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리더십 연구의 새로운 지평:<박태준 사상, 미래를 열다>에 대한 서평

        최경춘,Kyong Chun Choi 대한리더십학회 2013 리더십연구 Vol.4 No.1

        본 서평은 최근에 발간된 <박태준 사상, 미래를 열다>(송복․최진덕․전상진․ 김왕배․백기복, 2012)의 내용을 검토하여 한국형리더십의 전형을 발견하려는 시도이다. 우선 송복 교수는 박태준의 생애를 한국인들의 ‘선비사상’을 보여준 전형으로 해석하고 의지의 ‘지(志)’, 옳음의 ‘의(義)’, 청렴의 ‘렴(廉)’, 자애의 ‘애(愛)’를 구체적 행동지침으로 제시한다. 과거의 많은 선비들이 이러한 사상을 부르짖기는 했지만, 행동으로 실천한 사람은 박태준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최진덕 교수는 “결사적인 조국애” 를 박태준사상의 핵심으로 제시한다. 이는 군인, 기업인, 정치인 박태준이 사심을 버리고 주어진 역할에 헌신하도록 했던 가장 강력한 동인이라는 주장을 편다. 전상인 교수는 영웅을 사회적 자산이라고 규정하고 박태준을 행동하고 실천하는 진정한 “영웅”이었다고 평가한다. 한 사회의 영웅숭배는, 민중론 지지자들의 배척에도 불구하고, 미래 비전을 가꿀 수 있는 소중한 출구라는 점을 강조한다. 김왕배 교수는 당시 한국은 ‘국가포섭형 사회’였음에도 민간 차원에서 보국이념을 구현함으로써 우리 사회에 새로운 축을 형성케한 인물이 박태준이라고 주장한다. 국가 아니면 개인이라는 단순 사회구조 속에서 기업과 교육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것이다. 백기복 교수는 “용혼 사상”(熔魂思想)을 박태준 사상의 핵심으로 제시한다. 절대빈곤, 자원부재, 자금제로, 기술과 인력부재 등의 무 상황에서 유를 창조한다는 것은 경영학적 합리주의 방식으로는 해석할 수 없으며 모든 것을 녹여내는 강력한 ‘혼’(魂)의 개념에 의해서만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상들을 한국형리더십의 8요인에 대입하여 박태준이 한국형리더십의 전형이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current book review is an attempt to find a prototype of Korean Leadership Style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a recently published book titled, <Thoughts of Park Taejoon, Avenue to the Future> written by Song, Choi, Jun, Kim, & Baik, 2012). Above all, Professor Song interpreted Park’s life as a personification of ‘Sunbee(Korean classical scholar) spirit’, and, based on Park’s prototypical life, suggested four behavioral norms such as ‘Will’, ‘Righteousness’, ‘Ethics’, and ‘Love’. Throughout Korean history, many Sunbees enchanted such spirit, but Park Taejoon may be the only person who practiced it in his everyday life. Professor Choi proposes “desperate patriotism” as the core concept of Park’s thoughts, which is claimed to serve as a soul motivator to dedicated military service, entrepreneurship, and a political move. Professor Jun, defining heroism as a social asset, proclaims that Park Taejoon was a genuine hero who put action before words. He also emphasized that despite defiance from the people side heros are the priceless instrument who can open up the avenue that leads to future vision of a society. Professor Kim analyzes that Park Taejoon set another axis to the Korean society by building up POSCO and educational institutes and helped overcome people’s over-reliance upon the state that prevailed during his era. Finally, Professor Baik proposes MBS(Management By Spirit) as Park’s core thoughts, which enabled him to iron out all the seemingly impossible obstacles such as deadly poverty, nil resources, lack of capital, no technology or human resources. Fighting out these obstacles and making impossible possible, he argues, cannot be explained by the management principles developed on rationality assumptions, but only by the Spirit he carried. Review of all these essays on Park’s thoughts made us reach a firm conclusion that Park Taejoon fits very well with the 8-factors prototype of Korean Leadership Style.

