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후두 미세 수술 후 양성 성대 병변 환자의 예후

        최병길,김병준,최효근,박범정,Choi, Byung-Gil,Kim, Byeong-Joon,Choi, Hyo-Geun,Park, Bum-Jung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18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29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patients' subjective and objective outcomes after laryngeal microsurgery for benign vocal fold (VF) lesions, and to identify usefulness of surgical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 The authors reviewed the 102 patients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who received laryngeal microsurgery for benign VF lesions from January 2013 to August 2017. Subjective voice were measured using the Voice Handicap Index (VHI). Objective voice were recorded with 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 (MDVP) just before surgery, and after at least 3 months of surgery. Results : Benign VF lesions were categorized as VF nodule (n=34, 33%), VF Polyp (n=47, 26%), Intracordal cyst (n=15, 15%), Reinke's edema (n=6, 6%), and VF Papilloma (n=2, 2%). Post-operative voice assessment at VHI scor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s in all of functional, physical and emotional parts (p<0.001). MDVP wer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Jitter (P=0.001), Shimmer (p<0.001) and Noise to Harmonic Ratio (NHR) (p=0.001). Conclusion : Laryngeal microsurgery for benign vocal fold lesions is effective treatment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t subjective and objective vocal quality assessment.

      • 선형구배 응력장에서 표층의 잔류응력 측정에 관한 연구

        최병길,전상윤,이택순 대한기계학회 1992 대한기계학회논문집 Vol.16 No.9

        본 연구에서는 방전가공(electric disharge machining, EDM) 또는 공기연마 분사기(air-abrasive jet machine, AJM) 가공에 의하여 인장 시험편 또는 외팔보 시험 편에 구멍깊이를 증가시켜 가면서 구멍을 뚫었다. 여기에서 방저가공(EDM)을 채택한 것은 구멍깊이를 직접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여 구멍깊이 측정 오차에 기인하는 잔류응 력 측정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이며, 공기연마 분사기를 채택한 것은 구멍을 뚫는 동안 가공응력을 유발시키지 않기 때문이었다. 위 인장 시험편 또는 외팔보 시 험편을 이용하여 균일한 응력장과 두께 방향으로 변하는 선형적 구배응력장을 구현하 고, 이 때 각각 구멍깊이가 다른 원통형 막힘 구멍으로 부터 이완되는 스트레인을 계 측하였다. Schajer가 제안한 멱급수법과 최소장승법을 적용하여 균일응력장 또는 구 배 응력장에서 측정되는 스트레인을 잔류응력으로 환산하였으며, 환산된 잔류응력과 실제로 작용하는 응력을 비교하므로서 이론적으로 제시된 멱급수법과 최소자승법의 타 당성을 실험적으로 검토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때 얕은 구멍깊이 (0.3∼ 1.2mm)에서 측정되는 스트레인을 이용하여 Schajer의 제안에 따라 잔류응력을 산정하 므로서, 잔류응력 계측 대상 구조물을 가급적 덜파괴시키며 잔류응력을 측정할 수 있 는지 여부를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When a blind hole of small diameter is drilled in the field of residual stress, strain relieved around the hole is function of magnitude of stress, patterns of stress distribution and hole geometry of diameter and depth. Relieved strain coefficients can be calculated from FEM analysis of relieved strain and actual stress. These relieved strain coefficients make it possible to measure residual stress which vary along the depth in the subsurface of stressed material. In this study, the calibration tests of residual stress measurement are carried out by drilling a hole incrementally on the cantilever or on the tensile test bar. Residual stresses can be determined from measured strains around a shallow hole by application of power series method. For the sake of reliable measurement of residual stress, much efforts should be done to measure relieved strains and hole depth more accurately comparing with conventional procedures of gage subject to the external load. Otherwise linear equations converting strains into stresses may yield erratic residual stresses because of ill-conditions of linear equations. With accurate measurements of relieved strains, residual stress even if varying along the depth can be measured.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residual stress in the thin film of material by drilling a shallow hole.

