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미한인 여성시 연구

        최미정(Choi, Mi-Jeo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7 No.-

        본 연구는 뉴욕 지역을 중심으로 한 재미한인 여성시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통해 이 지역 시문학의 특징과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뉴욕지역 시문학은 문단형성 초기부터 지금까지 여성시인들이 주도해 왔다. 본고에서는『뉴욕문학』이 발간된 1991년을 기점으로, 이전에 도미하여 활동을 시작한 여성 시인들을 1세대로, 이후 활동하고 있는 시인들을 2세대로 분류하였다. 1세대에 속하는 곽상희, 김정기, 김송희, 최정자, 2세대에 속하는 조성자, 신지혜, 안영애, 복영미 시를 중심으로 여성시의 특징과 의미를 고찰했다. 이들은 한편으로는 이민자 여성이라는 공통된 정서를 공유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각 시인마다 조금씩 다른 세계인식과 정체성을 보여준다. 뉴욕 지역 여성시의 특징은 크게 ① 낯선 공간에서 유폐의 경험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강하게 표출하고 있다는 점, ② 어머니이자 시인이라는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 ③ 노동의 체험과 타자 의식을 보여준다는 점, ④ 노마디즘적 사유와 탈영토성을 통해 변화하는 정체성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여성시인들의 시작품의 내용은 이민 동기나 시기에 따라 그 양상이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대체로 이민 초기에는 주로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이방인의식이 시적 주제로 자리잡고 있으며, 미국과 한국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경계인으로서의 소외 의식, 그리고 시간이 흐를수록 미국을 제2의 고향으로 여기는 정착민으로서의 의식을 보여준다. 1990년대 이전 도미한 1세대 여성시인들은 대부분 적응과 정착의 과정을 혹독하게 겪으면서 그와 비례하여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절절하게 드러낸다. 이에 비해 한인사회가 정착의 단계인 90년대에 이주하여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조성자, 신지혜는 선배 시인들에 비해 미국 사회에 수월하게 적응해 가는 모습을 보이며 세계인식과 정체성 문제에 대해서도 민족과 혈연을 넘어서고자 하는 열린 시각과 정체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민 1세대 여성시가 광복 이후 지금까지 뉴욕 시문학의 흐름을 주도해 왔다면, 이후 세대의 여성시는 앞으로 뉴욕시문학의 변화와 발전을 가늠하게 해주는 척도로 삼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Korean American women`s poetry in New York area. New York area poetry has been led by women poets from the very beginning of the paragraph. In this paper, set the starting point of "New York Literature" in 1991, and classified the poets who had started their activities in the past as a first generation, and poets who have been active since then, as second gener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women`s poetry were examined by focusing on Kwak Sang-hee, Kim Jung-ki, Kim Song-hee, and Choi Jeong-ja in the first generation, Jo Seong-Ja, and Shin Ji-hye, An Young-ae, Bok Young-mi in the second generation. On the one hand, they share a common sentiment of immigrant women, while on the other they show a slightly different world recognition and identity for each poet.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poetry in New York area are as follows: ① they express the nostalgia for their experience and home in a strange space, ② that they reveal their identity as a mother and a poet, ③ they show the experience of labor and other consciousness, and ④ shows the changing identity through Nomadistic thought and de-territorialization. Although the content of the prototypes of female poets differ slightly depending on the motive and timing of immigration, in the early days of immigration, mainly the nostalgia for their hometowns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Gentiles have become a poetic theme, and the alienation ceremony, And as time passes it shows consciousness as a settler who regards America as their second hometown. In the 1990s, most of the first-generation women poets have been harsh with the process of adaptation and settlement, revealing the nostalgia for their hometowns. Jo Seong-Ja and Shin Ji-hye, who are doing their work in the 1990s as a settlement stage, are adapting easily to American society compared to their predecessors. They also show that they are able to overcome ethnicity and race, It shows the open vision and identity to overcome. If the first generation of immigrant women has been leading the flow of New York poetry since the liberation, it is meaningful that second generation of women`s poetry can be used as a measure of future change and development of New York poetry.

