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동법 시행기 進上制의 정비와 영조대 초반 『進上別單謄錄』의 작성

        최주희 고려사학회 2022 한국사학보 Vol.- No.8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how the Jinsangje(進上制) was revised during the enforcement of the Daedongbeop, and to review how the Jinsangbyeldandeungrok(進上別單謄錄)』(1728), a financial data, was published during the process. Changes in the Jinsangje(進上制)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reviewed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Gyeonggonghwa(京貢化), which was procuremenet system dedicated to King the supplies for tributes purchased in Seoul Market, greatly enlarged. Jinsang of the Gyeonggi province and the Chungcheong province including ritual supplies, indigenous products, and medical plants underwent ‘gyeongonghwa’, through which they were bought from the the procurement dealer in Seoul and then tributed through the Seonhyecheong(宣惠廳) to the Royal Family. On the contrary, Jinsang of other provinces were mainly provided by the province governers, routinely in the form of such as speciality. Second, changes were made in the procedures of the Jinsang. Jinsang was originally a gift offered by a local minister to the king. However Jinsang that underwent ‘Gyeongonghwa’ were dedicated to King by the director of the Seonhyecheong. According to administrative procedures, the official of the Seonhyecheong brought the Jinsang to be offered to the Saongwon(司饔院) or the Bongsangsi(奉常寺). Other roles of the Seonhyecheong included transporting rice(大同米) collecteded according to the Daedong-beop directly to the Royal Family living outside the palace to support daily spendings. Third, ‘Gwache Jinsang[Jinsang made by the governors of a province at the end of their term]’ and ‘Eungja Jinsang[Jinsang of a trained hawk]’, which were in effect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terminated. ‘Haenghaeng-bangmul[Jinsang by provincial governor dedicated during the official visit of the king]’ and ‘Gangmoo- bangmul[Jinsang dedicated during the king’s hunting] were also terminated. Lastly, irregular Jinsang and Bong-yeo(封餘) persisted through the late Joseon dynasty. Bong-yeo(封餘) refers to the practice of distributing some of the genuine products to bureaucrats. By improved procurement system of Jinsang, procedures and administrations of the Jinsangje(進上制) became more complex than ever. The central government did not publish a new manual to control the Jinsang supplies until the 18th century. Rather, they operated Jinsang system in on the ground of previous practices. However, with the extended enforcement of the Daedongbeop, and with the stabilization of the tax revenues, the need for sophisticated management of the Jinsangje(進上制) became stronger. As a result, the Bibyeonsa(備邊司) published the 『Jinsangbyeldandeungrok』 in 1728 (the 4th year of Yeongjo’s reign) to alleviate tax burdens of the people and to stabilize the income of Jinsang Supplies. By publishing the 『Jinsangbyeldandeungrok』, Yeongjo intended to sought to understand the general amount of the Jinsang Supplies and to give the people exemption of Jinsang in times of bad harvest. 이 글은 대동법 시행기 진상제가 도별로 어떻게 정비되어갔으며, 이후 중앙정부가 진상물자를 관리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전개했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작성됐다. 조선왕조는 100년에 걸쳐 대동・상정법을 시행했지만, 현물진상을 모두 경공화하지는 못했다. 경기와 충청도는 도성과 가까워 진상의 대부분을 경공화시켰으나, 중앙과 거리가 먼 다른 도는 현물 진상의 다수를 그대로 유지시켰다. 왕에게 바치는 禮物이라는 성격 때문에 대동・상정법 체계 안에 진상을 완전히 흡수시켜 경공화하지 않고, 현물 상납의 절차를 존속시킨 것이다. 이로써 조선후기 진상 절차와 문서 행정은 더욱 복잡해졌다. 18세기 초반까지도 중앙정부는 진상물자를 관리하기 위한 매뉴얼을 새롭게 만들지 않고, 전례에 의거해 현물진상을 운영했으며, 이를 위해 『進上謄錄』을 작성했다. 그러나 대동・상정법이 제도적으로 안착되고 중앙의 세입이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진상제 역시 수입, 지출면에서 체계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게 됐다. 이에 백성들의 고충을 덜어주는 한편, 외방 진상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영조 4년(1728) 비변사에서 『진상별단등록』을 작성했다. 영조는 『진상별단등록』의 작성을 통해 흉년이 닥쳤을 때 減膳에 대비하고, 봉진 시 진상물종과 수량을 쉽게 상고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진상별단등록』은 『선혜청정례』(1752)와 『공선정례』(1776)가 간행되기 전 물선진상을 봉진하는 준거로서 활용됐던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Effects of swelled pig skin with various natural vinegar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blood sausages (Sundae)

