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俛宇 郭鍾錫의 「入德門賦」에 대하여

        최석기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5 남명학연구 Vol.47 No.-

        이 논문은 俛宇 郭鍾錫의 「入德門賦」가 어떤 시대상황과 배경 속에서 창작되었으며 글의 전개방식과 주제의식은 무엇일까라는 문제의식으로 접근한 글이다. 필자는 이 글에서 우선 시대상황과 창작배경을 살피고, 이 글의 구성방식을 굴원의 「어부사」와 비교해 분석하였으며, 이 글의 내용전개에 나타난 작가의식을 몇 가지 특징으로 포착하여 드러내었다. 그리고 경상우도 지역에 면면이 전승된 남명의 도학자상이 이 글을 지은 작가에게 어떻게 투영되어 나타나고 있는지를 함께 살폈다. 이 글의 요지를 간추려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19세기 후반의 역사적 전환기에 경상우도의 대표적인 학자 면우는 21세 때 晦窩라 자호하고서 「晦窩三圖」를 그렸는데, 요지는 주자학을 배우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면우는 10여 년 동안 타향살이를 하다가 28세 때 고향으로 돌아와 새로이 구도적 의지를 다짐하여 「沙上賦」를 지었고, 그 이듬해 정월 초 남명의 도학세계로 들어가는 입구에 있는 입덕문에 이르러 「입덕문부」를 지었다. 이 글은 면우가 구도적 의지를 새롭게 다짐하던 시기에 남명의 도학을 새롭게 인식하고 表章하여 남명정신을 이어가고자 지은 것이다. 「입덕문부」의 구성방식은 외형적으로 屈原의 「漁父辭」와 닮아 있다. 그러나 내용전개의 측면에서 보면 문답의 주체가 바뀌고, 주제의식이 전혀 다르다. 「어부사」는 혼탁한 시속에 휩쓸려 사는 어부와 홀로 청렴하고 홀로 깨어 있는 굴원의 가치관이 대립적 구조로 설정되어 있다. 반면 「입덕문부」는 어부가 작가에게 일방적으로 남명의 도학, 남명학의 전승, 구도의 방법 등을 상세하게 일러주는 전개방식으로 되어 있다. 즉 「입덕문부」는 序에 작가의 憂道意識을 말하고, 결어에 작가의 求道意志를 드러내고, 본문에 어부가 남명학 및 구도방법에 대해 일러주는 삼단구조로 되어 있다. 어부는 남명의 도학을 누구보다 잘 아는 은자의 모습, 난세에 학자의 임무가 무엇인지를 일깨워주는 인물로 그려져 있다. 이를 보면 「입덕문부」의 주제의식이 남명의 도학을 표장하고 그 도를 이어가고자 하는 의지를 다짐한 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입덕문부」에 나타난 作家意識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序에서 憂道意識을 말하고 本文에서 남명의 도학을 말하고 結語에서 求道意志를 천명하고 있는 점이다. 이는 도가 무너진 시대에 남명을 본받아 구도의지를 새롭게 다짐한 작가의식을 투영한 것이다. 둘째, 본문에 남명의 도학자상을 부각시켜 우리나라 도학을 연 인물로 본 점이다. 특히 퇴계와 나이도 같고 道도 같고 德도 같고 淵源도 같다고 한 점은 남명의 도학을 퇴계의 도학처럼 正脈으로 본 것이다. 셋째, 남명의 도학이 후세에 면면히 전승되어 내려온 점을 매우 구체적으로 부각시킨 점이다. 이는 남명의 도학이 남명학파가 와해된 뒤에도 경상우도 지역에 그대로 전승되어 내려온 점을 드러낸 것이다. 특히 남명을 제향한 덕천서원을 도산서원·옥산서원과 함께 거론함으로써 영남 도학이 晦齋·退溪·南冥 세 선생에게 발원한 점을 부각시킨 것, 남명의 도학세계로 들어가는 입덕문 주변의 낙락장송을 남명정신을 상징하는 것으로 핍진하게 그려낸 것 등이 돋보인다. 넷째,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70년 덕천서원이 훼철되어 남명의 도학이 의지할 데가 없게 된 시대의 위기의식을 표출하고 있는 점이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narrative structure and writer's consciousness of Ipdeokmunbu by Gwak Jong-seok through its analysis. The main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One of the utmost scholars in Gyeongsangwoodo during a historical transition time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Myeonwoo Gwak Jong-seok called himself Hoiwa at the age of 21 and painted Hoiwasamdo, which mainly depicted his determination to study the teachings of Zhu Xi. After ten years of living away from home, he returned home at the age of 28 and created Sasangbu out of his reinforced determination to seek morality. In early January of the next year, he visited Ipdeokmun, which was the gate to the morality seeking world of Nammyeong and created Ipdeokmunbu, which revealed his will to inherit and continue Nammyeong's spirit by perceiving his moral philosophy anew and promoting it widely at the time when he renewed his determination to seek morality. The narrative structure of Ipdeokmunbu resembles that of Eobusa by Gulwon