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의결권자문회사의 규율과 책임

        최준선 한반도선진화재단 2020 한반도선진화재단 기타 단행본 Vol.- No.-

        의결권 자문회사의 역할과 권력이 점점 커지고 있음. 그럼에도 의결권 자문회사가 과연 신뢰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가진 것인가에 관하여는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음. 토론자인 최준선 교수는 의결권자문회사의 공정성·이해상충 가능성·정확성·투명성·전문성 및 역량이 담보되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임. 의결권자문회사를 제도의 틀 속에 건전하게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때가 되었음. 이를 위해 등록제의 시행, 이해상충의 문제 해소 방안 마련, 최소 인력 및 자격 등 심사와 공시, 담당자 공개 및 평가 체계 구축, 의결권 행사내용 및 의안 분석 방법 등 사후 공시, 내부통제기준의 확립, 위반에 대한 행정벌 및 민사책임제도의 도입 등을 주장했다. 예를 들면 언론 보도에 따르면 서스틴베스트가 기업의 투자등급을 발표했는데, 신한지주·DB손보는 ‘ESG 최고등급’을 받았고, 삼바·코오롱생명과학은 ‘최하 등급을 받았다. 그러나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미국 2020.4. 미국 감염성 질환치료제 전문 기업 비어바이오테크놀로지와 4400억 원 규모의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하면서 주가는 고공행진 중이다. 코오롱생명과학은 미국 FDA가 코오롱티슈진의 유전자 치료제 ‘인보사(인보사케이주)’의 임상 3상 보류를 해제해 11개월의 침묵 끝이 기지개를 켜고 있다. 코오롱티슈진은 미국 FDA가 2019년 5월 인보사 임상보류 결정을 한 지 11개월여 만에 다시 임상을 재개하게 됐다. 이 두 회사에 ESG 최하등급을 매긴 서스틴베스트는 무슨 말을 할 것인가 묻고싶다.

      • KCI등재

        회사법적 관점에서 본 ‘금융그룹통합감독법’의 문제점

        최준선 (사)한국보험법학회 2019 보험법연구 Vol.13 No.1

        금융그룹 통합감독법안은 기존에 있는 법 개정안이 아니라 새로운 법률 제정안이다. 매우 중요한 법률안이지만 충분한 논의 없이 입법이 진행되고 있다. 이 법안은 사법질서를 크게 훼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대표회사 등이 금융그룹 위험관리체계의 개선 등의 임무를 부담하게 하고 그룹 내 금융회사가 비금융회사의 주식을 소유하고 있다는 이유로 감독기관이 비금융회사에게 자료제출 등을 요구하는 것은 지나치다. 그룹 내 비금융회사까지 포함하여 일체로 감독하는 것으로 설계하다 보니 기업집단 전체를 독점규제법에서 감독하는 외에 다시 이 금융그룹 통합감독법으로써 금융회사를 대표회사로 하여 비금융회사 포함하는 그룹 전체를 2중으로 압박하는 모양이 되었다. 결코 입법되어서는 안 될 법률이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이 법률이 통과된다면 사법체계의 혼란이라는 큰 대가를 치를 것이며 동시에 한국 금융산업이 후진 질주할 것이 틀림없다. 이 제정법이 현실화된다면 세계 시장에서 경쟁하는 한국금융에 족쇄를 채우게 되고야 말 것이다. 금융그룹통합감독의 필요성을 인정할 수는 있으나 먼저 금융지주회사체제를 확립하고 그 범위 내에서 통합감독을 하는 것이 옳다. 금융그룹 통합감독법률이 금융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독점금지법상 기업의 집중 문제로 파악하기 때문에 그 부작용은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Financial Group Integrated Supervision Bill, the legislation of this bill is going on without sufficient discussion among scholars and practitioners. The bill could seriously undermine the Korean judicial order because that this Act empowers the supervisory agency to supervise the entire business group as a whole, including non-financial companies within the group through the representative company. In particular, the representative company per se has no right to control or manage over other financial firms not to mention non-financial firms, because every corporation is independent under their own liability and responsibility. Furthermore, it is unreasonable to impose obligations to file data of non-financial firms to the supervisory agency on the grounds that the representative company or other financial companies in the group own the stocks of the non-financial companies. The writer thinks that if this Act is passed, it will pay a huge price of the turmoil in the Korean judicial system, and at the same time, the Korean financial industry will surely run backward. This negative effects of the legislation are not because this legislation is aimed at the sound development of the financial industry, but because they are designed to tackle the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as a second antitrust law structure in Korea. The Korean antitrust law is notorious because of it’s role to control strongly general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through companies group rather to secure competition among market participants.

