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최은아의 "Gesture for string quartet No. 2" 분석 연구

        최은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95

        최은아의 'Gesture for String Quratet No. 2'는 현대 음악의 연장선상에서 조성음악과는 다른 12음 기법(Twelve tone Music, Dodecaphony)을 사용한 작품이다. 본 논문은 본인의 석사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회 작품 중 하나인 'Gesture for String Quartet No. 2'를 분석한 것으로 음악적 특징을 고찰 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세기 초 쇤베르크(Arnold SchÖenberg, 1874-1951)는 작곡 과정의 논리적 맥락을 살려 음악 작품 안에서의 통일성을 보증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평균율에 의해 제공 되어진 12개의 Pitch Class의 Ordered set을 기본으로 하는 음고 조직의 방법을 통하여 12음 기법(Twelve tone Music, Dodecaphony)을 창안하였다. 이 12음 기법은 전통적인 무조음악(Atonality Music)으로 발전하였을 뿐 아니라 점묘주의(Pointillism), 우연성 음악(Chance Music), 전자음악(Electronic Music), 컴퓨터 음악(Computer Music) 등의 다양한 양상의 음악으로 표현하기에 이르렀다. 본 논문은 12음 기법을 바탕으로 작곡하였다. 1악장은 'A-B-A'의 3부 형식으로 Sul ponticello 기법이 사용되었다. 대위법적으로 각 악기가 출현하며 'Gesture'를 표현하는 몸짓의 움직임이 다섯 잇단음표의 음형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2악장도 'A-B-A'로 구성되어 있으며 subsection I과 III은 모든 현악기가 Pizzcato 기법으로 대위법적 특징을 가지며 출현한다. subsection II는 tremolo, con sordino를 사용한 대선율, Pizzcato 기법의 세 가지 특징을 가지며 dyad와 trichord의 분할, 리듬 확대, 전위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3악장은 'A-B-C-A'의 4개의 Sect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현악기가 같은 리듬으로 강하게 나오며 Pitch class set〔0, 1, 4, 5〕와 2차 집합(secondary set)이 음조직의 중심 재료로 사용되었다. Bartok Pizzcato, Saltando, double-stop, contrary motion, 작은 'Gesture'를 표현하는 셋, 넷, 다섯, 여섯 잇단음표의 리듬 조합이 큰 특징이다. 본 논문은 작품 전체에 걸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요소와 그 요소들 간의 상호 유기적 연관성들을 악장별로 분석하였으며 전체 형식과 구조, 선율, 리듬, 음 조직, 악상의 관점에서 연구하므로, 이를 통해 곡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통일성과 다양성을 고찰해 보았다. 특히 이 곡은 석사 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회 작품 중 하나로 계획에서 작곡, 수정, 평가, 연주의 과정을 거친 작품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친 이 곡을 분석한 것은 작품 안에 내재된 음악적 요소들을 정리함으로써 앞으로의 작품 활동에 새로운 가능성을 찾기 위함이다. A distinguished piece of modern music, 'Gesture for String Quartet No. 2' was composed by using Twelve tone Music, Dodecaphony which is different from tonality music. An analysis of one of the pieces of musical graduation concerts and as a requisite for Master of Music degree,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musical features of the work. In the early 20th century, Arnold SchÖenberg(1874-1951) invented a Twelve tone music, Dodecaphony based on an ordered set of 12 pitch classes which are created by temperament in order to create firm unity within a musical work by giving life to the logical procedure of composition. The devise not only developed into an atonality music but also was presented into various features of music such as pointillism, chance music, electronic music, and computer music. 'Gesture for String Quartet No. 2' was composed on the basis of Twelve tone Music, Dodecaphony. The 1st movement, 3 sectioned with 'A-B-A' format, uses Sul ponticello technique. A major feature of this movement is that every instruments appear contrapuntally and gesture expressions appear as quintuplets. The 2nd movement also shows the 'A-B-A' format while all stringed instruments appear as a Pizzcato technique with a contrapuntal feature in subsection I and III. Meanwhile, subsection II has three features-tremolo, main melody using consordino, Pizzcao technique-and shows prominent segmentations of dyad and trichord, magnification of rhythm, and inversion. The 3rd movements, 4 sectioned with 'A-B-C-A' format, displays strong rhythm of every string quartet, where major component of the scales are pitch class set (0, 1, 4, 5) and the secondary subset. Rhythm combination of triplet, quadruplet, quintuplet, and sextuplet are major features that were used to express Bartok Pizzcato, Saltando, double-stop, contrary motion, small 'Gesture' respectively. This thesis analyzed the major features throughout the piece and the mutual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features by every movement. And through the study in the perspecitves of overall structure, melody, rhythm, tone color and dynamics, we have studied the unity and musical diversity that were shown throughout the musical work. Specially written as one of requisites for Master of Music degree, this piece of music has gone through the procedure of planning, composition, correction, evaluation, and performance. An analysis of the thesis is to find a new potential of the future compositional activities by summarizing the musical features that are implied in the piece of work.