      • 역멘토링(Reverse Mentoring)을 통한 리더십 향상에 관한 연구

        최경춘,Kyung-Choon Choi 대한리더십학회 2012 리더십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조직 내 리더십을 개발하는 새로운 방법으로서 세대 간의 차이를 긍정적으로 해소하는 과정에서 멘토-멘티 간의 리더십 개발을 탐색하 는 질적 연구이다. 멘토링에 관한 기존의 연구가 주로 조직에 먼저 입사한 선배나 경영층이 새로 입사한 젊은 사원을 지도, 감독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면, 본 연구는 젊은 사원이 멘토가 되고 나이든 선배나 경영층이 멘티가 됨으로써 리더십 향상을 촉진 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리더십 향상을 촉진하는 독립변수로서 멘토와 멘티의 세대 및 역량의 차이가 조직 내 역멘토링의 도입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리더십의 핵 심변인 중 LMX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때, 서번트 리더십을 조절변수로 논의하였다. 또한, 역멘토링이 기업에서 가지는 이론적, 실무적 함의와 향후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s as member and mentees as leader as a new way of leadership development. The existing research on mentoring has been focused between the relationship on mentors who were senior members or leader and mentees who were junior members or subordinates. However, this study the meaning of exploring the reverse relationship in leadership development. Current changes in management and technology questioned that generation and competency gap between senior and junior members may generate reverse viewpoints about leadership development. This study thus discussed generation and competency gap as independent variables may affect adoption of reverse mentoring program, and cause positive effects on leader-memebr exchange as key dependent variables. In this vein, servant leadership is selected and discussed as a key mederating variabl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on reverse mentoring is discussed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豹菴 姜世晃의 書藝論 一考

        최경춘(Kyeng-chun Choi)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7 동양한문학연구 Vol.24 No.-

          본고는 18세기 서단의 대표적 인물인 豹菴 姜世晃(1713~1791)의 『豹菴遺稿』와 「書論」을 중심으로 그의 서체와 서예론의 특징을 고찰하였다.<BR>  강세황의 書體成立 배경에서 그는 楷書가 草書보다 行書에 가깝다고 보았다. 또한 楷書만 학습을 하게 되면 한정된 시야로 경직된 자형에 국한되기 쉬우나, 行書를 학습하면 柔軟性과 筆速에 의해 생긴 空間知覺力이 書寫者의 視野를 넓혀주므로 行書法으로 楷書를 쓰면 시원하고 튼튼한 筆勢를 確保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강세황은 서법이란 일치하므로 해서와 행?초서는 나눌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여 그는 書體變移에 있어 초서와 해서의 중간단계인 行書를 주력으로 써서 得意하였다. 강세황의 豹菴體는 왕희지와 왕헌지의 書法을 익히고 난 뒤에 원대의 조맹부 서체와 宋代 米?의 서체를 가미하여 유려하고 힘찬 筆?으로 형성되었다.<BR>  그리고 그는 僞作法帖을 임모하는 弊端을 극복하기 위한 그 대안으로 古人 書의 眞意를 담고 있는 가까운 시대의 書를 학습하는 神韻 중시의 臨書探古論을 설파하였다. 또한 그는 글을 쓸 때 得心應手하는 마음의 자세를 갖추고, 고인의 글씨를 대할 때 먼저 그 神韻을 터득해야 함을 강조하여 形似를 하되 그 외형에 집착하지 않고 궁극적으로 그 形에 들어있는 神韻을 체득해야 한다고 하였다.<BR>  이러한 강세황의 개성화된 서론과 서체의 창안으로 18세기 서단이 백화만발하게 된다. 이는 서예의 반성적 전형을 왕희지로 삼고, 주체적 창조정신과 생명정신을 예술창작의 기저로 삼아, 서예의 체질을 개선하는 법고주의 발현에 의한 서예의식을 고취시켰다. 이러한 주체적 예술 활동은 서예의 외재적 객관규율을 중시하던 기존의 미학관에서 脫規範化ㆍ脫規定化ㆍ脫形式化를 선도하면서 순수한 자기 심정의 眞을 중시하는 미학관을 새롭게 제시했다.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n each theory of calligraphy of the leading calligraphists in the 18th century such like Pyoam Se-hwang Gang(1713~1791) and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define each theory of calligraphy with their respective personality.<BR>  Se-hwang Gang viewed that the square style is much closer to the semicursive style than cursive style. Also if anyone sticks to only the square style, his style could be stiffened with limited sight, while one who studies the semicursive style will gain extended sight through the flexibility and space perception given by the writing speed. So he believed if one does the square style in the way of the semicursive style, he would secure broad and firm strength in his calligraphy. Therefore Se-hwang Gang claimed that all the calligraphy methods are actually identical and it"s unnecessary to divide between the semicursive style and the cursive style. He enjoyed his best days as he mainly worked on the semicursive style in his calligraphy, which is in between the cursive style and the semicursive style. The Pyoam style by Se-hwang Gang formed a strong and elegant style by adding Meng-Fu Zhao(趙孟?) style of Ming dynasty and Fu Mi(米?) style of Sung dynasty after studying the style of xi-zhi Wang(王羲之) and xian-zhi Wang (王獻之) as well.<BR>  The calligraphy in the 18th century mostly features the styles Se-hwang Gang studied the collections of xi-zhi Wang and created his own Pyoam style(豹菴體) by adding the styles of Meng-Fu Zhao and Fu Mi.<BR>  The theory of calligraphy by Se-hwang Gang stressed that a calligraphist must be prepared with clear mind to do calligraphy by understanding the purpose fully. So he said when one learns the old styles he must learn to the mysterious energy in it and must not stick to imitating the outward alone, but he should first understand the true meaning in it so that his work will not end up in a mere forgery. And this is his theory that says "follow the old styles focused on the comprehension of the spirit and purpose in it".<BR>  Se-hwang Gang’s achievement of new calligraphy styles have brought out the glorious days for the calligraphy in the 18th century. They took xi-zhi Wangas the chief model for them to study on and accomplished the new calligraphy styles of their own by reviving the old styles with creativity and new spirit.