      • KCI등재

        비정규직 유아 특별활동 교사의 상대적 박탈감, 직업정체성, 교사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연구

        최미정 ( Choi Mi-jeong ),김용미 ( Kim Yong-mi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해 비정규직 유아 특별활동 교사의 상대적 박탈감, 직업정체성,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수원, 화성, 안산, 용인, 이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서 특별활동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교사 201명에게 관련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먼저 상대적 박탈감의 하위요소가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지적 박탈감, 감정적 박탈감, 행동의도 박탈감 모두 직업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유아 특별활동 교사의 상대적 박탈감의 하위요소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감정적 박탈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으나 인지적 박탈감과 행동의도 박탈감은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유아 특별활동 교사의 직업정체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직업정체성이 향상되면 교사효능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지금까지 비정규직 유아 특별활동 교사를 대상으로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직업정체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상대적 박탈감이 직업정체성과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코로나-19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비정규직 유아 특별활동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relative deprivation of part-time extracurricular activities teachers on the job identity and teacher-efficacy caused by COVID-19.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201 teachers who are teach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do (Suwon, Hwaseong, Ansan, Yongin, and Icheon). First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sub-factors of relative deprivation on job identity, it was found that cognitive deprivation, emotional deprivation, and deprivation of behavioral intention all influence job identity. The effect of emotional deprivation on teacher efficacy was significant, but cognitive deprivation and intention deprivation were not significant. Last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job identity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teachers on the teacher-efficacy,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job identity increases the teacher-efficac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onducting research on the job identity that has been rarely conducted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teachers by far, revealed that the relative deprivation affects the job identity and the teacher-efficacy of the part-time extracurricular activities teachers.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to examine various aspects to increase the teacher-efficacy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teachers.

      • KCI등재

        여성의 나이, 나이 듦의 의미와 주체 회복

        최미정(Choi, Mi-Jeo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6 No.-

        본 연구는 문정희 시에 나타나는 여성의 나이와 나이 듦의 문제에 관한 시적 형상화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시인이 인식하는 우리 사회의 젠더-나이체제의 문제점과 그것의 극복 가능성에 대해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작 초기부터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의 억압구조를 문제 삼고 주체적이고 건강한 여성성의 회복을 이야기해 온 시인은 여성의 나이 듦이 또 다른 차별과 배제의 장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시인이 보여주는 여성의 나이는 단순히 노년여성에 대한 서사가 아니라 생애서사에서 여성에게 나이란 무엇이며 그것이 얼마나 폭력적인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을 함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동안 우리 사회가 여성의 나이, 나이 듦을 바라보는 시각은 왜곡되고 고정 되어 있었다. 한 여성으로서의 주체는 없고 특정한 나이와 그에 맞는 역할과 이미지에 강요되고 갇혀 있었다. 문정희는 이러한 나이체제를 직시하면서, 나이 든 자신의 내면세계를 탐색해 나간다. 시인은 생물학적 · 사회적으로 구성된 나이와 상관없이 여전히 꿈꾸고 욕망하는 자아를 표출한다. 문정희의 시작품은 그동안 장막에 가려져 있던 여성의 나이와 나이 듦의 담론을 가시화하고, 그것이 분절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총체성 가운데서 경험되는 것이라는 점을 이야기한다. 시인은 한편으로는 가부장제 사회가 행사해 온 여성억압의 역사와 건강한 생명력과 존재감을 잃고 병들어가는 현대의 여성들의 모습을 그려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여성성에 대한 오랜 편견과 왜곡의 벽을 부숴버리는 건강하고 당당한 여성상을 제시한다. 풍염한 에너지를 발산하는 여성적 숭고를 간직한 여인과 완고한 가부장제의 틀을 거부하고 주체적이고 당당하게 살고자 하는 여성이 그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etic form of the age and aging of women in Moon Jung-hee`s poetry, and to examine the problem of the gender-age regime of our society and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it From the very beginning, the poet who has talked about the restoration of subjective and healthy femininity by questioning the repressive structure of women in the patriarchal society show that the aging of women is another place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The poet shows that the age of a woman is not merely a narrative of an old woman but a life narrative, and it is noteworthy that it implies a sense of what is age and how violent it is. In the meantime, the view of our society as women`s age and aging was distorted and fixed. There was no subject as a woman, but was forced and confined to a particular age and role and image. Moon Jung-hee looks at this age system and explores her inner world. Poet still expresses her dreaming and desiring self irrespective of the biologically and socially constructed age. The prototype of Moon Jung-hee shows that the discourse of aged women who have been hidden in the curtains has been visualized, and that age and aging are not partly present but experienced in the totality of life. On the one hand, the poet, depicts the contemporary women`s illness, which has lost the history of women`s oppression and the healthy vitality and presence of the patriarchal society. On the other hand, she presents a healthy and imposing feminine image that breaks down the wall of long prejudice and distortion of femininity. It is a woman who rejects the framework of a woman who has a feminine sublime and a pathetic patriarch who exudes enviable energy, and wants to live subjectively and dignifiedly.