        최주희,김학연 한국식품과학회 2016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5 No.6

        This study evaluated effects of swelled pig skin (SPS) with various natural vinegars (Bokbunja, brown rice, cider, and lemon vinegars) on the quality of the Korean traditional blood sausages. Adding SPS with various natural vinegars resulted in increased moisture content, cooking loss, L* values, and a* values and decreases in fat, protein content (p<0.05), hardness and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 values in the meat product samples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Treatments containing SPS with various natural vinegars decreased the warmed-over flavor but increased the tenderne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PS with various natural vinegars would improv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inhibit lipid oxidation of traditional Korean blood sausages.

      • KCI등재

        기독교인 자살 유가족의 사별 경험

        최주희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인 자살 유가족이 가족의 자살 이후에 어떤 경험을 해왔는지, 그 과정에서 영성과 종교 공동체의 영향과 역할은 어떠했는지 그 본질과 의미를 규명하고, 기독교인 자살 유가족을 위한 체계적 돌봄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방법론을 사용하였고, 기독교 신앙이 삶과 정체성에 매우 중요하다고 표명한 기독교인(개신교인)들로, 가깝고 친밀한 관계의 가족을 자살로 사별한 지 1년 이상 경과한 만 19세 이상 성인 자살 유가족 11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Giorgi가 제시한 4단계의 분석 절차를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8개의중심 의미와 41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기독교인 자살 유가족의 사별 경험은 “말할 수 없는 죽음”이다. 특히 유가족들이 소속해 있는 교회 공동체에는 그동안 기독교가 역사적으로 자살에 부착한 낙인으로 인해 더욱 드러내거나 알릴 수 없다. 기독교 신앙은 자살 유가족에게 더 무겁게 하는 짐으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한편 의지할 수 있는 원천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Watkins Ali의 방법론으로 신학적 성찰을 하고, 기독교인 자살 유가족을 위한 돌봄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strategies for providing systematic care for Christian families affected by suicide by identifying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after the suicide and tracing its impacts on the spirituality of the bereaved and the religious community as a whole. A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was employed for this study and 11 Christian(Protestant) participants of the age of 19 or older were selected who lost a close and loved member of their family to suicide more than a year ago. The bereavement experience of Christian families affected by suicide is a “death the bereaved cannot freely talk about.” In particular, the bereaved are very reluctant to reveal the suicide of the deceased to the church community due to the stigma that Christianity has historically attached to it. Christian faith often becomes a burden that weighs more on suicide families, but it is also a source of reliance. Based on the outcome of the analysis, theological reflection was conducted in the methodology of Watkins Ali and a care plan for Christian families affected by suicide was presented.

      • KCI등재

        언택트 사회의 예술심리치료 방향

        최주희,문송이,남현우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0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2020년 1분기에 대두된 코로나19로 인해 급속히 다가온 언택트 사회에서 예술심 리치료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언택트 예술 심리치료의 개념과 정의, 적용 방법, 방향과 한계점을 모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언택트 예술심리치료란 진단 및 평가, 치료목표설정, 치료계획, 치료수행, 효과평가를 위해 IT기술과 라이프로그를 활용한 비접촉과 비대면 방식의 융복합연구이다. 둘째, 언택트 예술심 리치료를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은 소통방식에 따라 전이중 통신, 반이중 통신, 단방향 통신으로 분류되고, 원격화상, 애플리케이션, 확장현실 기반의 예술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다. 셋째, 언택트 예술심리치료의 방향은 시공간을 벗어난 진단 및 효과평가와 각각의 IT기술 기 반 프로그램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통합적인 프로그램 시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언택트 예술심리치료 연구는 앞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 심층적 분석과 연구, 사례경험 및 문제점 등을 비교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적절한 근거와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언택트 예술심리치료의 방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언택트 예술심리치료의 적용과 확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arts-psychotherapy in the untact society, which was rapidly approaching by COVID-19 that emerged in the first quarter of 2020.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earched the concept and definition, application method, diagnosis and evaluation method, limit points and directions,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of the Untact Arts-Psychotherapy. First, the Untact Arts-Psychotherapy is non-contact and non-face-to-face psychotherapy using IT technology and the life log include diagnosis and evaluation, setting the goals and plans,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Second, the methods for applying the Untact Arts-Psychotherapy are remote video system, smart phone applications and extended reality(XR). Third, the direction of the Untact Arts-Psychotherapy is to conduct diagnosis and effectiveness evaluations outside of time and space and to implement an integrated program that can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each IT technology-based program. The research on the Untact Arts-Psychotherapy will have to provide appropriate ground and guidelines in the future through the proces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various programs, in-depth analysis and research, case experience and problem.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application and spread of the Untact Arts-Psychotherapy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direction.