      • KCI등재

        國際航空運送人의 責任制限制度에 관한 一考察

        崔埈璿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1987 法學硏究 Vol.14 No.-

        The Warsaw Convention which is officially denominated as the "Convention for Unification of Certain Rules Relating to International Carriage by Air" has played a leading role for the establishment of a fair speedy, just and assured conpensation system for the victims of the aircraft accident in the realm of the international private air law. The Conventian really worked adequately for the first twenty years or so of its existance. But the stipulated limitation on liability has progressively become more and more unrealistic, in many countries, in the light of rising level of damages and inflation. The attempts to circumbent the limit have caused many legal challenges to the perceived straight limits. Among them the most predominant devices today are: (1) To challenge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Warsaw Convention. (2) To challenge the adequate delivery of the ticket. some omission from the praticulars required to be part of it, or the sire of the print detailing the fact that liability under the Convention may be limited, or to pursue some other legal technical points. (3) To fight hard on the issue of "wilful misconduct" under Article 25 of the Unamended Warsaw Convention or that "the damage resulted from an act or omission of the carrier, his servants or agents, done with intent to cause damage or recklessly and with knowledge that damage would probably result ..." under Article 25 of the Convention as amened at the Hague. (4)To challenge the practice which had developed as to the way in which the Poincare´ franc has been converted into national currencies.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the overall situation leads to confusion and disenst unless there are some other forces compelling a cohesive approach to claims following a major aviation accident. As a solution to achieve some uniformity in dealing with major aviation disasters, the following propositions might perhaps be considered. (1) In the long run, all limitations on liability for death or personal injury be abolished. But for time being, Convention limitation should continue to exist especially for poorer countries. On the other hand, domestic supplement which enables higher compensation for the richer peoples be allowed. (2) Effectuation of the Montreal Additional Protocols Nos. 3 and 4 should be achieved without delay. (3) Studies on the conclusion of a new treaty such as a Convention proposed at the 60th Conference of International Law Association, on an integrated system of international aviation liability covering international carriage by air and surface damage caused by foreign aircraft be followed. The new treaty must adopt a new system which enforce all parties who, on prima facie evidence, have an exposure to potential liability should provide equal funding to dispose of claims. (4) Limitation on liability for cargo claim be reconsidered. Continuous increase in volume of valuable cargo transportation by air makes it inevitable adjust Convention limitation to the real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상법상 ‘특수관계인’ 개념의 문제점