      • BV2 신경세포에서 난담반의 LPS에 의해 유발된 NF-kB, MAPKs 및 PI3K/Akt의 신호억제를 통한 항염증작용 :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gg White Combined-Chalcanthite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BV2 Microglia through Inhibition of NF-kB, MAPKs and PI3K/Akt Signaling Path

        최은아 대전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난담반은 황산동 Copper vitriol (CuSO4·5H2O)의 천연물 Chalcanthite인 담반을 열처리한 고담반을 계란 흰자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 것인데, 본 연구에서는 BV2 microglia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중요한 염증성 매개인자와 NF-kB, MAPKs 및 PI3K/Akt 메커니즘에 대한 난담반의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1. LPS 처리에 의하여 매우 증가된 NO 및 PGE2의 생성이 난담반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차단되었다. 2. LPS에 의하여 증가된 염증성 cytokine인 IL-1β와 TNF-α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3. 난담반의 항염증 효능은 IkB의 분해억제를 통하여 염증성 반응 조절에서 가장 중요한 전사 조절인자인 NF-κB의 활성의 억제와 ERK, JNK, p38 및 PI3K/Akt 인산화의 억제와의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난담반의 항염증 효능이 입증되어 다양한 염증성 질환 조절제로 개발 가능성이 확인되었으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난담반의 항염증 성분 활성물질에 대한 동정 및 추가적인 관련 기전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심도 청각장애 성인과 아동 음성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최은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심도 청각장애 성인과 아동을 대상으로 평균 기본주파수(F0), 강도(intensity), 주파수변동률(jitter), 진폭변동률(shimmer), 첫 번째와 두 번째 조화음의 강도 차이(H1-H2), 스펙트럼 기울기(spectral tilt), 비성도(nasalnace), 포먼트(formant) 주파수, 포먼트 대역폭(bandwidth) 등을 살펴 보았다. 청각장애 성인 20명, 정상청력 성인 20명, 인공와우 이식 아동 18명, 보청기 착용 아동 18명, 정상청력 아동 18명 등 5개 집단 대상자들이 7개 모음(/ɑ, ʌ, o, u, ɯ, i, ɛ/)을 읽는 동안 NasalView로 녹음하였고 Praat을 이용하여 음향학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기본주파수는 성인과 아동 모두 청각장애 집단이 정상청력 집단에 비해 높았다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는 아동과 성인 모두 여아와 여성이 남아와 남성보다 F0가 높았고, 모음 간에 유의미한 기본주파수의 차이는 없었다. 두 번째, 강도는 성인의 경우에는 정상청력 성인이 청각장애 성인보다 컸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강도가 컸다. 아동의 경우에는 보청기 아동의 강도가 가장 컸고, 인공와우 아동, 정상청력 아동 순으로 강도가 컸다. 성별에 따라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강도가 컸으며 모음에 따라서는 성인과 아동 모두 저모음이 고모음보다 강도가 컸다. 세 번째, 주파수변동률은 성인과 아동 모두 정상청력 집단이 청각장애 집단보다 크게 나타났다. 특히 청각장애 여성의 주파수변동률이 다른 그룹에 비해 작았다. 성별에 따라 성인과 아동 모두 주파수변동률은 여성과 여아가 남성과 남아보다 컸고, 모음에 따라서는 성인과 아동 모두 후설모음의 주파수변동률이 전설모음의 주파수변동률보다 컸다. 네 번째, 진폭변동률은 성인의 경우 정상청력 집단이 청각장애 집단보다 컸으며 성별에 따라 남성이 여성보다 컸다. 아동의 경우에는 인공와우 아동과 정상청력 아동이 보청기 아동보다 진폭변동률이 컸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남아가 여아보다 진폭변동률이 컸다. 모음에 따라서 성인의 경우 모음 간에 특정한 유형을 보이지 않았으나 아동의 경우에는 저모음이 고모음보다 진폭변동률이 컸다. 다섯 번째, H1-H2는 성인의 경우 정상청력 성인이 청각장애 성인보다 컸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컸다. 그리고 모음에 따라서는 평순모음이 원순모음보다 H1-H2가 컸다. 아동의 경우에는 정상청력 아동의 H1-H2가 가장 컸고, 보청기 아동, 인공와우 아동 순으로 컸으며 성별에 따라 남아가 여아보다 H1-H2가 컸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여섯 번째, 스펙트럼 기울기는 성인의 경우 정상청력 성인이 청각장애 성인보다 기울기가 급격했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기울기가 급격했다. 아동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정상청력 아동이 인공와우 아동과 보청기 아동보다 기울기가 더 급격했으며 성별에 따라서 여아가 남아보다 조금 급격했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일곱 번째, 비성도는 성인의 경우 청각장애 성인이 정상청력 성인보다 높았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비성도가 높았다. 아동의 경우에는 인공와우 아동, 정상청력 아동, 보청기 아동 순으로 비성도가 높았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비성도가 높았다. 그리고 각 모음에 대한 비성도는 성인과 아동 모두 고모음의 비성도가 저모음의 비성도보다 컸다. 정상청력 성인의 성별에 따른 비교에서 정상청력 여성은 정상청력 남성에 비해 비강에너지가 유의미하게 높아 결과적으로 정상청력 여성의 비성도가 높아졌다. 청각장애 성인의 성별에 따른 비교에서는 청각장애 남성의 경우에 구강에너지는 정상청력 남성 수준이었으나 비강에너지가 커서 비성도가 높아졌고 청각장애 여성의 경우에는 비강에너지는 정상청력 여성 수준이었으나 구강에너지가 작아서 비성도가 높아졌다. 