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崔致遠의 玄妙之道와 儒·仙思想

        崔英成(Choi, Young-Sung)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1 한국고대사탐구 Vol.9 No.-

        최치원은 경문왕의 비로 추정되는 ?鸞郞碑序?에서 우리나라에 風流라는 고유사상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풍류’에 대해 많은 학자들의 해석이 있어 왔지만, 신비적이고 추상적인 해석들이 주를 이루며 아직 정론이 없다. 이 글에서는 ‘풍류’, ‘玄妙之道’같은 개념에 대한 문헌적 근거를 찾는 데 역점을 두었다. ‘풍류’란 명칭이 최치원에 의해 부여된 것이고, 그것이 ‘遺風餘流(선대부터 내려온 기풍과 흐름)’를 줄여서 쓴 말임을 밝혔다. 또 ‘현묘’란 말은 노자 王弼의 주석에서 “같은 데서 나왔으면서도 명칭을 달리한다(同出而異名)”고 한 것에 근거함을 고증하였다. 이와 함께 우리의 故國인 君子國과 靑丘國에 仁思想과 柔樸思想의 뿌리가 있어 유교사상과 도가사상의 형성에 큰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包含三敎’의 의미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Chiwon Choi said that Epitaph of Nanrang, the epitaph of a tombstone assumed as the gravestone of King Gyeongmun, indicated that Korea had her own idea called Pungryu. Many scholars have translated Pungryu but there is not yet an argument fixed as a reasonable idea in such translations. In this study, therefore, I concentrated on finding out the literature base for such concepts as Pungryu and Tao of Hyeonmyo. Pungryu was named by Chiwon Choi. I have found out that it stands for Yupungyeoryu(遺風餘流: the spirit and stream coming from the former generation). I ascertained also that the word Hyeonmyo was based on Wang-pil’s annotation on Lao-tzu, “Their names are different although they have come from same source”. I, furthermore, found out that such old Korean countries as the Kingdom of Gunja and the Kingdom of Cheonggu had the roots of the Idea of Benevolence and the Idea of Yubak, which must have large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Idea of Confucianism and the Idea of Taoism. That was, I tried to circumstantiate the meaning of Pohamsamgyo(包含三敎: the Integrated Idea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 KCI등재

        이병도(李丙燾), 『자료한국유학사초고 (資料韓國儒學史草藁)』 -한국유학사의 근대적 출발-

        최영성 ( Choi Young Sung ) 한국사상사학회 2019 韓國思想史學 Vol.0 No.61

        한국의 근대 역사학에서 큰 위치를 차지하는 국사학자 이병도(李丙燾: 1896∼1989)는 한국의 유학사(儒學史) 연구에서도 주목할 만한 업적을 남겼다. 그 대표적 저작물이 『자료 한국유학사 초고』다. 1937년에 저술을 한 뒤 그로부터 22년이 지난 1959년에 등사본 형태로 발표를 하였다. ‘초고’라는 이름은 이 저작이 미완성임을 시사한 것이고, ‘자료’라는 말은 저술의 성격을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뒷날 1987년에 번역과 수정 보완을 거쳐 ‘한국유학사’로 다시 태어났다. 본고는 유학사연구의 ‘근대적 출발’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에서 집필되었다. 이병도의 『자료 한국유학사 초고』는 1937년 당시의 유학사 연구 수준을 그대로 볼 수 있는 중요한 저술이다. 여러 가지 면에서 근대성을 논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출발’이라는 단어에 의미를 둘 때, 1949년에 정식 출판된 현상윤(玄相允)의 『조선유학사』와 비교하면서 살펴볼 대목이 적지 않다. 다만 이병도의 위 저작은 ‘충분조건’에다 ‘필요조건’까지 결부시키면 온전하게 평가 받기가 어려울 것이다. 1930년대 후반으로 돌아가 당시의 주어진 조건을 감안하여 근대성 여부를 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Korean historian Lee Byeong-do (李丙燾: 1896~1989) who holds a large position in modern Korean history has also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His representative work is Rough Copy of Data o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資料韓國儒學史草藁). After writing it in 1937, he published it in 1959, 22 years later, in the form of mimeograph copy. The expression "rough copy" suggests that the work is incomplete and the word "data" reveals its nature. Later, the book was reborn in 1987 as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after being translated and revised. This article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modern beginning"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儒學史). Lee Byeong-do's Rough Copy of Data o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is an important writing that shows the level of the study o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1937. I think we can discuss modernity in many ways. In particular, when we focus on the word "beginning," I think there are many points to consider in relation to theHistory of Joseon Confucianism of Hyun Sang-yoon (玄相允), which was officially published in 1949. The above work of Lee Byeong-do will be difficult to evaluate thoroughly if the "necessary conditions" are combined to "sufficient conditions". It would be desirable to go back to the end of the 1930s to discuss whether modernity is possible taking into account the conditions given at that time.