      • KCI등재후보

        엔트로피 이론에 의한 스미스슨 조각 해석

        최병길 범한철학회 2003 汎韓哲學 Vol.31 No.-

        Interpretation of Robert Smithson's Sculpture by Entropy Theory 문】스미스슨의 엔트로피 이론은 시간의 변화하는 역사적 양극인 먼 과거와 먼 미래를 언급함으로써 유럽의 미술양식을 미국화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한다. 그의 지적 도전은 공간적이지 않고 시간적이다. 그리고 그는 생물학적 비유를 미술사에 부적합한 것으로 간주하며, 추상 표현주의에 잠재하는 인간변형주의도 비판한다.그의 이론의 주요 대상은 나선형이다. 그는 시간을 자신 예술의 주요한 주제 중 하나이자 자신의 가장 중요한 매체 중 하나로서도 취한다. 그에게 있어 시간은 결코 비 실체적 추상이 아니라 항상 만져볼 수 있는 구체적 실재이다. 따라서 그의 대표작인 <나선형 방파제>는 공간과 시간을 통하여 계기적 흐름을 가진 경험으로써 역사적 공식을 대신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러한 계기적 흐름의 이미지를 통하여 조각은 정적이고 관념화된 매체로부터 시간적이고 물질적인 매체로 변형되었다. 그는 그러한 나선형 형태를 이용하여 성장과 파괴라는 수많은 연상들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유도해낸 것이다. 오웬스는 그의 조각을 우의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는데, 그 작품이 환경에 물리적으로 병합된 것처럼 보인다고 주장한다. 그는 더 나아가 환경의 지형적 특이성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관람자의 정신적 반향도 대지에 대한 스미스슨의 특별한 해독에 관계한다고 주장한다. 오웬스는 지속되지 않는 특별한 장소에 설치된 대지-특수성 작품이 무상하다고 보았다. 그러한 점에서 그 조각이 사진으로써만 보존될 수 있을 뿐인데, 오웬스는 이점에 착안하여 사진예술의 우의적 잠재력을 강조하고 있다. 오웬스는 스미스슨의 <나선형 방파제>가 바르트, 레리스, 데리다 등의 이론들과 유사성도 갖고 있다고 말한다. 스미스슨은 언어를 단단하고, 완고하며, 3차원적인 투영으로 간주함으로써 언어를 관념이 아닌 물질로 보고 있다. 더불어 그는 세계를 하나의 거대한 텍스트로 간주하므로 기록된 텍스트를 마치 자신의 작품처럼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 것으로 간주한 것이다. 그는 언어가 문자적 의미화와 비유적 의미화 사이에서 작용한다고 보았는데, 그것은 언어를 항상 발전하는 과정으로 보는 견해이다. 그리고 스미스슨의 작품에서 가장 두드러진 측면 중 하나는 역설적으로 숭고에 대한 낭만주의적 환기를 창조하기 위하여 반 낭만주의적, 반 숭고적 자세를 강력하게 활용하는 방식이다. 그의 작품에서 숭고는 무의미한 인간 현존과 관련지어 구조화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인 범 한 철 학 회 논 문 집『범한철학』제31집 2003년 겨울