      • KCI등재

        <용비어천가> 에 나타난 여말선초의 영토전쟁과 변경

        최미정 ( Mi Jeong Choi ) 한국고전문학회 2015 古典文學硏究 Vol.47 No.-

        본고는 125개 장의 <용비어천가>를 문덕보다는 무공에, 개인보다는 공동체의 운명에 집중하여 분석하였다. <용비어천가> 구조의 핵심에서 강조된 ‘북방’과 이성계의 공로로 부각된 ‘四境開拓’에 주목하여, <용비어천가>에 나타난 여말선초의 영토전쟁의 실상을 고찰하고 당시 영토의 구체적인 상황을 『용비어천가』주해를 통해 살펴보는 것과 이와 관련하여 세종 대 <용비어천가> 제작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용비어천가>에 나타나는 영토전쟁은 李成桂家라는 한 가정의 역사가 일국의 역사가 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동시에 한 나라를 외세로부터 지켜 영토와 주권을 확보하려는 여말선초의 전쟁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본고는 역사와 역사지리학 분야의 연구를 참고하고, 원명교체기라는 세계사적 시간 속의 동북아 정세를 염두에 두면서 그 실상을 고찰하였다. 작품과 주해에 나타난 쌍성 수복, 납합출 격퇴, 동녕부 정벌 및 철령위 사건에서 이자춘과 이성계의 활약은 당대의 영토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확장했는가를 살폈으며, 위화도회군 후의 고려, 조선의 영토 문제를 살펴보았다.본고는 <용비어천가>의 근간을 이루는 3-16장에서 <용비어천가> 찬진자들이 이성계의 뿌리가 북방에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 것은 여진족을 다스릴 수 있는 이성계의 능력을 부각한 것으로 파악하였는데, 이는 이성계가 조선 건국의 주인이 되는 데 강력한 장점이 될 수 있었으며, 이 힘을 세종은 필요로 했음을 지적했다.또한 본고는 중세의 국경은 선이라기보다는 면의 개념임을 주장하여, ‘경계’, ‘변경’, ‘변방’, ‘영토’라는 용어를 ‘국경’, ‘국토’와 다르게 사용하였다. 이렇게 볼 때 압록강과 두만강을 조선과 명의 界河로 하는 데에 명의 인정을 바라면서도, 강 너머 지역의 변경과 여진에 대한 권한 또한 주장하는 조선과 명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 과정을 통해 조선 건국 초기의 영토관을 살필 수 있었다.이로써 본고는 <용비어천가>를 “국가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감당하고자 하는 거대한 지성적 노력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보았으며, 守成의 시기에 접어든 세종 대의 영토에 대한 관심, 주권의 대외적 천명을 위한 집중적인 노력의 산물로 보았다. 그리고 <용비어천가>에 드러난 북방과 무공, 영토에 대한 강조는 문치의 시대에 세종이 특히 후대에 각인시키고자 한 교훈임을 강조하였다. Yongbieocheonga(龍飛御天歌) is a eulogy for kings who founded Joseon. It is composed of 125 cantos and its title means the Songs of Flying Dragons(the Songs).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several wars expressed in the Songs and to know one of the reasons why King Sejong made and published it based on my analyses. The wars in the Songs show not only a story about a process of the rise of a family to become the founder of a country, but also a struggle to protect the northern border and territory of Koryo and Joseon by fighting against other countries. So analyzing fulfillment of heroes in the Songs, I take more interested in the fate of the community rather than in one``s personal success, and focused on the military activities rather than on the virtuous deeds. For this task, I refer to A Commentary on the Songs(龍飛御天歌 註解). It is because these cantos are so compressive that we can``t fully recognize the concrete details of those wars. In the Songs, there are several wars which Yiseonggye(李成桂)``s family had participated in; 1)the restoration of Ssangseong(雙城), 2)the repulse of an attack of Nagachu(納哈出) and the conquest of Tongnyeongbu(東寧府), 3)The fight against Ming``s garrisons in Cheolryeong(鐵嶺衛). I make some researches on how he had played his role as a general with his military genius and therefore what happened to territory of Koryo owing to his activities. I try to reveal that those authors of the Songs made a considerable point of the issue of the northern borders, northern territory of Joseon and the subjugation of the Northern. I can see they intended to emphasize the fact that Yi``s family had been rooted in Northeast Koryo. Also, they wished that the fact would be a recognized source of Yiseonggye``s ability of governing most of tribes living near the northern border of Koryo, North Manchuria. In 1392, Yiseonggye``s troop withdrawal from Wihwa Island(1388) finally resulted in the foundation of Joseon. He responded to a call to bring peace to a foreign-stricken nation in the transition period Yuan and Ming. However, he could not expand territory further because of his return. Ming announced the Aprok River was the border between Ming and Joseon, but Joseon was not satisfied with Ming``s permission. Despite his withdrawal, Yiseonggye wouldn``t abandon Ruzhen tribes(女眞) beyond the river after founding Joseon. He would act only carefully, because he knew how to use the situation around the late 14th C in the Far East. While Joseon treated the issue of Liadon(遼東) as a matter of territory, Ming intended to apply the rule of the population to the course of taking over Ruzhen tribes. It was because Joseon wanted Manju and Liadong region should be the neutral zone between Ming and Joseon. I agree on the opinion that medieval border was not a line but a land/zone. I assert the boundary and the border should be reviewed with this respective. The more powerful Ming``s demands were, the more intensely King Sejong desired to seek the way how to secure territory of Joseon by maintaining a vacant lot between Joseon and Ming. He cherished that his grandfather``s power to subdue other countries and his political judgment and affinity with people around the north borderland to control them. While he and his servants studied military operations, they collected historical evidences of his ancestors`` campaigns against other countries and made the performances by writing many cantos out of them. Consequently, the Songs is not only a memorial writing of the triumph of history and culture to defend the sovereignty under toadyism but also extensive answers to a huge question, What is a nation?. Searching for answers, King Sejong dealt with territory as the most important issue to give a lesson to his descendants.