      • KCI등재

        정신보론(鄭臣保論) -남송 성리학의 고려 전래와 관련하여-

        최영성 ( Young Sung Choi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3 한국 철학논집 Vol.0 No.36

        본고는 한국 성리학의 전래와 기원에 관한 것이다. 고려 고종 24년(1237)에 남송(南宋) 출신의 학자 정신보(鄭臣保)가 오늘의 서산 간월도(看月島)에 정착하여 고려 학인들에게 이정(二程)의 성리학을 전파하였다는 자료를 검증하고 확인하였다. 이에 따르면 안향(安珦)에 의해 성리학이 처음으로 고려에 전해졌다고 알려진 1290년보다 53년 앞선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이 학계에서 공인을 받으면 성리학사는 고쳐 써야 할 것으로 본다. 이 글에서는 먼저 고려 유학사의 변화 과정을 3단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어 정신보의 생애에 대해 집중 조명하였다. 정신보가 남송의 명문 포강정씨(浦江鄭氏) 가문의 후예라는 점과 포강정씨의 후손답게 춘추사상(春秋思想)과 의리정신에 투철하였음을 부각시켰다. 이밖에 정신보 학통의 전승 과정과 후세에 끼친 영향 등에 대해서도 추론하였다. This article is on the introduction and origin of Korean Neo-Confucianism. In this article, it is verified and clarified that a scholar named Jeong, Sin-bo (鄭臣保) from Southern Song settled on today`s Seosan Ganwoldo (看月島) in the year of 1237 (24th year of the king Gojong in Korean Dynasty) and he introduced the Neo-Confucianism both by Jeong, Myung-do (程明道) and Jeong, Yi-cheon (程伊川) who are also called Double Jeong to Korean scholars. Based on these facts, it overturns the history that Anhyang (安珦) first introduced Neo-Confucianism to Korean Dynasty in the year of 1290 even with 35 years ahead. When this gains official approval by the academia,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seems to be rewritten. This article first examines changes in history of Korean Neo-Confucianism with three stages and then concentrates on the life of Jeong, Sin-bo. It presents that Jeong, Sin-bo was a descendant of a Southern Song`s noble family named Pogang Jeong (浦江鄭氏) and he committed to Chunqiu thoughts (春秋思想) and spirit of loyalty (義理精神) naturally as the posterity of Pogang Jeong. Lastly, it also infers the transmission of Jeong, Sin-bo`s scholastic mantle and his influence on the posterity.

      • KCI등재
      • KCI등재

        백파(白坡) 김구락(金龜洛)의 생애와 학문

        崔英成 ( Choi Young-sung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0 동방학 Vol.0 No.43

