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전기 世稿의 간행과 판본

        최경훈 한국서지학회 2024 서지학연구 Vol.0 No.97

        이 연구는 가문의 문집인 世稿 가운데 조선 전기 간행된 현전본 5종과 그 후대 판본에 대하여 살펴본 연구이다. 世稿는 가문의 계통을 확립하는 족보의 간행이 시작되던 15세기 후반에 가문의 문장을 보존, 계승하고자 하는 가문 의식에서 시작되었다. 5종의 세고는 1474년 함양 간행 「진산세고」, 1476년 固城 간행 「철성연방집」, 1510년 의성 간행 「함종세고」, 1549년 태인 간행 「고령세고」, 1568년 칠원 간행 「인천세고」이다. 이 가운데 「철성연방집」은 번각도 이루어져 초간본과 번각본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았는데, 이번 연구로 계명대본이 초간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 전기 세고의 간행은 문집과 같이 지방관으로 부임한 후손이 주도하였고, 책판은 세거지로 옮겨졌으며, 초간본은 번각, 선집, 속편의 추가 등 방식으로 계속 간행되었다. 이 연구가 향후 가문에 기반한 문장의 보존이라는 관점에서 족보와 관련한 世稿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five types of family anthology edition publish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subsequent editions. Family anthology began in the late 15th century, when the publication of genealogy that established the family system began, with a family consciousness to preserve and inherit family sentences. 5 kinds of family anthology edition are as follows. Jinsan Sego, published in Hamyang in 1474. Chulsung Yeonbangjip, published in Gosung in 1476. Hamjong Sego, published in Uiseong in 1510. Koryung Sego, published in Taein in 1549. Inchun Sego, published in Chilwon in 1568. Among them, the distinction between the first edition and the second edition of Chulsung Yeonbangjip was not clear, because the second edition was engraved like a copy.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various editions, the book of Keimyung University was the first edi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publication of family anthology was led by descendants who were appointed as local officials, and the wooden plates were moved to their hometowns, and the first edition continued to be published in the manner of rewriting, selection, and addition of sequel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family anthology research related to genealogy in the future from the perspective of preserving family-based sentences.

      • KCI등재

        워크플로우 작업의 효율적인 배치를 위한 다단계 워크플로우 그래프 분할 기법

        최경훈,손진현,김명호 한국정보과학회 2003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 Vol.32 No.4

        Workflow is defined as the automation of a business process, and consists of interrelated workflow tasks. Because many modern business processes may involve activities that are geographically distributed between different departments or organizations, workflow inherently has the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In distributed workflow systems, each workflow task performs its assigned role by utilizing information resources placed at some hosts, and then transmits workflow execution control to the next tasks in a workflow definition. Hence, it is very important to appropriately allocate workflow tasks to hosts for high performance workflow process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multilevel workflow graph partitioning scheme for efficient placement of workflow tasks. This method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workflow processing by minimizing the remote communication costs occurred during workflow execution. 워크플로우는 자동화 및 전산화된 업무 프로세스로 정의되며, 서로 관련성을 가지는 여러 개의 워크플로우 작업들로 구성된다. 오늘날 대부분의 업무 프로세스들은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서로 다른 부서 및 회사에서 수행되는 작업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워크플로우는 본질적으로 분산성을 가진다. 분산 워크플로우 시스템에서 각 워크플로우 작업은 원격 호스트에 있는 공유 자원들을 활용하여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고, 워크플로우 정의에 따라 다음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를 전달한다. 따라서 고성능을 요구하는 워크플로우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워크플로우 작업들을 적절한 호스트에 배치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워크플로우 작업 배치를 위한 다단계 워크플로우 그래프 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워크플로우의 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격 통신 비용을 최소화하여 워크플로우의 처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조선시대 『주자대전』 선집서의 간행과 구성에 관한 연구

