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한 위장관염과 동반된 양성경련의 임상 증상 및 예후

        최서희(Seo Heui Choi),서은숙(Eun Sook Suh) 대한소아신경학회 2007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5 No.1

        Purpose : Benign Convulsions with mild Gastroenteritis(CwG) were first reported in Japan by Morooka in 1982. The condition is recognized as a distinct clinical entity. It is characterized by previously healthy infants and young children aged 6 months to 3 years having afebrile brief generalized tonic-clonic convulsions between the first and the fifth sick days of viral gastroenteritis usually in winter. The patients are less than 5% dehydrated and the seizures tend to occur repetitively over several days with no eleptic discharges in the interictal electroencephalograms. The tests for rotavirus antigens in stool are frequently positive and other laboratory results are normal including cerebrospinal fluid, serum electrolytes and blood glucose. Also, they are known to have a good prognosis. The study intends to compare the clinical symptoms of CwG with normal body temperature and with high body temperature because mild gastroenteritis can induce fever. Methods : The subjects were 42 patients diagnosed as GwG, who were admitted to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May 2003 to March 2006. A Cohort study was performed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n terms of frequency, sex, age, monthly distribution, body temperature, days in hospital, seizure tups and duration, number of convulsions in one gastroenteritis period, family history, past history, and other symptoms of gastroenteritis. Results :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with gastroenteritis in the period were 635 and only 42(6.6%) patients were diagnosed as CwG. The mean age was 17.1±4.7 months, and it commonly occurs in winter. the typical symptoms of gastroenteritis were vomiting and diarrhea with 34(81.0%) patients having both symptoms simultaneously. Less vomiting and more diarrhea were noticed after seizure. Rotavirus antigens were positive in 18(51.4%) patients, and the number of seizures was 2.0±1.3 times during one gastroenteritis period. There were found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age, sex, days in hospital, seizure types and duration in those groups with and without fever and of pisitive and negative rotavirus antigens. Conclusion : CwG was defined as nonfebrile convulsions with gastroenteritis until nowadays, but there a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febrile and nonfebrile CwG. Therefore, febr ile seizures with gastroenteritis can be included in the same category of CwG. 목 적 : 급성 위장관염에 동반된 양성 경련은 이전의 경련성 질환의 병력이 없었던 6개월에서 3세 사이의 건강했던 소아에서 전해질, 혈당, 뇌척수액검사, 뇌파 검사에서 이상 소견 없이 장염증상에 동반되어 발생하는 무열성 경련을 의미해 왔으며, 예후가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1, 2). 그러나 Cho 등3)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추적 관찰한 도중 급성 위장관염에 동반된 양성 경련을 겪은 환아들 중 2.4%에서 열성 경련을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으며, Lee 등4)은 23.9%의 환아에서 경련 전 후 발열이 동반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발열이 없는 무열성 경련만을 그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무열성 경련으로만 분류되어 왔던 급성 위장관염에 동반된 양성 경련에서 발열이 동반된 장염을 겪은 환아군들도 그 대상으로 포함하여 임상적 특징을 비교하고, 발열과 동반된 열성 경련으로의 진행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5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순천향대학교병원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에서 위장관염증상과 함께 경련을 동반하여 입원 치료받은 환아 중 과거 신경질환이나 발달 이상의 병력이 없었던 환아 42례를 대상으로 성별, 평균 연령, 월별 발생분포를 조사하였고, 경련의 과거력 및 가족력, 발열 유무와 발열 기간, 평균 재원기간, 경련 양상과 경련 지속기간, 한번의 위장관염 시기동안 경련의 반복 횟수, 위장관염의 증상과 경과에 대해 의무기록을 통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 과: 연구 기간 동안 급성 위장관염에 동반된 양성 경련은 총 635명 중 42명(6.6%)이었으며, 연령은 5개월에서 26개월(평균 17.1±4.7개월)사이였고, 겨울에 호발하였다. 위장관염은 구토와 설사를 동반하는 경우가 34례(81.0%)였으며, 경련 이후 구토는 감소하고 설사는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로타바이러스는 검사를 시행한 35례 중 18례(51.4%)에서 양성으로 장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었다. 한번의 위장관염을 앓으면서 발생한 경련의 평균 횟수는 2.0±1.3회였다. 발열군과 정상 체온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와 로타바이러스 양성군과 음성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각각에서 발생 연령, 성비, 평균 재원일수, 경련 형태, 평균 경련 회수, 발열이 동반된 환아 비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급성 위장관염과 동반된 양성 경련은 무열성 경련의 범주로 생각하였으나 경한 발열이 동반된 경우에도 발열이 없는 경련과 유사한 임상 양상 및 예후를 보여 발열이 있으면서 급성 위장관염과 동반된 양성 경련 역시 경한 위장관염과 동반된 양성 경련의 범주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임상 ; 생존한계인 재태연령 24주 이하 초미숙아의 분만장내 심폐소생술

