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수과학도서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유아과학교육 관련 내용 분석

        최우수,이성주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contents found in ‘excellent science book’ selec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and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excellent science book’ by life theme showed the highest rate of ‘animals, plants and nature.’ Second, ‘excellent science book’ by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 demonstrated the highest rate of ‘life science.’ Third, ‘excellent science book’ by scientific inquiry process displayed the highest rate of ‘observation.’ Fourth, ‘excellent science book’ by sub-content of scientific inquiry showed the highest rate of ‘living things and learning about the natural environment.’ Through these results, this research purport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nd the availability of 'excellent science books' for children. 본 연구에서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매년 선정하는 우수과학도서 중 유아대상 우수과학도서의 생활주제별, 과학교육 내용별, 과학적 탐구과정별, 과학적 탐구하기의 하위내용별 분포를 통해 우수과학도서의 과학교육 내용과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주제별 우수과학도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동식물과 자연’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둘째, 과학교육 내용별 우수과학도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생명과학’ 영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셋째, 과학적 탐구과정별 우수과학도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관찰하기’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넷째, 과학적 탐구하기의 하위내용별 우수과학도서의 내용을분석한 결과 ‘생명체와 자연환경 알아보기’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과 우수과학도서의 활용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통합교육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분석

        최우수 국립특수교육원 2020 특수교육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통합교육 실행의 주체자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함께 통합교육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에 참여한 후 그에 따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참여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통합교육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일반교사 5명, 특수교사 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FGI)을 실시하여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1) 통합교육에 미친 영향 (2)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참여 경험의 차이점 (3) 통합교육 교사학습공동체 과제와 개선점으로 나타났다.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통합교육 교사학습공동체 참여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협력하게 하여 통합교육 실행에 영향을 미쳤으며, 참여 경험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통합교육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교사들의 자발적 참여와 다양한 운영 방법, 행․재정적 지원, 장기적인 제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교사역할에 대한 개념도 분석

        최우수,성영실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role of teacher using the concept mapp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21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thoughts on the focus questions through brainstorming activities and provided nomadic and importance ratings for the resulting statements. The research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 total of 46 statements were suggested by participants regarding their perceptions of the rol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Supporting play-managing health and safety’ and ‘Playing with children-parents’ emerged as two dimensions of ‘Communication.’ In addi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statements were categorized and categorized into 9 clusters : ‘Cultivating professionalism’, ‘Performing administrative duties’, ‘Interacting with parents’, ‘Supporting play’, ‘Running institutions and classes’, and ‘Supporting children’s lives’,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Education and guidance’, and ‘Observation and evaluation of childre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 scores of participants for the 46 statements, by cluster, ‘Supporting play’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and ‘Performing administrative tasks’ showed the lowest importance. In terms of importance by statement, ‘Interacting with young children’ and ‘Supporting young children’s play’ showed high importance, while ‘Preparing for institutional evaluation’ and ‘Cleaning the classroom’ showed low impor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role classification and competency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교사역할에 대해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21명의 유아교육현장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브레인스토밍을 이용하여 연구자가 제시한 초점 질문에 대한 생각을 자유롭게 진술하였으며, 진술문에 대한 유목화와 중요도 평정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도출된 자료는 다차원 척도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으로 46개 최종 진술문이 생성되었고, 다차원 척도분석을 통해 ‘놀이 지원하기-건강 및 안전 관리하기’, ‘유아와의 놀이-부모와의 소통’ 2개 차원으로 나누었다. 또한 군집분석을 통해 진술문을 ‘전문성 함양하기’, ‘행정업무 수행하기’, ‘학부모와 상호작용하기’, ‘놀이 지원하기’, ‘기관 및 학급 운영하기’, ‘유아의 삶 지원하기’, ‘건강 및 안전 관리하기’, ‘교육 및 지도하기’, ‘유아 관찰 및 평가하기’ 등 9개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46개 진술문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군집별로는 ‘놀이 지원하기’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으며, ‘행정업무 수행하기’는 가장 낮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진술문별 중요도에서는 ‘유아와 상호작용하기’, ‘유아의 놀이 지원하기’ 등이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으며, ‘기관평가 준비하기’, ‘교실 청소하기’ 등은 낮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의 역할이해와 역량개발, 교사 교육의 방향 모색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기능성 소화불량 질환 진단을 위한 복부 색상 변수 도출 연구

