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감성적 인간"의 발견과 감정의 복합성,순수성,이념화 -19세기 국문소설 <남원고사>의 "사랑"의 표상화 맥락-

        최기숙 ( Key Sook Choe ) 한국고소설학회 2012 古小說 硏究 Vol.34 No.-

        19세기 서울에서 ``세책``의 형태로 유통되던 국문본 춘향전의 이본인 <남원고사>는 감성적 인간을 서사적 전제로 상정하면서, 인물들사이에 육체적으로 인지되고, 경험되며 교환되는 감정 요소에 대한 전면화된 탐구를 통해, 감성 주체로서의 인간을 재발견하는 서사 기획을 보여주었다. 이는 동시대의 사대부 지식인들이 감정을 억압과 통제의 대상으로 간주하면서 이를 수양의 징표로 사유해 온 것과 대조를 이룬다. <남원고사>는 감정을 자연적인 것으로 정의하면서 성과 사랑, 감정을 등치시키고, 감정 관계가 인간관계의 우위를 점하는 것으로 설정했다. 동시에 감정 요소가 신분·언어·세대·계급·젠더 차이에 따라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과정을 조명함으로써, 역설적으로 감정의 순수정이 생성되는 과정을 포착했다. <남원고사>에서 ``사랑``의 감정은 ``선``으로, ``색정``은 ``악``으로써 간주되었는데, 이러한 차이가 만들어지는 지점은 감정의 상호성에 대한 ``인정 구조``속에 있었다. 이에 따라 독자들은 처음부터 사랑의 방해자인 변부사를 ``악``으로 규정하고 그에 대한 정서적 반감을 형성하도록 조율되었다. <남원고사>는 바로 이러한 사랑의 의미 기호를 작중 인물의 심리적·적·정서적·감정적·육체적 반응을 통해,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에서 생성되는 사회적 맥락을 통해, 공감적인 것으로 의미화하려는 서사적 전력을 전면화했다. 사랑은 감정의 지속성.상호성을 통해 이념화되었으며, 궁극적으로는 도덕과 결부됨으로써,사회적으로 공감 가능한 요소로 재규정되었다. 동시에 개인의 사랑은 사생활의 영역을 넘어서 사회적 책임의 문제를 환기하는 ``공론화``의 대상으로 조명되었다. Namwongosa is one of the most complete versions of Chunhyangjeon that was circulated in 19th century Seoul in the form of books for lending. Namwongosa depicts a narrative design in which human beings are rediscovered as an agent of emotions through a holistic investigation of emotional factors that are physically perceived, experienced, and exchanged. Namwongosa defines emotions as being natural, placing sex, love, and emotions on equal levels, and establishes that emotional relationships determine the superiority of human relationships. At the same time, by shedding a light on the hybrid and complex process by which emotional factors work out according to differences in social, academic, economic, or gender status, it paradoxically captures the process in which purity of emotion is created. The circumstance, method, and process by which the young Master Lee and Chunhyang approach love is shown to be a hybrid composition due to difference in class and gender. However, Namwongosa tells the story of the ideology of the purity of love by capturing the emotional relationship which homogenizes such differences. The emotion of love is considered good, while lust is considered evil. The difference lies in the mutual exchanging of the emotions. Therefore, the readers are conditioned to perceive Magistrate Byun, the interrupter of love from the outset, as evil and develop sentimental hostility towards him. In Namwongosa, love is portrayed as a factor in a fluid and complex system where it is intricately interwined with emotional factors depending on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conditions. Love became an ideology through the continuity and reciprocality of the emotion, ultimately being re-determined as a factor with social identification by becoming associated with ethics. Furthermore, love went beyond the scope of private life to be seen as the target of public opinion stirring the issue of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the “vulgar genre” of novel which is true to the grammar of emotions, Namwongosa made the readers accept the experimental design that defines human as an agent of emotions. Namwongosa considers emotional factors as a physical and experiential factor universality seeing all humans ad equal in a novel, a cultural mode of sympathy.

