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울증 여성의 미술심리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최승이 ( Seung Yee Choi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조울증 진단을 받았던 여성의 미술심리치료의 경험은 무엇이며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이해하고자 한 질적 사례 연구이다. 2007년 6월부터 2011년 2월까지 진행되었던 미술심리치료 과정에서의 그림들과 메모들, 그리고 1년 후인 2012년 2월부터 4월까지 연구 참여자의 동의 후 실시한 3회의 심층 인터뷰를 통한 축어록과 이메일 자료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로는 시간별로 ‘희망이 보이다’, ‘나 자신과 싸우다’, ‘치료사와 함께 세상과 싸우다’, ‘새 옷을 만들다’, ‘세상과 더불다’의 4단계로 범주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내담자가 가장 중요하게 인식한 치료적 요인으로는 치료사와의 관계경험이었다. 즉 치료사와의 관계경험은 내담자가 외부세계에서 실제적인 시도를 할 수 있도록 탐색하고 연습하는 의미를 지닌다. 이때 가장 중요한 치료적 전환점으로서의 의미를 지니는 2단계의 극복요인으로 치료동맹의 중요성이 드러났다. 치료동맹의 형성에서의 중요한 주제였던 저항은 그녀의 분열된 내적세계가 심리치료현장에서 다시 재현되는 것이지만 자신의 존재방식을 지키고자 하는 분투이기도 했다. 그렇기 때문에 내담자 스스로의 저항이 미치는 결과에 대한 자각과 수용, 그리고 스스로의 실천이 가장 큰 요인이었으며 치료사가 직면이나 해석, 공감을 통해 저항을 다루는 것은 이를 위한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s a qualitative case study to understand about the experience of art psychotherapy of a woman who had the diagnosis of bipolar disorder, and also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Based on the pictures and memos during the process of art psychotherapy that was proceeded from June of 2007 until February of 2011, and 3 rounds of in-depth interview quotations and e-mail data with the consen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from February to April of 2012, that is a year later,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perspective of phenomenological hermeneutics. As for the result, it was categorized by time including 4 stages; ``Hope is seen``, ``Fight with myself``, ``Fight the world together with therapist``, ``Make new clothes``, and ``Go with the world``. As for the therapeutic factor that clients perceived most importantly during this process was the relationship- experience with the therapist.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experience with therapist has the meaning of exploring and exercising for making actual attempts in external world. Here, as for the recovery element of the 2nd stage that has the meaning as the most important therapeutic turning point, the importance of the therapeutic alliance was revealed. Although the resistance which was an important theme in the formation of therapeutic alliance was that her fragmented inner world was being repeated in the psychological treatment site, it was also a struggle to protect her way of being as well.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at the perception, acceptance, and the self-practice for the results influenced by the resistance of the client was the biggest element, and how therapist handles the resistance through facing, interpretation, and empathy was the process for this as well.

      • KCI등재

        교양강좌인 미술치료수업 수강생들의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승이 ( Choi Seung-ye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8 교육인류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연구자가 ‘인성과 도덕함양’이라는 목적으로 개설되어 있는 S 대학 내 교양학부 미술치료수업에서 학생들의 체험의 의미를 알고자 시행되었다. 교양수업으로서의 미술치료수업에서의 체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타인과 연결될 수밖에 없고, 타인을 필요로 하며 서로를 끌어당기는 역동성을 지닌 존재로서의 주체를 이해하게 되었다. 이것은 생애 초기 분리 개별화를 통해 탄생한 심리적 구조를 지닌 한 개인이 성장하면서 분리만 강조되었던 독립의 개념에서 벗어나 이제 타인과 연결된 존재로서 타인을 향해가는 새로운 개별화의 과정이며 타인에게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윤리적 주체로서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학생들의 그림과 자기 이야기를 나누는 실습은 경직되었던 기존의 나와 너의 경계를 해체하고 자기 자리를 재정립하는 현상학적 장(field)을 제공하였다. 둘째, 미술치료수업에서 학생들은 생애 초기 분리개별화를 위한 환상 속 부모에 대한 애도과정의 연장선으로 애도를 재경험했다. 이때, 그림 그리기 실습은 애도를 위한 창조성을 발현시킨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대학생들의 교양학부 수업으로서의 미술치료수업이 지향해야 할 부분에 대해 몇 가지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experiences students had in art therapy classes given by this researcher in the Liberal Arts classes at a university that aimed at "cultivating character and morality", and what significance these imparted to the students. The bond and fulfillment that they found in their mutual relationships made it possible for them to acknowledge their parents, who were the core people affecting their lives, as others whose needs and limits were similar to their own. This change of viewpoint allowed student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not only their parents but the world from another perspective. Finally, each of the students further learned that being a responsible person was to be responsible for others as a good parent in the future. The meanings of the experiences that they gained during the art therapy classes could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understood that a subject is a dynamic being who is bound to connect with others and need them, and that they draw each other. This could be said as a process of new individualization that one moves toward others as a being who is connected to them, stepping out of the concept of independence in which only separation is stressed during his or her growth period as a psychological being who was created through separation-individualization in the early years of life. At the same time, this also could be defined as a process where one actively responds to others as an ethical subject. During this time, the practice of drawing pictures and sharing their stories provided a phenomenological field where they could eliminate the existing boundary between them and others and build themselves up. Second, the students experienced condolence again as an extension of the process where they mourned their imaginary parents who had existed in their mind in the early years of life for the purpose of separation-individualization. During this time, the practice of drawing pictures functioned as a medium to stimulate them to display creativity for their condolences. Based on these insights, some suggestions were made on what an art therapy class should entail in its inclusion in Liberal Arts classes for college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한부모 어머니의 모 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승이,Choi. Seung-Yee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2