externally, bu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terms of content development since the former has a change in the subjects of questions and answers and totally different thematic consciousness. Eobusa presents a confrontational structure between the fisherman, who is swept by the turbid customs of the times, and Gulwon, who is upright and awakened by himself, in terms of values. In Ipdeokmunbu, on the other hand, the fisherman offers the writer detailed explanations about the moral philosophy of Nammyeong, transmission of Nammyeong studies, and methods to seek morality in a one-sided manner. That is, it is in a triple structure of mentioning the writer's Woodo consciousness in the introduction, revealing the writer's determination to seek morality in the conclusion, and the fisherman explaining the Nammyeong studies and method to see morality in the body. The writer's consciousness can be mainly summarized in four aspects in Ipdeokmunbu: first, the introduction presents the Woodo consciousness, the body talks about the moral philosophy of Nammyeong, and the conclusion proclaims the determination to seek morality. It projects the writer's consciousness to renew his determination to seek morality by modeling himself on Nammyeong at a time when morality collapsed. Second, it introduces Nammyeong as a figure to open the world of moral philosophy in the nation by highlighting his aspects as a moral philosopher. It states that Nammyeong was the same as Toigye in terms of age, morality, virtue, and origin, which particularly indicates that the moral philosophy of Nammyeong is considered to be in the right line like that of Toigye in the book. Third, it highlights very specifically the fact that the moral philosophy of Nammyeong was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later generations, which shows that the moral philosophy of Nammyeong continued to be transmitted in the Gyeongsangwoodo region even after the collapse of Nammyeong School. It particularly stands out that it highlights the fact that the moral philosophy of Yeongname originated in Hoijae, Toigye, and Nammyeong by mentioning Deokcheonseowon, where they held a sacrificial rite for Nammyeong along with Dosanseowon and Oksanseowon and that it realistically depicts the tall and exuberant pine tree near the Ipdeokmun open to the world of Nammyeong's world of moral philosophy as a symbol of his spirit. Finally, it expresses the consciousness of crisis those days when the Deokcheonseowon was demolished by Daewongun's order to abolish Seowons in 1870 and, accordingly, there was no place for the moral philosophy of Nammyeong to depend on. Ipdeokmunbu well shows how one of the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s of Gyeongsangwoodo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re-perceived Nammyeong studies. It was written by the writer to renew his determination to seek morality by inspiring the spirit of Nammyeong at a time when morality was collapsing. It thus specific...

