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요리활동을 통한 작업기반 중재가 시설에 거주하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최유임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Vol.7 No.1

        목적 : 본 연구는 시설에 거주하는 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요리활동을 통한 작업기반 중재가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방법 : 대상자들은 시설에 거주하는 지적장애 1급 진단을 받은 여성 3인이었다. 중재프로그램인 요리활동은 주1회 회기 당 50분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요리활동에 대한 작업치료는 대상자들이 좋아하는 요리를 직접 만드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들의 주의집중력은 자리이탈, 불필요한 말하기, 지시를 따르지 않기, 다른 것에 관심보이기의 총 4개 항목에 대해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측정하였고, 매 회기 활동에 참여하는 동안 측정하였다. 결과 : 본 연구 결과 대상자 3인 모두 주의집중력 관련 항목들이 향상되었고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 상호작용도 향상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결론 : 흥미와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요리활동의 참여를 통한 작업기반 중재가 대상자들의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의집중력 외에 긍정적 정서표현 및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이 증가하여, 의미 있는 활동의 참여를 통한 중재가 지적장애 대상자들의 주의집중력 및 적응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ccupational based intervention through cooking activities on attention of intellectual disability youth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y. Methods : The subjects were 3 women living in facility who were diagnose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intervention program, the cooking activity, carried out a total of 8 sessions for 50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Occupational based intervention for cooking activities was to make eight dishes for 8 sessions. Subjects' attention was measured by operational definition of four items of departure, unnecessary speaking, not following directions, and showing interest to others and they were measured during each session.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ll three subjects improved attention-related items and improved positive emotions and social interaction Conclusion : Occupational based intervention through cooking activities that stimulate interest has been shown to improve the attention of the subjects and also to improve positive emotions and social inter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intervention through participation of meaningful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attention and adaptive behaviors of subjec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KCI등재

        성인의 감각처리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

        최유임,우희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6

        Sleep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storing unbalanced physical,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functions by providing rest and stability. It also maintains homeostasis and affects individ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leep quality on sensory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sensory processing characteristics and sleep quality of 208 healthy adults. The results showed that subjective sleep quality, sleep disturbance, and daytime dysfunc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sensory processing domains, and low sensory registration, sensory pursuit, sensory sensitivity, and sensory avoidanc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leep disturbance, sleep disturbance, and daytime dysfunction are correlated with sensory processing and may affect the daily life of adults. Therefore, we propose a comprehensive intervention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sleep during intervention for occupational therapy for sensory processing dysfunction. 수면은 휴식과 안정을 제공하여 불균형적인 신체적, 심리적, 생리적 기능 등을 회복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항상성을 유지시키며 개인의 안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 208명을 대상으로 감각처리특성 및 수면의 질을 검사하여 감각처리 특성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수면의 질 하위영역 중 주관적 수면의 질, 수면방해 및 낮 시간 기능장애는 모든 감각처리영역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낮은 감각등록, 감각추구, 감각민감성 및 감각회피의 감각처리 특성과도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관적 수면의 질은 감각처리의 모든 하위 영역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수면의 질과 수면방해, 수면으로 인한 낮 시간의 기능장애가 감각처리와 상관이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성인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감각처리기능장애에 대한 작업치료 중재 시 수면의 특성을 확인하는 포괄적 중재를 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18세 미만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보조용구 사용 현황에 대한 실태조사

        최유임,전병진,김은주,이상헌,송창순,김미정,정민예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2011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Vol.3 No.-

