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피아노 연주자의 표현적 시간조절 (Expressive Timing) 방식 차이에 관한 실증연구: 엔니오 모리꼬네(Ennio Morricone)의 ≪러브 어페어≫(Love Affair) ‘피아노 솔로’의 연주자 간 표현적 타이밍의 프레이즈 내부, 프레이즈 간, 큰악절 간 차이 비교를 중심으로

        최성락 ( Choi Sungrak )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音樂論壇 Vol.45 No.-

        본 연구는 연주자들이 연주에 표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 중 템포 조절을 통하여 연주자의 음악적 해석 및 개성을 표현하는 개념인 표현적 시간조절에 대한 실증연구이다. 연주자들의 표현적 시간조절 적용 방식을 비교 분석해보기 위해서 본 연구자는 피아노 솔로 음악 중 영화음악가 엔니오 모리꼬네(Ennio Morricone, 1946-2020)의 작품인 영화 ≪러브 어페어≫(Love Affair, 1994)의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 중 ‘피아노 솔로’ 음악을 선정하여 네 명의 피아니스트의 연주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IOI(Inter-Onset Intervals) 분석을 바탕으로 한 템포 변화에 대한 분석뿐 아니라 프레이즈 내부 분산 및 프레이즈 간 분산, 그리고 큰악절 간 분산 등 미시분석과 거시분석을 종합적으로 진행하여 연주의 표현적 시간조절 방식을 실증적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온셋 식별(onset detection) 데이터를 활용한 템포 변화 분석 결과, 연주자마다 템포 조절에 있어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연주자의 표현적 어법 구성에 있어서 표현적 시간조절이 주요 변수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산분석을 프레이즈 내부, 프레이즈 단위, 큰악절 단위에서 진행한 결과, 연주자마다 표현적 시간조절의 미시적, 거시적 조절 방식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연출되는 음악의 전체적 인상 및 느낌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연주에 있어 미시와 거시의 통합적 관점에서 타이밍 조절을 사용하는 것이 연주자의 음악적 고유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세 명의 클래식 피아니스트와 한 명의 재즈피아니스트의 동일 작품 연주를 대상으로 실증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연주자의 활동분야에 따라서도 표현적 시간조절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다는 가설을 수립할 수 있었다. 향후 좀 더 많은 연주자의 연주 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연주자 및 연주분야별 비교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expressive timing, the concept of expressing the musician’s musical interpretation and personality by using tempo control used by performers to give expressiveness to performance.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method of applying expressive timimg between performers, ‘Piano Solo’ music was selected from the original movie soundtrack of Love Affair (1994) among the works of film musician Ennio Morricone (1946-2020), and the performances of four pianis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this end, not only analysis of tempo change based on IOI(Inter-Onset Intervals) analysis, but also micro-analysis and macro-analysis such as intra-phrases variance, inter-phrases variance, and inter-peroids variance are comprehensively performed to control the expressive timing of the performance. The methods were compared and reviewed empirically. As a result of tempo analysis using Onset Detection data, different aspects of tempo control were found for e ach performer, and it was found t h at expressive timing became the important variable in musical languages for expressiveness of the perform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variance within the phrase, in the phrase unit, and in the large section uni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icro and macro controlling methods of expressive timing for each performer, and accordingly, the overall impressions and feelings of the music produced were different. In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using timing control from this integrated perspective can be a effective means of expressing the musical uniqueness of the performer. In this study,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classical pianists and one jazz pianist performing the same composition, and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hypothes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ethod of using expressive timing depending on the field of the performer.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data on the performance sound sources of more performers will be extracted and comparative analysis by performers and performing fields will be possible.

      • KCI등재

        음악콘텐츠의 디지털화에 따른 팝음악의 라우드니스와 다이내믹 레인지 변화에 관한 실증연구 : 1965년에서 2020년 빌보드 No.1 싱글 음원의 LUFS, PLR, LRA의 변화 추이를 중심으로