      • KCI등재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s derived from thermolysin-injected beef M. longissimus

        최주희,설국환,김현진,황진택,이무하,조철훈 아세아·태평양축산학회 2019 Animal Bioscience Vol.32 No.3

        Objective: This study identified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peptides in beef M. longissimus injected with thermolysin (80 ppm) and stored for 3 days at 5°C. Methods: Crude peptides (molecular weight <3 kDa) were obtained from the thermolysin hydrolysate and separated into seven fractions. Fraction V showing the highest ACE inhibitory activity was further fractionated, yielding subfractions V-15, V-m1, and V-m2, and selected for superior ACE inhibitory activity. Finally, twelve peptides were identified from the three peak fractions and the ACE inhibitory activity (IC50) of each peptide was evaluated. Results: The Leu-Ser-Trp, Phe-Gly-Tyr, and Tyr-Arg-Gln peptides exhibited the strongest ACE inhibitory activity (IC50 values of 0.89, 2.69, and 3.09 mM, respectively) and had higher concentrations (6.63, 10.60, and 29.91 pg/g; p<0.05) relative to the other peptides tested.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hermolysin injection process is beneficial to the generation of bioactive peptides with strong ACE inhibitory activity.

      • KCI등재

        플라스틱 사용저감과 자원순환을 위한 포장 혁신 사례 연구- 애플의 포장 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

        최주희,박보람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8 No.4

        최근 플라스틱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이 전 지구적 문제로 불거지면서 플라스틱 개발 및 생산·관리에 대한 각국의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플라스틱 폐기물 해결을 위한 사람들의 관심과 참여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일회용 플라스틱 포장재의 사용저감을 위하여 대체재 탐색을 비롯한 신소재 개발 및 순환형 공급망 전환 등을 통한 지속가능한 포장 디자인 전략과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자원순환 및 순환경제사회의 개념을 고찰하고 국내·외 플라스틱 관련 환경 정책과 동향을 살펴보았다. 둘째, 다년간에 걸쳐 기업 주도의 친환경 정책을 펼치고 있는 애플의 포장 혁신 사업 사례연구를 통해 자원순환과 플라스틱 사용저감을 위한 혁신 프로세스와 특징 및 성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포장 혁신 사업에 있어 지속가능한 포장 설계와 디자인을 위한 전략적 접근 방법으로는 크게 자원사용의 효율성을 높인 ‘자원 감량화(Reduce)’와 ‘재활용(Re-cycle)’, 기술적 접근을 통한 포장 방식의 ‘리뉴얼(Renewal)’, 공급망과 재료품 관리를 탈바꿈한 ‘프로세스 혁신(Process Innovation)’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자원의 지속가능한 순환을 가능케 하는 포장 혁신을 위해서는 자원의 효율성을 제고한 디자인 개선은 물론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더불어 프로세스 전반의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며, 이는 필(必)환경 시대에 있어 기업 생존을 위한 피할 수 없는 과제이다. The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plastic waste has become a huge global problem. To handle with it, environmental regulations in each country on plastic development, production and management have strengthened, and people'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solving plastic waste has been increasing. This study seeks sustainable packaging design strategies and measures through exploration of substitutes,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and conversion of circular supply chains to reduce the use of disposable plastic packaging materials,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in plastic waste.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concepts of resource circulation and circular econom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examined domestic and foreign plastic-related environmental policies and trends. Second, through a case study of Apple's packaging innovation, which has been carrying out a company-led eco-friendly policy for many years, it is analyzed innovative processes, features, and performance including implementation methods for resource circulation and plastic use reduction. According to the study, strategic approaches for sustainable packaging and design in the packaging innovation project included Reduce and Re-cycle, which greatly increased the efficiency of resource use, Renewal, a packaging method through technical access, and Process Innovation, which transformed supply chain and material management. As a result, packaging innovation that promotes the sustainable circulation of resources requires continuous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process improvements as well as improvements of design method that enhance the efficiency of resources, and it is an inevitable challenge for the businesses in the era of green survival.