      • KCI등재

        東國眞體 理論 再考

        崔慶春(Choi Kyeng-Ch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8 한국민족문화 Vol.31 No.-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so called 'Donggukjin Style' that appeared at the calligraphy field in the 18th century. The concept of 'Donggukjin Style' was developed based on 『Haengjang』, the annex of 『Hongdoseonsaengyugo』 written by Seongjae Heojeon (1797~1886) in the next generation, which is not directly related with Lee Gwang-sa as well as Lee Seo and Yun sun who are referred to as the leaders of Donggukjin Style. Therefore,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Donggukjin Style'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while bringing forth a counterargument against the argument that Donggukjin Style was formed during the switchover of Jo Maeng-bu Style to Wang Hee-ji, and has the identity of the 18th calligraphy field. From reciprocal comparison among the existing research outcomes, it was found that so called Donggukjin Style cannot become a unique noun by unifying Lee Seo's style, Yun Doo-seo's style, Yun Sun's style and Lee Gwang-sa's style into one because Okdong Style, that is, Donggukjin Style based on the school of Lee Hwang's Joseon Sung Confucianism changed in quality while transmitting to Yun Sun, and so called Donggukjin Style of Ming Dynasty style that was formed by Yun Sun through acquiring the technique of calligraphy using fakes of Wang Jeo at the beginning of the North Song Dynasty has more reinforced Joseon atmosphere of Han Seok-bong style. Hence, as for 'Donggukjin Style is a true calligraphy of the Joseon Dynasty' and 'Lee Gwang-sa's Donggukjin Style reinforces Joseon atmosphere of Han Seok-bong style' in the previous studies, the current study changed that the former as 'Donggukjin Style is a unique calligraphy of Joseon calligraphers' and the latter as 'so called Lee Gwang-sa's Donggukjin Style restored the trend to Wuijingobeop adding Seokbong Style.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claimed that changing the concept of so called Donggukjin Style that has been beautified by the former researchers as the return to Wang Hee-ji Style, restoration of pure spirit of calligraphy and the presentation of reformative spirit of calligraphy to Lee Sec's Okdong Style, Yun Sun's Baekha Style and Lee Gwang-sa's Wongyo Style can not only expand the aesthetic range of calligraphy and characteristic beauty of individual calligraphers in the 18th century calligraphy field, but also provide a true clue for the calligraphy theory of Kim Jeong-hee in the 19th century and his unique Chusa Style.

