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야외지질학습에 대한 예비 중등 지구과학 교사의 인식 탐색

        최윤성,김찬종,최승언 한국지구과학회 2018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ice middle school earth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learning of geological field trip. The study sample consists of 39 undergraduate students at the university located in a metropolitan city. Additionally, 4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are semi-structure interviewed. The instrument of the study includes a 5-category perception about the learning of geological field trip, which consists of needs, educational values, educational experience, teaching methods, and training for lear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are important to the need and educational values of learning about the geological field trip regardless of gender and grade level. Second, all participants have experienced geological field trip in college. They have more opportunities to experiment for field trip as they advance to higher grad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ower and higher graders in terms of the goal of learning about geological field trip. It needs a new lesson model to teach geology between men and women regarding teaching methods category. In order to practice geological field trip in school, participants perceive that they need the knowledge of geological context, experiment of field trips, and how to teach geological field trip to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include how to teach and learn geological field trip during their college year. 이번 연구는 예비 중등 지구과학 교사의 야외지질학습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여 야외지질학습을 활성화하기 위 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 소재 대학교 예비 중등 지구과학교사 39명을 대상으로 야외지질학 습의 필요성, 교육적 가치, 야외지질학습을 위한 교육적 경험, 야외지질학습을 교수하기 위한 지도방법, 예비교사 단계 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에 관해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4명의 예비 중등 지구과학교사와는 추가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는 성별과 학년에 유의미한 차이 없이 야외지질학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 고 있었다. 또한 야외지질학습에 대한 교육적 가치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야외지질학습을 위한 교 육적 경험에 관한 문항에서는 모든 예비교사들이 야외지질답사 경험이 있다고 하였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경험의 횟 수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야외지질학습 지도 방법에 관한 문항에서는 야외지질학습의 목적에 대해서 학년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었고, 새로운 수업 모듈을 개발해야한다는 문항에서는 남녀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야외 지질학습을 실행하기 위해 예비교사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은 지질학적인 지식, 야외답사 경험, 야외지질학습을 지도하기 위한 새로운 교수법에 관한 것이다. 이번 연구는 야외지질학습을 실행하기 위해 교사 양성단계에서 필요로 교육 을 포함하여 야외지질학습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루어낚시 참여자의 손목 움직임 측정을 위한 스트레치 센서 개발