      • KCI등재

        고소설의 감성 문법과 감정 기호 -<소현성록>의 감정 수사를 중심으로

        최기숙 ( Key Sook Choe ) 한국고소설학회 2015 古小說 硏究 Vol.39 No.-

        이 논문은 국문필사본(이화여대 소장본) 장편소설 <소현성록>을 대상으로, 텍스트 내부에 서술된 감성 문법과 규칙, 감정 언어의 작동 원리를 인물 정체성의 구성, 인물간 의사소통 방식. 감성 통제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소현성록>을 매개로 한 감성 기호는 서사 내부에서 일정하게 규칙화되어 있었고, 텍스트 내부(인물간, 인물-서술자 간)와 외부(소설과 독자) 사이에 모종의 공감각을 형성했다. 고소설에서 감성 기호는 의사소통의 주요한 매개로서 표정, 신체, 행동에 대한 관찰과 재현으로 수행되었다. 인물의 발화사(‘왈’)에는 거의 대부분 감정 수사가 병치되었으며, 인물은 상대의 표정과 기색의 탐색, 행동 관찰을 통해 의사소통을 수행했다. 인물간 소통에서 감성 기호가 위장되거나 왜곡되어 오독이 발생할 때는 갈등이 고조되었다. 또한 감정은 그 자체로 역사화된 경험을 담은 기호로 인지되고 재현됨으로써, 소설의 인물이 타인의 감정을 이해한다는 것은 곧 그의 생애사 전체를 이해하는 것이라는 심층적 이해가 상정되어 있었다. 타인의 감정을 읽는 것은 진면목을 파악하는 직관과 통찰의 ‘능력’이며, 감정의 외연과 내포가 괴리될 때는 이면에 초점을 맞추어 대화하는 것이 ‘진정’에 도달하는 소통방식이라는 감성 문법이 발견되었다.< 소현성록>에 재현된 감성 기호는 도덕성(예, 배려)이 매개된 인격적 조정과 권력적 위계(젠더, 이념, 권력)에 따라 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법칙은 교차 적용되기도 했으며, 타인의 감정을 조정하기 위해 술법이나 비방을 사용하는 것은 ‘악’으로 상정되었다. 감정규칙이 억압적으로 작용할 때에는 극한 정념과 감정 폭발이 재현되었는데, 징후적으로는 질병, 우울증, 분노, 출가, 공격성(살해욕구), 자살충동 등으로 외화되었다. 감성 통제는 젠더적 요건에 영향을 받았으며, 개인의 성생활에 대한 호기심과 충동을 교환하는 조절하는 매개로도 활용되었다. 여성 인물은 다른 여성의 감정을 이해하기보다는 (남성지배의) 상층부의 감성 규율을 내면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현성록>에 재현된 감성문법과 감정 규칙은 전체 서사의 대략 1/4 지점에서 거의 모든 사례가 확정되었으며, 이후는 이들의 반복, 응용, 왜곡, 치환 등의 서사화를 통해 유희성을 유지하고 강화했다. This paper analyzed the affective principles and emotional signs which were represented in Sohyeonseongrok, one of the representative Korean novels which was scripted in Eonmun, a Korean vernacular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with focusing on character`s identity, communication skill and regulation of emotion. The emotional signs which were written in the text showed certain rules and shared common senses between readers and characters of the text. Body language like face expression and physical sign, mood and atmosphere of the characters were considered as meaningful elements which reflected their inner mind and thinking and also were regarded as effective communicative devices. The description on the characters` emotional responses gave the pleasure of reading; deep understanding of the human-being`s mind and feelings, approaching to the complex motivat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discerning the social principle on the emotion. The affective grammars and emotional principles which were working Sohyeonseongrok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character’s telling means that she or he let the listener know their emotion. The second, all of character`s emotions are historicized. Without understanding of the other`s life, without sympathy nor understanding with the others. The third, when the character`s mention is in discord with the face expression and physical sign, the meaningful and productive communication can be led with focusing on the emotional sign. The fourth, the emotion was regulated by the social power; status, social hegemony, age and gender. The fifth, in this reason, some characters often blow off their emotions as a symptom of sickness, suicidal impulse, becoming a Buddhist monk, desire to killing and vicarious expression of emotion with servant, maid and child. The sixth, the gender perspective had influential power in the affect which was represented in the text in these dimension; imagination, relationship, and reader`s recognition on the society. Almost affective grammars and emotional principle were completed in the 1/4 parts in the whole text. After that, this text repeated, creatively applied, twisted and replacing (by gender, age and status) the same affective disciplines and emotional signs.