반면에 아동의 경우에는 인공와우 아동과 보청기 아동이 비강에너지와 구강에너지 모두 정상청력 아동보다 컸으나 비강에너지와 구강에너지의 차가 보청기 아동>정상청력 아동>인공와우 아동 순으로 컸으며 이로 인해 비성도는 인공와우 아동>정상청력 아동>보청기 아동 순으로 나타났다. 여덟 번째, 포먼트 주파수 분석 결과, 성인의 경우 F1과 F2는 청각장애 성인이 정상청력 성인보다 더 높았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았다. 반면에 F3는 정상청력 성인이 청각장애 성인보다 더 높았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았다. 아동의 경우 F1은 변성기 이전과 이후 모두 인공와우 아동>정상청력 아동>보청기 아동 순으로 높았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았다. F2는 변성기 이전에는 정상청력 아동이 인공와우 아동이나 보청기 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변성기 이후에는 인공와우 아동>보청기 아동>정상청력 아동 순으로 높았고 변성기 이전과 이후 모두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F3는 변성기 이전에는 장애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변성기 이후에는 보청기 아동의 F3가 인공와우 아동이나 정상청력 아동에 비해 낮았다. 성별에 따라서는 변성기 이전과 이후 모두 남아가 여아보다 F3가 높았다. 아홉 번째, 포먼트 대역폭 분석 결과, 성인의 경우 B1과 B2는 청각장애 성인이 정상청력 성인보다 더 넓었으며 B3는 정상청력 성인이 청각장애 성인보다 더 넓었다. 성별에 따라 B2와 B3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넓었으나 B1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아동의 경우 보청기 아동이 정상청력 아동이나 인공와우 아동에 비해 B1과 B2가 넓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이, 애, 아, 어, 오, 우, 으/ 7개 모음을 정조음할 수 있는 아동과 성인을 대상으로 음향학적 분석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의 청각장애 아동과 성인은 정상청력 아동과 성인과는 다른 발성과 조음 특성을 보였다. 청각장애 성인과 아동은 발성 측면에서는 성대 조절을 자유롭게 하지 못했다. 그 결과 청각장애 성인과 아동 모두 정상청력 성인과 아동에 비해 음도가 높았고, 강도가 지나치게 크거나 지나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대 개방에서도 청각장애 성인과 아동 모두 정상청력인들보다 성대를 덜 개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청각장애인들이 주파수변동률이나 진폭변동률은 오히려 정상청력인보다 작아 성대는 규칙적으로 진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음 측면에서는 조음 기관을 세밀하게 조절하여 정확한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으로 말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 결과로 청각장애인의 경우 비강에너지와 구강에너지가 지나치게 크거나 작아 비성도가 정상청력인보다 커졌다. 그리고 모음 조음 시 구강 공간을 잘 활용하지 못하여 명료도가 낮아지고 잘 공명된 소리로 말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공와우 이식 등으로 청력 수준이 좋아지면 음성도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되나 본 연구에서는 강도와 주파수 대역폭 이외에는 인공와우 아동이 보청기 아동보다 더 나은 음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 대상자인 인공와우 아동의 경우 인공와우 이식 전 청력 역치 수준이 보청기 아동보다 더 낮았으며 5세 이후에 인공와우 이식을 받고 착용기간이 약 3년 된 아동으로 음성이 자연적으로 회복되기에는 청각적 피드백이 여전히 불충분한 것으로 이해되며 조음과 발성 습관은 유아기에 청각적인 피드백을 통해 자기 수정, 교정하며 고착되므로(Owens, 2001) 청력 역치가 높았을 때 익혀진 잘못된 조음 습관은 청력 수준이 향상되어도 저절로 고쳐지기는 힘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fundamental frequency(F0), intensity, jitter, shimmer, the amplitude difference of the first two harmonics(H1-H2), spectral tilt, nasalance, the frequencies and bandwidths of the first 3 formants between the profound hearing impaired subjects and the normal hearing people. For this study, 20 hearing-impaired adults and 20 normal hearing adults as a control group, 18 cochlear implanted children, 18 hearing aided children, and 18 normal hearing children as a control group, were asked to read 7 Korean vowels(/ɑ, ʌ, o, u, ɯ, i, ɛ/). Subjects' readings were recorded by NasalView and analyzed by Praat. The results, first, showed that for F0, the hearing impaired adults and children groups were higher in F0 than the normal hearing group. Across gender, the female adult and children groups were higher in F0 than the male adult and children groups. Across vowe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0 for all adult and children groups. Second, for intensity, the normal hearing adults was higher than the hearing impaired adults. Across gender, the male adults were higher in intensity than the female adults. Both the hearing aided and