        본 연구는 여성의 생애사건 속에서의 변화하는 모성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4명의 참여자와 예비 인터뷰를 했고 그 결과, 17년간의 별거와 재결합, 그리고 이혼의 과정 속에서 홀로 자녀를 키워온 한 어머니의 모성에 집중했다. 그녀의 이야기는 특별한 생애적 국면에 따라 재구성되어 변화하는 모성의 의미를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그녀가 홀로 자녀를 키우게 된 상황과 맥락 속에서 모성의 의미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참여자와 2013년 6월부터 14개월 동안, 총 9회의 인터뷰를 실시했다. 수집된 축어록과 참여자의 그림은 Connelly와 Clandinin(2004)이 제시한 틀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는 첫째, 모성은 남편과 단절된 그녀에게 ‘생존’과 ‘극복’의 의미를 지닌다. 생존의 의미로서의 모성은 남편과의 별거로 위기에 맞닿게 될 때 모성이 위축되고 자기애는 강화된다. 반면, 남편과의 재결합을 기대하며 별거를 본격적으로 선택 할 때, 모성은 강화되고 자기애는 위축된다. 이것은 모성과 자기애가 양립할 수 없다는 이분 법적 시각에 의한 것으로, 모성에 대해 양가적인 태도를 취하게 하는 구조적 틀이 된다. 둘째, 이처럼 모성의 비대와 위축은 표면적으로 모성과 자기애의 반비례적 관계를 보여주는 듯 하지만 궁극적으로 어머니 자신의 생존을 기준으로 이루어져왔다는 점에서 모성은 생존을 위한 자기애를 기반으로 한다. 셋째, 이혼의 과정에서 모성은 남편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한 ’극복의 동력‘이 되었으며 이혼 후에는 자식도 살고 나도 함께 살도록 최선의 선택을 지향하는 ’공존의 모성‘으로 나아간다. 넷째, 이렇게 변화된 모성의 의미는 이전에는 모성으로 제한되었던 그녀의 정체성이 새로운 정체성을 발화하도록 한다. 이때 가장 두드러지게 발화하는 것 은 ’노동자 정체성‘이었다. 이처럼 남편과 분리하여 독립하는 여정에서 나타나는 그녀의 변화와 모성은 함께 맞물려 구성되어 가는 유동적인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홀로 자녀를 키우는 참여자의 삶의 맥락에 따른 모성의 변화하는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어머니들이 제도화된 모성으로부터 주체로서의 개별적 모성을 구성해갈 수 있도록 돕는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iverse meaning of motherhood in a mother's life journey. For this, four mothers were interviewed preliminary, and one mother's story among of them was focussed. She divorced and raised her son alone after being separated from her husband and reunited for a long time. This study shed light on how what kind of motherhood she chose to have and how she composed the meaning of her motherhood. Data was collected through her drawing and interviews 8 times in total, from June 2013 to July 2014. They were collected, analyzed, and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 proposed by Connelly and Calndinin(2004).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in regard to her Motherhood: First, The meaning of motherhood had composed in the procedure of "survival", 'overcome'. ‘Motherhood as survival' is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ove and Motherhood. When she wanted to live alone, her self-love became, but her Motherhood was extremely decreased on the other hand. On the contrary, when she chose to be separated from her husband in expectation of reunion, Motherhood is strengthened. Such a dual attitude toward Motherhood and self-love made her ambivalent about her own Motherhood. Second, The increase and shrinking of Motherhood seemed to be attributed to the inversely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it and self-love, But the increase and shrinking of Motherhood were based on self-love. Third, In the process of divorce, her motherhood functioned as a 'source for independence' from her husband. After divorce, her motherhood was no longer what she unilaterally gave to her child, but an attribute that could lead to "the survival of her own and her child.", which means 'Motherhood as coexistence'. Fourth, The meaning of Motherhood was altered along with another change. Specifically, her "laborer identity" at work got more meaningful. Indeed, her changes and Motherhood affected each other in a flexible way while she became independent of her husband. Finally,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empathy and understanding that are necessary for mothers to construct the meaning of Motherhood in a subjective manner in order to make choices in consideration of themse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