      • KCI등재

        전승과 창작의 관점에서 본 판소리 정체성의 재규정과 제언

        최기숙 ( Key Sook Choe ) 판소리학회 2012 판소리연구 Vol.34 No.-

        판소리는 한국의 대표적 문화유산으로서, 멀티 미디어를 통한 장르 변경과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면서 글로벌 차원의 하위문화(subculture), 또는 민속 음악·공연의 지위를 형성했다. 판소리의 세계화와 현대적 장르로의 확산은 전통 판소리와 균열 지점을 생성하면서 판소리에 대한 재정의를 요청하고 있다. 사설 짜기의 측면에서 판소리의 본질을 재조명한다면 이는 ‘다성성’의 구현으로 정의할 수 있다. 판소리는 향유층, 언어생활, 교양문화, 예술 향유 등 다층적의 차원에서 다성성의 요소가 삼투되어 있는 복합적 문예 장르다. 따라서 전통 판소리를 계승하거나 장르 변형을 할 경우, 또는 새로운 창작 판소리를 제작할 경우, 판소리의 사설 짜기의 원리를 활용하여 판소리 정체성을 유지하고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판소리의 사설이 지닌 다성성은 다음과 같은 차원에서 구성된다.: 첫째, 시간성과 창작의 차원에서 판소리는 역사성과 당대성, 전통과 유행을 포용한다. 둘째, 공간성과 수용 층 차원에서 판소리는 지역성과 세계성, 토속성과 보편성을 통섭한다. 셋째, 사회성의 차원에서 판소리는 신분·젠더·세대·지식 위계를 둘러싼 갈등을 포착하고 카니발적 화해를 구현한다. 넷째, 정보성의 차원에서 판소리는 서민과 상층부의 일상생활을 백과사전처럼, 풍속정보지적 망라하여 보여준다. 다섯째, 감정과 감성 의 차원에서 판소리는 사람이 일생동안 겪는 감성을 만화경적으로 재현한다. 또한 감정의 수사는 감정 상태의 육체적 반응을 재현하는 형식으로 표현된다. 여섯째, 수사학의 차원에서 판소리는 다성성·혼종성·대화성의 요소를 유희적으로 재현하며, 이는 열거법을 활용한 치레 구성으로 구현된다. 이와 같은 이러한 판소리의 사설 구성 원리는 앞으로 판소리를 ‘창작’하고 ‘전승’하는 실제 작업에 활용할 수 있다. 판소리 창작자나 전승자는 새로운 스토리를 짜면서 세대·젠더·지역·민족·국적·인종 등의 차이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창작 판소리를 통해 세계적인 유행가가 탄생될 수 있으며, 전통 판소리가 팬덤 문화를 형성한 것과 같은 새로운 문화 유형을 창안할 수 있는 역량이 판소리의 정체성 안에 잠재되어 있다. As a representative of Korean cultural heritage, p`ansori has expanded its scope by engaging in multi-media and attempting to change the genre. The modern adaptation and globalization of p`ansori endows it with a reputation as a “subculture” and an “ethnic performance” of Korean culture. The expansion of its genre, however, also has a negative side. It produces a growing chasm between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p`ansori. This problem appeals for a definition of the authenticity of p`ansori. In discussing authentic features in the narrative of p`ansori, I find it useful to employ the concept of “polyphony,” a Bakhtinian term. Based on this term, I show that polyphonic features permeate the p`ansori text, and I suggest that the polyphonic features of p`ansori should constitute contemporary p`ansori in the ongoing process of adaptation and re-creation. Also, this paper analyzes the polyphonic aspects of p`ansori by categorizing them into six elements: time, space, reality, knowledge, emotion, and rhetoric. First, I contend that p`ansori engages in temporal expression by juxtaposing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combining tradition and contemporary fashion. Second, p`ansori not only describes the landscape and geographical background but also expresses locality and universality by mingling native culture with worldwide perspective. Third, p`ansori deals with the description of social reality by manifesting the tensions in social stratification, but it also reveals a reconciliatory process by commingling and reversing hierarchical relationships, thus taking on the form of “carnival literature.” Fourth, p`ansori contains encyclopedic knowledge and memory on every level of society. Fifth, p`ansori deals with various kinds of feelings that every human being experiences in one`s lifetime. The emotional landscape, however, is represented by the description of physical reactions and conditions rather than through direct expression. Sixth, the rhetoric of p`ansori demonstrates polyphony, hybridity, and dialogue. For instance, by the narrative skill of ch`ire, a singer can enumerate various words without any syntactic or grammatical restraint. These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re-creation and transmission of p`ansori. I argue that the new p`ansori producers and singers must engage the differences of generation, gender, region, ethnicity, and culture, but the new compositions need to be based on the features that I have found in the text of p`ansori. Despite concerns and problems, contemporary p`ansori has great potential. Through the modernizing process, p`ansori is gaining recognition as a well-known genre and a popular song, and I wish to see the newly created p`ansori not only widely consumed but also creating a fandom.