        최서희 ( Seo Heui Choi ),서현주 ( Hyun Joo Seo ),유혜수 ( Hye Soo Yoo ),안소윤 ( So Yoon Ahn ),장윤실 ( Yun Sil Chang ),박원순 ( Won Soon Park )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2

        목적: 본 연구는 단일 기관에서 초극소저출생체중아에게 자극을 최소화하며, 생징후의 빠른 안정화를 유도하기 위해 본원에서 고안된 변형된 분만장 심폐소생술을 통해 적극적인 심폐소생술을 시행함으로써 그 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9년간 삼성서울병원에서 출생하여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였던 재태주수 24주 이하의 초극소 저체중출생아 128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변형된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62명의 환아에 대한 생존율, 시행한 분만장 심폐소생술의 정도, 아프가점수, 신생아 집중치료실까지 도착하는데 걸린 시간, 보육기 내로 안정화 할 때 까지 걸린 시간, SNAPPE-II score를 이용한 중증도, 초기 생징후, 초기 혈액 가스 분석 결과를 조사하여, 기존의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66명과 비교하였다. 결과: 변형된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환아의 생존 퇴원율은 고식적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환아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66% vs. 47%, P=0.034), 마스크를 이용한 양압환기가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며(29% vs 97%, P<0.001), 보육기까지 안정화한 시간이 짧았고(81±25 min vs 138±50 min, P<0.001), 1분과 5분 아프가 점수가 의미있게 호전되었다(1`: 3.9±1.5 vs 2.6±1.3, P<0.001, 5`: 6.6±1.7 vs 5.4±1.8, P<0.001). 결론: 재태주수 24주 이하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시행한 변형된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결과 생존율이 향상되었으며, 1분 및 5분 아프가 점수의 개선 효과가 있었다.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odified neonatal resuscitation program (M-NRP) which intends to keep minimal handling, to stabilize initial vital signs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ELBWI) in Samsung Medical Center, NICU. Methods: Medical records of 128 ELBWI with gestational age (GA) ≤24 weeks who had been admitted to the NICU of SMC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8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data of these patients with M-NRP (n=62) were compared with those with classic NRP (C-NRP) (n=66). Results: These patients who received M-NRP had significantly higher in survived discharge rate (66% vs 47%, P=0.034), lower in mask ventilation (29% vs 97%, P<0.001), shorter incubator-in time (81±25min vs 138±50min, P<0.001), and higher 1`/5` APGAR score (1`: 3.9±1.5 vs 2.6±1.3, P<0.001, 5`: 6.6±1.7 vs 5.4±1.8, P<0.001) than those who received C-NRP. Conclusion: Improvement in survived discharge rate and 1`/5` APGAR score were noted in M-NRP group compared to C-NRP group in the management of GA ≤24 weeks ELBWI.