cochlear implanted children were higher in intensity than the normal hearing children. Across gender, the female children were higher in intensity than the male children. And low vowels were higher in intensity than high vowels for all adult and children groups. Third, for jitter and shimmer, both the normal hearing adults and children were higher in jitter and shimmer than the hearing impaired adults and children,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hearing impaired female group was lower in jitter and shimmer than the other groups. Fourth, for H1-H2, the normal hearing adult group was higher in H1-H2 than the hearing impaired adult group. Across gender, the male adults were higher in H1-H2 than the female adults. The normal hearing children was the highest in H1-H2, and the hearing aided children intermediate, and the cochlear implanted children the lowest. Fifth, for spectral tilt, the normal hearing adult group was steeper in spectral tilt than the hearing aided adult group, and likewise, the normal hearing children group was steeper in spectral tilt than the other children groups. Sixth, for nasalance, the hearing impaired adult group was higher in nasalance than normal hearing adult group, and cochlear implanted was the highest in nasalance, normal hearing intermediate, and hearing aided the lowest. Across vowels, high vowels were higher in nasalance than low vowels in both adults and children. Seventh, the analyses of the formant frequencies showed that hearing impaired adult group were higher in F1 and F2 than normal hearing adult group. The normal hearing children group were higher in F1 and F2 than hearing aided children group, cochlear implanted children group was higher in F1 and F2 than normal hearing children group. Eighth, the analyses of the formant bandwidths showed that hearing impaired adult group were greater in B1 and B2 than normal hearing adult group. The hearing aided children group were greater in B1 and B2 than normal hearing group and cochlear implanted group. This study showed that hearing impaired adults and children have different phonatory and articulatory characteristics. The hearing impaired adults and children failed to control phonatory process properly, which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y had a higher F0 and a significantly greater or smaller intensity than the normal hearing adults and children. They also failed to maintain glottal opening properly, such that they had a smaller H1-H2 and a steeper spectral tilt than the normal hearing adults and children. However, they seem to have regularity in vocal fold vibration, si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jitter and shimmer between the hearing impaired and normal hearing people. This study also showed that hearing impaired adults and children had difficulty in articulation, which was evident from a narrower vowel space, a poor intelligibility, and a damped resonance. Contrary to the expectation that cochlear implant leads to the enhancement of auditory threshold, and henceforth speech, this study showed that evidence of the enhancement of speech was not found in any speech parameter but intensity. The length of exposure to speech after the cochlear implant was not enough for the enhancement of speech, even though auditory threshold was enhanced after the cochlear implant. The cochlear implanted children seems to have failed to have a proper auditory feedback, since they received cochlear implant at the age of 5 and wear it about 3 years, which is not enough for the adaption to normal hearing people's speech.