        조선 말기 율곡학파의 학문 전통을 계승하여 기호성리학의 매듭을 지은 간재(艮齋) 전우(田愚)는 3천 명에 달하는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다. 남녘의 제주에서부터 북방의 간도(間島)에 이르기까지, 또 동쪽으로 영남 지역에까지 전국적으로 제자들이 분포하였다. 이것은 전우의 위상이 어느 정도였는가를 보여준다. 본고는 전우의 문인 가운데 한 사람인 백파 김구락의 생애와 학문을 조명한 것이다. 부안 출신 유학자로 이름이 있었던 김구락은 16세 때인 1912년에 전우의 문하에 들어가 만 십년간 수학하였다. 그의 부친은 간재가 강학하던 계화도(界火島)에 곤학당(困學堂)이란 서당을 지어 줄 정도로 교육열이 대단하였다. 김구락은 전우의 학문과 사상을 충실히 이어받았다. 시국관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교육을 통해 구국(救國)하라는 간재의 가르침을 잘 따른 것으로 보인다. 다만 그는 사상적으로 폭이 다소 넓어 불교의 승려들과 교유를 Ⅵ하였으며, 유교와 불교의 만남을 모색하기도 했다. 또 예(禮)와 함께 악(樂)을 중시하였다. 일생토록 풍류를 즐겨 적지 않은 시문을 남겼다. 본고는 아직 조명이 안 된 유학자를 학계에 소개한다는 데 일차적 의의가 있다. 향후 학문과 사상을 자세히 분석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Ganjae Jeon Woo, who succeeded the academic tradition of Yulgok School and completed the Neo-Confucianism of Kiho, educated as many as 3,000 pupi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the southern Jeju to Kando in the North, and to the Youngnam region in the east, his disciples were scattered nationwide. This shows how influential Jeon Woo's position was. This study examines the life and studies of Baekpa Kim Gu Rak, who was one of Jeon Woo's literary men. Kim Gu Rak, who was renowned for being a Confucian scholar from Buan, joined Jeon Woo's school in 1912 when he was 16 and studied under him for about a decade. His father was so enthusiastic about education that he built a seodang(village school) called Gonhakdang(困學堂) in Gyehwado(界火島) where Ganjae was pursuing his studies. Kim Gu Rak succeeded to Jeon Woo's studies and thoughts devotedly. His views on the state of national affairs were not much different. It seems that he kept up with Ganjae's teaching which is to save the country through education. Yet, he had a wider range of thoughts and kept company with Buddhist monks, and sought Confucianism meeting with Buddhism. Moreover, he put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proprieties and pleasure. He appreciated and enjoyed arts for his lifetime and left behind many poems. This study is primarily significant for introducing a Confucian who has not been examined to the academic world. I expect that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further analyze his studies and thoughts in the future.

      • KCI등재

        17세기 이후 율곡학의 계승 양상과 절충파 등장의 意義(의의) -성리설을 중심으로-

        최영성 ( Young Sung Choi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5 율곡학연구 Vol.30 No.-

        이 글은 17세기 이후 학계ㆍ사상계의 주류를 이룬 율곡학의 계승을 고찰하고, 율곡학파의 분화 과정에서 등장한 절충파의 성격과 사상사적 의의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선 성리학사를 보면 학파간 대립의 연속이었다. 그러나 내면적으로는 17세기 후반 무렵부터 퇴계학파와 율곡학파 학인들 사이에서 상대측 학설을 의식하는 움직임이 일었다. 또 이것을 지속시켜 조선 성리학사를 새로운 국면으로 이끌어갔다. 퇴계학파와 율곡학파 사이를 좁히고자 먼저 행동으로 옮겼던 쪽은 기호학파 학인들, 특히 김창협(金昌協) 계열이었다. 그들은 학문적으로 율곡학파의 계통을 이었고 정파상으로도 노론에 속하였지만, 율곡설을 기본으로 하면서 퇴계설을 수용하여 ‘제삼의 학설’을 이끌어냈다. 또 김창협을 전후 한 시기의 박세채(朴世采)ㆍ조성기(趙聖期)ㆍ임영(林泳) 등 소론계 학인들 역시 율곡학파의 우산 속에 포함되는 인물이면서도, 율곡 학설에 이의를 제기하고 퇴계의 설을 수용하여 이른바 ‘절충파’를 형성하였다. 김창협 계열의 학자와 절충파 학자들은 율곡설이 지닌 한계와 문제점에 대하여 명확하게 인식하였다. 또 퇴계ㆍ율곡의 학설을 상호 보완적인 것으로 파악하였다. 학파와 당파의 장벽이 엄연하던 시절에 율곡설의 한계를 극복할 만한 대안을 퇴계설에서 찾으려 했던 점, 또 존재론의 차원과 도덕론의 차원을 구분해서 보아야 한다고 강조한 것은 학술 발전사에서 중요한 진전이라 하겠다. 성리학이라는 범주 안에서 학설에 대한 해석을 놓고 학파가 나누어지는 것은 자연스런 일이다. 또 성리학의 발전에 긍정적인 기능을 하였다고 본다. 특정한 학설을 놓고 오랫동안 연구가 계속되고 비판과 수용이 이루어지며, 또 한 학파의 전통이 수백년 동안 이어졌던 것은 특기할 만한 일이다. This thesis is aimed at consideration of the succession of Yulgok’s school, which comprised the main stream of academia in Joseon since 17th century, and research on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the eclectic faction, rising while the Yulgok’s school split.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Joseon was a concatenation of factional strife among different schools. However, there was a new wave of embracing the other’s idea between the Toegye’s school and Yulgok’s school. It had led to making a new phase in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Joseon. Those who made the very first gesture to bridge each other schools were some scholars from the Yulgok’s school, especially the people of Kim Chang-hyeop. Although they academically succeeded the Yulgok’s school and politically belonged to No-ron (老論, the hard-liners of Western faction), they accepted the theory of Toegye and constructed the third theory without excluding their academic basis of the Yulgok’s. In addition to Kim Chang-hyeop, there were other scholars from So-ron(少論, the moderates of Western faction) including Park Se-chae, Jo Seong-gi and Im Yeong, as another academic stream of the Yulgok’s school, that raised objections to the Yulgok’s theory and embraced the perspective of the Toegye’s form the eclectic faction. The scholars from Kim Chang-hyeop and from the eclectic faction clearly appreciated the limits and drawbacks of Yulgok’s theory. Moreover, they regarded the theory of Toegye as complementary. Considering that era was in the strict barrier of schools and factions, it is noticeable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academic history that they made great efforts to find the answer to the limits of Yulgok’s theory in that of the opponent, Toegye’s school, and emphasized the necessity of distinguishing the matter of ontology from that of ethics. In Neo-Confucianism, it is natural for the schools to split while in argument of how to comprehend the theory. Furthermore, it seems to have played a positive role in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It is worth special attention that the tradition of a school had been succeeded for hundreds of years as well as there had been continuous studies upon a certain theory through numerous diatribe and acknowledgement.