        최준선 한국경영법률학회 2016 經營法律 Vol.26 No.4

        The term ‘specially related persons’ is used in various Acts in Korea, in more than a total of 50 Acts, in particular in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and the Korean Commercial Code. This terminology is adopted in thee Acts in order to limit economic activities between corporations and ‘Specially Related Persons’. Terms with a similar meaning are ‘Largest Shareholder’ and ‘Major Shareholder’ which also appear in many provisions that limit insider trading between a director and his corporation, and the dealing among interested parties - especially between a corporation and its shareholders. The prohibition of insider trading aims at removing the conflict of economic interests that may arise between a director and his corporation. However, the Korean Commercial Code further prohibits ‘Specially Related Persons’ from becoming outside directors of the corporation whose very shares are owned by the person in question. Such persons are banned from engaging in commercial transaction with the corporation. It is evident that the purpose of such regulation is to prevent the concentration of wealth of a corporation in the hands of a handful of ‘Specially Related Persons’. The scope and extent of such terms are provided in the enforcement ordinances of the Government. The problem is that enforcement ordinances include a number of ambiguous concepts that fail to clearly define the terminology, ‘Specially Related Persons’, and as such, the definition varies greatly across different Acts. Moreover, the scope of ‘Specially Related Persons’ is too broad to define or identify, because it is provided not by the economic relationship of the economic topics covered, but by the traditional blood relationships of each person. The degree of kinship that fall under this definition can go as far as six degrees from each paternal line and maternal line. As a result,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grasp correctly in contemporary society with modern family structures all possible ‘Specially Related Persons’, hence making it impossible to enforce these provisions. This paper suggests a drastic reduction in the scope of the definition of ‘Specially Related Persons’, so as to define the term not based on blood relationships, but on whether the parties involved form a common household in financial terms. Furthermore, shareholders should be excluded from the list of those culpable of insider trading should they hold shares of their corporation, because shareholders are not in a position to determine a transaction with the corporation. Unlike directors of a corporation, shareholders are not involved in managing the day to day business operations of corporations. 한국에서는 ‘특수관계인’이라는 용어가 공정거래법과 상법전 등 다양한 법률에서 사용되고 있다. 상법전상 이 용어는 회사와 주로 ‘특수관계인’ 간의 경제활동을 제한할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유사한 용어로서 ‘최대주주’ 및 ‘주요주주’라는 개념이 이사와 회사 간의 자기거래 및 이해관계자 사이 - 특히 회사와 주주 간의 거래를 제한하는 조문에 나타나고 있다. 자기거래의 금지는 이사와 회사 간의 이해의 충돌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한국 상법전은 한걸음 더 나아가 ‘특수관계인’, ‘주요주주’ 및 ‘최대주주’가 자기가 주식을 소유하는 회사의 사외이사가 되거나 그 회사와 거래를 하는 것을 금지한다. ‘특수관계인’을 규율하는 이유는 부의 이전을 위한 tunneling을 차단하는 것임이 명백하다. 이 용어의 적용범위는 정부의 시행령에 규정되어 있다. 문제는 시행령이 이 용어를 정의하면서 많은 불분명한 개념을 포함하고 있고, ‘특수관계인’의 범위가 법률마다 다르게 규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더구나 ‘특수관계인’의 범위가 각 경제주체의 경제적 관계가 아닌, 각자의 전통적 혈연관계에 의하여 규정되고 있기 때문에 그 범위가 너무 넓어서 확인이 어렵다. 혈연관계는 부계혈족과 모계혈족 각각 6촌까지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현대 가족사회에서 누구도 정확하게 모든 ‘특수관계인’을 파악할 수 없으며, 따라서 이들 규정을 거의 집행할 수도 없다. 이 글에서 저자는 ‘특수관계인’의 범위를 혈연관계가 아닌 경제적 공동생활관계에 따라 대폭 줄일 것을 제안한다. 나아가 주주는 회사와의 자기거래의 주체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주주는 이사와는 달리 회사의 업무를 집행하지 않으므로 회사와 거래를 결정할 수 있는 지위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 KCI등재
      • KCI등재