      • KCI등재

        조선시대 士人들의 지리산유람을 통해 본 士意識* -15∼16세기 지리산 유산기를 중심으로-

        최석기 우리한문학회 2009 漢文學報 Vol.20 No.-

        This article is an investigation of the seven person's Sa-awareness(士意識) through analyzing their Mt. Ji-ri Climbing Writings which was written in 15∼16th Century. The two men of Yi, Ryuk and Byun, Sa-jeong's Sa-awareness was not found in Mt. Ji-ri Climbing Writings, however, the rest five scholars' things could be summarized next five peculiar categories; ① A criticism for Buddhism & Shamanism, ② A real world awareness for administrating the state to relieve the people's suffering, ③ A recollections of the history, ④ A self-reflection and cultivating mind, ⑤ awareness upon territorial heritage. Among them, it could be found the Sa-awareness in the writings of Kim, Jong-jik, Nam, Hyo-on, and Kim, Il-son except the category of ④. Moreover, Jeong, Yeo-chang who traveled with his friend Kim, Il-son, he showed us the definite Sa-awareness so I could found easily his own man of virtue features. But in the case of Jo, Sik, it was obviously different from the new rising powers(新進士林) in the categories of ③ and ④. It was influenced from the learning method of moral culture which was the specialty of Taoism in 16th century. But It showed us only ① and ② in the case of Yang, Dae-bak's Sa-awareness, because he had a different character from Yeong-nam province scholars like Jeong, Yeo-chang or Jo, Sik. It is an evidence that there was a disagreement upon Sa-awareness in Yeong-nam and Ho-nam provinces. The category of ② was a peculiar Sa-awareness which showed their own inclination, the real world awareness for administrating the state to relieve the people's suffering could be found in their writings in 15∼16th Century, but it was uncommon in the bureaucrat's works after 17th century. 이 글은 15∼16세기에 생산된 지리산 유산기 9편을 분석하여 7인의 사의식을 살핀 것이다. 작자 7인 가운데 이륙․변사정의 유산기에서는 사의식을 살필 수 없고, 나머지 5인의 유산기를 분석한 결과, ①불교․무속에 대한 비판, ②경세제민의 현실인식, ③역사에 대한 회고, ④자아성찰과 심성수양, ⑤국토산하에 대한 인식이 그 특징으로 드러났다. 이 5인 가운데 김종직․남효온․김일손은 ④를 제외하고는 모두 나타난다. 그런데 김일손과 함께 유람한 정여창은 김종직․김일손보다 더 명확한 사의식을 보이고 있어 도학군자다운 면모를 드러내고 있다. 조식의 경우 다섯 가지가 모두 나타나는데, 특히 ③과 ④에 대한 의식이 앞 시대 신진사림과는 확연히 다르다. 이는 수양론에 치중한 도학자적 사의식을 반영한 것이라 하겠다. 양대박은 ①과 ②에 대한 사의식만 보일 뿐이므로 정여창․조식 등 영남의 도학자들과는 다른 성향을 보이는데, 이 시기 영호남 사인들의 사의식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②의 경세제민의 현실인식은 이 시기 사인들에게서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반면, 17세기 이후 조정에서 파견된 관료들에게서는 드물게 보인다. 따라서 이 점도 이 시기 사인들에게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사의식이라 할 수 있다. 이는 15∼16세기 사림파의 성향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덕천서원의 공간과 명칭에 담긴 의미

        최석기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5 No.-

        이 글은 덕천서원의 공간과 명칭에 담긴 의미를 심도 있게 고찰한것이다. 서원의 공간구성과 공간명칭에는 그 서원에 제향 되고 있는선현의 학문과 사상을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는데, 덕천서원의 경우 남명사상이 공간과 명칭에 깊이 투영되어 있다. 덕천서원의 공간구성 가운데 가장 특징적인 부분이 동재·서재의 앞에 方塘을 만들고, 그 연못에 연꽃과 소나무 한 그루씩 심어놓은 것이다. 방당을 만든 것은 주자의 「觀書有感」에서 취한 것으로, 天人合一을지향하는 정신이 깃들어 있다. 또 方塘에 소나무를 심은 것은 소나무와같이 변치 않는 남명의 志節을 드러낸 것이다. 그리고 방당에 연꽃을심은 것은 진흙 속에 뿌리를 내리고 있지만 언제나 淸香을 잃지 않는연꽃에서 적극적으로 현실정치에 참여하면서도 지조를 잃지 않은 柳下 惠의 모습을 발견한 남명의 현실주의 세계관을 드러낸 것이다. 이를통해 볼 때, 방당은 종합적으로 남명의 出處大節과 隱逸이 아닌 處士로서의 정신지향을 공간에 구현해 놓은 것이다. 공간명칭을 살펴보면, 堂名을 敬義堂이라 하고, 동재·서재의 명칭을사액이 되고 난 뒤 進德齋·修業齋로 바꾸었는데, 이 속에도 각별한 의미가 담겨 있다. 남명선생편년에 ‘남명의 학문은 주역 坤卦 六二爻와乾卦 九三爻에서 터득한 것이 있었다.’