      • KCI등재

        크라우스의 연극성 비판과 후기구조주의 조각비평의 전개

        최병길 범한철학회 2009 汎韓哲學 Vol.53 No.2

        I argued that Krauss's post-structuralist sculpture critique was begun with the criticism of the concept of theatricality. For both her and Fried, the criticism of that concept was on the literal characteristics of minimalist sculpture. It was to criticize that literalism induces the audience to recognize sculptures not by a transcendental way, but by a theatrical way. At first, Fried observed the literalist artworks from the viewpoint of contrast between shape and objecthood. Here his argument was that it has to lay stress upon the concept of theatricality by protecting the objecthood. Thus he said that the way that the artwork recovers the original feature is to return to the original shape the artwork has. And he said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presence and presentness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the objecthood of minimalist sculpture. Presence is related to theatricality, a self-consciousness to require for attending to the situations of contemplation, whereas presentness is connected with the constant present, a condition that art has to aspire for. Thus he argued minimalist sculpture pursued for presence so that it lost the importance of original quality and concept of value of the artwork. But on the other hand, he equivocated the point of his argument by saying that such an ideal presence also discloses the characteristic of minimalism. Krauss took on a sceptic attitude for such Fried's criticism of the concept of theatricality. She raised an objection against the concept of presentness that Fried suggested as the characteristic of modernist sculpture. She regarded presence as the grace of God rather than him, and suggested a frame, structuralism, as its alternative. By suggesting a structuralistic method such as Greimas's diagram, she rejected the autonomy of artwork, and attempted to transform its temporal development into spatial structure. She saw that it would be possible for translating the vocabulary of art history into the structuralist term. She admitt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art through that diagram, but was put into a dilemma that she has to supplementarily explain the reason in a historical way. She could not help causing a friction with the artist's desire to create in the course of explanation. For the Greimas's diagram appeals to the structure of a text, and comes to be fallen into the state of impersonalization. It was to negate an appeal to the artist's desire to create that has been traditionally protected. She indicates it as inaccurate when raising the arbitrariness of this tradition. In addition, she rejected a historical definition of art and suggested an ahistorical one, judging that there is a danger that the structuralist analysis can be as arbitrary as historical narratives. Therefore she, as an alternative of the structuralist theory, came to suggest the semantics and the formless theory. She tried to stand away from an appeal to the artist's desire to create through a suggestion of art history to accept the level that the sign and social structure excel the capture of the individual. Through a development of such poststructuralist art criticism, she prepared a basis enough to criticize the sculptures in the 1990s. In particular, she advised to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sculptures under the connection of text with context by accepting G. Bataille's formless theory, and attempted to overcome dualism with a pursuit of the concept of materialism. In recent times, such an attempt got results in developing a new approaching method to project the boundary of sculpture into that expanded culture, by positively accepting diversity of the postmodern culture. 캐리어는 크라우스의 후기구조주의 조각비평의 시발점을 미니멀리즘 조각의 직역주의적 특성인 연극성 개념을 비판했던 프리드의 관점에 두었다. 그것은 조각의 대상성을 주장했던 방식에 대한 이의제기로서 직역주의는 관람자를 초월적인 방식이 아니라 연극적인 방식으로 지각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저급한 단계로 강등시킨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는 작품의 대상성보다는 형상의 구현이 초점을 맞추었는데, 그것이 바로 그 작품이 지니고 있는 본래의 모습으로 되돌아가는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는 미니멀리즘 조각이 추구했던 대상성이 현전성을 추구함으로써 미술작품의 본래적 특질과 가치 개념의 중요성을 상실했다고 보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현전성의 특징도 거론함으로써 자신의 논지를 흐리게 했다. 크라우스는 바로 이러한 프리드의 연극성 개념 비판에 대하여 반론을 제기했다. 그녀는 오히려 현재성을 신의 은총으로 간주하면서 개개의 작품들은 미술사 속에서 위치가 설정되어야만 한다는 확신 아래서 구조주의라는 하나의 틀을 제시했다. 그레마스 도해와 같은 구조주의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미술작품의 시간적 발전을 공간적 구조로 전환시키고자 했다. 그 결과 미술의 역사적 발전은 용인할 수 있었지만, 그 이유를 역사적으로 보충 설명해야만 하는 딜레마에 빠졌다. 그런데 그레마스 도해는 텍스트의 구조에 호소하는 것으로서 비개성화의 상태에 빠지기 때문에 그녀는 그 설명의 과정에서 예술가의 창작 욕구와 마찰을 빚을 수밖에 없었다. 아울러 그녀는 역사적인 화술만큼 구조주의 분석도 임의성을 띨 위험성이 있다는 판단 아래서, 미술의 역사적인 정의를 거부하고 비역사적인 정의를 제시하기에 이르렀다. 그녀가 구조주의 이론의 대안으로서 기호학과 무형식성 이론을 제시했던 이유이다. 그것은 예술가의 창작 욕구에 대한 호소를 피할 수 있게 했으며, 그러한 후기구조주의 미술비평의 전개를 통하여 1990년대 조각작품을 평가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특히 그녀는 바타이유의 무형식성 이론을 수용하여 당대 조각작품의 특성을 텍스트와 콘텍스트의 연관성 속에서 고찰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의 물질주의 개념을 추종하여 이원론을 극복할 수 있었다. 그러한 시도는 현대에 이르러 포스트모더니즘 문화의 다양성을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조각의 영역을 그 확장된 문화 속으로 투영하는 새로운 접근방식을 전개하게 된 것이다.

      • KCI등재

        A Study of Damage District Forecast by Combine Topograph Modeling of Insular Areas Using GIS

        최병길,나영우,안순명 한국측량학회 2017 한국측량학회지 Vol.35 No.2

        Natural disasters caused by climate change are increasing globally.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for predicting damages in the island area due to sea level ri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amage prediction analysis method using the GIS which can quantitatively analyz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ause and status of sea level rise, quantify the vulnerability index, establish an integrated terrestrial modeling method of the ocean and land, and establish a method of analyzing the damage area and damage scale due to sea level rise using GIS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damage prediction figure was studied. In order to extract the other affected areas to sea level rise are apart of the terrain model is generated by one requires a terrain modeling of target areas are offshore and vertical reference system differences in land, found the need for correction by a tidal observations and geoid model there was. Grading of terrain, coastline erosion rate, coastal slope, sea level rise rate, and even average by vulnerable factors due to sea level rise indicates that quantitative damage prediction is possible due to sea level rise in the island area. In the case of vulnerable areas extracted by GIS, residential areas and living areas are concentrated on the coastal area due to the nature of the book area, and field survey shows that coastal changes and erosion are caused by sea level rise or tsunami.