      • 프로축구 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최은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프로축구 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국내 프로축구 구단을 모집단으로 하여 설문에 참여할 수 있는 10개 구단에서 330명이었다. 자료 수집을 위한 도구는 설문지이며, 설문지에 포함된 측정도구는 성취목표성향(성창훈, 1995), 운동스트레스(소영호, 2009)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인용 PC Windows용 SPSS 20.0 버전을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분석에 이용된 통계기법은 일원변량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 및 절차를 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다. 연봉에 따라 자아지향성에서 5000만 원 이하가 1억 원 이상보다 높다. 또한 운동경력에 따라 10년 이하가 16년 이상보다 높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 연봉에 따라서 지도력불만, 기능 및 경기내용, 개인 시간 제약에 차이가 있었다. 세 개의 하위 요인에서 5000만 원 이하가 1억 원 이상보다 높았다. 운동경력에 따라 개인 시간 제약에서 11년 이상 15년 이하의 선수들이 16년 이상인 선수보다 더 높다. 프로경력에 따라서 3년차인 선수가 4년차 이상인 선수들에 비해 지도력불만 스트레스가 높으며, 개인시간제약에서는 3년차 선수가 5년차 이상인 선수보다 높다. 셋째, 성취목표성향은 운동스트레스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자아지향성이 높을수록 지도력불만 스트레스는 높아지고, 기능 및 경기내용, 개인 시간 제약, 진로고민 또한 높아진다. 과제지향성이 높을수록 기능 및 경기내용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아진다.

      •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자체평가에 관한 연구

        최은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들의 유아교육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자체평가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유아교육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향상과 발전방안을 모색하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기관의 유형에 따른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교사의 자체평가는 어떠한가? 2. 학급연령에 따른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교사의 자체평가는 어떠한가? 3. 교육경력에 따른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교사의 자체평가는 어떠한가? 4. 설립유형에 따른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교사의 자체평가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총회수된 부산지역의 유치원 교사 193명과 어린이집 교사 257명의 설문지 총 450부를 최종자료처리 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교육개발원(1987) 평가준거안인 "유아교육기관 평가준거"와 NAEYC의 "유아교육 프로그램 인준기준"을 참고로 제작한 이영숙(1996)이 사용한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한국보건사회 연구회(1996) 교육시설 평가기준 및 평가기준안을 참고로 본 연구자가 제작한 질문지를「유아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설문조사」에 사용하였다.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교육프로그램운영에 대한 자체평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t검증을 하였으며 교사의 교육경력, 설립유형 및 학급유아의 연령에 따른 차이를 검증해보기 위하여 ANOVA검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간의 교육프로그램운영에 대한 자체평가는 교육과정 운영의 적절성, 교사와 아동의 상호작용, 교육환경구성의 적합성, 경영관리 합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자체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급연령에 따른 교육프로그램운영에 대한 자체평가에서는 건강·영양·안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기관과 학급연령과의 상호작용에서 교육환경구성의 적합성과 가정 및 지역사회관계의 적절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3세미만의 학급과 유치원의 자체평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교육프로그램운영에 대한 자체평가는 경영관리의 합리성, 건강·영양·안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육경력에 따른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상호작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교육경력이 높을수록 자체평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설립유형별에 따른 교육프로그램운영에 대한 자체평가는 교육과정운영의 적절성, 교육환경구성의 적합성, 경영관리의 합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유치원의 공립의 자체평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seek evaluation of the qualitative level and explore the way towards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preschoolers to foster desirable growth and development of preschoolers by analyzing self-evaluation of operation of educational program for preschoolers between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nursery schools. On the basis of the objec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are presented. 1. How's the teacher's self-evaluation of operations of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s? 2. How's the teacher's self-evaluation of operations of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 to children's age? 3. How's the teacher's self-evaluation of operations of educational according to their teaching experiences? 4. How's the teacher's self-evaluation of operations of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 to the type establishment? In this research work, questionnaires were sent to 193 teachers in kindergarten and 257 teachers in nursery schools, used 450 as final data. As an instrument for this research work,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urvey about oper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for preschooler's, which the research of this paper drafted consulting the Korean Public Health and Social Affairs Institute(1996) standard of assessment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scheme of that, based on questionnaires which, Lee Young-suk(1996) used, consulting "the standard of assess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preschoolers".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s scheme of standard of assessment and "standard of approval of educational programs for infants" of NAEYC. In order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self-evaluation of oper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between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nursery schools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were found and t-test was applied and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ing experience of the teachers, the type of establishment and the children's age in a class, ANOVA was appli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Referring to the self-evaluation of oper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between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nursery schools, it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dequacy of operation of the educational process,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child the suitability of the formation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reasonableness of operation and management. 2. Referring to the self-evaluation of oper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 to children's age in a class. it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alth·nutrition·safety and interaction between the institution and children's age. suitability of the relation with the community. 3. Referring to the self-evaluation of oper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 to teachers' educational experiences. i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sonableness of operation and management and health·nutrition·safety. Referring to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nursery schools it does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4. Referring to the self-evaluation of oper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 to the type of establishment. it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dequacy of operation of the educational process, the suitability of the formation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e reasonableness of operation and management.