라고 하였는데, 이는 곤괘의 ‘敬 以直內 義以方外’와 건괘의 ‘君子 進德修業 忠信 所以進德也 修辭立其 誠 所以居業也’를 가리킨다. 이를 보면 남명은 敬·義와 忠信·修辭를 공부의 두 축으로 중시한 것을 알 수 있다. 덕천서원 경의당과 진덕재·수업재에는 심성수양의 실천을 강조한 남명학의 핵심을 모두 갖추어 놓았다. 문루의 명칭이 幽貞門에서 왜 時靜門으로 바뀌었는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전하는 설이 없다. 그렇지만 여기에도 남명사상이 투영되어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鷄伏堂·雷龍亭 등의 명칭을통해 알 수 있듯이, 남명은 평상시 淵黙 같은 主靜工夫를 위주로 하였으니, 時靜의 의미는 그때그때 수시로 主靜의 涵養을 추구하고자 한 남명의 학문정신을 덕천서원 전체를 포괄하는 문의 이름에 드러낸 것으로보인다. 또한 幽貞의 의미가 현실을 외면하는 듯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현실을 등지지 않은 남명의 정신을 투영하여 바꾼 것으로 추정된다. This paper presents a profound investigation into the meanings of Deokcheon Seowon in its space and title. The space organization and title of a Seowon directly reflects the study and ideology of an ancient sage for whom a sacrificial rite is held there. Deokcheon Seowon has Nammyong's ideology deeply projected onto its space and title. 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parts of Deokcheon Seowon's space organization is the square-shaped pond before Dongjae and Seojae with a lotus flower and pine tree planted there. The idea of making a square-shaped pond derived from Zhu Xi's Thoughts from Reading, seeking after the unity of the Heaven and man. The pine tree planted by the pond represents Nammyong's unchanged integrity like a pine tree. A lotus flower was planted in the pond to show the realistic world view of Nammyong that discovered an aspect of Liu Hsia, who took active part in real politics and yet maintained his fidelity, in a lotus flower that was rooted in mud and yet maintained its noble fragrance.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quare-shaped pond embodies in the space the spiritual orientation of Nammyong in its entirety as Cheosa rather than Chulcheodaejeol and Eunil. As for the space title of Deokcheon Seowon, they called the Dang Gyeonguidang and changed the names of Dongjae and Seojae into Jindeokjae and Sueopjae, respectively, after the Seowon became a Sa-aek. There are also particular meanings in those names. The Chronological Recordings of Master Nammyong tells that "Nammyong's study stemmed from Gongoae Yukihyo and Geongoae Gusamhyo in The Book of Changes," which refers to "Gyeongijiknae Uiibangoi" of Gongoae and "Gunja Jindeoksueop Chungsin Soijindeokya Susaipgiseong Soigeoeopya" of Geongoae. It is thus found that Nammyong put an emphasis on Gyeong·Ui and Chungsin·Susa as two major axes of study. In Deokcheon Seowon, Gyeonguidan and Jindeokjae·Sueopjae contain the core of Nammyong studies that emphasized the practice of body and mind training. There is no clear theory to explain why the name of its gate house was changed from Yujeongmun to Sijeongmun and what meanings the name change had, but it is clear that Nammyong's ideology was projected onto it. As the names of Gyebokdang and Noiryongjeong indicate, Nammyong focused on Jujeong study such as Yeonmuk usually. The meanings of Sijeong suggest that he tried to pursue the cultivation of Jujeong whenever he had the time. The spirit of his study is reflected in the name of the gate house to encompass entire Deokcheon Seowon. In addition, given that the meanings of Yujeong gave an impression that he turned his back away from the world, the name change must have happened to project his spirit of keeping his eyes on reality.