      • KCI등재
      • KCI등재

        사건화'된 일상과 '활자화'된 근대: 근대초기 결혼과 여성의 몸, 섹슈얼리티

        최기숙(Choe Key sook)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4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9

        이 논문은 『한성신보』(1895-1905) 잡보란에 실린 기사들 중에서 특히 결혼과 부부생활의 안팎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주목하여, 조선의 일상사의 근간을 이루는 결혼과 부부생활의 문란한 지점을 담아냄으로써 '문제적 조선'을 재구성하는 방법을 성찰적으로 재조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사건화된 일상', '활자화된 근대'라는 개념을 제안했다. 『한성신보』의 잡보란에 게재된 기사는 호기심을 자극하는 '예외적 일상'을 접하는 흥미성, 선정성이고 자극적인 '사건'에 대한 관심을 촉발하고 있었다. 『한성신보』 잡보에 여성의 성과 관련된 기사가 많았는데, 특히 여성의 성과 신체가 희롱과 폭행의 대상으로 기술됨으로써 '옐로저널리즘'의 경계를 넘나들었다. 『한성신보』에 게재된 '사건화된' 결혼생활은 사기결혼, 치정, 불륜, 강간, 사기결혼, 중혼(重婚) 등 혼인생활의 불안한 경계에 초점이 맞추어졌으며, 근대 조선의 일상생활의 전경으로 소개되었다. 이와 더불어 혼외 관계와 불법적인 섹스 스캔들이 흥미 중심의 가십성 기사처럼 소개되었다. 여성에게 가해진 성적 불이익은 일종의 '우슴거리'로 공론화되었다. "한성신보』에 잡보란에 실린 혼외 성관계에 대한 기사의 초점은 '성'이 아니라 '폭행'과 '분쟁', 그리고 '살인' 등의 형사 사건이다. 『한성신보』는 성과 사생활이라는 개인의 내밀한 일상을 풍속과 문화의 차원에서 개량해야 할 '문제적' 조선의 이미지로 구성했다. 이러한 『한성신보』의 언론으로서의 역할은 근대초기, 나아가 식민지 시대 언론의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성향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실험적 매개가 되었다. 이 글에서는 『한성신보』에 게재된 '사건화된 일상'을 다루는 방식에 대한 성찰적 분석을 통해, 언론의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역할과 공공성을 재성찰하고자 했다. This paper analyzed the articles, called Japbo (a miscellaneous news), printed in Hanseong Sinbo (1895~1904), especially were involved in marriage and couple life to explain how the journalism came to have the influential power upon the society and reader. To highlight this issue, this paper uses two terms as 'everyday life as a news', and 'lettered modernity'. Lots of articles printed in Hanseong Sinbo were about interest, sensual and stimulating incidents which were exceptional cases. There were linked with female scandal and sexuality. Woman's body was dealt with as violent incident and sexual harrassment. Such tendency was similar to a typical form of yellow journalism. The everyday life as an incidents which was published in Hanseong Sinbo were about marriage fraud, immoral intimacy, double marriage and rape, etc. These incidents occurred inside and outside anxioud marriage life. Illegal and immoral sexual relationship between couple were dealt with interesting sexual scandal as gossip. Sometimes these articles were publicized laughing stock. The focus of these articles was a criminal case which was involved in violence, conflict and murder, not a sex scandal itself. Hanseong Sinbo structured the image of problematic Joseon through printing such articles from time to time. The journalistic effect of this tendency in early modern Joseon period was linked with the colonial strategy whereafter. This paper researched miscellaneous articles, which were published in Hanseong Sinbo, with the viewpoint of 'everyday life as a news' and re-read these with the concept of 'lettered modernity'. By doing so, this paper makes the opportunity to rethink about the political and social role of newspaper journalism in early modern period of Joseon.

