusion of modern material civilization. These films had emphasized a harmony of traditional family and a restoration of Japanese spirit. Such tradition had enhanced a Japanese traditional ideology of patriarchal authority that can be symbolized as a state-familism. &#65378;Otoko wa Tsurai yo&#65379; delivers a nostalgia of good times to audiences while exalting the crisis of a collapse of family during the development of economy through petit bourgeois films. The second chapter will review the mythological aspect of a character, Kuruma Torajiro. Torajiro, who has an occupation of Tekiya, is the character that exists on the boundary and has an image of stranger as per folklore. Such image can be a being that is rejected from a community, and sometimes it can be a holy being with a heroic image that is accepted hospitably. Through this character, it reminds audiences of a debt of gratitude and a sympathy toward precious humans that they have given up by taking material affluence from the economic development. Further, such image is similar with an ideology of nationalism in 1930s that sacrifices oneself to promote the country's development during the economic development. The third chapter will discuss images of female in the film. Sakura and madonnas, typical female images in the film, seems to become independent to seek happiness by their own will. However, as they find happiness by returning to a fence of family with a support from Torajiro, they are viewed as passive images. Such female images has become a role to guide male images in a favorable direction. Moreover, through repetition of such images, it shows the ideology of familism that males make money from the public space, the work, and females find happiness from the private space, family. The fourth chapter will review a mythologization of a space. A space means not only a simple space for a place, but also a duration that has accumulated in the space and a restructured memory from a relationship. Audiences share the restructured memory through the film. A pure souvenir is built from a repetitive habitude souvenir. Through the habitude souvenir of repeatedly appearing spaces like Toraya, Sibamata, and the rural area, audiences connect with the pure souvenir of home, family, nostalgia, mother's arm, compassion, love, and etc. that they have known for a while. Further, to deliver the pure souvenir of the archetypal landscapes to audiences, the film makes to feel the nostalgia by describing festivals and unchanged nature to excite the memories of home. Such images of similar family and similar home are appeared through the film. The fifth chapter will discuss a new discour that is found from a Japanese college students' survey and Tora-san Matsuri. A film text that is used as a part of the college course still produces a new images repetitively even the film is longer screening. Today's younger generation that watches the film for the first time will naturally learn the mythology that &#65378;Otoko wa Tsurai yo&#65379; has created unconsciously and this will result to create a new ideology. Further, the new discour continues to be created from Tora-san Maturi that has been continued since 1984 and Tora-san Museum that has been built in 1996. Like such, the film stopped play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still shows the traditional Japanese culture to its audiences. Through a such replay, the film has become a modern mythology and continues to exist in today, and takes an important position as the new pure souvenir of Japan. 쇼치쿠 영화사의 장르영화인 &#65378;남자는 괴로워&#65379;는 1969년부터 1995년까지 만들어졌다. 26년간 비슷한 주제와 패턴으로 반복되어지면서 만들어진 영화는 현대의 신화를 만들어내었다. 그리고 이러한 신화는 재생산을 통해 오늘날에도 이어지고 있다. 본고의 1장에서는 먼저 쇼치쿠 영화사의 전통과의 유사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65378;남자는 괴로워&#65379;는 1930년대에 만들어진 쇼치쿠 영화와 유사한 점이 많다. 1930년대의 중산층이라는 개념은 1970년대의 중류의식 논쟁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1930년대의 쇼치쿠의 소시민 영화에서는 가족의 위기를 근대 물질문명의 침입으로부터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이 영화들은 전통적인 가족의 화합과 일본 정신의 회복을 중요시하였다. 