      • KCI등재

        사상사(思想史)의 맥락에서 본 19세기 심설논쟁(心說論爭) -사칠논쟁(四七論爭)에서 심설논쟁(心說論爭)까지-

        최영성 ( Choi Young-su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9

        조선성리학사를 보면 수백년 동안 굵직한 주제의 논쟁이 이어졌다. 16세기 중반에 시작되었던 사단칠정 논쟁은 ‘정(情: 감정)’에 초점이 맞추어졌고, 18세기 초에 등장했던 호락논쟁(湖洛論爭)은 사람과 사물의 ‘성(性: 본성)’이 같은가 다른가에 주안이 있었다. 이 두 논쟁은 이후 조선 말기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그 과정에서 쟁점이 확실하게 부각되면서 조선 성리학의 특징적 부면이 아울러 잘 드러났다. 18세기 중엽 이래로 서양세력이 밀려오면서 조선성리학은 서양 세력에 맞설 논리를 개발해야 했다. 성리학에서의 주리론(主理論)이 그 대응 논리의 하나로 제기되었다. 특히 ‘심(心)’에 대한 각종 논의들이 폭넓게 다루어졌다. 심(心)이 성(性)과 정(情)을 통섭한다는 의미의 심통성정(心統性情)의 개념으로부터, 심을 ‘리(理)’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 심은 기본적으로 ‘기(氣)’라는 주장이 나와 대립하였다. 또 심과 명덕(明德)은 같은 개념인가 다른 개념인가의 문제, 명덕은 ‘리’로 보아야 하는가, ‘기’로 보아야 하는가의 문제들이 제기되어 학계를 뜨겁게 달구었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 말기의 심설논쟁을 사단칠정논쟁, 호락논쟁과 함께 ‘조선성리학의 3대 논쟁’으로 규정하고 그 위상과 실상, 의의를 조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심설논쟁은 단순히 이론 논쟁에서 그치지 않았다. ‘시사성(時事性)’의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서양과 일본 세력을 배척하는 운동, 의병운동과 독립운동 등에도 직, 간접으로 영향을 끼쳤다. 심설논쟁은 사칠논쟁이나 호락논쟁에 비해 논쟁의 성격이 복잡하고 범위가 넓다. 게다가 자료의 체계적인 정리를 필요로 한다. 삼대 논쟁에 대한 상호 비교문제는 조선성리학의 특성을 밝히는 데 중요한 주제의 하나다. Joseon Neo-Confucianism had important disputes throughout its hundred years of history. Starting in mid-16th century, Four-Seven Dispute focused on ‘Qing (情, emotion)’ while Horak Dispute that emerged in early 18th century put emphasis on whether people and things have the same ‘Xing (性, nature).’ These two disputes lasted until late Joseon. In that process, their issues were clearly recognized and consequently, characteristics of Joseon Neo-Confucianism were well demonstrated. With Western power surging in since mid-18th century, Joseon Neo-Confucianism should develop logic to cope with the Western power. One of responding logics was Zhulilun (主理論, theory of reason) in Neo-Confucianism. Diverse discussions particularly on ‘Xin (心, mind)’ were expansively made. From the notion of Xin Tong Xing Qing (心統性情) that Xin converges with Xing and Qing, an argument that Xin should be seen as ‘Li (理, reason)’ and another that Xin is basically ‘Qi (氣, force of nature)’ were up against each other. The academia heated up with issues raised such as whether Xin and Mingde (明德, bright virtue) are the same notion and whether Mingde should be seen as ‘Li’ or ‘Qi’, etc. Defining morality dispute in the late Joseon along with Four-Seven Dispute and Horak Dispute as ‘three major disputes in Joseon Neo-Confucianism,’ this paper focuses on clarifying their status, actuality and significance. Morality dispute was not only a theoretical dispute. It has significance in the aspect of ‘topicality.’ It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movements against Western and Japanese power, loyal troop’s activities and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Compared to Four-Seven Dispute and Horak Dispute, morality dispute is more complex and expansive. In addition, it requires systematic organization of data. Intercomparison of three major disputes is one of key topics to determine characteristics of Joseon Neo-Confucianism.