      • KCI등재

        조선시대 사대부 문인의 "환상" 인식과 문학적 향유

        최기숙 ( Key Sook Choe ) 한국문학교육학회 2009 문학교육학 Vol.30 No.-

        Traditionally, literary fantasy was considered negatively and excluded generally in Joseon period. However, there were lots of writings which used fantastic imagination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by the intellectual and noble class in Joseon period; they used the literary fantasy as poetic imagination and episode for everyday life writing like diaries on fantastic dream. This paper analyzed the dual point of view of the intellectual in Joseon period on literary fantasy through researching their writing collections and alsoa nalyzed the topology of the literary fantasy .The first, this paper analyzed the words corresponding literary fantasy; strange(奇), unfamiliar(異), mysterious(怪/怪), ghostly(神), uncertain(愧), unbelievable(虛), queer(誕) etc. And also analyzed their examples amongst their writing like proses and poems. Such words were chosen as fantastic meaning related something suspicious, doubtful, curious, interesting, critic, negative, and hospitable attitude. Such nuance were mixed and fluctuating in each writing. The second, there were remained some critical essay regarding Shanhai jing(山海經), Soushen chi(搜神記), Liao-chai-chih i(聊齋志異) etc. These records showed that the fantasy was regarded positive and general imaginative points amongst the noble class in Joseon period. The third, the intellectual used the fantasy in their writings like these; imaginative motives in poems, ordinary life`s curiosity and taste, specific objects should be proved, and narrative logic and structure of a series of narrative genres like novel, yadam, biographies on extraordinary persons. Most of all, the fantasy was regarded some cultural media of noble class as some sort of encyclopedic knowledge. Some series of encyclopedic collections contained some fantastic section; Lee, Ik(李瀷)`s Seonghosaseol(星湖僿說), Jo, Jae-sam(趙在三)`s Songnamjapji(松南雜識), Lee, Kyu-kyung(李圭景)`s Ozuyeonmunjangzeonsanko(五洲衍文長箋散稿), Kweon, Mun-hae(權文海)`s Daedongunbukunok(大東韻府群玉) etc. Such tendency showed that the fantasy was regarded some knowledge and culture which the noble class should know at that time. The intellectuals in Joseon period showed dual point of view on the literary fantasy. They had been considered the fantasy as literary motives and imaginative media continuously in their every day records, poems, and fictional narratives written Chinese characters. And the other hand they strongly criticize the fantasy on the noble genre. Such tendency showed that the literary imagination could be ranked by the characteristics of writers` and readers` group and the confusing view point on the fantasy was the literary reality in that period.

      • KCI등재

        계몽의 이면, 무시와 혐오의 감성 정치

        최기숙(Choe Key sook)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5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1