      • KCI등재

        白湖 尹鑴의 중용해석과 그 의미

        최석기 우리한문학회 2019 漢文學報 Vol.40 No.-

        Instead of agreeing with the viewpoint of regarding Yun Hyu's interpretations of 『Jungyong』 as post-Zhu Xi studies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his interpretations of 『Jungyong』 mainly in the aspects of analyzing the structure and figuring out the points, compare them with the old theories of Sipsamgyeongjusobon and Zhu Xi's 『Jungyong Zhangju』 in term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investigate their influential relations and meanings. In the aspect of structural analysis, Yun Hyu's divided the Gobon of 『Jungyong』 into ten chapters and 28 passages in the Jeobon rather than following the theory of dividing it into 33 chapters and four Daejis in 『Jungyong Zhangju』. This structural analysis was compared with the Gobon, and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many passages were independently combined or divided. It was also compared with the division of chapters in 『Jungyong Zhangju』, and the results show that he combined the chapters in throughout his analysis except for two places where he divided the chapters divided by Zhu Xi. The division of chapters by Zhu Xi was different from the division of passages in the Gobon in many aspects, and Yun Hyu accepted his system of dividing chapters rather than the Gobon to divide or combine chapters. Here, Yun Hyu's interpretations had considerable intersections with Zhu Xi's interpretations. In the aspect of figuring out the points, Yun Hyu divided one Daeji defined by Zhu Xi into two chapters. He understood Chapters 1and2 of Daeji as Cheonmyeong and the mean, respectively. He divided Chapter 2 further, figuring out its points as the mean, Bulhaeng, Jigu, Cheonha, and Saekeun. He also divided the second Daeji defined by Zhu Xi into three chapters and understood it as Bieun(Chapter3), Haeongwon(Chapter4), and Munwang(Chapter5). After further division, he figured out Chapter3 as Bieun, Wonin, and Sowui, Chapter4 as Haengwon, Guisin, and Daehyo, and Chapter5 as Munwang, Muwang, and Aegong. He then divided the third Daeji defined by Zhu Xi into four chapters and figured out them as Bakhak(Chapter6), Jaseong(Chapter7), Seongin(Chapter8), and Jungni(Chapter9). Chapter6 was further divided into Bakhak, Jaseong, and Jeonji; Chapter7 into Jaseong, Cheonin, and Cheonji; Chapter8 into Seongin, Jayong, and Samjung; and Chapter9 into Jungni, Jiseong, and Jiseong. Yun Hyu regarded Chapter33 under the fourth Daeji defined by Zhu Xi and Chapter10 and understood the Daeji as Sanggyeong. These ways that Yun Hyu figured out the points were different from the ways that Zhu Xi understood Daeji based on the mean, Bieun, Cheondo and Indo. Yun Hyu focused on the events of people rather than metaphysical mean, Bieun, and Cheondo and placed importance on cultivating Indo and combining it with Cheondo.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Yun Hyu's interpretations of 『Jungyong』 accepted considerable parts of chapter division in 『Jungyong Zhangju』 in terms of structural analysis and embraced Zhu Xi's theories in many parts to figure out the points. He further divided chapters and passages according to Bundaejeol to figure out Daeji unlike Zhu Xi's interpretations and focused on Indo and thus Sacheonwuigijihak, but a look into his interpretation patterns in details shows that he accepted Zhu Xi's theories or found his grounds in them for many of the core propositions including Cheonmyeong, Junghwa, mean, Bieun, Seong, Cheondo&Indo, and Inshim&Dosim. It is thus apparent that Yun Hyu's interpretations of 『Jungyong』 had considerable intersections with Zhu Xi's theories and accordingly did not deviate from Zhu Xi's interpretations. 이 글은 尹鑴의 『중용』해석에 대해 구조분석과 요지파악의 측면에서 십삼경주소본의 구설 및 주자의 『중용장구』와 상호 비교하여 同異點를 분석한 뒤, 그 영향관계와 의미를 논구한 것이다. 구조분석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윤휴는 『중용장구』의 33장 체제 및 4대지로 나누어 보는 설을 따르지 않고, 고본 「중용」을 저본으로 10장 28절로 分章·分節하였다. 이러한 구조분석은 고본과 비교해 본 결과 독자적으로 合節하거나 分節한 것이 다수 드러난다. 또 『중용장구』 분장과 비교해 본 결과, 주자가 나누어 놓은 章을 分章한 경우는 2곳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모두 合章한 것이다. 주자의 분장은 고본의 분절과 다른 점이 많은데, 윤휴는 고본보다는 주자의 분장체계를 수용하면서 分章 또는 合章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윤휴의 해석은 주자의 해석과 교집합에 해당하는 부분이 상당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요지파악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윤휴는 주자가 제1대지로 본 것을 2장으로 나누어 대지를 제1장은 天命, 제2장은 中庸으로 파악하고 다시 세분하였다. 다음 주자가 제2대지로 본 것을 3장으로 나누어 대지를 費隱(제3장)·行遠(제4장)·文王(제5장)으로 파악하고, 다시 이를 세분하였다. 다음 주자가 제3대지로 본 것을 4장으로 나누어 대지를 博學(제6장)·自成(제7장)·聖人(제8장)·仲尼(제9장)로 파악하고 이를 다시 세분하였다. 주자가 제4대지로 본 제33장을 윤휴는 제10장으로 보고 그 대지를 尙絅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윤휴의 요지 파악은 주자가 中庸, 費隱, 天道·人道를 말한 것으로 대지를 파악한 것과 다르다. 곧 윤휴는 형이상학적인 중용, 비은, 천도보다는 사람의 行事에 주안점을 두고서 인도를 닦아 천도에 합하는 점을 중시하고 있다. 이처럼 윤휴의 『중용』해석은 구조분석에서 상당 부분 『중용장구』의 분장을 수용하고 있으며, 요지파악에 있어서도 주자의 설을 수용한 것이 다수 있다. 비록 分大節에 따른 대지파악은 주자의 해석과 달리 세분화하였고, 또 人道에 초점을 맞추어 事天爲己之學에 중점을 두었지만, 세부적인 해석양상을 들여다보면 天命·中和·中庸·費隱·誠·天道人道·人心道心 등 핵심명제에 대해서도 상당 부분 주자의 설을 수용하거나 근거로 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윤휴의 『중용』해석은 주자의 설과 교집합에 해당하는 부분이 상당히 많다. 그러므로 윤휴의 『중용』해석은 주자의 해석에서 벗어난 것이 아니고 일정 부분 수용하면서 독자적 시각으로 새롭게 의리를 발명한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