      • KCI등재

        「남계(南溪) 박세채(樸世采)의 예학과 사회 정치 개혁」 -변통(變通), 탕평론(蕩平論)을 중심으로-

        최영성 ( Young Sung Choi ) 율곡학회 2010 율곡학연구 Vol.21 No.-

        이 글은 남계(南溪) 박세채(樸世采: 1631∼1695)와 율곡 이이 사이의 학문적 사상적 연관 관계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박세채가 율곡학파의 중추적 학인으로서 율곡학과 지대한 관련이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박세채가 율곡 성리설에 이의를 표하고 퇴계설에 호의를 가진 것, 실천적 측면에서 우계학(牛溪學)에 경도된 것 등이 부각되어, 그가 율곡학통에서 벗어난 인물로 인식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부면적(部面的) 인식을 피하고 전체적이고 거시적 관점에서 남계사상에 끼친 율곡학의 영향을 여러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박세채의 학문적 정치적 입장이 정통 율곡학파와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일부에 국한되며, 율곡학파가 후기로 가면서 자체 분화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파생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그런 입장은 ‘절충(折衷)’ 두 글자로 학문과 삶을 일관한 박세채의 태도에서 기인한 바 크다. 결과적으로 율곡설이나 율곡학파의 입장과 배치되지 않으면서도 제삼의 입장으로 도출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예치(禮治)’, ‘변통(變通)’, ‘탕평(蕩平)’ 등을 중심으로 박세채의 사회 정치 개혁사상을 고찰하면서, 그 사상의 연원을 중점적으로 살폈다. 박세채는 성리설에서 우주론과 관련된 것은 대체로 율곡을 따랐으며, 심성론·수양론 등에서는 퇴계 이황과 우계 성혼 쪽에 경도되는 경향을 보였다. 경세론에서는 율곡이 제시했던 정책들을 부연하거나 확대시켰다. 그의 사회 정치사상 가운데 변통론과 예치론, 탕평론은 율곡과 율곡학파의 전통을 충실하게 계승한 것이었다. 이를 보면 박세채의 사상은 성리설에 중점이 있는 것이 아니고, 정치사상, 예학사상, 탕평론 등에 있었으며, 또 그것들이 율곡설에서 지대한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search out the academic and ideological relation between Namgye Park Se Chae (1631~1695) and Yulgok Lee Yi. This study starts from the cognition that Park Se Chae was the scholar who led Yulgok School and he was quite related with the Study of Yulgok. The existing studies have projected the aspects that he had objection to Yulgok`s Theory of Sung Confucianism and was pond of the Theory of Toigye and that he was inclined to the Study of Woogye in terms of practice, so that he has been recognized as a figure who was out of Yulgok`s academic stem. In this study, however, I avoided such side cognition of Namgye`s idea and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Study of Yulgok on his idea in the general and macro viewpoints. In this study, I could understand that Park Se Chae`s academic and political viewpoint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authentic Yulgok School in only few aspects and his idea was naturally derived from Yulgok School as time went by toward the late period of Yulgok School. In addition, such derived idea of his was mainly caused by his life attitude that he kept for his study and life under the word, `Compromise`. As a result, his idea was thought to be derived as a third way that was not against the Theory of Yulgok or Yulgok School. In this study, I looked into his idea for reform of social political system focusing on ‘Yechi (禮治: Courtesy based Governing)’, ‘Byeontong (變通: Smoothly Handling with Flexibility)’ and ‘Tangpyeong (蕩平: Not Inclined to One Side)’ to investigate such ideas of his on their roots. He generally followed Yulgok on the Theory of Universe in his Theory of Sung Confucianism while he tended to be inclined to Toigye Lee Hwang and Woogye Sung Hon in his Theory of Heart, Theory of Personality Training and etc. He added his idea to or extended the policies proposed by Yulgok in his Theory of Political Economy. Among his social political ideas, the Theory of Byeontong, Theory of Yechi and Theory of Tangpyeong succeeded faithfully Yulgok and Yulgok School`s tradition. In this point of view, his idea is thought to be focused on not his Theory of Sung Confucianism but his political idea, Idea of Courtesy and Theory of Tangpyeong, which were all thought to be largely influenced by the Theory of Yulgok.