        최성락(Sungrak Cho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3

        본 연구는 최근 방송 및 음반 산업에서 디지털 콘텐츠 유통 환경에 적합한 오디오 마스터 표준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라우드니스(Loudness)에 대한 개념 및 필요성을 고찰하고 이러한 개념이1990년대 이후 음반 산업의 큰 이슈였던 라우드니스 전쟁(Loudness War)이라 불리는 음압경쟁현상 속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적용되고 있는지 고찰해보며, 음반 산업의 초기부터 최근까지 발표된 팝 음악의 라우드니스 및 다이내믹 레인지에 대한 장르/연대별 추이를 실증적으로 고찰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65년부터 2020년까지 빌보드 연말차트(Billboard Year-End Chart)의 No.1 싱글곡을 대상으로 미국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애플뮤직(Apple Music)에서 해당 음원을 추출하여Integrated LUFS, True Peak, LRA(Loudness Range), 순간 최대 라우드니스(Maximum Momen tary LUFS) 등의 변수를 스펙트럼 분석기 Insight 2.0로 측정하였으며 해당 측정값들의 연대별시계열 분석, 장르/연대별 분산분석, 장르 간 차이분석(t-test), 연대 간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시계열 분석 결과, 분석대상 음악의 라우드니스 레벨(LUFS)은 1980~90년대에 비하여 최근평균 30%정도 상승하였고 PLR값으로 측정한 라우드니스의 다이내믹 레인지 또한 25%이상 증가하였다. 그리고 LRA값은 2000년대까지 작아지다가 2010년대 이후 30% 커지면서 라우드니스관점의 다이내믹 레인지가 넓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산분석 결과, 1980년대 이후 LUFS(Int.) 및 PLR의 분산 값이 지속적으로 작아지면서 음악라우드니스의 획일화 현상이 나타났으며 Pop장르의 경우 2010년 이후 라우드니스 분산 값 이다시 커지면서 라우드니스 획일화 정도가 완화되고 있다. 장르 간 차이분석 결과, LRA값을 제외한 나머지 라우드니스 관련 변수들에서 분석대상 두 장르간 차이가 없고 전체적으로 비슷한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대 간 차이분석 결과LUFS(Int.), True Peak, PLR, Max. Momentary LUFS 값이 연대별로 유의미하게 달라진 것으로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loudness, which has recently begun to be used as an audio mastering standard suitable for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in the broadcasting and music industry. The increasing loudness of music tracks has been a major issue in the music industry since the 1990s. This study also examines how it is applied during the sound pressure competition phenomenon called the “Loudness War.” Additionally,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trends of loudness and dynamic range of pop music by genre/age released from the beginning of the record industry to the latest. To this end, the list of No. 1 single song on the Billboard Year-End chart from 1965 to 2020 was considered,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was extracted from Apple Music, an American music streaming service, and variables such as integrated LUFS, True Peak, LRA (Loudness Range), and Maximum Momentary LUFS were measured with a spectrum analyzer, “Insight 2.0.” Additionally, the time series analysis by age, variance by genre/age, t-test between genres, and analysis of variance between decade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time series analysis, it was observed that the loudness level (LUFS) of the music has recently increased by an average of 30% as compared to the 1980s and 1990s, and that the dynamic range of the loudness measured by the PLR value has also increased by more than 25%. Additionally, as the LRA value decreased until the 2000s and increased by 30% after the 2010s, it was found that the dynamic range in terms of loudness is expand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variance, since the 1980s, the continuous decrease in the variance values of integrated LUFS and PLR have led to rise in the uniformity of the music.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genr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enres that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other loudness-related variables except for the LRA value, and the overall trend was similar. It was found to have changed significantly.

      • KCI등재

        호남지역 철기문화의 형성과 변천

        최성락(Choi, Sungrak)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7 島嶼文化 Vol.0 No.49

        호남지역의 철기문화는 기원전 2세기경에 이미 청동기문화가 자리잡았던 전북지역에서 형성되었으며 삼국시대 고분이 등장하는 시기까지 지속되었다. 철기문화는 세 시기로 구분된다. 철기시대 전기(Ⅰ기)의 유적은 익산-전주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만경강유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데 그 연대가 기원전 2세기대로 추정된다. 중기(Ⅱ기)의 유적은 주로 서남해안과 영산강유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데 그 연대가 기원전 1세기에서 기원후 1세기경으로 설정된다. 후기(Ⅲ기)의 유적은 호남지역에 넓게 확산되고 있는데 그 연대가 기원후 2세기에서 3세기경이다. 그런데 기원전 1세기에서 기원후 2세기경까지 처음 철기문화가 형성되었던 지역에서 그 뒤를 이을 유적이 거의 나타나지 않자 일부 연구자들은 유적의 공백을 강조하면서 문화적인 단절을 언급하기도 한다. 하지만 결코 문화적인 단절이 있었던 것은 아니며 아마도 큰 사회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즉 철기시대 전기에서 중기로 넘어가면서 주민들의 이동이 있었는데 이것은 위만조선의 붕괴와 관련지어 해석해 볼 수 있다. 결국 전북 만경강유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전기의 철기문화는 일차적인 마한으로 볼 수 있다. 이 사회는 서북지역에서 새로이 이주한 세력들과 관련이 있고, 계층화가 이루어지면서 수장층의 권력기반이 확보되었다. 그리고 중기 이후에 형성된 철기문화는 이차적인 마한으로 자체적으로 발전하면서 『삼국지』위서동이전에 나타난 것과 같이 여러 소국을 구성한 사회를 반영하는 것이다. The iron culture of Honam province began its formation in Cheonbuk province in the early 2nd Century B.C., where the bronze culture was present and lasted until the appearance of mound tombs in the Three-Kingdoms period. The iron culture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Sites from the early period (1st period), which dates to the 2nd century B.C., are distributed around the Mankyeong river basin around Iksan and Jeonju. Sites from the middle period (2nd period), which is presumed to be between the 1st century B.C. and 1st century A.D., are distributed along the western seashore and Yeongsan river basin. Sites from the late period (3rd period), which dates from the early 2nd century to the 3rd century, are scattered all over the Honam province. Peculiarly, sites of the 2nd period are not found in the regions where the iron culture began during the 1st period. Some scholars insist this shows that there was a cultural discontinuity. However, I believe that this is not a sign of discontinuity, but of a big social change. That is to say that there was a movement of people because of the fall of Wiman Joseon. In conclusion, the early period of the iron culture in the Mankyeong river basin belonged to the early Mahan confederacy. It was associated with new immigrants from the north-western part of Korea with stratification of the society and establishment of the power base for chieftains. The iron culture during the middle and late period, corresponding to the later Mahan, consisted of many small statelets as documented in the ancient chinese historic record Samgukj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