      • KCI등재
      • KCI등재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최미정(Mi-jeong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둘째,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무엇인가? 첫 번째 연구문제 수행을 위해 창의성의 개념, 창의성 교육의 방법,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을 탐색하여 교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총 60 시간으로 구성되며 일반 영역과 구체적 영역으로 구분되어 각각 창의성 교육의 기초, 교육과정 운영과 창의성, 수업과 창의성, 창의성 평가의 이해와 실제로 구성되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 수행을 위해 교사 4명과 이들이 담임하고 있는 초등학교 학생 16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실험집단 교사 2 명에게는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을 투입하고 두 집단 학생들의 창의성 향상정도를 검사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가 가르치는 실험집단 학생들과 통제집단 학생들의 창의성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P. <.0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creativity education and to verify its effect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study were based on concepts of creativity, creativity education method, and teacher s role for creativity education. The Program contents were composed of foundation of creativity education , curriculum management & creativity , teaching & creativity , and theory & practice of creativity evaluation . To verify the effect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creativity education 163 4th grade students and 4 teachers were selected from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Kyonggi-do.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participated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figure test of TTCT A and TTCT B were administered. The results of the tests were analyzed by ANCOVA with SPSS for Windows(11.0). The pretest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 conduct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creativity education, the post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P< .01)