        1인회사의 배임죄 연구

        최준선 한국경영법률학회 2020 經營法律 Vol.30 No.3

        1인회사에 대한 엄격한 배임죄의 적용모일 ‘회’(會), 모일 ‘사’(社)로 이루어진 ‘회사’는 그 자체가 ‘단체’를 뜻함에도 불구하고, 투자자가 1인뿐인 1인회사를 단체로 인정하는 것 자체가 모순이다. 그럼에도 1인회사를 인정하는 이유는 회사 설립을 장려하여 국가 경제를 활성화 하도록 하려는 국가 정책의 일환이다. 개인으로서도 법인을 설립하면 법인세율이 개인사업체의 경우에 적용되는 소득세율보다는 낮기 때문에 인센티브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1인회사를 운영할 실익도 없이 오히려 사업주가 범죄자가 될 수 있는 위험한 일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법인의 경우 회사의 수익을 개인에게 이전하려면 배당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배당금에 적용되는 고율의 소득세로 인해 절세 효과가 전혀 없을 수 있다. 나아가 한국 법원은 1인회사의 경우 그 1인주주이자 대표이사가 남(회사)의 돈을 유용했다하여 배임ㆍ횡령죄로 처벌하는 사례가 더러 있다. 개인이 개인사업을 할 때에는 사업용 자금과 개인자금을 구별 않고 사용하더라도 문제가 없지만, 그 개인사업을 회사를 설립해 운영하게 되면 형사처벌의 위험이 있는 것이다. 결국 1인회사는 고율의 배당소득세 외에 사업주가 배임ㆍ횡령죄로 처벌될 위험마저 있어서 한국에서는 아무 매력 없는 제도가 되어버렸다. • 법인이익 독립이론의 허구성법원이 개인회사나 다름없는 1인회사의 1인주주(1인대표이사)를 배임죄로 처벌하는 배경에는 개인과 법인은 서로 법인격이 구분된다는 논리가 자리 잡고 있다. 이를 ‘법인 그 자체 이론’ 또는 ‘법인이익 독립이론’이라 한다. 그런데 대법원은 2009. 5. 29. 선고 2007도4949 전원합의체판결(이른바 에버랜드 사건. 필자는 이 글에서 이 판결의 당부를 논의하지는 않는다)에서 ‘법인이익 독립이론’에 반하는 판결을 내 놓았다. 이 판결의 다수의견은, “전환사채의 발행의 경우 주주들에게 전환사채의 인수권을 먼저 부여하는 이른바 주주배정의 방법이라면, 회사의 현 주가가 주당 85,000원으로 평가되는데도 불구하고 회사의 이사회가 그 전환사채를 1주당 7,700원으로 정하여 발행했더라도 이사들에게 배임죄의 죄책을 물을 수 없다”고 판시했다. 이 사건이 시사하는 바는 회사재산은 주주의 재산이기 때문에 주주들이 동의하는 한 전환사체 발행가액을 시가보다 낮추어 정함으로써 주주들로부터 가능한 최대한의 자금을 유치하지 못하였다고 하더라도 이사들이 회사의 재산 보호의무를 위반하였다고 볼 것은 아니며, 따라서 배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본 것이다(다만 제3자 배정의 경우는 배임이 된다). 이는 주주들이 동의하면 법인의 이익은 따로 고려할 필요가 없다고 본 것인데, 법인이익이 그 구성원인 주주로부터 분리되는 독립적인 것으로 파악하는 ‘법인이익 독립이론’을 따른다면 있을 수 없는 판결이다. 법인 독자적인 이익이 극대화되어야 현재의 주주와 미래의 주주, 채권자, 근로자 및 각종의 이해관계자를 위한 회사 그 자체의 이익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 아닌가. 이 판결은 결국 한국에서 주주의 이익과 분리된 법인 자체의 이익은 보호되지 않으며, ‘법인이익 독립의 원칙’이 항상 일관성 있게 통용되는 것도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법인의 이익과 총 주주(1인주주)의 이익이 완전히 일치하는 1인회사에 적용하면, 1인주주이자 대표이사... The Korean courts have ruled that even in the case of a one-man company, the single shareholder (CEO) guilty of ‘trust breach’ or ‘embezzlement’ if he misappropriates company property, although this one-man company is in nature not different from individual business that has no judicial personality. The only difference between one-man company and individual business is that one-man companies have legal personalities that individual businesses don’t have. In particular, when creditors exist in a company, courts tend to believe that misappro- priating company money constitutes ‘trust breach or ‘embezzlement’. This is like sending a debtor to prison for not paying off his debts. Sending the single shareholder to jail makes it more difficult to repay debts of one-man company, hurting company creditors. In addition, it will have the effect of depriving the management rights of one-man company to close the company. It’s wrong. Especially in the case of a one-man company without debt or in the case of it has sufficient capacity to repay debts, it should not be settled by criminal punishment. This is because no one, including creditors, has yet been harmed. Such a debt relationship is, of course, a civil liability area. Therefore, it should not be adjudicated as criminal punishment, but should be settled by applying the theory of ‘piecing corporate veil’ or theory of ‘disregarding of corporate personality’, which is a civil solution, ignoring the company’s corporate identity, and asking the actual single-person shareholder to be liable for damages. At present, the use of one-man companies in Korea is not as active as in other countries because of the current trend of criminal punishment toward one-man companies. In order to preserve the intention of introducing one-man company, the trust breach or embezzlement conviction of one-man company should be restrained. Even in foreign countries, the single-person shareholder of an one-man company may be punished for fraud, but there are almost no case of criminal punishment for trust breach or embezzlement.