      • 초등 저학년을 위한 의생활 자립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최은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의생활에 대한 자립성을 키워줄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의복 착용 능력, 의복 선택 능력, 의복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두고 개발되었으며 총 14차시로 구성되었다. 저학년의 특성에 맞추어 전 차시에 걸쳐 동화를 이용하여 의생활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동기유발을 하였다. 1차시부터 3차시는 의복 착용과 관련하여 끈이 있는 신발의 착용, 단추와 지퍼의 착용, 시계와 키즈폰의 착용, 머리 손질에 대한 수업을 하였고, 5차시부터 9차시는 의복 선택과 관련하여 에코백 꾸미기, 때와 상황 및 날씨에 맞는 옷차림, 펠트옷 만들기에 대해 수업하였다. 10차시부터 14차시는 의복 관리와 관련하여 옷장 정리하기, 옷 걸고 개기, 위생적인 옷차림, 작은 빨래에 대해 수업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서울시 서초구 소재 S초등학교 1학년 2개 반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설문과 사후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0.0을 사용하여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복 착용 능력과 의복 선택 능력, 의복 관리 능력 모두에 대하여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점수가 향상되어 개발된 프로그램이 대상 학생들의 의생활 자립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학생들은 의생활에 대해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스스로 의생활 행동을 실천하려는 노력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의생활 자립성 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의복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수업과 연계하여 의생활 자립성을 향상시키는 활동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당뇨병환자에서 Metformin 사용에 따른 암 발병률

        최은아 충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causes of death in South Korea are cancer and diabetes melitus. The prevalence of diabetes tends to increase over the years. And people who develop diabetes have a higher rate of cancer deaths compared to people who do not have diabetes. According to several studies, metformin is known to prevent cancer. In Korea, however, there is not enough evidence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metformin and canc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metformin and cancer risk among the diabetic patients, based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Health Screening Cohort, we will compare the incidence of cancer with those of diabetics and those of normal people. As a result, the diabetics who take metformin had a lower cancer risk than the diabetics who do not take metformin. The cancer risk is related. The risk of cacner among metformin users has fallen to the risk in normal people.

      • 인체의 표현을 중심으로 한 도자 조형 연구

        최은아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문화에서 빠질 수 없는, 포스트모더니즘 개념의 여러 특징중, 모든 예술 분야의 중심 해체와 장르의 이탈 등을 들 수 있다. 정보가 넘쳐나는 사회에서, 시대성을 벗어난 퇴보가 아닌, 시대에 알맞은 소비지향적인 즉, 미의 영역을 확장 시키고 형식의 특징을 개방 시키는 “확장”의 의미를 형성 한다. 하나 다음에 또 다른 하나를 단순하게 배치하여, 각각의 요소가 “전체의 일부” 로서 완전한 전체성을 갖는다. 또한 하나의 의미에 다른 또 하나의 의미를 -1:1 대응이 되지 않는다- 는 생각을 바탕으로 하며 “단 하나의 의미”로, 짜여진 틀이 아닌 다양한 의미의 “확장”을 의미한다. 나의 작업은 해체된 후 다시 중심화가 되는 것이며, 하나의 기호는 다른 기호에 의해 “의미”를 형성하는 개념이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의 인체는 나를 알리는 기호이며, 인체의 몸짓은 나를 알리는 언어의 표현 이다. 이렇듯 인체를 표현한다는 것은 외형적인 면뿐이 아니라 인간의 내면세계와 영혼의 세계까지 표현 한다는 것이다. 가장 흔하고, 가장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소재이지만, 의미를 부여하지 않으면 아무도 인식하지 못하고 지나쳐 버리고 마는 인체를, 작품의 소재로 다루어, 그 인체에 희망이라는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을 하고자 한다. 또한 현대공예에 있어서의 포스트모더니즘 경향으로, 고유의 기능성이나 문양제작 기법 중 에서도, 형식을 해체하고 있다. 옛날의 쓰임새에 충실한 공예의 기능적인 목적을 부분 적으로 상실하거나 유희적인 장식성을 나타내는 부분들이 많이 나타나며, 이러한 경향들을 공예의 탈 장르화, 탈 기능적인 공예, 공예의 오브제화, 본래의 목적으로부터 빗나간 사용 방법을 이탈한 것을 가리키는 용어의, 키치화 라 하겠다. 이에 따라 현대 도자의 흐름 아래 인체를 작품의 소재로 다루어 조형적인 요소를 추출하여 표현해 보고자 한다. 조형의 정의와 함께 인체를 소재로 조형을 표현함에 있어서 필요한, 조형의 요소인 비례, 균형, 조화, 율동, 양감에 대해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인체와 선과의 관계를 예술가들은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에 관하여도 알아보았다. 이에 인체 표현 연구를 위해 역사 속 에서 인체를 어떻게 표현해 왔는지 인체의 기원과 역사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눈에 보이는 현실의 사물을 묘사의 대상으로 하지 않는 미술이며, 자연의 구체적인 대상을 거의 제현하지 않고 색, 선, 형 등의 추상적인 형식으로 작품을 구성 하는 추상미술의 개념을 바탕으로 디자인 작업을 하였으며.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조형 작업은 단순한 순간의 느낌만이 아닌 예술가의 모든 영역을 발휘해야한다는 점과, 예술가의 역량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앞으로도 인체에 대해 좀더 깊은 연구와 예술가로서의 무한한 창조성을 발달시키는데 노력 할 것이다.