      • KCI등재

        도보관광지 이미지와 지각된 가치가 관광자만족에 미치는 영향 - 제주올레길과 지리산둘레길을 중심으로 -

        최병길,이영관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7

        Walking tourism is becoming a popular alternative tourism in Korea.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value and visitor satisfaction in the context of walking tourism. This study was to test the influences tourist destination image and perceived value of walking tourism destinations on visitor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42 visitors who visited Jeju Ole Road and Jirisan Mountain Dule Road, the most two popular walking tourism destination in Korea, on November 2010. Results of a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ut of the three dimensions of the walking tourism destination image(i.e, tourism facility, tourism attraction, and tourism environment), only tourism attrac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visitor satisfaction, even tough all two factors of walking tourism destination perceived value(emotional value and economical value) made significant effects on the tourists' satisfaction. Moreover, results showed that overall the tourism destination image turned out to have an influence on the perceived value. This study also made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based on the findings. 본 연구는 대표적인 슬로우 투어리즘인 도보관광에 대한 연구로 도보관광지를 방문한 관광객의 만족에 관광지 이미지와 지각된 가치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한 데이터는 2010년 11월 제주올레길과 지리산 둘레길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242부의 유효표본을 확보한 후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도보관광지의 이미지가 관광객의 만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는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에 영향을 주는 두 변수(관광지 이미지, 지각된 가치)의 관계는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도보관광의 활성화를 위하여 연구결과를 토대로 몇가지 이론적․실무적 사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오웬스의 '우의' 이론과 포스트모더니즘

        최병길 범한철학회 2003 汎韓哲學 Vol.28 No.-

        Craig Owens has examined the characteristic of postmodern culture having appeared from the late 1960s. He has determined the phenomenon as a transfer from nature to culture and from history to narrative, on the basis of theory of `allegory`, not being largely illuminated in the history of aesthetics or philosophy. His theory of `allegory` explains us the reason that allegory has not been the essence of a work of art in Romanticism or Symbolism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of Modernism, and that it is not applicable for the postmodern culture. He also has argued that appropriation, site specificity, impermanence, accumulation, discursivity, hybridization, eclecticism or fin-de-sie`cle phenomenon appearing in the postmodern art can be interpreted not by a uniform canon of Modernism, but only by his theory of `allegory.` He has classified such various art forms into three ones, i.e. image appropriation art, site specificity art and conceptual art. And he, in interpreting such art forms, has utilized various literary or philosophical theories such as deconstructive narrative theory by Derrida or semiotics by Saussure, etc. not by simple art theories. Therefore his theory of `allegory` seems to have spread a horizon of another methodology in interpreting the general, fin-de-sie`cle phenomenon which is contained in the whole postmodern cultures. 오웬스는 1960년대 말부터 나타난 포스트모던 문화의 특성을 규정하고자 `우의` 이론을 바탕으로 자연에서 문화로, 역사에서 담론으로의 전이 현상을 제시하였다. 그의 `우의` 이론은 모더니즘의 낭만주의나 상징주의에서 우의가 예술작품의 본질이 되지 못한 이유를 설명하고, 나아가 그것이 포스트모던 문화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는 또한 포스트모던 미술에서 나타나는 전유, 대지 특수성, 비영속성, 추론성, 교잡, 축적, 절충주의 형식도 그러한 획일적 규준이 아닌 자신의 `우의` 이론을 통해서만 해석이 가능하다고 했다. 그는 그 다양한 미술형식을 세 부류, 즉 이미지 전유 미술, 부지 특수성 미술과 개념미술로 분류하였다. 그는 그러한 미술형식들의 해석에 있어서 단순한 미술 이론들만이 아닌 데리다 등의 탈구조주의 화술 이론 흑은 소쉬르 기호학 등 다양한 문학, 철학 이론들과의 제휴를 시도하였다. 따라서 그의 `우의` 이론은 전반적인 포스트모던 문화가 가지고 있는 총체적, 세기말적 현상을 해석하는 또 다른 방법론의 지평을 전개했다고 보여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