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관유형 및 연차별 공무원의 이직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신경망 분석 및 이항로짓 분석을 중심으로

        최예나 한국자치행정학회 2024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8 No.1

        본 연구는 최근 공무원들의 이직이 증가하는 현상에 주목하고,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이직의도를 결정하는 영향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기관유형 및 연차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연구대상을 4개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예측력과 설명력을 높이기 위하여 분석방법으로 신경망 분석인 다층 퍼셉트론 분석과 로짓 분석을 함께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중앙정부 5년 차 이하 공무원들은 담당업무의 책임성을 고려한 공정한 보상, 조직에 대한 소속감 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 확률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중앙정부 6-10년 차 이하 공무원들의 경우 5년 차 이하 공무원들과 동일한 영향요인과 함께 교육훈련/능력발전 활동의 직무수행 기여도 등 다양한 요인들이 이직의도 확률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주었다. 지방정부에서는 5년 차 이하 공무원들의 경우 혁신을 위한 기관의 위험 감수 용인과 조직에 대한 강한 소속감이 이직의도 확률을 줄이는 데 영향을 미쳤으며, 6-10년 차 이하 공무원들은 혁신을 위한 기관의 위험 감수 용인과 함께 상급자의 미래비전 제시 등이 이직의도를 줄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차 및 기관유형별 공무원들의 이직의도를 줄일 수 있는 정책적 방향으로 공정한 보상 체계 구축, 조직몰입 증진, 경력개발 기회 제공, 상급자의 업무 지원 개선, 정보 제공 및 의사소통 강화, 조직 소속감 강화, 상급자의 리더십 제고, 변화 관리 및 위험 감수 문화 조성 등을 정책대안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used multi-layer perceptron analysis, and logit analysis to explain, predict, and analyze turnover intention among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employe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government employees with 5 years of experience or less in the central government tend to have lower turnover intentions when they receive fair compensation considering the responsibility of their work in the compensation and reward factor or have a higher sense of belonging to the organization i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actor. And government employees with 6-10 years of experience in the central government showed similar influencing factors. In local governments, a strong sense of belonging to the organization was found to reduce turnover intentions among employees with 5 years of experience or less. Among the change management factors, the agency's willingness to take risks for innovation was found to be influential in reducing turnover intentions among those with 5 years of experience or less and 6-10 years of experie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olicy directions to reduce turnover intentions of public servants: establishing a fair compensation system, promo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viding career development opportunities, improving job support from supervisors, enhanc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trengthening organizational belonging, enhancing job fulfillment, increasing job resources, enhancing leadership from supervisors and creating a culture of change management and risk-taking.

      • KCI등재

        정년연장정책의 영향과 국민들의 정책수용성 간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고령자 직무능력향상 프로그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최예나 한국자치행정학회 2023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7 No.1

        본 연구는 정년연장정책의 영향이 국민들의 정책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고령자 직무능력향상 프로그램의 조절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정년연장제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종속변수로 정년연장정책에 대한 국민수용성을, 독립변수로 정년연장정책의 영향을, 조절변수로 고령자 직무능력향상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주요 변수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정년연장정책의 여러 효과 중 특히 고령근로자 생활안정, 사기진작 및 생산성 증가, 노하우 전수 등의 긍정적인 영향과 조절변수인 고령자 직무능력향상 프로그램이 정년연장정책의 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년연장정책의 부정적 영향 중 생산성 저하는 대부분의 정년연장정책의 수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들을 토대로 첫째, 일본이나 싱가폴 등과 같은 고령근로자 생활안정을 위한 고용촉진 프로그램 강화, 둘째, 사기진작 및 생산성 증가를 위해 다양한 고용 형태 개발, 고령 인력에 대한 업적 평가와 성과급 지급, 정년고령자들의 디지털 업무역량 향상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등 실시, 셋째, 노하우 전수를 위한 세대통합형 사업과 신중년 창업 서포터즈 사업 등의 지원 확대, 넷째, 학습역량 제고를 위한 신중년 특화과정과 베이비부머 훈련, 재직자직무전환 훈련 등 지원 및 노사공동훈련과정 운영 등을 정책적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민간위탁 계약행위자의 목표일치와 복지서비스사업성과에 관한 연구: 노인일자리사업을 중심으로