        이 논문은 『한성신보』 잡보에 나타난 언술의 정치학과 감성 통제 방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계몽' 주체의 문화적 특권화가 어떻게 '무지한' 사람ㆍ지역ㆍ국가에 대한 '무시의 감정'을 정당화하는지를 성찰하고자 했다. 『한성신보』 잡보란은 조선의 일상을 '사건화'하여 독자에게 '문제적 조선'의 이미지를 전달했다. 첫째, 미신과 무지의 풍속을 요얼과 야만이라는 관점에서 서술하고, 문란한 성관계/성생활을 사건화하여, 조선의 일상을 음특하고 문란한 것으로 부각시켰다. 둘째, 사기와 강도 사건, 무능하고 타락한 정치/관리의 일화를 보도함으로써, 무지한 조선의 이미지를 구성하고, 이에 대한 혐오의 시선을 정당화했다. 이때 조롱과 동정이라는 정동의 수사적 장치가 동원되었다. 『한성신보』에서 조선의 일상을 무시와 혐오의 시선으로 서술하는 언술의 정치는 동아시아 내부를 위계화하는 방법으로 구현되었다. 일본의 일상을 미담으로 소개하여 선망과 감탄의 반응을 유도했으며, 중국인과 중국문화를 혐오와 비하의 시선으로 서술하여 '한-중'을 등치적으로 폄훼하는 언술 방식이 채택되었다. 『한성신보』 잡보는 각 기사마다 '익명화된 집단'과 기자의 논평자적 개입을 허용함으로써, '언론'의 관점을 '여론'으로 수용하게 하는 언술의 정치학을 수행했다. 이 논문은 『한성신보』 잡보의 언술 구조와 수사 분석을 통해, '지식-권력'이 '언론-권력' 및 '식민-통치'의 문제와 연관되는 근대 초기 계몽의 언설구조를 해명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olitics of discourses and the control of affective strategies which were printed in articles of Hanseong Sinbo with focusing on how the enlightenment subject came to take the hegemony of the journalism by ignoring the ignorant and how they justify their hate feeling toward the 'know-nothing'. Article section of Hanseong Sinbo was published the problematic incident of daily life in Joseon as follows; the first, Hanseong Sinbo printed Joseon common life with the angle of superstition and wicked and depicted the sexual relationship and life between couples with the perspective of promiscuousness and corruption. The second, it printed fraud cases and corruption officials for targeting to rebuild the image of Joseon as ignorant and abominable. Then it uses the strategies of rhetoric as like ridiculing and compassion. The rhetorical politics of ignorance and hate feeling toward Joseon's daily life was adapted to write the article of Chinese's, and this biased perspective construct of the hierarchical discourses amongst three nations of East Asians as follows; Most Japanese articles were about admirable anecdotes but Chinese people and cultures were about negative and problematic incidents as like those of Joseon. Every article of Hanseong Sinbo quoted comments on the incidents of the anonymous crowd and the journalists, and these ways of writings made the newspaper readers accept the comments as public opinion, not as that of the press. This Paper analyzes the discourse structure of early modern discourses in Joseon through analyzing the discourse structure and rhetorics of articles of Hanseong Sinbo with this question; how and the since when the enlightenment discourses make justify the ignorant and hate feeling towards the 'know-nothing public' of Joseon.

      • KCI등재

        탈경계를 위한 도전: "고전-여성-문학-사"를 매개하는 "젠더 비평"의 학술사적 궤적과 방향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학술사적 의의와 과제-