이러한 전통은 국가가족주의로 상징되는 일본의 전통적인 가부장제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 기능을 하였다. &#65378;남자는 괴로워&#65379;는 소시민 영화의 전통을 이어받아 전후 경제발전 과정에서의 가족의 붕괴에 대한 위기의식을 고양하면서 오래 전 좋았던 시절에 대한 향수를 관객들에게 전해주고 있다. 2장에서는 구루마 도라지로라는 캐릭터의 신화적인 모습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데키야라는 직업을 가진 도라지로는 경계 상에 존재하는 인물로 민속학에서 말하는 이인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공동체로부터 배제의 존재이기도 하고, 때로는 환대를 받는 성스러운 존재로서의 영웅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런 캐릭터를 통해 관객들은 경제성장으로 인해 얻게 된 물질적 풍요 대신에 자신들이 잃어버린 소중한 인간에 대한 사랑과 의리와 인정을 떠올리게 된다. 또 이러한 이미지는 경제적 발전 속에서 개인을 희생하면서 국가의 발전을 꾀하는 1930년대의 국수주의 이데올로기와 비슷한 점을 가지고 있다. 3장에서는 영화 속에 나타나는 여성 이미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영화 속에 나타나는 대표적 여성 이미지인 사쿠라와 마돈나들은 행복을 위해 자신의 의지대로 독립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녀들은 도라지로의 도움으로 인해 가족이라는 울타리 내부로 돌아감으로써 행복을 찾게 되는 수동적인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이러한 여성 이미지는 남성들을 더 좋은 방향으로 인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반복적인 이미지를 통해 남성은 공적 공간인 직장에서 일을 해서 돈을 벌어오고, 여성은 사적 공간인 가정 내부에서 행복을 찾는다는 가족주의 이데올로기를 보여주고 있다. 4장에서는 공간으로서의 신화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공간은 단순한 장소로써의 공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 속에 축적되어 온 지속과 인간관계를 통해서 재구성되는 기억에 대한 것이다. 관객은 재구성된 기억을 영화를 통해 공유하게 된다. 반복되어지는 습관 기억을 통해서 순수 기억이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관객들은 반복되어 나타나는 도라야, 시바마타, 시골이라는 공간의 습관적인 기억을 통해 오래전부터 알고 있고 지속되고 있는 순수기억인 고향, 가족, 향수, 어머니의 품, 인정, 사랑 등과 연결시킨다. 또 영화 는 관객들은 순수 기억인 고향의 원풍경을 관객에게 전하기 위해 마쓰리와 변하지 않은 자연의 묘사를 통해 고향에 대한 기억을 자극하여 향수를 느끼게 한다. 이러한 유사가족과 유사고향이라는 이미지가 영화를 통해서 나타나고 있다. 5장에서는 일본 대학생들의 앙케트와 &#65378;도라상마쓰리&#65379; 등을 통해서 나타나는 새로운 담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대학교 수업의 일환으로 사용되고 있는 영화 텍스트는 영화 상영이 끝난 지금에도 반복적으로 새롭게 이미지를 만들어 내고 있다. 처음 영화를 관람하게 되는 현재의 젊은이들은 무의식적으로 &#65378;남자는 괴로워&#65379;가 만들어내는 신화를 자연스럽게 학습하고, 이것은 새로운 이데올로기를 만들어 낸다. 또, 1984년부터 이어진 &#65378;도라상마쓰리&#65379;와 1996년에 건립된 &#65378;도라상 기념관&#65379;을 통해 영화는 끝이 났지만 새로운 담론이 계속 만들어 지고 있다. 이처럼 영화는 오래전에 종영이 되었지만 영화를 통해 일본 문화의 전통을 계속해서 관객들에게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재상영을 통해 현대의 신화로 자리잡은 영화는 오늘 날에도 이어지고, 일본의 새로운 순수기억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부정경쟁방지법상 성과도용 관련 조항의 입법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최중락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경쟁에 뒤처져 도태하지 않고 건재, 성장, 변신에 성공한 개인이나 기업은 다양한 영역에서의 경쟁 속에서 창조적 활동과 경험을 반복해오면서 창출 및 발견할 수 있었던 지식재산(독창적인 정보, 아이디어, 방법, 표시, 기술, 자원 등)을 자신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성공적으로 활용해 왔을 것이다. 위와 같은 개인이나 기업이 늘어나는 것은 산업의 발전을 의미한다. 지식재산의 창출·보호 및 활용을 촉진하면 산업이 발전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다고 보는 지식재산기본법의 입법목적과 같다. 4차산업혁명 시대에는 자신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타인의 지식재산을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기술 및 산업의 융·복합에 따라 새롭게 형성된 시장으로 수요가 빠르게 흡수되는 현상,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만큼이나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욕구, 경쟁자의 개념이 동종 산업에서 이종 산업 간으로 확대되는 현상, 기존 시장규모의 정체·축소 현상, 지식재산권 관련 분쟁의 증가, 경쟁을 격화시킬 수 있을 기타 다양한 요인들 때문이다. 사회의 변화는 위와 같이 지식재산의 창출·보호 및 활용을 촉진한다. 반면 입법자가 입법 당시 예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사회현상이 발생했을 때 법률의 해석이나 적용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관한 문제도 발생시킨다. 실례로 지식재산 관련 경쟁행위에 관한 법적 분쟁에서 입법 당시 입법자가 예상하지 못했던 경쟁행위를 현행 부정경쟁방지법에 따라 판단하게 되면서 부정경쟁방지법의 입법목적에 배치되는 판결(대법원 2020.2.13. 선고 2015다225967 판결)이 내려지기도 하였다. 위 문제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① 부정경쟁방지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성과 등’의 문언적 의미는 ‘합법적으로 만들어진 성과’이다. 이것을 법률상 보호 가치 있는 것으로 보고 성과도용행위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구제 규정을 두고 있다. ② 그런데 위 규정은, ‘불법적으로 만들어진 성과가 무단도용된 경우’에도 ‘불법적으로 만들어진 성과’가 성과도용행위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고 해석된다. 위 문제는 산업발전을 견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식재산 및 경쟁행위에 관련된 것인 만큼 개선의 필요성이 크다. 