        목적 : 본 연구는 18세 미만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보조용구 사용 현황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향후 자세보조용구 지원 사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18세 미만 뇌병변 장애인을 대상으로 2011년 3월 2일부터 2011년 3월 30일까지 전국의 병원, 복지관, 보조공학서비스센터,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자세보조용구에 대한 설문지를 메일로 배포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526개의 자료가 수집되었고 최종적으로 47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자세보조용구의 필요성 조사 결과 전체 대상자의 89%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나 실제로는 대상자의 43%만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세보조용구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이유는 ‘가격이 비싸서’가 52.23%, ‘어떤 것이 필요한지 몰라서’가 43.01%, ‘어디서 사야 하는지 몰라서’가 3.41%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보조용구를 사용하고 있지 않는 이유는 ‘작아져서’가 44.68%, ‘안 맞아져서’가 17.02%였다. 대상자들이 보유하기를 원하는 자세보조용구 품목은 특수의자, 특수휠체어, 선자세보조기구, 차량용자세보조기구, 목욕자세유지기구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앞으로 18세 미만 뇌병변 장애인에게 자세보조용구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시행할 때에는 전문지식을 가진 전문가가 각각의 대상자에게 적합한 최적의 자세보조용구를 평가하도록 하고, 구입 후 사후 관리에 대한 교육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자세보조용구의 사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e of postural assistive devices for handicapped paediatrics and adolescent with brain lesions under 18 and supply basic data for R&D.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handicapped 526 paediatrics and adolescent with brain lesions under 18 at hospitals, wellfare centers,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centers, and special-education schools. The survey period was from 2 to 30, March, 2011. Results : 89 percent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need postural assistive devices, however only 43 percept of subjects have had devices in reality. The reason why they don’t own postural assistive devices were that ‘device price is so high(52.23%)’, ‘they don’t know what device they need(43.01%)’, and ‘they don’t know where they buy them(3.41%)’. That was why they don’t use postural assistive devices were that ‘the device became smaller(44.68%)’, and ‘the device didn’t fit(17.02%)’. The postural assistive devices for possession were that special chairs, special wheelchairs, standing posture devices, postural assistive devices for car, and postural assistive devices for bathing. Conclusion : In the future, in order to provide services to the postural assistive devices for the paediatrics and adolescent with brain lesions under 18, the professionals with a high level of expertise have to evaluate suitable optimal postural assistive devices for each child with brain lesion, and after purchasing, it will be build up education for the management and continuous supervision for effective use of postural assistive devices.

      • KCI등재

        강제유도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최유임,정민예,정보인,유은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0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1

        목적 : 강제유도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의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3인이었으며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강제유도운동치료는 12일 동안 팔걸이와 보조기로 건측을 깨어있는 시간의 84.9% 동안 억제하고, 6시간 동안 환측을 집중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상지 기능은 기초선 과정(5회)과 치료 과정(12회), 기초선 회귀 과정(5회) 동안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그리고 수직선 그리기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일상생활활동의 수행 능력은 강제유도운동치료 전․후에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AMP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상지 기능은 기초선 기간보다 치료 기간 동안에 현저히 향상되었으며 이 향상은 기초선 회귀 과정 동안에도 계속 지속되었다. 일상생활활동의 수행 능력은 대상자 3인 중 2인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 강제유도운동치료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환측 상지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우세손이 환측인 대상자들의 일상생활활동의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많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우세측과 비우세측에 따른 환측 부위를 고려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강제유도운동치료 효과의 지속성에 대해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IT) on the affected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for three stroke patients who were admitted into a university affiliated general hospital.Methods : This study was a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with ABA design, ʻAʼ being the baseline phase and 'B' the experimental phase. The CIT consisted of a restraint of movement of the unaffected upper extremity by placing it in a sling and resting splint for 84.9% of walking hours for 12 consecutive days, combined with 6 hours/day of intensive training of the affected upper extremity. The motor function of each subject's upper extremity was assessed using a Box and Block Test and a Vertical Line Drawing Test. Assessment of each subjectʼs Motor and Process Skills (AMPS) was applied for evaluation of ADL perform-ance ability and took place during the intial and second baseline phases.Results : The average of each of the three subjects' upper extremity function tests improved during the ex-perimental phase more than in the initial baseline phase. Also the test averages of each subject during the second baseline phase improved more than during the initial baseline phase.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MPS motor skills of subject 1 and 3, whose affected areas were their dominant hands before their illness. However, the AMPS motor skills of subject 2, whose unaffected area was the subjectʼs dominant hand,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CI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affected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Also, the improved motor functions led to an increase in per-formance ability of ADL in the subjects whose affected sides were their premorbid dominant upper extremity.