        최윤성,박진희,김주용,Choi, Yoon-Seung,Park, Jin-hee,Kim, Joo-yong 한국감성과학회 2022 감성과학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루어낚시 참여자의 손목 움직임 측정을 위한 스트레치 센서를 개발하는 것이다. 손목움직임 측정을 위해 스트레치 센서를 손목에 부착하여 배굴, 저굴 그리고 랜딩동작을 게이지율, 인장강도 그리고 신장회복률을 척도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CNT 분산액을 이용한 전도성 센서를 개발하고 E-band에 동일한 조건으로 적용하였다. 함침을 각각 한 번, 두 번, 그리고 세 번한 같은 크기의 5종, 15가지 센서를 만능재료시험기(Dacell dn-fga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를 활용해 게이지율(Gauge Factor)을 측정하였다. 두 번 함침한 센서가 게이지율이 가장 우수했으며, 게이지율과 인장강도가 높은 세 가지 센서로 프로토 타입을 제작하였다. 아두이노에 연결하여 동작테스트를 한 결과, 인장강도와 게이지율이 가장 높은 시료 1이 세 가지 동작에서 일정한 파장이 유지되었다. 시료 2,3은 배굴과 저굴에서는 일정한 파장을 나타내었지만, 랜딩동작에서는 신호 노이즈가 나타났다. 이는, 랜딩동작에서는 인장강도와, 게이지율에 따라 파장의 패턴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손목의 움직임 측정을 위한 스트레치 센서 제작시에 필요한 조건들을 유추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루어낚시용 스마트 웨어러블 제품 개발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과학 흥미 수준의 변화와 발달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최윤성,김찬종,최승언 한국지구과학회 2018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primary school students develop their interest in science. A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to investigate students’ interest, change of their interest, and engagement in science related activities three times a year. 201 students of two primary schools in Seoul Metropolitan City initial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follow-up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students who showed an increased interest in science. Finally, seven students were chosen in the case study. They were asked to keep a photo journal for 12 weeks, and were interviewed in every other week by one of the researchers. Among these seven participants, two (TK and QQ) were chosen for analyzing their data in this case study because they showed positive changes in developing science interest throughout the study. The results of two participants’ survey, photo-journal and interview were analyzed qualitatively. First, TK, whose science interest developed from situational interest II to individual interest I, engaged in doing experiments at home, doing mathematics activities, raising pets or plants, observing phenomena, and visiting informal educational centers. He tended to participate in hands-on activities by himself in out-of-school settings. Second, QQ who developed from situational interest I to situational interest II, engaged in taking pictures as a representative activity at home and school. He tended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with either his father or one of the researchers. Both students showed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doing place-based activities, interaction with others and activity subjectivity. The goal of TK’s interactions with others on the various places was to develop in cognitive domain. On the contrary, QQ’s goal of interactions with others was to develop in emotional communication. This study reported the cases of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ho developed their interests in science including activities in- and out-of-school settings and their accompanying people.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흥미가 발달한 초등학생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서울 소재 2개의 초등학교 201명을 대상으로 1년 동안 3차례에 걸쳐서 흥미 변화, 과학과 관련된 활동의 선호도와 참여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3차례의 설문조사에서 과학 흥미에 유의미한 변화를 보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례연구 참여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사례연구 참여에 동의한 7명의 학생들에게 12주에 걸쳐서 매일 과학관련 활동 포토저널을 작성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는 2주에 한 번씩 연구자 중 한 명을 만나 총 6차례 반-구조화된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7명의 사례연구 참여자 중에서 과학 흥미가 상황적 흥미 II 수준까지 발달한 학생 1인과 개인적 흥미 I 수준까지 발달한 학생 1인, 총 2명(TK와 QQ)을 대표 사례로 선정하여 심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자료는 설문조사 결과와 포토저널과 면담내용이었다. TK 학생은 상황적 흥미 II 수준에서 개인적 흥미 I 수준까지 발달한 사례로서 주로 집에서 직 접 실험하기, 수학 활동하기, 동식물 기르기, 관찰하기 등을 하였으며, 비형식 교육기관을 방문하는 활동에도 참여하였다. 이 학생은 과학과 관련된 활동 장소로 학교 밖 환경을 주로 선택하였으며, 스스로 자유로운 형태로 활동에 참여하는 경향을 보였다. QQ 학생은 상황적 흥미 I 수준에서 상황적 흥미 II 수준까지 발달한 사례로서 사진 찍는 것을 자신의 대표 활동으로 하였다. 이 학생은 학생의 아버지 또는 연구자 중 1인과 함께 활동에 참여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 학생에게서는 장소 기반 활동, 타인과의 상호작용, 활동의 주체성이라고 하는 개인적 특성을 볼 수 있었다. TK 학생은 다양한 장소를 기반으로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타인과 상호작용의 목적이 인지적인 영역에 도움을 받는 것이었다. 반면에 QQ 학생은 특정 장소를 기반으로 활동에 참여하였고 타인과 상호작용의 목적은 정서적인 교감이었다. 이 연구는 과학 흥미가 발달한 학생의 사례에서 학교 안과 밖 활동 및 함께하는 사람까지 포함한 특성을 밝혀내었다.

      • KCI등재

        슬개대퇴 관절 불안정성의 진단 및 치료

        최윤성,왕준호 대한의사협회 2023 대한의사협회지 Vol.66 No.8

        Background: Patellofemoral instability, by definition, is a condition where the patella bone pathologically disarticulates out from the patellofemoral joint, either through subluxation or complete dislocation. The overall incidence of patellofemoral instability ranges between 5.8 and 29 per 100,000. Over time, patients with patellar instability can have debilitating pain, limitations in basic function, and long-term arthritis. Current Concepts: Risk factors for patellofemoral instability include trochlear dysplasia, patella alta, increased tibial tubercle-to-trochlear groove distance, abnormal patella lateral tilt, and coronal and torsional malalignment. The proper treatment is often debatable. Conservative treatment is suitable for acute dislocation but has a high failure rate for chronic instability, which usually necessitates surgical treatment. Today’s common surgical treatments focus on fixing anatomical defects, relieving symptoms of instability, and allowing patients to return to a suitable level of activity. Discussion and Conclusion: In this review, we summarize the relevant pathophysiology, categorization, clinical features, physical examination, imaging, and treatment options for patellofemoral instability.