      • KCI등재

        18세기 노론 낙학파(洛學派)의 현실인식과 대응논리 -『성리대전』에 대한 황윤석의 인식을 중심으로-

        최영성 ( Young-sung Choi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50

        조선 후기 집권 노론의 낙학파는 성리학의 이념으로 국정을 이끌면서 종래의 ‘정신적’ 측면에 급급했던 데서 벗어나 ‘물질’에 대한 관심으로 정계와 학계의 분위기를 전환했다. 이런 움직임을 주도했던 세력이 김원행(金元行)을 중심으로 한 석실서원(石室書院) 계통의 학인들이었다. 그러나 소수의 진보적 학자-북학론자들을 제외한 대다수 낙학파 학자들은 청나라의 실체를 내심 인정하면서도 종래의 성리학적 전통에서 벗어 나지는 못하였다. 그들은 정권의 존립 기반을 위태롭게 하는 북학론을 수용하기 어려웠다. 종래의 성리학적 전통과 조선중화주의의 이념을 지키면서도 청나라의 문화 수준에 이를 방안을 모색하였고, 그 과정에서『성리대전』에 집약된 경세학 체계의 복구를 대안으로 인식하였다. 황윤석은 낙학파의 이런 대응논리를 대변하였던 성리학자다. 그는 성리학의 범주 안에 들어 있는 상수학의 가치를 재발견하였고, 『성리대전의』중요성을 다시 부각했다. Nakron School of the ruling Noron Party in late Joseon Dynasty was at the helm of state with Neo-Confucian ideology and it came out of being obsessed with conventional ``spiritual`` aspects and changed both political and academic atmosphere with interests in ``matters.`` The power leading such a change was scholars in Seoksil Seowon (石室書院) which centered around Kim Won-Haeng (金元行). However, except for few progressive scholars-Bukhak scholars (北學論者), most of Nakron scholars secretly acknowledged the actuality of Qing Dynasty but they failed to get out of old Neo-Confucian traditions.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accept Bukhak theory which jeopardized the existence of administration. They sought plans both to keep Neo-Confucian traditions and Sinocentrism in Joseon and to reach the cultural level of Qing Dynasty and in that process, they recognized restoration of the statecraft study (經世學) summarized on Seongridaejeon as an alternative. Hwang Yun-Seok is a representative Neo-Confucian scholar in such response of Nakron. He rediscovered value of the science of xiangshu in the Neo-Confucian category and highlighted importance of Seongridaejeon yet again.