      • KCI등재

        의미 있는 선택 활동의 참여가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최유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of meaningful choice activities on the self-determination ability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iding in the facility. The subjects were 2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nducted 8 times a week for 1 hour. During the 8th session, the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cooking activities to create and organize 8 dishes, and made choices to make decisions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dishes so that the subjects could make choices. Self-determination ability measured the total time required for selection after providing three options for choice in each session interventio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cision time required for selection was shortened in the 8th session compared with the 1st session in all two subjects.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activity,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concentration on participation were improved.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participation of meaningful activities that provide the opportunity of choi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determination abilit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본 연구는 의미 있는 선택 활동의 참여가 시설에 거주하는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대상자는 지적장애 성인 2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중재 프로그램은 주 1회, 1시간씩 총 8회 시행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8회기 동안 8가지 요리를 만들고 정리하는 요리활동으로 구성하였고, 요리를 만드는 과정 속에서 결정을 내려야 하는 선택 상황을 만들어 대상자가 선택을 하도록 하였다. 자기결정력은 대상자가 매 회기 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할 때 3개의 선택 상황을 제공한 후 선택에 소요되는 총 시간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대상자 2인 모두 1회기에 비해 8회기에서는 선택에 소요된 결정시간이 단축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활동을 참여하는 과정 속에서 긍정적인 정서 표현 및 참여에 대한 집중력이 향상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는 의미 있는 활동의 참여는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식사보조도구 적용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자가-섭식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최유임,마현정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2012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Vol.4 No.-

        목적 : 본 연구는 식사보조도구 적용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자가-섭식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15세의 경직형 뇌성마비 남자 1명이었으며, 연구는 사례연구였다. 식사보조도구는 대상자의 신체기능 및 손기능을 평가한 후 작업치료사가 대상자에게 적합한 형태를 제작하여 적용하였다. 식사보조도구 적용 전과 후 대상자의 자가-섭식 기능의 변화는 일상생활평가도구인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FIM) 중 먹기(eating) 항목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수행의 변화에 대한 만족도는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의 수행도와 만족도 항목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 식사보조도구를 적용한 이후 FIM의 먹기 영역의 점수는 2점에서 5점으로 증가되었고, 만족도 점수는 2점에서 8점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 대상자의 신체기능 및 손기능을 고려하여 제작한 식사보조도구의 적용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자가-섭식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assistive device on self-feeding function in a child with spastic cerebral palsy. Methods : The subject was a boy who is 15 years old and this study was a case study. After evaluating about subject’s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hand function, occupational therapist who was a subject’s therapist made an feeding assistive device suitably. The change of self-feeding function of subject was assessed by the eating item in the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FIM).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subject was assessed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Results : After applying the eating assistive device, eating item score in the FIM of the subject was increase from 3 to 5, and satisfaction score was increase from 2 to 8. Conclusion :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ating assistive device considering physical function and hand function of the subject was effective method to improve self-feeding func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 KCI등재