        최우수,김근호 대한전자공학회 2022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9 No.7

        높은 유병률과 삶의 질 저하 측면을 고려할 때 기능성 소화불량(FD)에 대한 정량적 진단을 위한 측정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영상의 복부 색상을 측정하는 방법과 색상 정보 특징 추출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정상인 그룹과 FD 그룹을 분류하기 위한 유의한 복부 색상 변수를 도출하려고 하였다. 수집된 정상군과 FD군의 복부 3차원 데이터를 칼라차트 영역 검출, 칼라차트 색상 패치 검출, 색상 보정을 포함한 3차원 영상 색상 보정, 3차원 복부 영역 검출과 복부 색상 분석 영역 설정을 포함하는 복부 색상 분석을 통해, FD군과 정상군 사이의 CIE a*색상 값을 살펴보면, FD군의 상복부 외곽 색상이 정상군보다 붉은색 성분이 더 약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의사의 복진과 제안한 변수들과의 상관성을 임상연구를 통하여 충분히 검토하여 진단기기로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과학 탐구 경험을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최우수,조형숙 한국아동권리학회 2015 아동과 권리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탐구 경험을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통해 유아가 탐구능력, 창의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제적인 교육 방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C시에 위치한 G유치원 만 5세 유아 52명(실험집단 26명, 통제집단 2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고 t검증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과학 탐구 경험을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 탐구 경험을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과학 탐구 경험을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은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성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교수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방법으로 과학적 탐구 경험을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을 적극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lyrics-changing activity through scientific inquiry experience on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creativity.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52 young children (27 boys and 25 girls) aged 5, from G kindergarten located in C city of the Chung Cheong nam province, with the experimental group of 26 young 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 of 26 young children. To verify the effects of lyrics-changing activities through scientific inquiry experience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creativity, the data gained from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s 22.0 for 32-bit Windows and t-tests were used to measure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yrics-changing activity through scientific inquiry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y. Second, the lyrics-changing activity through scientific inquiry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crea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yrics-changing activity through scientific inquiry experiences may be used as a proper and meaningful teaching-learning method to enhance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creativ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gress lyrics-changing activities actively through scientific inquiry experien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화학사고로 인한 영향범위 내 환경수용체와 공공수용체를 고려한 위험도 분석방법론

        최우수,김민호,류지성,권혜옥,Choi, Woosoo,Kim, Minho,Ryu, Jisung,Kwon, Hye-Ok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0 환경영향평가 Vol.29 No.4

        The Off-site Risk Assessment (ORA) for preventing chemical accidents estimates the chemical accident risk at chemical plants.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risk is made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residents within the effect area of the chemical accident and the frequency of accidents at a chemical plant. At present, the ORA does not quantitatively consider environmental receptors when the damage types within the scope of the accident are environmental recepto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of estimating the risk considering resident and environmental receptors. Through these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ORA impact for the prevention of chemical accidents requires risk analysis considering environmental receptors in the medium and long term. 화학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장외영향평가서에서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화학사고 위험도를 산정하고, 적절한 안전성 확보방안을 확보하도록 유도한다. 위험도를 산정하는 방법은 '사고영향범위 내 주민 수'와 '취급시설의 사고발생빈도'의 곱이다. 현재 장외영향평가서에서는 사고영향범위 내 피해 유형으로 영향범위 내 주민 수만 고려하고 있고, 환경수용체에 대한 정량적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수용체를 고려한 위험도 산정 방식을 제안하였고, 가상의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주민에 대한 고려만 이루어진 위험도와 환경수용체를 고려한 위험도 산정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장외영향평가 제도에서 중·장기적으로 환경수용체를 고려한 위험도 분석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방법론을 제안하였으며, 향후 정책 및 제도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열화상 영상에서의 복부 냉감 특징에 관한 연구

        최우수,김근호 대한전자공학회 2022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9 No.7

        본 연구에서는 복부 열화상 영상에서 복통군과 대조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상자별 복부 열화상을 복부 영역의 최저 온도와 최고 온도 값을 기준으로 4구간으로 균등하게 나누고 전체 복부 면적에 대한 각 단면의 비율과 각 단면의 평균 체온을 계산하였다. 전체 면적 대비 25%의 복부 하한 온도 한계에 포함되는 면적의 비율에서 복통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교사역할에 대한 개념도 분석

        최우수,이성주,성영실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현장에서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사 역할에 대한 인식을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1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가 제시한 초점 질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자유롭게 진술하였으며, 유목화와 중요도 평정에 참여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자료는 다차원 척도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으로 46개의 최종 진술문이 생성되었으며, 다차원 척도분석을 통해 ‘놀이 지원하기-건강 및 안전 관리하기’, ‘유아와의 놀이-부모와의 소통’의 2개 차원으로 나누었다. 또한 군집분석을 통해 진술문을 ‘전문성 함양하기’, ‘행정업무 수행하기’, ‘학부모와 상호작용하기’, ‘놀이 지원하기’, ‘기관 및 학급 운영하기’, ‘유아의 삶 지원하기’, ‘건강 및 안전 관리하기’, ‘교육 및 지도하기’, ‘유아 관찰 및 평가하기’ 등 9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의 역할 분류 및 역량 개발 연구 등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