이 연구에서는 위 문제 해결을 위해 부정경쟁방지법에 대한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최근 판례에서 제시되었던 ‘구체화 된 성과 판단 기준’ 및 일부 선행연구에서 제시되었던 ‘특별한 사정의 구체화’ 같은 방안으로는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입법적 개선방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제1안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호 카목 일부개정(성과 판단 기준에 위법성 여부 반영), ② 제2안 부정경쟁방지법 제4조 제3항 신설(제1안 시행을 위한 보완 방안), ③ 제3안 부정경쟁방지법 제8조 일부개정(시정권고 대상에 카목을 추가하여 성과도용행위 규제 체계화), ④ 제3안의 보조적 방안으로 부정경쟁방지법 시행령 제2조 제4항 신설(카목의 시정권고 대상 포함에 대한 보완 방안). Individuals or businesses that have succeeded in being as prosperous as usual, growing and transforming behind competition may have successfully used intellectual property (original information, ideas, methods, displays, technology, resources) to create and discover in the competition. The growing number of individuals or companies as above means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It is the same as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Framework Act On Intellectual Property, which believes that promoting the creation,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is a growing need to use other people’s intellectual property to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This is due to the rapid absorption of demand into newly formed markets due to convergence of technologies and industries, consumer needs changing as fast as fast markets, competitors’ concepts expanding from peer to heterogeneous industries, the stagnation and reduction of existing markets, increased intellectual property disputes, various factors that could intensify competition, etc. Social change promotes the creation,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as above. On the other hand, it also raises questions about how to interpret or apply the law when a new social phenomenon occurs that lawmakers did not expect at the time of legislation. For example, in a legal dispute over competitive behavior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legislators judged competitive behavior that was not expected at the time of legislation under the current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nd a ruling was made against the legislative purpose of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The causes of the above problem are as follows. ① The written meaning of ‘outcomes, etc.’ prescribed by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s ‘legally made outcomes, etc.’. It sees this as legally worth protecting and has relief provisions that can be protected from unauthorized use. ② However, it is interpreted that the above regulations may protect “illegally made outcomes, etc.” from unauthorized use even if “illegally made outcomes, etc. are stolen without permission” The above issue i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and competitive activiti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driving industrial development, so there is a great need for improvement. The study proposed legislative improvements to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to resolve the above issues. This is because it was judged that the ‘definitized criteria for outcomes, etc.’ presented in recent precedents and the ‘specialization of special circumstances’ measures presented in some previous studies could not fundamentally solve this problem. The main contents of the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above are as follows: ① Partial amendment of Article 2 (1) of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② New insertion of Article 4 (3) of the above Act, ③ Partial amendment of Article 8 of the above Act, and ④ New insertion of Article 2 (4) of Enforcement Decree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 180。 Rat Race를 이용한 IMT2000용 고출력 증폭기의 선형화에 관한 제작연구

        최중락 광운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IMT-2000용 주파수 대역으로 WARC-92에서 정한 순방향 채널 2110MHz~2200MHz를 기준으로 180°/0°Rat race Hybrid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nonlinear 라인과 linear 라인으로 분배하여 선형화기를 구현함으로서 기존의 선형화기에는 필수적인 위상변환기와 감쇄기를 제거하였다. 그렇게 하여 기존의 선형화기에서 위상변환기를 사용하므로 발생하는 신호의 불필요한 감쇄를 지양하였고, 복잡한 회로를 간단하게 할 수 있었다. 측정결과 혼변조 발생기는 약 12-13dBc 정도의 혼변조 신호를 발생하였으며, HPA에 연결하였을때 약 8dBc 이상 개선되는 것을 보였다. This paper shows that phase shifter and attenuator, which are essential in most linear modules, are excluded and input signal divides nonlinear line and linear line by means of 180/°0°Rat Race Hybrid on the basis of frequency range of IMT2000, from 2110MHz to 2200MHz, which is ruled by WARC-92. In that ways, useless attenuations of signal in most linear modules are removed; of course circuit simplicity is added. As a test results, intermodulation generator produces intermodulation signal about 12¡ 13dBc, and improved about 8dBc in connecting HP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