        노년기의 인지 저하가 활동참여와 사회적 관계망에 미치는 영향

        최유임,우희순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9 No.1

        목적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의 인지수준이 여가나 일상생활활동 뿐만 아니라 활동에 대한 참여와 사회적 관계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중인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MMSE-K의 점수가 15점 이상 23점 이하인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을 대상으로 선별하였다. 대상자들의 영역별 인지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MoCA-K를, 활동참여 수준 및 사회관계망 지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K-ACS와 LSNS-18을 각각 적용하였다. 결과 : 인지와 활동 참여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인지의 다양한 하위 능력(시공간능력, 어휘능력, 주의력, 추상력, 지남력)이 수단적 일상생활, 여가활동, 사회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인지의 모든 하위 능력이 사회적 관계망의 하위 요소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인지의 전반적 요소들이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의 다양한 영역의 활동참여 및 사회적 관계망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들을 통하여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의 활동 참여와 사회적 참여를 높이는 방안들이 마련되기를 제언하는 바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gnitive level of mild cognitive impaired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on participation in activities and social networks as well as leisure and daily life activities. Methods : The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living in the community were selected for the mild cognitive impairment with a score of MMSE-K of 15 or more and 23 or less. MoCA-K was applied in order to examine the cognitive abilities of the subjects and K-ACS and LSNS-18 were applied to confirm the activity participation level and social network index. Results :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on and activity participation, various sub-abilities(spatio-temporal abilities, vocabulary abilities, attention, abstract thinking) of cogni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leisure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In addition, all of the sub - abilities of cogni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ub-elements of social network.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general elements of cognition influenced activity participation and social network of various areas of mild cognitive impaired elderly people. We suggest that measures for enhancing particip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re provided through follow up studies.

      • KCI등재후보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에 미치는 효과 : 개별실험 연구방법

        최유임,이지연,박수현,이상헌,정보인 대한작업치료학회 200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1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1인으로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기초선 기간에서는 상상연습을 하지 않고 편측무시를 1일 5분 동안 1회씩 5일 동안 측정하였고, 훈련 기간에는 상상연습 후 대상자의 편측무시를 측정하였다. 상상연습은 왼쪽 공간에서 왼팔을 기능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며, 1일 5분 동안 1회씩 6일 동안 시행하였다. 훈련 기간이 종결된 후 상상연습 없이 다시 대상자의 편측무시를 1일 1회씩 3회 측정하였다. 선 나누기 검사, 앨버트 검사, 읽기 검사, 쓰기 검사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편측무시를 측정하였다. 결과 : 기초선 기간보다 훈련 기간 및 기초선 회귀 기간 동안에 대상자의 편측무시가 선 나누기와 선을 선정하는 검사에서는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편측에 있는 글자 읽기와 쓰기 같은 검사에서는 거의 감소되지 않았고, 건측에서만 감소되었다. 결론 :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를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선 나누기와 선 선정하는 과제에서는 효과가 현저히 있었으나 읽기와 쓰기 같은 기능적 활동 수행에서는 그 효과가 미미하거나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상훈련의 치료기간을 2~3주 연장하는 실험을 통해 상상훈련이 편측무시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활동 수행을 향상시키는데도 효과가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ental practice on the treatment of unilateral neglect in a person with stroke. Methods : A single 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with ABA design was employ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 composed of 14 sessions in total: 5 sessions for baseline, 6 sessions for mental practice treatment, and 3 sessions for the second baseline. Each session for intervention took 5 minutes daily. The unilateral neglect was measured by Line Bisection Test, Albert Test, and Reading and Writing Tests made by the experimenters. Results : On the Line Bisection Test, the mean length of the error distance improved from 53.8mm in the baseline to 37.7mm in the intervention, and 34.3mm post intervention; On the Albert Test, the mean number of errors on the left decreased from 19.2 in the baseline to 10.3 in the intervention, and to 3.0 post intervention, and on the right side, decreased from 5.6 in the baseline to 0.3 in the intervention, and to zero post intervention. On the Reading Test, the subject read no word out of 38 words on the left side both in the baseline and in the intervention, and showed improvement on reading the words on the right side from the mean of 19.6 words in the baseline to 29.8 in the intervention, and 33.3 words post intervention. On the Writing Test, the subject showed a moderate improvement: On the left side, zero number out of 40 words in the baseline, the mean of 2.67 in the intervention, and 4.0 post intervention, and on the right side, the mean of 8.2 words in the baseline, 18.0 in the intervention, and 19.7 post intervention. Conclusion : A five minutes of mental practice intervention per session for 6 sessions was shown effective in reducing unilateral neglect symptom on the tests regarding crossing the midline and selecting lines but its effect was negligible on the functional tasks such as reading or writing words presented on the affected side.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 분야 메타분석 논문의 방법론적 질 평가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최유임,김세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2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8 No.3