      • KCI등재

        효율적인 학사지도를 위한 교육방안 -대학한문교육과 연계하여-

        최경춘 ( Choi Kyong-chun ) 동방한문학회 2016 東方漢文學 Vol.0 No.68

        College teaching is course of offer relation in formation and apply to potential development, goal in life, study plan for student. Recently some university try to efficient college teaching from organize a party leadership or operation of program. It is example of Dongguk university paramita college, Soongsil baird university college, Yonsei university academic advising system. College teaching is managed to divide method of college life and method of Knowledge. Therefore, goal of college teaching is college life adjustment for student and study fulfill through the self-leaning. Successful college teaching must be paired with guidance of life for student as well as knowledge management. In this thesis, we try to have seek for solutions to efficient education plan with Dongguk university paramita college through the actual university chinese education run by Dongguk university. We could identified actual knowledge management a little. We could identified important of connectivity guidance of life and knowledge management. College teaching program must operate systematically. It is necessary to college teaching by step and each grade from freshman time, also we should operate to open only subject and must be paired with knowledge management for scholarly achievement in the field of major and sophistication. Specially, education of humanism and leadership development is emphasized in part of guidance of life of college teaching. Double education of humanism can find some solutions from university chinese education then it should strengthen to chinese education and more systematic solutions in college concrete solutions will announce on later.

      • KCI등재

        인성교육 콘텐츠로서의 천자문

        최경춘(Choi, Kyeng-Ch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천자문 소재 한자(漢字)를 인성교육 콘텐츠라는 측면에서 탐색하는데 있다. 천자문은 인성교육 콘텐츠의 다양한 내용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는 인성교육 콘텐츠로서 활용 가능한 역사적인 사건을 비롯하여 단순한 자연현상, 정치제도, 인간생활, 인류도덕, 충효, 처신, 예악 등이 골고루 갖추어져 있다. 따라서 이 한 권만 읽으면 인성을 중시하는 현시점에서 우리 대학생들이 지녀야할 기본 소양이 다 갖추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인성과 한자학을 정의하고, 관련된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천자문의 내용을 1.자연, 역사, 생활, 제도. 2.인물, 정치, 인륜, 인성. 3.충효, 교화, 지리, 농사, 4.지혜, 처신, 학문, 예악, 송덕, 행동으로 분류하고, 인성영역에 해당하는 한자를 형성원리, 한자자원학, 한자자체학, 한자문화학적인 측면에서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천자문 소재 인성교육 관련 한자에서 ‘①누구나 허물이 있는 것이니 허물을 알면 반드시 고쳐야 하고, 사람으로서 알아야 할 것을 배운 후에는 잊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② 다른 사람의 단점을 말하지 말고, 자신의 장점을 믿고 자랑하지 말라. ③ 덕을 세상에 세우면 명예도 서게 되고, 몸가짐이 단정하고 깨끗하면 마음도 바르며 겉모습도 바르게 된다’는 의미의 배경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chinese characters in Chun ja mun in terms of personality education contents. Chun ja mun contains various of contents personality education. These include natural phenomenon, political institutions, human life, human rights, loyalty and filial duty, behavior, manners and vice, as well as historical events that can be used as personality educational contents. Therefore, at the time of the present of put emphasis on personality, It have the advantage of establishing a basic culture that our university students should possess. As a method of study, we define personality and chinese character study and integrated a previous study of related to. we classified the contents of the Chun ja mun into four categories 1.nature, history, life, system 2.person, politics, humanity, personality 3.loyalty and filial piety, education, geography, agriculture 4.wisdom, conduct, study, manners and vice, virtue, behavior At the same time, we analyzed chinese character that have meaning of personality in the side that formative principle, resources, its own, culture The result, we expressed background of these meaning in chinese character related to personality education Chun ja mun. The meaning is as follows. ①Everyone have faults, if we find ours, we must correct our faults and after learn humans duty, we must not forget to learned thing ②Don’t talk about people s faults, nor do say your own merits ③virtue leads to fame, right behavior make right mind and right one s appearance