      • KCI등재후보

        응급실을 방문한 소아청소년 뇌전증지속증 환자의 임상적 특징 및 날씨와의 관계

        박수진(Su Jin Park),김영선(Yeong Sun Kim),진미현(Mi Hyeon Jin),최서희(Seo Heui Choi),김성훈(Sung Hoon Kim),이주석(Ju Suk Lee),김철홍(Cheol Hong Kim),이준화(Jun Hwa Lee) 대한소아신경학회 201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4 No.3

        목적: 응급실로 내원하는 소아청소년 뇌전증지속증(Status epilepticus)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임상 결과를 조사하고, 아울러 이 환자들이 응급실로 내원하는 빈도와 날씨와의 연관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삼성창원병원 응급실로 내원한 뇌전증지속증환자 중 만 19세 미만의 소아청소년 환자 81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소아청소년 뇌전증지속증 환자의 원인, 발작 지속 기간, 발작 형태, 사용한 항뇌전증 약물 수 및 임상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령에 따른 그룹에서 임상적인 특징이 차이가 나는지 Kruskal-Wallis 검정을 이용하여 비교하고 날씨와 뇌전증지속증 환자의 응급실 방문과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해 Chi-square 검정과 Mann-Whitney U 검정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창원시의 19세 미만 소아청소년 뇌전증지속증 환자의 10만명 당 연간 발생률은 최소 2.9명으로 추정되었다. 81명의 환자 중 48명(59.3%)은 난치성 간질지속증 환자였다. 7세 이하에서는 열성 뇌전증지속증이 가장 흔한 원인이었고, 7세 이상에서는 특발성 뇌전증지속증이 가장 흔한 원인이었다. 전신형 발작(88.9%)이 가장 흔한 발작 형태였고, 사망률은 4.9%, 신경학적 후유증이 새로 생긴 경우는 3.7%였다. 날씨와 간질지속증의 연관성 분석 결과, 가을에 뇌전증지속증으로 환자가 내원한 날이 그렇지 않은 날에 비해 기압이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소아청소년 뇌전증지속증 환자는 2-6세군에서 전신형 발작형태가 가장많았으며, 이전에 알려진 연구와 비교할 때 난치성 뇌전증지속증은 높은 비율을 보였고, 새로 생긴 신경학적 후유증의 발생률은 낮았다. 또한, 날씨 중에서도 기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pediatric status epilepticus (SE) patients visiting the emergency room an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pediatric SE and the weather factor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81 pediatric (〈19 years of age) SE patients visiting the emergency room (ER) of Samsung Changwon Hospital from January 2005 to June 2016. We analyzed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etiology, duration of seizure, seizure type, use and number of antiepileptic drugs, and outcomes on visiting the ER in pediatric SE patients.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pediatric SE and weather factor such as temperature (℃), diurnal temperature range (DTR) (℃), and atmospheric pressure (AP) (hPa).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were the Chi-square test and Mann-Whitney U test. Results: We estimated that the annual incidence of pediatric SE in Changwon City is at least 2.9 per 100,000 children per year. Febrile SE was the most common etiology for patients under 7 years and idiopathic SE was the most common etiology in patients over 7 years. The most common type of seizure was generalized convulsive type (88.9%). The mortality rate was 4.9% and new neurological sequelae occurred in 3.7% of cases. Additionally average AP and minimum AP on present SE day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o SE day. Conclusion: Our study indicates that there was a high rate of refractory SE and a lower rate of new neurologic sequelae than previously reported. Also we found significant relationship observed between pediatric SE and AP especially average AP and minimum AP.

      • 라세믹 에피네프린 흡입치료로 호전된 성대문연축 1례

        최서희,박경배,박준수,김영창 순천향의학연구소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2

        Laryngospasm can occur during induction of anesthesia, especially with inhalational anesthetics, up to 2% of all anesthetic inductions in children younger than age 9yr and is half as common in older patients. When laryngospasm occurs, it can be relieved during induction of anesthesia by deepening the anesthetic, muscle relaxation with succinylcholine, or constant positive airway pressure. A prior history of stridor increases the likelihood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tridor may be severe enough post laryngoscopy to require intubation. In this case, racemic epinephrine aerosols would be a effective therapy. We experienced a case of laryngospasm which is treated by racemic epinephrine aerosol. The patient's mother had smoking history, laryngomalacia was revealed on larnygoscopy. By the way, unfortunally, laryngospasm was developed on the diagnostic laryngoscopy. It was reluctant to treatments of epinephrine intramuscular injection or dexamethasone. We decided to use the racemic epinephrine aerosols including beta-agonist or budesonide alternatively, and his respiratory distress was resol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