        최예나 한국지방정부학회 2015 지방정부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을 대상으로 복지서비스를 민간위탁으로 공급할 때 목표일치 요인들이 사업성과에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서비스의 특성이 두 변수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목표모호성 이론(Goal ambiguity theory)과 계약행위자 관계이론(Agency theory)에 기반하여 계약행위자의 목표일치 요인들을 규정하고, 이에 노인일자리사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요인들을 다차원으로 구성하였다. 즉 목표일치 개념을 목표의 이해와 효용의 일치로 정의내리고, 목표일치 요인을 수행기관, 관련기관, 사업유형 3단계로 세분화하여 노인일자리사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계약행위자들의 다양한 목표일치 요인들이 일부 사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사업성과(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민간위탁에서 계약행위자들의 목표일치는 사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계약행위자들은 목표를 일치시키기 위해 사업목표를 정확하게 이해해야 한다. 둘째, 특히 최종 단계에서 계약행위자들의 목표일치는 사업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지방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셋째, 목표모호성이반드시 사업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넷째, 사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계약관리구조를 설정하여 계약행위자들의 효용을 일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다섯째, 노인일자리사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목표모호성을 낮추고 계약행위자의 효용을 일치시키기 위해 평가지표를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at goal congruence makes an influence on program performance focusing on Elderly Job Delivery System. Goal congruence of contractors are deduced from goal ambiguity theory and agency theory. And, Goal congruence is composed of agent’s goal understanding and congruence of contractors’ utility. Goal congruence is also divided into three levels: the goal congruence of agent, goal congruence of final contractors and understanding of programs’ goals. As a result, I find that goal congruence of contractors variously influenced program performance according to performance types. And there was a mediation effect of service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 between goal congruence and program efficiency. Policy implications are also suggested as follows. Goal congruence, goal perception, Contracting-Out Management System are important to improve program performance. Especially the goal congruence of final contractors influences program performance and goal ambiguity does not always make negative effect.

      • KCI등재

        방글라데시 공적개발원조(ODA)에서 인적자본과 일자리 창출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사회적 기업가 정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최예나,네모토마사쯔구 한국자치행정학회 2022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6 No.1

        본 연구는 방글라데시의 공적개발원조(ODA)를 중심으로 인적자본 유형과 일자리 창출의 관계 및 이들의 관계에서 사회적 기업가 정신의 조절효과를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지식기반적 인적자본 지표인 선진화 직업훈련 관심과 기술기반적 인적자본 지표인 적정기술 비즈니스 센터 활용의향 및 조절변수인 사회적 기업가 정신은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기업가 정신이 높은 경우 적정기술 비즈니스 센터의 활용의향이 높다면,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은 더욱 촉진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직업훈련의 선진화로서 국내 대기업의 직업훈련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사회적 기업가 정신을 제고하기 위해 민간기관들과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지속가능한 사회적 경제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평생학습센터 등 교육지원기관 설립으로 인적자본 향상 및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을 지원해야 한다.

      • KCI등재

        디지털 기술 수용성과 디지털 시민성이 정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예나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24 국가정책연구 Vol.38 No.1