      • KCI등재

        야외지질학습에서 ‘생소한 경험 공간(Novelty Space)’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와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의 인식 탐색

        최윤성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2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novelty space among pre-service elementary and secondary earth science teachers. We conducted a survey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38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31 pre-service secondary earth science teachers at the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at B University.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participants, including thre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nine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addition to the elements of novelty space, prior knowledge (cognition), prior outdoor learning experience (psychology), familiarity (geography) with outdoor field learning, and social and technical elements were added. When classified based on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psychological, geographic, and social areas for the elements of novelty space. Statistical differences indicated that the experience or capital related to outdoor learning may have resulted from more pre-service secondary earth science teachers tha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additional interviews,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reported that competencies in the technical domain would be emphasized in the future owing to the necessity and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virtual-reality-based outdoor field learning programs. This study emphasizes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novelty space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conduct geological field learning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while considering the current post-pandemic educational context. 이 연구는 초등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생소한 경험 공간(Novelty Space)에 대한 인식조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A 교육대학교의초등 예비교사 38명과 B 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31명의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설문에참여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 중 추가적인 면담 참여에 동의한 초등 예비교사 3명과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9명, 총 12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면담을 실시하였다. 생소한 경험 공간에 대한 요소를 사전 지식(인지), 사전야외학습 경험(심리), 야외조사지역과의 친숙도(지리)에 덧붙여, 사회적인(social) 요소과 기술적인(technical) 요소를 추가하였다. 초등과 중등, 학년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생소한 경험 공간의 요소에 대해 인지적 영역, 심리적 영역, 지리적 영역, 사회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통계적인차이는 야외학습과 관련된 경험이나 자본이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초등 예비교사들보다 더 많은 것으로부터 비롯되었을지도 모른다고 해석하였다. 반-구조화된 면담에서 초등 예비교사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모두 가상야외지질학습의 가치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특히 기술적인 영역에서의 역량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야외지질학습을 실행하기 위한 생소한 경험 공간에 대해 현재의 교육 맥락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새롭게 정의할 필요성을 제안할 뿐만 아니라 생소한 경험 공간 요소들을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루어낚시 참여자의 손목터널증후군을 위한 EMS 손목보호대의 효과에 관한 연구

        최윤성,박진희,김주용 한국감성과학회 2022 감성과학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EMS를 장착한 손목 보호대를 이용해 실제 루어낚시참여자의 손목 통증 저하와 손목 기능개선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장시간 손으로 낚싯대를 들고 있어야 하는 루어낚시에서 사용가능한 손목 보호대 두 가지 제품을 선별해 전도성 원단을 결합했다. 건강한 35세에서 45세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 고, 선정 조건은 손목부위에 수술 이력이 없고 현재 취미로 루어낚시를 즐기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선별하였다. 실험동작은 악력과 손목관절 굽힘의 측정(Range of Motion ROM)의 동작으로, 루어낚시를 했을 때의 손목피로도 유발을 위해 지연성 근육통을 유발하는 캐스팅 100회씩을 각 실험 전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손목을 감싸는 형태와 반장갑형태의 손목밴드를 착용 후 전기 자극을 주었을 때 통증저하와 ROM 및 악력 기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손목보호대에 전기 자극을 적용하였을 때 손목의 피로도와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EMS를 장착한 손목 보호대 착용이 루어낚시 참여자들로 하여금 손목 부상을 예방하고 기능회복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기대할수 있다.

      • 1축 지상 실험 장비를 이용한 시스템변수추정 및 자세제어 연동 실험

        최윤성,정진석,유영진,강진명,강범수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11

        본 논문에서는 실제 무인기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시스템을 통한 수치적인 Cascade 제어기 개발 방법을 연구하였다. 실험을 위해 1축 자세제어 지상 실험 장비를 구축하였고, 각도-각속도를 제어하는 Cascade형 PID 제어기를 구성하였다. 기준입력으로 Frequency Sweep, Single Doublet을 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Matlab-Simulink 환경 하에 2차 시간 지연(SOTD) 모델을 구축하고 기준입력에 대한 시스템의 반응 결과를 통해 시스템변수추정을 수행하였다. 추정된 결과와 Simple Internal Model Control(SIMC) 이득 조율 기법을 실제 시스템 실험에 접목하여 수행했고, 그 결과에 대해 수록했다. This paper reports a numerical development of Cascade controller using System Parameter Estimation for actual unmanned aerial system. A ground test equipment was constructed with 1-axis control and was applied Cascade PID control. Frequency Sweep and Single Doublet command input were used in the test. System Parameter Estimation result was conducted with Second Order Time Delay model by using Matlab-Simulink. Estimated results and Simple Internal Model Control(SIMC) based gain tuning rules were applied to ground test-ben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