      • KCI등재

        이슈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상사정치지각의 매개효과와 신바람의 조절효과 검증

        최경춘(Choi Kyung-Choon),남유진(Nam You-Jin),심선아(Shim Sun-A) 대한리더십학회 2017 리더십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이슈리더십과 직무성과간의 관계를 상사정치지각 효과와 신바람 효과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슈리더십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슈리더십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상사정치지각과 신바람에 대한 문헌연구와 이슈리더십과의 관련성을 정리하였다. 우선 이슈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지난 16년 동안 이론적으로 타당할 뿐만 아니라 실천적으로도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들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이슈리더십이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보여주고는 있으나 아직도 연구의 영역은 많이 남아있다. 예를 들어 조직경직성, 조직문화, 응집력, 과업환경, 이슈중요성, 직위권력, 상사의 지원인식, 환경역동성 등 과업환경과 관련된 변수들의 조절효과와 이슈리더십과 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수들로는 임파워먼트와 실행효과성 등이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지만, 이슈리더십과 성과변수를 매개하는 매개변수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슈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수로서 상사정치지각을, 이슈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로서 신바람을 설정함으로써 그동안의 연구에서 부족했던 부분을 검증하기로 하였다. 기존의 조직정치이론에 의하면, 조직정치는 대개 조직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해 왔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결과는 조직정치 자체의 존재여부 보다는 상사가 발휘하는 리더십 행동을 구성원들이 어떻게 지각하는가가 더욱 중요한 문제라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즉 상사의 조직정치 행동에 대한 구성원의 긍정적 지각은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줄 수도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이슈리더십에서도 비슷한 연구흐름을 보여 주고 있는 바, 이슈리더십 그 자체 보다는 구성원의 지각이 더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슈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상사정치지각의 긍정적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했다. 또한 이슈리더십의 효과를 조절하는 과업환경요인으로서 신바람을 선택하였다. 구성원이 지각하는 신바람은 직원의 작업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써, 조직 내에서 상사의 이슈 창안, 오디언스 몰입, 이슈실행 행동에도 일정 수준의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즉, 신바람을 높게 인지할수록 그에 부응하려는 경향이 높은 구성원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상사의 관점에서 이슈몰입이나 이슈에 대한 실천을 독려하는 등 이슈실천 행동을 지원하려는 경향이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델을 설정하고 가설을 수립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연구방법으로서 설문지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국내 대기업 및 공기업에 종사하는 사무직 직원 15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133매를 가설 검증을 위한 최종 통계분석 데이터로 이용하였고, 이슈리더십과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상사정치지각의 매개 여부와 신바람의 조절 여부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상사가 발휘하는 이슈리더십은 구성원의 상사정치지각이라는 매개효과를 통해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슈리더십과 직무성과 간의 신바람의 조절효과는 부분적으로 유의함을 발견했다. 본 연구는 이슈 리더십이 구성 원의 상사정치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하고, 신바람이라는 심리적 정서적 요인이 오히려 이슈 리더십의 발휘를 촉진하는 요인임을 발견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existing organizational politics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the negative effect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However, the recent studies show that organizational politics is more important in terms of employees perception than organizational politics itself, which implies positive effect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coming from employees positive perception. The same phenomena are observed in the studies of leadership, which employees perception of leadership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leadership itself.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rimarily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s of superior political perceptions between the issue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And also, we tried to test how the degree of Shinbaram, which is defined as individual energy to participate and contribute to job performance in Korean management settings , can moderate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we have found that superior issue leadership can effect on perceptions of superior s positive political behaviors as well as job performance in the positive(+) way. And, Shinbaram was also found to be partially significant 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in terms of statistical point of view. Through this study, we can understand that positive perception of superior s political behaviors can be effective, and Shinbaram, psychological, emotional variable can facilitate job performance.

