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교규제연구의 지평, 초점, 그리고 방법론

        최신융(Choe Shin-Yung) 서울행정학회 2011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1 No.4

        This study evaluates the contribution of Korean researchers who studied regulatory policy from comparative perspective to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knowledge on regulation by analyzing the scope, focus and methodologies empirically. The results shows that it needs more rigorous endeavor to meet the academic and practical demands in terms of quantity as well as quality. A few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terdisciplinary studies among public administration, economics, and legal studies should be encouraged to expand theoretical orientation and knowledge exchange. Second, it needs to diversify the scope of comparison into other policy areas as well as various issue areas including comparative regulatory reform, regulatory impact analysis, and self-regulation. Third, more efforts should be delivered on indigenous theorizing and meta-theorizing rather than focusing policy prescriptions. Middle range analytical units like regions, institutions, and groups in addition to nation-states should also be included. And finally, excessive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over quantitative methods needs to be rectified to enhance the methodological unbalance between them as the future challenges in addition to encouraging more rigorous comparative regulatory researche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미국의회의 한국관련 안건 심의 구조

        박재창,최신융 서울대학교 국제지역원 1996 국제지역연구 Vol.5 No.4

        미국의 대외 정책 결정과정에서 미국 의회가 차지하는 비중과 한미 양국간의 긴밀한 동반자 관계를 감안해 볼 때 미국 의회의 대한 정책 결정 양식을 그의 심의구조에 대한 추적을 통해 파악해 보는 일은 당연한 요구다. 이는 이 분야에 대한 학계의 관심을 높힐 뿐만 아니라 연구 결과의 실용적인 활용 가능성도 적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의 결과 미국 의회가 다루는 한국관련 안건은 하원에서 가장 많이 제안되면서도 통과되기는 상하양원이 비슷한 비율로 처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민주당에서 주로 보다 많이 제안하지만 제안된 안건의 통과율은 공화당과의 격차가 크지 않다. 각각의 원에 재임한 기간이 10년 내외인 경우 가장 많이 제안하지만 외ㅎ려 통과되는 비율은 적고, 재임 10년 이상 30년 정도 되어야 가결율이 높아진다. 재선 가능성에 상대적으로 위협을 느낄 때, 보다 많이 한국 관련 안건을 제안하지만 오히려 통과율은 선거구의 사정이 안정된 경우다. 진보주의자가 보다 더 많이 제안하지만 통과율은 보수주의자가 제안할 때 높다. 하원 외무위원회와 상원 외교위원회가 가장 많이 다루지만 하원과 상원의 군사위원회와 세출위원회에서 다룰 경우 가장 통과율이 높다. 제안된 안건의 심의 기간이 1개월 내외인 경우가 가장 많지만 통과되는 경우는 1년 남짓 걸려 심하는 경우다. 따라서 한국 관련 안건의 심사과정이 지니는 특징은 주요 발안자와 주요 통과 추진자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주요 발안자들이 처음부터 안건의 가결 자체를 의도하고 발안하기 보다는 발안 자체에 정치적 의의를 두고 제안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따라서 미국 의회를 상대로 하는 대미 외교정책을 수립할 때에는 바로 이런 의회의 정치적 요구를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 하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내용분석 기법을 통해 재구성해 보려고 한 연구 방법상의 한계는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rac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ngressdional bill examination process from the vantage point of American foreign policy making to Korea. Considering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the States and the magnitude played by the Congress in the American foreign policy making process, such a research is very demanding and inevitable in some sense not only for the practical interests of the Korean government officials wrestling with its foreign policy to America but also for the Korean academia experiencing serious paucity of literature of this field. To mee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ll of the bills dealing with Korean issues even partially from 1974 to 1994 were retrieved from the House and Senate computerized innformation systems and the contents of them were analyzed systematically. Research found that Korean bills were dealt more frequently by the House than by the Senate. Most of them were proposed in the forms of House bills and Senate bills among other various forms of bill introduction. Major proponants of them were liberal Democrats with about 10 years of hill experience and from less safe districts. Generally speaking security issues were more frequently dealt by Korean bills. Most of them were pending in the Congress for about one month. And about half of Korean bills were either discarded or stopped any further examination at either sub committee or full committee level of bill flow of the Congress. When we count the Korean bills passed and became either law or Congressional resolutions only, however, it is very interesting to find that whether they were dealt either by the House or by the Senate and introduced by Democrats or by Republicans does not make much difference to the outcomes of the bill examination. The bills intoroduced by mid-career conservative Congressmen who worked for the Congress for about from 10 to 30 years and from rather safe districts were passed rather easily. The bills pending about one year in the Congress had higher possibility of passing through the Congress. Most of the bills in the bill examination process were killed at full committee level. Contrasting suc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bill introduction and that of passage in the Congress, it is found that major proponents of the bills are not conformative to active sponsors of them. It really implies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Korean bills are introduced not for real passage but for political and symbolic usage only. Therefore it becomes very important to know and respond to such political needs of the Conressmen when we develop foreign policy to the St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