      • KCI등재

        시설보호 청소년의 음악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최주희,남현우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시설보호 청소년의 음악치료 경험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12세∼15세의 남자 청소년 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설보호 청소년의 음악치료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알아내기 위하여 Giorgi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에 따라 인터뷰와 분석이 이루어졌다. 시설보호 청소년의 음악치료 경험은 연구 참여자의 심층면접을 분석한 결과, 15개의 하위구조와 5개의 주제, 3개의 본질특성으로 범주화 되었다. 시설보호 청소년의 음악치료 경험에서 나타난 주제는 ‘음악치료가 뭐지?’, ‘자유롭고 편안해요.’, ‘마음이 안 좋았어요.’, ‘시설생활이 가끔 힘들어요.’, ‘음악치료가 좋아요.’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제들이 범주화 된 본질특성은 ‘생소했던 음악치료’, ‘발생된 정서적 경험’, ‘시설의 엄격한 규율화에 대한 도피’로 나타났다. 도출된 주제들을 구조적으로 통합하여 시설보호 청소년들의 음악치료 경험의 의미를 진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음악치료를 통하여 시설보호 청소년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논의와 한계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the music therapy experience of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and to explore their views on their experiences. Thos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even boys aged between 12 and 15 years. Interviews and analyse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Giorgi's phenomenological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determin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music therapy experience of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They were 15 sub- structures, 5 subjects, and 3 essence traits of music therapy experience of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Major themes of music therapy experience of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were 'what is music therapy?', 'free and comfortable', 'I was not feeling well', 'facility life is sometimes difficult', and 'I like music therapy'. The categorized natures of these topics were 'unfamiliar music therapy', 'emotional experience', and 'escape to strict discipline of the facility'.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through music therapy are presented.