      • KCI등재

        朝鮮後期 書藝論의 一局面 - 李匡師, 姜世晃, 金相肅을 中心으로

        최경춘(Choi Kyeng-chu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5 동양한문학연구 Vol.21 No.-

          朝鮮後期 書壇에 등장한 주목할만한 書論은 당대까지 유행해 오던 松雪體나 石峯體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書論을 전개한 서가로는 李匡師, 姜世晃, 金相肅을 들 수 있다. 이들은 脫俗的이고 審美的 的인 趣向의 서체를 追求하였으며 모두가 왕희지의 書法을 표준으로 삼아서 학습하였다. 그 중에서 李匡師는 董其昌의 서법을 개성화시켜 圓嶠體를 창안하였고, 姜世晃은 米?과 趙孟? 서법을 가미하여 豹菴體를 창안하였으며, 金相肅은 鍾繇의 서법에 경도되어 稷下體를 창안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李匡師, 姜世晃, 金相肅의 書論에서 李匡師는 規矩의 外形의 模寫를 통해 創新에 이르는 길, 즉 ‘法古’를 통한 ‘創新의 길’을 역설하였는바, 臨書는 철저하고 精密히 해야 하며 법첩에 내포된 서가의 뜻과 기상을 파악하여 이를 자유롭게 파악할 수 있는 경지에 이르면 단순한 形似에서 벗어나 創新에 이른다는 法古創新論이다. 그리고 姜世晃은 글을 쓸 때 得心應手하는 마음의 자세를 갖추고, 고인의 글씨를 대할 때 먼저 그 神韻을 터득해야 함을 강조하여 形似를 하되 그 외형에 집착하지 않고 궁극적으로 그 形 속에 들어있는 神韻을 체득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僞作法帖을 임모하는 弊端을 극복하기 위한 그 대안으로 古人 書의 眞意를 담고 있는 가까운 시대의 書를 학습하는 神韻 중시의 臨書探古論을 설파하였다. 金相肅은 書家의 마음속에서 우러나는 筆劃을 중시하여 筆才의 高下를 막론하고 작가의 마음에서 배태된 心劃이 있어야하며, 바람직한 心劃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마음을 바르게 하여야하며 정밀하고도 부단한 학습을 통하여 작가의 내면세계가 서론을 통해 온전히 전달되는 경지에 일러서야 서법이 완성된다고 주장하여 心劃을 중시하는 입장에서 手隨心運論을 전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development of calligraphy style and theory in chosun latter dynasty, especially the theories of Lee Gwang-sa, Gwang Sei-hwang and Kim Sang-suk who took an unique approach to that. All their contemporary calligraphers were in pursuit of unworldly and aesthetic style instead of uniform Songseokche or Seokbongche that were widespread in the preceding generation, and they tried to study in accordance with Wang Hui-ji"s Beopcheop. Specifically, Lee Gwang-sa created Weongyoche by making Dong Gichang"s calligraphy more unique, and Gang Sei-hwang created Pyoamche by mixing the calligraphy of Mibul and Jo Mang-bu. Kim Sang-suk created Jikhache under the influence of Jong Yo.   Lee Gwang-sa suggested how to attain Changshin(creation) through Gyugu"s Hyeongsa(resemble a form), and he put stress on the way of Changshin(creation) through Beopgo(tradition). And he advocated Euigi (spirits) and Beopgochangsinron(the theory of creation through tradition), claiming that Imseo(calligraphy which he or she copies) should be perfect and precise and one could achieve Changshin(creation) by making a liberal stroke. Gang Sei-hwang argued that one should put his or her focus on the heart and acquire the Shinwun(a spirit within mystery and high-mindness) of others" calligraphy instead of concentrating only on external shape. And he advocated Shinwun(a spirit within mystery and high-mindness) and Imseotamgoron(the theory of study through calligraphy which he or she copies), stressing the acquisition of calligraphy in the possible near past as a means to root out the evil impacts of fraud Beopcheop(a book for calligraphy which he or she copies). Besides, Kim Sang-suk placed an emphasis on heartfelt calligraphy. He believed that everybody should acquire Simhoik(a spiritual stroke), even if it"s not perfect, and he additionally advocated Sususimwunron(the theory of calligraphy skill follows a spiritual stroke), stating that calligraphy could be complete by making a heartfelt and accurate effort to express what it means.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강세황의 표암체 작법 일고