      • 학교 영양(교)사들의 절기음식에 대한 인식 및 급식 활용도에 관한 조사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최은아 경남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급식 영양(교)사들의 한국의 절기음식에 대한 인식 및 급식활용도 실태를 조사하여 절기음식을 학교급식에 활용하기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남지역 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영양(교)사 30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185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령은 40~49세, 30~39세가 대부분 이였고, 대학교졸, 11~15년의 근무 경력과 기혼이며,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 단독조리였다. 학교급식 식단 작성 시 절기음식의 고려 정도는 평균 보통 이상 이였으며, 가장 잘 인지하고 있는 절기는 설날과 추석이었고. 그 외 유두와 중양절, 시월상달은 절반이상이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기와 절기음식에 대한 인지도는 40세 이상에서 가장 높았다. 절기음식에 대한 기호도는 영양교사가 학교회계직 보다 높았다.(p<.05) 좋아하는 이유로는 ‘영양가가 풍부하고 건강에 좋아서’가 가장 많았다. 절기음식 활용도에서는 절기음식의 활용 시기는 대부분 명절·절기에 맞추어 활용하고 있었고, 근무처에 따라서 설날 음식 중 떡국, 전유어, 수정과, 약과, 만둣국, 유가·강정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정월대보름 음식 중에는 오곡밥, 시래깃국, 삼색나물, 김구이, 유두 음식 중에는 떡수단, 복날 음식 중에는 육개장, 칠월칠석 음식 중에서는 밀국수, 과일화채, 추석음식 중에서는 식혜, 토란탕, 닭찜, 중양절의 음식 중에서는 도루묵찜, 동지 음식 중에서는 팥죽, 팥칼국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절기음식을 학교급식에서 제공하는 이유는 ‘고유의 음식이기 때문이다’가 절기음식을 학교급식에서 제공할 때 어려운 점은 ‘학생 기호도가 높지 않아서’가 가장 많았다. 근무처에 따른 학생들의 선호도를 살펴보면 설날 음식 중에서 떡국은 초등학교의 선호도가 유의하게 높았고(p<.01), 전유어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선호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1), 수정과는 고등학교의 선호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1). 그리고 약과는 고등학교의 선호도가 유의하게 높았고(p<.01), 만두국은 초등학교의 선호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1). 약밥은 중학교의 선호도가 유의하게 높았고(p<.01), 시래깃국(p<.05)과 김구이(p<.01)는 초등학교의 선호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밀국수는 초등학교의 선호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1). 절기음식에 대한 급식관계자 연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연수가 필요한 급식 관계자는 영양교사가 가장 높았고, 절기음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올바른 식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였으며, 학생을 대상으로 한 절기음식 교육은 ‘실시하고 있지 않다’(44.3%), ‘실시하고 있다’(40.5%)로 나타났다. 절기음식 관련 교육의 실시방법으로는 학교홈페이지 및 게시판, 유인물을 주로 이용하고 있었다. 절기음식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 사항으로는 ‘학교급식 관계자 및 학생들의 전통음식과 절기음식에 대한 교육으로 피 급식자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이 변화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경남지역 학교급식 영양(교)사들의 절기음식에 대한 긍정적인 기호도와 활용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타났으나, 학생들의 기호도가 낮고, 조리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려 학교급식에서의 활용도가 낮고 근무처별에 따라 활용도와 기호도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학교급식 관계자 및 학생들의 절기음식에 대한 교육으로 피 급식자들의 절기음식에 대한 올바른 인식변화를 유도해야 하며, 이를 위해 교육방법을 개선하고 교육의 기회를 확대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급식에 맞춘 표준조리법 개발하여 학교 급식현실에 맞는 근무처별, 급식유형별, 급식 학생 수 별 등으로 세분화하여 활용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절기음식의 다양한 메뉴개발로 대상자의 기호도를 고려하여 학교급식에서의 절기음식 활용도를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basic data to use seasonal foods for school meals by examining awareness of school nutritionist's about Korean seasonal foods and applicability for school means. For this study, 185 questionnaires were made and distributed to 300 nutritionis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nam. Then, they were collected to analyze data. In this study, most of school nutritionist's were found to be 40∼49 and 30∼39 years old, graduate from universities, have over 11∼15 year work experience, got married, work in elementary schools and manage conventional food service systems. It was found that they considered seasonal foods on an exceptional scale when planning menu for school meals. They also had the biggest awareness about New Year's day and Thanks Giving Day(Chuseok) of a variety of solar terms, but most than half of them didn't know about Yudu(the fifteenth day of the lunar month), Jungyangjeol(the ninth day of the ninth Lunar month), Siwolsangdal(the Harvest Month in October). Especially, nutritionist's in their 40s had the highest awareness of solar terms and seasonal foods. Also, nutritionist's had higher preference for seasonal foods than school accounting clerks(p<.05). To a question, 'why do you like seasonal foodsChoi, Eun-A?', they answered that 'because they are very