      • KCI등재후보

        항공운송서류의 전자화

        최준선 法務部 商事法務課 2009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45

        2008년에 입법 예고된 상법 제6편(항공운송편) 제정안에는 전자항공권과 전자항공화물운송장에 대한 규정을 두었다. 이로써 해상법에 이은 항공운송법 분야에서도 운송서류의 전자화가 이루어질 전망이다. 본고에서는 전자여객항공권(electronic ticket, e-ticket)과 전자항공화물운송장(electronic airway bill)의 사용가능성 및 법률문제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특히 항공운송과 관련하여 적용될 법률로서 전자거래기본법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전자여객항공권의 활용가능성과 활용 추이를 살펴보았으며, 전자항공권을 이용한 여객운송 계약의 계약체결과정을 설명하였다. 전자계약의 성질로서 이것이 대화자 간의 거래인지 격지자 간의 거래인지 다툼이 있어 왔는데, 필자로서는 격지자 간의 거래임을 전자거래 기본법의 규정을 원용하여 밝혀내었다. 전자계약체결의 시점은 격지자 간의 계약의 체결 시점인 승낙의 통지를 발송한 때 성립함을 민법 제531조를 원용하여 설명하였고, 전자계약의 체결장소는 계약이 성립할 시점에 전자문서가 소재하는 곳임을 주장하였다. 항공운송계약의 성립시점과 장소에 관하여도 이와 유사한 원칙을 적용하여 해석하였다. 과거 70여 년 간 문제되었던 운송증권의 교부와 책임제한에 관한 고지문제의 연혁을 살펴보고, 몬트리올협약에 의거하여, 오늘 날에는 큰 의미가 없다는 것도 살펴보았다. 전자항공화물운송장의 허용에서는 전자항공화물운송장의 사용의 근거법률을 고찰하였고, 이어 전자항공화물운송장의 등록문제를 논의하였으며, 국제재판관할, 국내재판관할 등을 고찰하고, 장차 100% 전자항공증서가 이용된다고 보고, 이 분야에 대한 확고한 이론적 실무적 준비가 반드시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The Korean Commercial Code is going to introduce electronic ticket and electronic airway bill. An electronic ticket or e-ticket is used to represent the purchase of a seat on a passenger airline, usually through a internet website. The electronic ticket has many merits against traditional paper ticket. It is safer than paper ticket because an e-ticket cannot be forgotten, misplaced or stolen. The cost of issuing an electronic ticket amounts only to 1 USD saving at least 9 USD per ticket. The electronic ticket will soon substitute 100 % of the traditional paper tickets. This article discusses the legal problems arising out of issuing and using an electronic tickets and an electronic airway bill, including the process of issuing an electronic tickets, the time and place of formation of electronic contracts. In the traditional notion of contract formation, the general rule is that formation of contract requires an offer and acceptance to be communicated between the parties. As a result, a contract is formed when acceptance is communicated to the offeror in face-to-face negotiation. However, the electronic contract is deemed to be a contract concluded over the distances. Early case law has created the "mailbox rule" for ordinary mail, wherein acceptance is deemed to be communicated to the offeror when it enters the postal system. Likewise, the electronic contract is formed when a notice of acceptance is communicated to the offeror. It is true in the issuing of the electronic ticket, because it is also a distance contract. Further, this article discusses the jurisdiction issue under the Montreal Convention of 1999 and other legal issues on the using electronic airway bi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