        최경춘 ( Kyengchun Choi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9 No.-

        본고는 18세기 서단의 대표적 인물인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 1713~1791)의 『표암유고(豹菴遺稿)』와 「서론(書論)」을 중심으로 그가 이루어낸표암체(豹菴體)의 작법을 고찰하였다. 강세황의 서체성립 배경에서 그는 해서(楷書)가 초서(草書)보다 행서(行書)에 가깝다고 보았다. 또한 해서만 학습을 하게 되면 한정된 시야로 경직된 자형에 국한되기 쉬우나, 행서를 학습하면 유연성과 필속(筆速)에 의해 생긴 공간 지각력이 글쓴이의 시야를 넓혀주므로 행서법으로 해서를 쓰면 시원하고 튼튼한 필세(筆勢)를 확보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강세황은 신운을 바탕으로 한 작법을 통해 위작법첩(僞作法帖)을 임모하는 폐단을 극복하기위한 그 대안으로 고인(古人) 서(書)의 진의(眞意)를 담고 있는 가까운 시대의 서(書)를 학습하는 신운론(神韻論)을 설파하였다. 또한 강세황의 행서로 완성된 작법은 서체변이(書體變移)에 있어 초서와 해서의 중간단계인 행서를 주력으로 써서 득의(得意)하였다. 그러므로 강세황의 표암체는 왕희지와 왕헌지의 서법을 익히고 난 뒤에 원대의 조맹부 서체와 宋代米비의 서체를 가미하여 유려하고 힘찬 필획(筆畵)으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강세황의 개성화 된 서론과 서체의 창안으로 18세기 서단이백화만발하게 된다. 이는 서예의 반성적 전형을 왕희지로 삼고, 주체적창조정신과 생명정신을 예술창작의 기저로 삼아, 서예의 체질을 개선하는 법고주의 발현에 의한 서예의식을 고취시켰다.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n each theory of calligraphy of the leading calligraphists in the 18th century such like Pyoam Se-hwang Gang (1713~1791)and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define each theory of calligraphy with their respective personality. Se-hwang Gang viewed that the square style is much closer to the semicursive style than cursive style. Also if anyone sticks to only the square style, his style could be stiffened with limited sight, while one who studies the semicursive style will gain extended sight through the flexibility and space perception given by the writing speed. So he believed if one does the square style in the way of the semicursive style, he would secure broad and firm strength in his calligraphy. The theory of calligraphy by Se-hwang Gang stressed that a calligraphist must be prepared with clear mind to do calligraphy by understanding the purpose fully. So he said when one learns the old styles he must learn to the mysterious energy in it and must not stick to imitating the outward alone, but he should first understand the true meaning in it so that his work will not end up in a mere forgery. And this is his theory that says ``follow the old styles focused on the comprehension of the spirit and purpose in it``. Therefore Se-hwang Gang claimed that all the calligraphy methods are actually identical and it``s unnecessary to divide between the semicursive style and the cursive style. He enjoyed his best days as he mainly worked on the semicursive style in his calligraphy, which is in between the cursive style and the semicursive style. The Pyoam style by Se-hwang Gang formed a strong and elegant style by adding Meng-Fu Zhao(趙孟부) style of Ming dynasty and Fu Mi(米비) style of Sung dynasty after studying the style of xi-zhi Wang(王羲之) and xian-zhi Wang(王獻之) as well. The calligraphy in the 18th century mostly features the styles Se-hwang Gang studied the collections of xi-zhi Wang and created his own Pyoam style(豹菴體) by adding the styles of Meng-Fu Zhao and Fu Mi. Se-hwang Gang’s achievement of new calligraphy styles have brought out the glorious days for the calligraphy in the 18th century. They took xi-zhi Wangas the chief model for them to study on and accomplished the new calligraphy styles of their own by reviving the old styles with creativity and new spirit.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배와 김상숙의 직하체(稷下體)와 시 일고