        목적 : 이 연구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국내 작업치료 분야 메타분석 논문의 방법 론적 질을 평가하고 메타분석 연구를 위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창간호부터 2019년까지 발간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게재 논문 중 메타분석 논문을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7편의 논문을 선택하였다. 메타분석 논문의 방법론적 질은 AMSTAR 평가도구의 기준에 따 라 분석하였다. 결과 : 메타분석 논문의 전체 방법론적 질 평균점수는 6.71점(SD=0.70)으로 보통 수준에 해당하였다. 분석논 문들은 모두 보통 수준(100%)에 해당하였으며 높은 수준 및 낮은 수준의 연구는 한 편도 없었다. 분석대상 연구들은 AMSTAR의 11개 항목 중 7개 항목을 충실하게 이행하고 있었으나, 4개 항목(회색문헌 사용, 포함 및 배제논문 목록 제시, 결론 도출 시 질 평가 결과 활용, 이해상충 기술)에 대해서는 공통적으로 거의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작업치료 분야의 메타분석 연구들은 방법론적 분석과정을 보통 수준 이상으로 충실하게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메타분석 시 회색문헌을 선정기준에 포함하고 개별연구 질 평가 결과를 결론에 반영하며 이해상 충 표기를 함으로서 메타분석 논문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여야 하겠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meta-analys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KJOT) and provide guidelines for future meta-analysis research. Methods: Among the papers published in the KJOT from the first issue until 2019, meta-analyses were searched and seven papers were selected.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pap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AMSTAR evaluation tool. Results: The overall methodological quality average score of the meta-analyses was 6.71 (SD = 0.70), which is a moderate level. Analytical papers were all at a moderate level (100%), and there were no high or low level studies. All of the studies faithfully implemented 7 out of 11 items of AMSTAR. However, it was found that four items (use of grey literature, presentation of included and excluded study lists, use of the quality of the individual studies in formulating conclusions, and conflicts of interest) were rarely commonly conducted in all studies. Conclusion: Meta-analyses in the Korean occupational therapy field were found to faithfully apply the methodological analysis process at above a moderate level.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tinue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meta-analyses by using the grey literature, reflecting the results of a quality evaluation of individual studies in the conclusions and describing conflicts of interest.

      • KCI등재

        한국 작업치료분야 단일대상연구의 질적 수준에 대한 고찰 : 대한작업치료학회지를 중심으로

        최유임,김은주,박은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4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단일대상연구 논문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질적 수준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이 연구는 문헌연구로써, 분석 대상은 2002년부터 2011년까지 게재된 31편 단일대상연구 논문이었고, 이들 논문을 연구 방법의 내용과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내용을 분석한 결과, 종속 변수는 행동변화가 가장 많았고, 상지기능, 시지각 기능, 일상생활활동 수행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는 아동과 성인 및 노인이 비슷하였다. 아동 대상자는 뇌성마비와 자폐증이 가장 많았고, 성인 및 노인 대상자는 뇌졸중이 가장 많았다. 설계 형태는 반전 설계가 가장 많았으며 유지 및 일반화보고 비율은 높지 않았다.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31편의 논문 중 4편이 높은 수준이고 나머지는 중간 정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연구가 대상자와 환경에 대한 충분한 기술, 독립 변수에 대한 조작적정의, 분석 시 표준적 그래프를 제시하고 있었고, 종속 변수의 조작적 정의, 설계 방법에 대한 기술과 정확한적용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중재 블라인드를 수행한 연구는 없었으며 측정자 신뢰도를 측정한 연구는 적었다. 또한 각 구간의 적절한 수의 데이터를 수집한 연구와 중재 효과의 적절한 반복을 시행한 연구, 적절한 시각적 분석을 수행한 연구의 비율은 낮았다. 결론 : 이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분야 단일대상연구의 내용과 질적 수준을 파악할 수 있었고, 추후 작업치료 분야의 단일대상연구를 통한 근거 기반의 접근을 위해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