      • KCI등재

        뉴욕 최초 한인문학 동인지 『신대륙』에 나타난 1980년대 한인 이민자의 초상

        최미정(Choi, Mi-Jeo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20 No.-

        이 논문은 뉴욕지역 최초의 한인문학 동인지『신대륙』수록 소설 작품에 나타난 1980년대 재미한인 이민자의 초상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신대륙』은 1985년 가을에 창간되어 1986년 봄, 겨울에 각각 2호와 3호를 내고 폐간되었다. 이 동인지는 비록 3호를 내는 데 그치고 말았지만 그 의미는 결코 작다고 할 수 없다. 『신대륙』의 가장 큰 특징은 현지에서 등단한 작가들이 주축이 되어 결성되었다는 점, 시, 소설, 수필, 희곡 등 다양한 분야의 작품을 담고 있다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도 소설작품의 비중이 가장 크다는 점이다. 『신대륙』수록 소설작품은 총11편이다. 이들 소설작품은 대부분 한인 이민자들이 미국에서 겪는 어려움과 문제점을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작품에는 당시 이민자들 계층과 이민 동기, 그리고 적응과 정착과정에서 빚어지는 여러 갈등들이 드러나고 있다. 인물들은 답답한 한국의 정치현실을 떠나 자유로운 삶을 누리기 위해, 가난에서 벗어나 물질적인 성취를 위해, 개인적인 이유로 한국에서 도피하기 위하여 등 각기 다른 이유로 이민을 선택했지만 대부분은 미국사회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인식 없이 막연한 동경과 기대를 가지고 미국으로 건너갔고, 그로 인해 예상치 못한 어려움에 봉착하며 현실적응의 어려움을 겪는다. 『신대륙』수록 소설작품들은 1980년대 뉴욕지방 한인 이민자들의 삶의 공간과 모습을 그들 특유의 화법으로 그려내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당시 뉴욕지역 이민자들의 생생한 삶의 현장을 담아내고 있고 작품을 만나기는 그리 쉽지 않다. 따라서『신대륙』수록 소설작품은 1980년대 재미한인 이민자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해준다는 점과, 여기에 현재 다문화 사회에 진입한 우리 사회의 다양한 이민자 문제를 이해하는 하나의 자료로서도 유의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본다. This article aims at explaining about the 80’s Korean immigrants’ portrait in novels of 『New Continent』(Sin-Dae-Ryuk), the first Korean literary coterie magazine in New York. 『New Continent』was published in autumn of 1985 for the first time, continued to be published in spring and autumn as number 2 and 3, and has been discontinued. Though this magazine has only 3 numbers of publishing, we could see its significance as an origin for literary in New York. The important features of 『New Continent』 are that it was founded with the people who started their literary career in New York, that it has various genre like poem, fiction, essay and play, and that it has more novels than any other genre. 『New Continent』has 11 works of fiction in total. These works describe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that the most Korean immigrants suffered. We can see in the works the levels of the immigrants, their motive of immigration, and their conflicts in their process of adaptation. The characters decided to immigrate for a freedom of life leaving the complicated Korean political reality, for the material affluence from poverty, or for escaping from a personal reason. However, most of them with vague yearning, didn’t have exact understanding or recognition about the society of USA, which produced many difficulties. It is important that the novels in 『New Continent』 describe the 80’s Korean immigrants’ lives in New York in their unique ways. There are not many works that describe the immigrants’ vivid realities of that time in New York. So, the value of 『New Continent』 is that its works show the 80’s Korean immigrants’ lives concretely, and also that we could consider it as a material to understand the immigrants’ problems in our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후보