      • KCI등재

        서호(西湖) 이총(李摠)의 생애와 역사의식

        최영성 ( Choi Young-su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1 한국 철학논집 Vol.- No.69

        조선 전기 청담파(淸淡派)의 대표적 학자인 서호(西湖) 이총(李摠: ?∼1504)에 대한 전문 연구는 지금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참혹하게 세상을 떠난 뒤 그와 관련된 자료들이 거의 대부분 인멸되었기 때문이다. 『성종실록』·『연산군일기』 등에 실린 기록은 부정적인 것들이 주를 이룬다. 서호 이총은 왕실의 종친이다. 비판정신이나 개혁정신과 거리가 있는 길을 걸었다면 자신은 물론 부친과 다섯 형제가 참혹한 죽음을 당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나라를 근심하고 백성의 고통에 상심하는 우국충정이 넘쳤다. 훈구파(勳舊派)의 부정과 비리에 저항하는 역사의식이 투철하였다. 뜻이 맞는 사람들과 함께 국정을 비판하기도 하고, 시와 술로써 비분강개함을 토로하기도 하였다. 풍류객(風流客)은 그의 진면목이 아니다. 이총은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다. 동문들 중에서도 남효온(南孝溫)과 가장 친하였다. 두 사람은 몸은 둘이었지만 마음은 하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총은 기본적으로 유학을 공부한 유자다. 그는 김종직을 통해 조선 도학(道學)의 적통을 이었다. 그러나 ‘유자’의 테두리 안에서만 그를 이해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그는 유학을 공부하면서도 노자(老子)·장자(莊子) 등의 고고(孤高)한 학풍을 좋아하였고 권세와 명예를 천하게 여겼다. 이것은 청담파 학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성향이다. 이들은 부정과 불의가 판을 치는 현실에 상심하면서 옛날의 이상적인 사회를 그리워하는 시국관, 역사관을 가졌다. 이런 사고 속에는 복고적 성향의 개혁 사상이 자리잡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총의 생애를 중심으로, 그의 정신세계와 역사의식에 대하여 폭넓게 살펴보았다. 동료이자 장인이기도 한 남효온과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조명하여, 조선 전기 4대 학파의 하나인 청담파의 학문적 사상적 특징을 밝혀내는 데 주력하였다. The study of Seo-Ho (西湖) Lee Chong (李摠: ?∼1504), a representative scholar of the School of Cheong Dam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has not been conducted in earnest. It was because most of the related references were destroyed after he died horribly after being implicated in Mu Oh Sa Hwa. (戊午士禍, a massacre held by the School of Hun-Gu, centered on Yoo Ja-Gwang, towards the School of Sarim centered on Kim Jong-Jik in the 4th year (1498) of Yeonsan-Gun) In < the Annals of King Seongjong > and < the Diary of Yeonsan-Gun >, there are mainly negative records. Seo-Ho Lee Chong is the royal family. If he went to a different path other than criticism or reformation, his father, five siblings and himself would not have been killed horrendously. Lee Chong was full of patriotic sentiment, and concerned about the country and grieved over people’s sufferings. He had thorough historical consciousness against the School of Hun-Gu’s illegality and corruption. Therefore, he met with people who had the same intentions to criticize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expressed his sorrowful resentment with poetry and alcohol. His true character is not a man who appreciate the arts. Lee Chong is a writer for Kim Jong-Jik (金宗直). He was very close with Nam Hyo-On (南孝溫) out of his classmates. They had two bodies but had one mind. Lee Chong was a scholar who basically studied Confucianism. He became a direct descent of moral philosophy of Joseon through Kim Jong-Jik. However,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him only within the boundary of ‘a scholar who studied Confucianism.’ While he was studying Confucianism, he like the lofty academic style of Laozi (老子) and Zhangjia (莊子), and he regarded authority and honor as vulgar. That is a common tendency from scholars from the School of Cheong Dam. They grieve on the reality struck with illegality and injustice. They have a view of the state of affairs and a view of history that yearned for the ideal society of the past. In these thoughts, a retro-minded reformation ideology was placed. Focused on Lee Chong’s life, this abstract examined his mind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extensively. Focusing on Nam Hyo-On, who is a colleague as well as an artisan, the paper focused on revealing the academic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of Cheong Dam, one of the four major schools on the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