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목초액의 처리에 따른 표고버섯 생산량 비교분석

        최종운,이성재,심상준,이종규 한국버섯학회 2007 한국버섯학회지 Vol.5 No.3·4

        환경악화에 따른 자연생리물질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목재를 열분해하여 만든 목초 액에서 알코올, 목타르 등을 추출, 정제, 단리하여 토량개 량,식물의 생리활성 촉진, 병해충 발생억제 등 다양한 연구 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목초액을 임산버섯 연구 에 활용함으로써 목초액 이용의 활용도를 높이고 무공해 임산버섯 생산의 기틀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표고버섯 재배시 골목의 목초액 처리에 따른 자실 체 생산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표고버섯에 사용한 균주는 산림조합중앙회의 3균주(산조103호, 산조302호, 산조 502호)로서 목초액 농도별(무처리, 100배, 250배, 500 배, 1,000배)로 처리된 침수조에 골목을 24시간 침수 후 자실체 발생을 유도하였다. 각 처리별 25반복하여 자실체 는 갓이 2/3 정도 피었을때 수확하였고, 수확한 자실체의 골목직경 1cm당 자실체 평균갯수와 생중량, 건중량 을 조 사하였다. 자실체 발생유도는 4회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골목의 목초액 희석농도별 침수처리에 따른 결과는 발생 갯수는 205배 희석액에서 최대 42, 무처리에서 최소 37 개, 생중량은 최대 148.42g 최소 32.40g, 건중량은 최대 11.74g, 최소 2.00g로 나타났으며, 무처리 골목에 비하여 모든 희석액의 처리 골목에서 유의적 증가를 보였고, 250 배 희석농도에서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농가에서 표고재배시 골목은250배 희석액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침수에 따른 노동 력이 과다 소요되므로 농산촌 인구의 노령화, 노동력 감소 등에 따른 다양한 연구방안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임산버섯 발생지의 생육환경 특성 분석: 잣버섯 발생임분을 중심으로

        최종운,심상준,김하선,강성기 한국버섯학회 2007 버섯 Vol.11 No.1

        본 연구는 산림농업의 일환으로써 산림간벌재 특히 잣나무, 낙엽송 등 침엽수재의 간벌 폐경재를 이용한 버섯재배 방법의 상품화를 도모하고 농가소득 증대를 위한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잣버섯 자생지에 대한 식생구조와 임분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1차 조사가 수행되었던 2005년도에 이어서 2006년도 현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잣버섯 자생지는 인공 조림된 잣나무 Ⅲ영급 임분을 대상으로 하층식생의 유입 종수의 변화양상 등의 식생자료 수집과, 상층수관 울폐도, 상대조도, 엽면적지수(LAI), 토양습도, 임내 습도 및 온도 등 미세 환경요소에 대한 조사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식생조사에서는 2005년도에 비하여 교목, 관목, 초본이 각각 1수종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대조도는 임외 조도는 증가하였으나, 임내조도는 감소하여 상대조도는 약 1.9%로 감소하였다. 셋째, 상대온도는 60.6% 증가한 반면 상대습도는 2.9% 감소하였다. 넷째, 토양습도는 1.2% 감소하였으며, 상층수관울폐도는 2.4% 증가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버섯발생량과 건중량을 측정할 2005년도에 버섯발생은 12%감소하였고 건중량도 약 8%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버섯발생과 생장에 조도, 습도가 상당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공재배시 적정한 재배조건을 갖추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복령 균을 활용한 소나무재선충 살충효과 분석

        최종운,이윤경,이희란,김하선,최지영 한국버섯학회 2017 버섯 Vol.21 No.1

        복령(Poria cocos)을 인공재배하기 위해서는 소나무속의 수종이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들어 소나무재선충병이 확산되면서 소나무뿐만 아니라 잣나무 등에도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중부 이남 지역까지 재선충이 확산됨에 따라 소나무 수종의 감소가 불가피한 실정이며, 특히 소나무재 선충이 감염된 소나무류는 훈증, 소각, 파쇄 등 목재로서의 활용가치가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재선충 감염목을 활용한 소득품종 육성을 위하여 재선충, 재선충 감염목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실험을 위하여 소나무 재선충 수집 및 분리 동정(춘천/2개소)을 실시하였으며, 비교 대상 균은 BC균 (Botrytis cinerea)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배지 및 접종량 : Potato dextrose agar(PDA), 피펫으로 각각 10㎕씩 분주하였고, 생육온도 및 기간은 인큐베이터에서 25°C로 1주~ 3주간 배양후 촬영하였고, 소나무재 선충 및 BC균 확인은 OLYMPUS SZ2-LGB를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접종 후 3일이 경과된 후 복령균에서는 재선충이 사멸, BC균에서는 재선충이 서서히 증식하였으며, 접종 7일후에서는 재선충을 접종했던 부분까지 복령균이 다시 생장하였고, BC균에서는 재선충이 완전히 증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임산버섯 발생지의 생육환경 특성 분석 : 잣버섯 발생임분을 중심으로