        최경춘 ( Kyeng Chun Choi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70 No.-

        배와 김상숙(배窩 金相肅)은 18세기에 활동했던 문인이다. 이 시기는 조선조 고유의 문화적 정체성을 수립하려는 주체적인 정신이 발아하였고, 특히 실학(實學)의 태동으로 평등과 자주, 그리고 반봉건의 사조가 팽배한 시기였다. 아울러 문단과 예술계에서는 천재성을 지닌 문인 예술가들이 등장하여 전대와는 다른 그들만의 색채를 당당하게 표출한 시기이기도 하다. 김상숙의 직하체는 예서(隸書)와 해서(楷書)를 중시한 학습으로부터 시작해서 서가들 각자의 마음속에서 우러나는 필획(筆확)을 강조한 심획(心획)으로의 승화과정을 거쳐, 손이 마음을 따라 움직여야 하는 수수심운(手隨心運)을 통해 창안되었다. 직하체의 특징은 왕희지(王羲之)와 종요(鍾繇) 서체에 비견할 정도로 외형적인 선조(線條)가 절제되고, 자구(字軀)가 아담하며 간결하여 정제미(精製美)와 내재미(內在美)가 두드러진다고 하였다. 이러한 직하체는 김상숙이 당시 위진고법(魏晉古法)을 통한 필법개선의 의지가 강했던 서단의 분위기 속에서 전통필법에 근거하여 개성적인 서체를 이루어 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김상숙의 시세계는 첫째, 관직사회의 부패 때문에 자연에 대한 동경심과 극복할 수 없는 시대상황이 그로 하여금 자연으로의 회귀를 생각하게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주변사물을 소재로 한 작품은 우선 그가 대상을 자세히 관찰하여 사물의 진면목을 그려냈는데, 특히 「토호필가(兎毫筆歌)」와 같은 시는 붓의 특성을 자세히 관찰하고 묘사하여, 심획으로 승화시킨 직하체 창안에 근간이 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셋째, 관직생활에서 외직을 선호하고 예술을 동경하여 세상을 유람하면서 그 소회를 밝힌 그의 기행시를 통해 부조리한 현실과 대면한 18세기 지식인의 내면적 갈등을 엿볼 수 있었으며, 자연동경이나 초야은일(草野隱逸)은 그의 직하체 창안의 기저(基底)로 작용되어 결국 예술적 승화라는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Theories on the calligraphy Kim Sang suk had follow up calligraphy style on the squar style and having not copying form but focused meaning thorougly. specially, It had a continual research on adopt as normal that Jhong-yo`s squar style. Kim Sang suk`s calligraphist has to write from his heart regardless of the class in order to have the rightattitude in writing, one should have right kind of mind by studying constantly and thoroughly so that he can reveal his inner world into his calligraphy. This is his theory that says ``write calligraphy from the teart`` Kim Sang suk`s and their achievement of new calligraphy styles have brought out the glorious days for the calligraphy in the 18th century. They took Zhong yao(鍾繇) and Wang xi-zhi(王羲之) as the chief model for them to study on and accomplished the new calligraphy styles of their own by reviving the old styles with creativity and new spirit. Their independent art activities have led de-standardization de-regularization de-formalization out of the conventional viewpoints that used to emphasize the outward rules and formality in calligraphy and they suggested a new viewpoint of aesthetics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the mind of calligraphist. As we know in Kim Sang suk`s poetic world, he entered into the official life to realize his ideals, but he was very doubtful about government systems because of the corruption of the officers, and uncertain vision of rising in the world. Eventually, his yearn for nature arose in his mind of itself, and with returning to the nature and living there freely, he had many honorable aspects, which assimated with surroundings and observed all the things closely. His concern on things was expanded and assimilated the customs through traveling to many villiages. Such attitudes in his study was connected with the recognitions of a realistic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