        최경훈 한국문헌정보학회 202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ublication, composition, method of composition, and acceptance patterns of JujaDaejeon anthologies edited by Joseo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When a large amount of JujaDaejeon was published in the 16th century, anthologies of JujajaDaejeon was compiled, published and learned as a way to understand it. A total of 13 kinds of JujajaDaejeon anthologies were published, including six kinds in the early Joseon period and seven kinds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 composition of main anthologies showed a trend that was supplemented by Jeong Gyeong-se's Jumunjakhae from Lee Hwang's Jujaseojeolyo, and aggregated into Song Si-yeol's Jeoljaktongpyeon(boyu). JujaDaejeon consists of total 3,645 works except for poems. Among them, 1,734 works were selected by 13 anthologies. The theme of a work with a high cumulative number of selections is the virtue and attitude of the king, policy proposals, the appointment of talent, the duty of subjects, criteria for evaluating historical figures, opposition to harmony with Jin and territorial restoration, and academic discuss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meaningful in the field of the research on the acceptance of the foreign books and acceptance of the Zhu Xi's works in the Joseon dynasty.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 학자에 의해 편성된 『朱子大全』 선집서를 대상으로 간행과 구성, 편성 방식, 수용 양상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16세기에 거질의 『朱子大全』이 간행되자 이를 수용하기 위한 방편으로 선집서의 편성과 간행, 학습이 이어졌다. 『朱子大全』 선집서는 조선 전기에 6종, 조선 후기에 7종 등 모두 13종이 간행되었다. 선집서의 편성은 이황의 『주자서절요』를 기점으로 정경세의 『주문작해』로 보완되고, 송시열의 『절작통편(보유)』로 종합되는 흐름을 보였다. 『朱子大全』에는 詩를 제외하면, 3,645편의 작품이 있으며, 그 가운데 13종의 선집서에서 모두 1,734편이 선정되었다. 누적 선정 횟수가 높은 작품의 주제는 국왕의 덕목과 자세, 정책 제안, 인재 등용, 신하의 의무, 역사 인물 평가 기준, 금과의 화친 반대와 영토 회복, 학문 토론 등이다. 이 연구는 조선시대 외국 서적의 수용과 주자 문집의 작품 수용 연구 분야에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인체육과 스포츠 보조공학의 융합을 위한 제언

        최경훈,박기용 한국특수체육학회 2013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1 No.3

        도시화 및 기계화가 심화되면서 각종 재해 현상이 급증하여 후천적 장애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맥락을 같이 하여, 장애인체육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동호회 단위의 자발적 참여집단의 수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들은 생활체육을 단순히 재활의 목적이 아니라, 건강증진 사회적 연결망의 확대 그리고 자아실현의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고난이도의 동작 구현, 극대화된 경쟁상태, 그리고 기록의 경신과 갱신을 소망한다. 그 방편으로 유럽을 위시한 미국에서는 스포츠 보조공학에 관심이 집중하고 있다. 이는 일반인이 설산(雪山)을 등반하기 위해 아이젠을 이용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육상화를 착용하는 행위와 다를 바 없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보조공학 서비스 수준은 여전히 초보적이며, 생활 및 직무 수행을 위한 보장구 개발에 국한되어 있다. 이는 장애인 복지와 관련된 서비스체계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장애인체육 참여자의 염원을 간과하는 관련 기관들의 관심 및 의지부족에서 비롯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소극적이고 근시안적인 장애인 복지 서비스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 즉 재활공학에 치우친 서비스 체계를 스포츠 보조공학의 차원으로 패러다임을 전환시켜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장애인체육 참여자의 체능향상과 성취동기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스포츠 보조공학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계기관 및 학계의 관심을 유도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스포츠 보조공학의 활성화를 통해 장애인의 삶의 질을 고양시키고, 자기효능감을 강화 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As the urbanization and mechanization increases industrial accidents, medical accidents, and environmental disaster, the number of the acquired disabled increases. In line with this, sports for the disabled is activated and the number of voluntary participant groups such as clubs increases. Most of the disabled take advantage of sports not only to be rehabilitated but to improve health, to expand their social networks, and to develop themselves. Thus, they hope to achieve physical abilities and competitiveness to be satisfied with themselves and to contribute to group events.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Europe are interested in sports assistive technology. This is no different from the able-bodied people who use climbing irons to climb snowy mountains and who wear running shoes with cutting-edge technology to break records in sprint races. However, Korea is still a beginner in assistive technology and Korea`s assistive technology is limited only to developing assisting devices to lead a life and to perform professional duties. This is not only because the disabled welfare service system has problems but because institutes are not eager to learn what the disabled sports participants need. Therefore, they should a paradigm shift from a passive and short-sighted disabled welfare system to a future-oriented system. Thus, this study is to promote a paradigm shift in assistive technology as a means of optimizing achievement motivation and improvement of physical abilities of the disabled sports participants and draw attention from academics and researchers. The ultimate aim of this study is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by developing and distributing sports assisting devices and to reinforce self-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