        최종운,심상준,김하선,강성기 한국버섯학회 2007 한국버섯학회지 Vol.5 No.3·4

        본 연구는 산림농업의 일환으로써 산림간벌재 특히 잣나 무, 낙엽송 등 침엽수재의 간벌 폐경재를 이용한 버섯재배 방법의 상품화를 도모하고 농가소득 증대를 위한 일환으 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잣버섯 자생지에 대한 식생구 조와 임분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1차 조사가 수행되었던 2005년도에 이어서 2006년도 현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잣버섯 자생지는 인공 조림된 잣나무 Ⅲ영급 임분을 대상 으로 하층식생의 유입 종수의 변화양상 등의 식생자료 수 집과, 상층수관 울폐도, 상대조도, 엽면적지수(LAI), 토양 습도, 임내 습도 및 온도 등 미세 환경요소에 대한 조사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식생조사에서는 2005년도에 비하여 교목, 관목, 초본이 각각 1수종씩 증가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대조도는 임외 조도는 증가하 였으나, 임내조도는 감소하여 상대조도는 약 1.9%로 감소 하였다. 셋째, 상대온도는 60.6% 증가한 반면 상대습도는 2.9% 감소하였다. 넷째, 토양습도는 1.2% 감소하였으며, 상층 수관울폐도는 2.4% 증가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버섯발생량과 건중량을 측정 할 2005년도에 버섯발생은 12%감소하였고 건중량도 약 8%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버섯발생과 생장에 조 도, 습도가 상당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공재배시 적정한 재배조건을 갖추 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친환경 개념에서 제품디자인과 개발프로세스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최종운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5 산업디자인학연구 Vol.9 No.3

        The Plastic products that led the civilization on the 20th century, had made great progress in the material and manufacturing process, and was followed by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which ist he major cause of the destruction in he environment. Particularly in the beginning of the industrial era, materials and manufacturing in function- alistic design meant not only ‘function’ but‘ form’ was also an essential factor. These days, the freedom and diversity in form is emphasized more than ever and having reached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era, designers may feel creatively, sensually constrained. But in a different perspective, as seen in the case studies from the past,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can be a source of creativity. Therefore, by focusing on the Plastics used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way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es, we can step over the limits of human ideas and create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that will lead the design in the 21st century. small commitment to the environment such as plans of recycling is an essential factor for designers in helping to reduce environmental problems. For products that don’t meet the evaluation criteria, production of the product should be refrained. In addition, in the product-engineering phase and modeling phase, disassembling testing for efficient disassem- bling is needed, and manual on the disassembling process and listing of all the materials can be used for a more generalized measurement of disassembling. But design considering the environment is when the technology, produc- tion aspect, economical aspect, ecological aspect of the product, and all the elements, features, and influences are all reviewed and working together, that it truly is a design caring for the environment. 20세기 산업사회의 문명을 주도해 왔던 수많은 제품과 다양한 재료 중 에서 플라스틱의 사용은 소재에 의한 제품의 혁신과 생산 공정에 많은 발전 및 우리의 삶의 혜택에 기여해 왔다. 하지만 그로 인한 다양한 제품개발은 대량생산의 초점으로 가격과 실용성에서 대량소비로 이어져 지금의 환경파괴의 주범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산업사회 초기의 기능주의적 디자인에 있어 재료와 생산 공정은 기능과 더불어 조형의 절대적인 조건이었으며, 제품의 조형적 자율성과 다양성에서 무엇보다도 강조되고 있는 지금, 친환경시대에 디자이너의 창의적 감수성을 제한하는 요건으로 볼 수 있으며 영향력은 또한 가일 층 더하고 있다. 그러나 관점을 달리하면 과거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친환경 재료와 생산에 따른 공정은 디자이너의 창의성에 원천이 될 수도 있다. 오늘날 인간 사고의 한계를 뛰어넘는 친환경적 측면에서 플라스틱을 적용한 제품을 중심으로 재료와 생산 공정을 통해서 제품의 적용요소를 분석함은 21세기 친환경적 디자인을 주도할 수 있는 필수 조건이 될 수 있다. 환경에 관한 문제는 아무런 노력 없이 성취되어지는 것이 아니다. 디자이너에게 요구되는 노력은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보다 환경을 위한 실천노력을 구체화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할 시점에 있다. 그러므로 환경을 위한 실천 노력으로 재활용설계 및 활용은 디자이너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서 재활용설계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재활용설계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업체별, 제품별로 정리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평가기준을 설정하여 제품개발 과정에서의 설계시점, 테스트시점, 양산시점에 걸쳐 수시로 평가하여야 한다. 제품에서 각 부품별 분해방법과 재질표시 등과 함께 해체시방서 작성을 통하여 해체에 대한 재질, 재사용 할 수 있는 메뉴얼을 작성하고 이에 대한 실천이 필요로 한다. 그러나 환경을 고려한 디자인은 제품에 관한 기술 및 생산측면에서도 더불어 경제적 측면, 생태학적 측면 등 여러 요소의 특징과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조화를 이룰 때 친환경을 고려한 제품으로써 진정한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