        인터넷을 통한 정보 접근의 증가는 정보의 양과 다양성을 증가시켰지만, 동시에 정보의 신뢰성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와 같이 정보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환경변화 속에 정보를 신뢰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 적절히 활용하는 능력인 정보 리터러시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 수용성과 디지털 시민성이 정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관련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디지털 기술 수용성과 디지털 시민성이 정보 리터러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사회적 자본 요소 중 하나인 사회적 신뢰나 사회적 네트워크 역시 정보 리터러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일부 독립변수와 사회적자본의 상호작용항도 정보 리터러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을 토대로 향후 다음과 같은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디지털 기술수용성 강화를 위해 디지털 기술 교육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디지털 시민성 제고를 위한 공공 이슈에 대한 의견 표명이나 정책 제안을 위해 사회구성원들이 사회 문제에 대해 생각하고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사회적 자본의 구축 및 활성화를 위해 공공기관과 민간이 협력하여 사회적 신뢰를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이를 통해 공동체 의식을 높이며,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공유하는 문화를 확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The increase in information access through the Internet has increased the amount and diversity of information. But it has also caused problems with the reliability of information. Information literacy, the ability to determine whether information is trustworthy and use it appropriately, is absolutely necessary in this environment.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digital technology acceptance and digital citizenship on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digital technology acceptance and digital citizenship had positive effects on information literacy. It can be seen that social trust and social networks, which are the social capital elements, also have positive effects on information literacy. Based on these, policy direc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digital technology education to strengthen acceptance of digital technology. Second, it is desirable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members of society to think about and exchange opinions on social issues in order to express opinions on public issues or propose policies to improve digital citizenship. Third, it is necessary to operate programs to strengthen social trust through cooperation between public institutions and the private sector to build and revitalize social capital. It will increase citizens' sense of community and spread a culture of sharing reliable information.

      • KCI등재

        계약관리요인에 따른 사회서비스 사업성과에 관한 연구 - 보건복지부 노인일자리사업을 중심으로 -

        최예나 한국거버넌스학회 2014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mpirically analyze factors affecting relation between social welfare service contracting-out management structure and program performance focusing elderly job creation project delivery systems. This article examines agency theory and stewardship theory to find the factors of contracting-out management structure which influences program performance. Based on fuzzy-set analysis, I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contract management factors and project participant effect to get high program performance. As policy implication, I found that if there are high incentives, selection of institutions with their capacities, active composition of coalition, supportive activities in organization relation, low supervision and evaluation, formal consultative groups, and low competition, the program performance of institutions will be high. Also, achieving high performance successfully is to make contract management factors work at the same time.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수행기관에 대한 다양한 계약관리요인들이 사업유형에 따라 사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 때, 정부에서 사업수행기관의 사업성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계약관리요인들을 주인-대리인 이론과 청지기 이론에 기반하여 분석하며, 특히 제도적 요인과 조직간 관계로 구분하여 사업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본다. 그리고 본 연구는 계약관리요인들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인 맥락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중범위사례를 분석하는데 적합한 퍼지셋 질적 비교분석(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 fsQCA)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계약관리요인들과 사업성과의 결합적 인과관계에 기반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의 수행기관들은 사업참여자 효과를 높이기 위해 첫째, 제도적 요인 중 사업운영기관에 대한 유인체계와 선별활동을 강화하는 것이 유용하다. 둘째, 이와 동시에 조직간 관계에서는 지자체를 중심으로 공식적인 협의체를 구성하고 관련 기관들이 협의체 활동과 지원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또한 지자체 등 상위기관의 감독 및 평가활동의 강도와 유사기관과의 경쟁강도는 높지 않아야 한다.

      • KCI등재

        정보격차가 인터넷기반 참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저소득층(기초생활보장수급자)을 중심으로 -

        최예나 한국자치행정학회 2015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IT 활용능력의 차이, 즉 정보격차가 저소득층의 인터넷기반 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정보격차와 저소득층의 인터넷기반 참여활동의 관계에서 경제적 소득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인터넷기반 사회참여 및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IT 활용능력에 따라 다양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경제적 소득과 결합할 때 사회참여 및 경제 참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분석결과를 토대로 저소득층의 인터넷기반 참여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기반 사회참여 및 경제참여 활성화를 위해 PC기반 정보생산, 공유능력과 PC기반 네트워킹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인터넷기반 사회참여 활성화를 위해서는 모바일 스마트기기 이용능력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월평균소득이 100만원 이하인 사람들의 인터넷기반 경제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데스크탑, 노트북 등) 이용능력을 강화하고, 모바일 스마트기기에 친숙한 사람들의 참여를 활성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비청장년층의 정보화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gital divide factors influencing low income group's internet-based participation activities. In order to analyze them, I reviewed rationale of digital divide and conceptualized digital divide as IT usage abilities divide. As a result, I found that various IT usage abilities exercise influence on participation type according to abilities divide.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Above all things, to enhance internet-based social and economic participation, pc-based information production, information sharing and networking abilities should be facilitated. Also, usage abilities of mobile smart device need for internet-based social participation and usage abilities of pc and mobile smart device with low income group below one million won must be encouraged for internet-based economic participation. Finally, information education for the aged including underaged person is to be carried out.