nutritious and good for health'. When analyzing the use of seasonal foods according to holidays and solar term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working locations. That is, of New Year's Day foo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teokguk(rice-cake soup), fried fish, Sujeonggwa, Yakgwa, dumpling soup(Mandu soup), oil-and-honey pastry and Gangjeong(glutinous rice crackers), of goods of the day of the first full moon of the lunar yea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gokbap(five-grain rice), dried radish green soup, three-color vegetables and crisp laver, among foods of Yudu(the fifteenth day of the lunar mon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teoksudan(rice cake punch), among foods of canicular day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Yukgaejang(hot spicy meat stew), among foods of July 7th in the lunar calenda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heat-flour noodles and fruit salad, among foods of Thanks Giving Da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ikhye(sweet rice drink), taro soup and steamed chicken, of foods of Jungyangjeol(the ninth day of the ninth Lunar mon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eamed sailfin sandfish, and of foods of winter solsti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zuki-bean gruel and adzuki-bean noodles. Most of nutritionist's answered that 'because seasonal foods are Korean traditional foods' to a question, 'why do you provide seasonal foods as school meals?', and answered that 'students don't prefer them a lot' to a question about 'difficulties when providing them as school meals'. When analyzing preference for seasonal, foods according to working locations, of New Year's Day foods, elementary schools had higher preference for Tteokguk(rice-cake soup)(p<.01),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had higher preference for fried fish(p<.01) and high schools had higher preference for Sujeonggwa(p<.01). Also, high schools had higher preference for Yakgwa(p<.01) and elementary schools had significantly higher preference for dumpling soup(Mandu soup)(p<.01). Lastly, middle schools had relatively higher preference for Yakbab(sweet rice with nuts and korean dates)(p<.01), elementary schools had higher preference for dried radish green soup(p<.05) and crisp laver(p<.01) and elementary schools had significantly higher preference for wheat-flour noodles too(p<.01). Most of participants recognizd that a training about seasonal foods is necessary for school meal providers. Especially, they answered, a training for school nutritionist's is most pressing, and 'to succeed to and develop proper easting culture', a training about seasonal foods is needed. Also, while, the response rate to a category, 'do not carry out a training about seasonal foods for students' was 44.3%, the response rate to a category, 'do carry a training about seasonal foods for students' was 40.5%. Majority of school nutritionist's were found to use school home pages, notice boards and pamphlets to carry out a training about seasonal foods. To improve the use of seasonal foods, most of them answered that 'eaters should change their awareness about traditional foods by carrying out a training about traditional and seasonal foods for school meal providers and students'. In general, school nutritionist's in Gyeongnam. had higher preference and positive awareness about seasonal foods, but students had lower preference for them and they were not used a lot for school meals, because it is quite complicated takes a long time to make.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use of seasonal foods and preference, according to working locations. These results imply that nutritionist's need to implement and expand a training about seasonal foods for school meal providers and students to change eaters' awareness about seasonal foods. Also, they have to develop standard cooking methods of school meals according to each working location, school meal type and the number of school meal eaters, and increase the use of seasonal foods in schools by developing a variety of menu for them and considering students' tas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