        고려 궁중악의 국어가요와 한자시가 -고려의 향악ㆍ아악에 대한 연구의 고찰-

        최미정(Choi Mi-jeong) 대동한문학회 2004 大東漢文學 Vol.20 No.-

        본고는 향악과 중국악(당송악)이라는 두 개의 체계를 가진 고려궁중악을 대상으로 하여 고려 시대의 국문학과 한문학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다루며, 고려시대의 문화와 행정에 대해 폭넓게 고찰하였다. 궁중악의 노랫말을 악장ㆍ사ㆍ가사로 구분하는 것은 외래의 것과 우리 것을 구분하는 의식을 반영하기도 하고, 천자의 악과 제후의 악을 구분하는 의미를 갖기도 한다. 고려시대가 특히 논의의 대상이 되는 것은 고려시대에 들어서 외래의 것과 우리의 것이라는 구분이 천자의 악과 제후의 악이라는 위계의 개념으로 고정되었다는 우리의 상식 때문이다. 본고는 이 상식을 개념적으로, 또 실상을 통해 고찰하는 과정을 통해 고려시대의 국문학과 한문학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고는 고려의 아악, 향악에 대한 지금까지의 논의들을 몇 가지 쟁점에서 정리하여 합리적인 결론 혹은 태도를 도출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즉, 유가적 음악관의 고려시대 정착 여부, 국어가요의 궁중악 편입 시기, 시경체 獻歌謠와 국문시가의 관계 등이 쟁점이다. 이 논의들은 모두 한문학과 국문학, 국어생활과 한자문자생활의 관계를 상생적으로 보는가, 대체적으로 보는가, 혹은 적대적으로 보는가 하는 기본적인 입장의 차이에서 출발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므로, 본고의 결론은 양자의 관계에 대해, 보다 설득력 있는 견해는 어떤 것인가를 쟁점의 해결을 통해 판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논지의 전개과정을 통하여 기왕의 연구들에서 밝혀진 고려시가문학의 새로운 실상을 소개하는 데에도 의미를 두었다. 연구결과의 공유와 앞으로의 논의의 여지를 열어두기 위해서이다. 첫째, 악론의 원리가 가악의 모든 차원에 스며있다는 최근 제기된 가설은 고려 궁중악의 문학적 분석을 앞으로 좀 더 신중히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일단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고, 타당한 문학적 논의와 이 가설을 결합함으로써 고려가요에 대한 논의가 전체적으로 다른 단계에 진입할 수 있을 가능성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보았다. 둘째, 국어가요의 형식의 형성에는 한문학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나, 우리 노래의 형식도 자체로 발생하고, 자신끼리의 경쟁을 통해서도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을 궁중악의 정비 과정을 고찰하는 연구에도 기억해야 함을 지적하였다. 현실의 일대일 반영으로서만 문학작품을 파악함으로써 빠질지도 모르는 반영론의 함정을 피하기 위하여서도, 보다 정치한 작품분석을 바탕으로 문학 자체의 내적 발전을 문학 외적 사회 현실과 함께 주목하는 연구방법은 서로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셋째, 본고는 고려 후기에 국어ㆍ한자의 언어ㆍ문자체계에 대한 지식인층의 의식은 한문을 더 잘 구사하되, 국어를 더 세련화 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었을 것으로 보아, 민요의 기록화나 국어시가의 지향이 꼭 정형시화, 궁중악화를 의미하지는 않았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러므로 이제현의 소악부는 민요를 기록으로 남기고자 했다고 보는 것이 중화적인 것과 고려적인 것의 병행에 가치를 두는 그의 문명의식과 맞는다고 판단하였다. 고려문화의 특징인 다원주의가 환도 이후 다시 실현되었기 때문으로 보았다. 이상의 쟁점에서 보인 바, 고려 궁중악의 정비에 나타난 한자시가와 국어가요의 문제는 상생의 관계라고 본고는 결론지었다. At 1116 AD, Koryo made the Court ceremony music systematized by the imported music from China as the ritual music(Aak), instead of the traditional one(Hyangak) which was mixture of the original music of Koryo and those of the three prior countries to Koryo. People believe that the Chinese music was superior to that of Koryo has prevailed after then and Koryo has been charged with a kind of flunkeism. The theme of my paper is about this prevailed idea and the influence of the ideology of the imported music(Aak), that is, Confucian's thought which music is served to the maintenance of the order and harmony in their empire. I focus on Koryogayo, on the aspect of its generation and survival between the co-existence with the Chinese writing songs. The method is the critical reviews on the results recently published that has studied Koryosa-akji as the mediation between history and language, comparing the several prior papers about Koryogayo. The conclusions are such as below: 1. The idea that the Confucian's thought of music has influenced on the all the dimensions of Hyangak should be seriously reconsidered in the area of the literary study about Koryogayo. The case applied to the early times of Koryo is not exactly right. 2. Considering the study of the strophic forms appeared in the pieces of Koryogayo and the historical research of Koryosa-akji, the orders of the pieces of generation or their remaking for the stage versions for the Court music could be more exactly confirmed. 3. The latter period of Koryo, the tendency to the Korean folklore appeared Chinese writing poems by korean poets was because of the needs to the records, not of the use for the ritual songs in place of the imported Chinese writing songs. The study of the two systems not only of Hyangak and Aak, but also of Akjang and Koryogayo could let me affirmed that both of the two must have been developed simultaneously, which owed to the musical and political policy of Koryo based on the pluralis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