      • KCI등재

        디지털 전환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디지털 가치창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최예나 한국자치행정학회 2022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6 No.2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digital transforma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 effect of digital value cre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ransform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results of analysis, resources and opportunities for digital technology acquisition, flexible budget management to achieve digital goals, work experience using new technologies, digital value creation, the interaction between digital technology experience and digital value creation, the interaction between digital transformation funding scale and digital value creation, and the interaction between collaboration ability in remote work and digital value creation were found to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positively. Based on these,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the comprehensive innovation of organizationa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digital literacy competency education, the active utilization of the digital budget accounting system, the establishment of a smart work environment that supports field-oriented collaboration, the pursuit of public service innovation as the goal of value creation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전환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디지털 전환과 조직성과 간 관계에서 디지털 가치창출의 영향을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디지털 인사․조직 관리 영역인 디지털 기술습득 자원 및 기회, 디지털 예산관리 영역인 디지털 목표달성을 위한 탄력적 예산 운용, 디지털 업무관리 영역인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업무 수행경험, 디지털 가치창출(디지털 전환을 통한 가치창조 업무 확대), 디지털 가치창출과 디지털 기술과 경험의 상호작용, 디지털 가치창출과 디지털 전환 자금지원 규모의 상호작용, 디지털 가치창출과 원격․비대면․재택근무의 협업능력의 상호작용이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조직성과를 높이기 위한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의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조직·인사 관리의 혁신으로서 정부 및 공공기관의 조직 내부와 조직 간 관계에서의 전면적인 혁신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 교육을 추진해야 한다. 둘째, 디지털 예산관리의 혁신을 위해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셋째, 디지털 업무관리 방식의 혁신을 위한 현장중심 협업을 지원하는 스마트 업무환경을 구현해야 한다. 넷째, 다양한 영역에서 디지털 가치창출을 도모하기 위해 가치창출의 목표를 대국민서비스 혁신으로 설정해야 한다.

      • KCI등재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 경제조직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민주주의 인식도와 제도적 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예나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19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9 No.2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participation in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democracy awareness and institutional communication. Based on analysis results, findings are that interpersonal trust, compassion, tolerance, financial reciprocity and mentor-mentee reiationship affected the participation in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positively. And, democracy awareness affected the participation negatively. Also when interpersonal trust and democracy satisfaction is high, the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affected. Positive sympathy and high degree of democracy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personal trust, and institutional trust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by promoting mutuality and reciprocity, we have to extend social altruism.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interpersonal trust and compassion. Fourth,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private partnership and a public-private partnership. 본 연구는 다양한 사회적 자본 유형이 사회적 경제조직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주요 영향요인들과 사회적 경제조직 참여의 관계에서 주민들의 민주주의 인식도 및 제도적 소통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개인간 신뢰, 동정심, 관용성, 상호간 재정후원자 관계, 멘토-멘티 관계는 사회적 경제조직 참여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민주주의 인식도는 사회적 경제조직 참여에 부(-)의 영향을 미쳤고, 셋째, 개인간 신뢰가 두텁거나 동정심이 크면서 민주주의 만족도가 높은 경우 사회적 경제조직 참여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관용성이 발달하고, 제도적 소통이 활발한 경우 사회적 경제조직 참여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에 정책적 함의로는 첫째, 개인간 신뢰와 제도적 신뢰를 강화해야 하고, 둘째, 사회구성원간 이타성, 호혜성을 활성화하여 사회적 이타주의를 확대하며, 셋째, 개인간 신뢰와 동정심 등 감정적인 교류를 확대하여 민주주의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넷째, 업무수행상 재량을 부여하고 실패에 관대한 조직문화를 양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