        최기숙 ( Key Sook Choe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5

        이 논문은 13년의 연구 이력을 지닌 ``고전여성문학연구``가 사실상 ``고전-여성-문학-사``를 어떻게 매개하고 규정해 왔는지, 또한 그 관계들을 둘러싼 학술장의 제도적 변화와 문화사적 역할에 어떠한 비전을 제출하면서 ``통제/관리/조율/확산``해 왔는지에 관해, 학회와 학술지의 학술사적 역할이라는 차원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나아가 인문학 자체에 ``젠더적 시각``에 관한 어떠한 문제의식과 응답을 추동해 왔는지에 관해, 비판적이고 반성적인 성찰적 검토를 시도했다. 첫째, 학술사적 차원에서 해당 학회는 콜로키움, 하계워크숍, 학술대회 등을 통해 젠더 이슈와 관련한 고전문학 연구 주제를 선도적으로 기획하고 수행함으로써, ``고전-여성-문학``을 링크하는 학술적 공론장을 마련해 왔다. 또한 젠더 스터디의 연구 방법론으로서 학제간 연구를 지향함으로써, 문학주의를 벗어나 문화사/생활사 연구로 범주를 확장했다. 아울러 인접 학문의 페미니즘 연구의 성과를 수렴하여 케이스 스터디를 축적해가고, 이를 이론화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둘째, 해당 학회에 투고한 논문의 필자는 총 275명으로, 남녀 비율은 31% 대 69%로 여성 필자가 2배를 넘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고전문학은 대학의 분과 학문 체제의 전공 구분에서 독자적인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이는 여전히 대학의 전공 체제가 연구 방법론이 아니라 연구 대상을 중심으로 영역화되었기 때문이다. 셋째, 젠더적 시각에서 ``고전-문학-사``를 다시 읽는 작업은 기존의 전공 구분에 대한 학문 관행을 넘어서 젠더 연구를 영역화하는 선도적 역할을 했다. 국문 글쓰기 과정에 대한 주목, 생활사나 문화사 연구, 학제간 연구 등은 이전의 ``고전-문학-사`` 연구의 경계를 뛰어넘은 성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학회의 활동은 젠더 연구의 고전문학연구의 보편적 연구 의제이자 시각으로 설득하는 문화적 힘을 발휘했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고전-여성-문학-사``에 대한 연구는 다음의 해결 과제를 남겨두고 있다. 첫째, 연구의 대부분이 여성성 및 여성 연구에 집중되어 있어, 남성성에 대한 연구를 아우르려는 젠더적 관점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조선시대(조선후기) 연구에 집중된 연구를 확장하고, 동아시아적 관점과 방법을 연계함으로써, ``시기``와 ``지역``으로 제한된 연구 범주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회 차원의 장기 지속적인 학술 기획을 마련함으로써, 신자유주의 체제의 학문 제도화의 관행이 갖는 한계를 적극적으로 극복해 나가야 한다. 넷째, 이를 위해서는 현재의 학문 평가 시스템에 대한 전면적인 전환과 개편이 필요하다. 다섯째, 이를 위해 젠더 관련 학회 간에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콜라보레이션 네트워킹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향후 젠더 연구는 단지 연구 영역이나 방법론으로서의 개념과 역할로 제한되지 않고, 여성적 시각을 고려했을 때 필요한 인문학 연구의 ``태도``란 무엇인가라는(예컨대, ``돌봄``이나 ``배려``, ``공생`` 등), 사회·문화적 실천의 내용과 접합하려는 학적 노력이 필요하다. This paper researched the roles and outcome of the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by analyzing the journals, academic projects and works; 1) how this academic society redefine of the categ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history of literature`` with the view point of gender criticism, 2) how this working affected to the academic system and cultural roles, 3) what are effects of these gender issued scholarly process to the Humanities itself? First, at the level of academic history, this academic society have been planned long-term projected colloquium for 8 yeard, interdisciplinary summer-workshops, and conferences with the feministic view. By doing so it played a leading roles amongst researchers and academic societies with regard to th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By using the gender criticism as a methodology, and using the concept of cultural studies and a study of ordinary life, this academy made enlarge the category of literature, accumulated the case studies and got to academicize as a gender theory. Second, the total contributors are 275, amongst 31% are male-writer, and 69% are female-researcher. However, the gender criticism could not be considered as one of academic field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se phenomena resulted from the fixed academic system of university depending on the category and objects, not on methodology and viewpoint. Third, in the engendered perspective, the critical reading with considering of the concepts of ``Classic-literature-history`` can be estimated as a leading role; crossing the border of academic system which is limited by the department system of university; a highlighting on the woman`s writing with Korean alphabet and oral narratives, newly focusing on the cultural history and interdisciplinary/multidisciplinary approach as a methodology. Nevertheless, this academy is in dept to the next issued studies; 1) Most studied are focused on the analysis of feminity, not positively including the studies of masculinity/manhood. So it need to be changed from the feminism study into the gender studies. 2) Most researched are converged on the Joseon period, especially late Joseon. It should be linked with the East Asian studies crossing the boundaries in limited in category of Korea. 3) It should be suggested a series of long-term projects at the level of academic society, by doing so it should be overcome the limitation resulted from neo-liberalism which had a decisive effect on the academic system. 4) To do so, it needs to change and reorganize of academic valuation system totally. 5) The collaboration amongst academic societies with regard to gender issues or perspectives should be linked by networking continuous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