      • KCI등재

        16세기 말~17세기 전반 唐糧의 성격에 대한 검토

        최주희 조선시대사학회 2019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9

        During the Imjin Wae’ran war, the term “Dang’ryang(唐糧)” referred to a collected supply of grain transported from Ming China to the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feed the Ming troops that had come to Joseon as a relief force. The Joseon government relayed all these Dang’ryang grains -which had been transferred initially to Joseon’s Euiju area in the North- to southern locations of the peninsula, in order to address all kinds of local grain shortages throughout the country. And when the war ended, Dang’ryang grains were no longer needed. It naturally disappeared for the time being. Then later, to aid the Mo Mun-ryong army, the Joseon government began collecting taxes from local Gun/Hyeon units under the name of, again, ‘Dang’ryang(唐糧).’ In 1622(14th year of King Gwang’hae-gun’s reign), Mo Mun-ryong’s troops camped in the Gado area and demanded food and grain from Joseon. The Joseon government had no other choice but to comply, and levied additional taxes throughout the country, with 1 Du 5 Seung of grain from every Gyeol unit of land in the dynasty. Because of the fact that these grains were delivered to Mo Mun-ryong, the grain was also called as “Mo’ryang(毛糧).” Interestingly enough, this quasi-tax continued to be collected even after 1629(7th year of King Injo’s reign), when Mo was finally arrested and beheaded. In 1634(12th year of Injo’s reign) the Gabsul-year land survey was conducted and completed, and more than one hundred thousand of Gyeol units were secured in the three Southern provinces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new sources of taxation established as a result of such effort, other miscellaneous taxes were summarily abolished. But for some reasons the Dang’ryang tax was not and continued to be collected. Later, during the Byeongja Ho’ran war these Dang’ryang grain was used as military provision to be stacked at the Namhan Sanseong fortress. And after the war, they were sent to Shim’yang-gwan (where Crown prince Sohyeon was staying). With dynastic crises continuing, the presence of Dang’ryang was continuously required, and discussion of abolishing it only began in the 23d year of Injo’s reign. Dang’ryang, which was first formed with foreign Ming grain that was transferred from China to Joseon in the early phase of the Imjin Wae’ran war, continued to exist for quite some time because of all the external variables disrupting Joseon dynasty’s security, and remained during that time as a relatively huge diplomatic & military cost the Joseon government had to pay. Only in the mid-17th century when Dang’ryang tax was finally abolished, the Joseon dynasty was able to truly overcome the aftermath of both wars and redesign its tax structure. 임진왜란 초기 唐糧은 명의 파견군을 위해 중국 본토에서 실어온 군량미를 뜻하였다. 조선 정부는 명에서 의주까지 실어 온 당량을 내지로 수송하는 한편 조선 각지에서 부족한 군량을 조달하는 역할을 하였다. 임진왜란이 종식되면서 명에서 수송해 오는 당량은 사실상 소멸되었다. 반면 모문룡의 군대를 위해 조선정부가 각 군현에 새롭게 거두는 세금이 ‘唐糧’으로 조성되었다. 광해군 14년(1622) 모문룡의 군대가 가도에 주둔하면서 조선에 양식을 강력하게 요구하자 조정에서는 각도에 1결당 1두 5승의 추가세를 거두어 가도에 수송해주었다. 모문룡에게 제공하는 군량이라 하여 ‘毛糧’으로도 불리던 당량은 모문룡이 참수되고 난 인조 7년(1629) 이후에도 계속 수취되었다. 문제는 인조 12년(1634) 갑술양전의 시행으로 삼남의 전결이 10만 결 이상 추가로 확보되면서 잡다하게 거두던 稅目이 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당량은 다시 西糧이라는 이름으로 유지되었다는 점이다. 실제로 서량은 병자호란기에는 남한산성에 비축하는 군량으로 쓰였으며, 병자호란 이후에는 소현세자 일행이 머무는 심양의 관소에 양식으로 보내졌다. 서량은 대외정세의 위기 속에서 그 필요성이 계속 거론되었기 때문에 쉽사리 폐지되지 못하다가 인조 23년(1645)이 되어서야 폐지가 공론화되었다. 임진왜란 초기 명군의 군량미로 조성된 당량은 이처럼 대외정세와 급변하는 시기를 맞이하여 조선왕조가 불가피하게 지불해야 하는 군사, 외교비용으로 이름을 달리하며 장기간 유지되었다. 따라서 당량이 소멸하는 17세기 중반 이후가 되어서야 조선왕조는 전란의 후유증을 극복하고 부세제도를 본격적으로 정비하는 전환기를 맞이할 수 있었다. 다만, 양호에서 바쳐야 하는 당량[서량]을 양서지방에서 대신 상납해주던 관행[양서조공물]이 인조 24년 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회복된 양서의 공물 중 해서[황해도]의 공물은 숙종 34년(1708) 상정법 시행 이후에도 선혜청의 상정세에 포함되지 않고, 별수미의 형태로 호조에 상납되었다. 조선후기 내내 황해도에서 추가로 징수되던 별수미는 이처럼 서량이라는 오랜 유제로 인해 창출된 세목이었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부정적 사이버자아가 청소년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최주희,조영오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3 치안정책연구 Vol.37 No.1

        현대 청소년은 ‘Born digital’ 세대라 불릴 정도로 온라인 공간에서 자신의 모습과 감정을 표현하는 것에 익숙하다. 이는 자아실현이라는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때론 온라인에서의 자신의 모습을 현실과 연결시키지 못하고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일탈적인 자아를 드러내기도 한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점차 확대되는 온라인 비대면 환경 속에서 청소년 사이버활동 및 비행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공간에서 형성되는 사이버자아가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공간에서 정체성의 혼란으로 형성되는 자아인 부정적 사이버자아가 청소년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아울러 기존 사이버비행 설명 요인(인터넷 중독, 또래애착, 부모애착, 학대, 자기통제, 분노, 스트레스, 우울)과 사이버비행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사이버자아가 지니는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청소년 29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부정적 사이버자아는 기존 사이버비행 설명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사이버비행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사이버자아는 부모애착과 사이버비행 간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정적 사이버자아가 높은 청소년의 경우에는 부모애착이 증가할수록 사이버비행이 크게 감소하였지만, 부정적 사이버자아가 낮은 청소년의 경우에는 부모애착이 증가해도 사이버비행에 큰 변화가 없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사이버비행 및 온라인 정체성 교육 등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