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특집논문 : 광주 양림동의 근대도시공간적 의미

        천득염 ( Cheon Deukyoum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호남학 Vol.0 No.44

        본 연구는 광주의 대표적인 근대공간이라 할 수 있는 “양림동”의 도시공간과 건축에서 나타난 근대성을 고찰한 것이다. 즉 근대성 논의의 핵심적인 요소라 할 수 있는 도시, 건축, 교육, 문화, 선교, 의료등을 분석함으로써 광주 근대화의 상징인 양림동 공간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광주가 지니는 근대적 특수성을 종합적으로 인식하고자 하는 거대 담론 중에서 건축과 도시공간에 한정하여 살피고자 한 것이다. 한국건축의 시대구분에 있어 근대라는 시기를 정확히 구분하기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근대건축의 실질적인 출발점은 1876년의 개항으로 간주되고 있는 만큼 개항, 한일합방, 해방 등의 중요한 역사적인 사건들을 시대구분의 기점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시기에 조영된 도시와 건축의 모습은 1960년대 이후 전개된 현대적 건축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도시적 맥락이나 지역성을 반영하면서 현대건축의 모태적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시기 도시공간과 건축적 조영활동을 분석하는 것은 의의가 크다 할 것이다. 외세에 의한 광주의 근대화는 일제강점기 광주 양림동 공간의 형성을 통하여 구체화되었고 이곳에서 선교와 교육, 의료공간이 출현하면서 결국 광주에서 한국전통양식의 바탕위에 일본식과 서양식, 이들과 한국의 전통양식이 융합된 절충양식의 도시공간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들은 종교적 출발에서 교육과 의료, 식민지 강점을 위한 변화양상과 의도성을 보인다. 또한 일상의 공간인 광주천, 광주읍성의 철거에 따른 도시공간의 변모, 새로운 도로체계의 형성, 행정구역의 변모와 도시공간의 개편에 의한 복합적 결과라고 생각된다. This study is the result of consideration on modernity of the urban space and architecture of Yangrimdong(양림동), which could be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modern space in Gwangju. The space of Yangrimdong that symbolizing modernized Gwangju was considered by analyzing city, architecture, education, culture, missionary, medicine, all of which are the core factors in discussion on modernity. It`s a somewhat restrictive consideration out of metanarrative which is used for overall recognition of modernistic particularity of Gwangju. Although, it`s not easy to sectionalize accurately the period as modern age for Korean architecture, the practical starting time of modern architecture is regarded as the opening in 1876 in general, and so major historical events such as opening,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liberation are used as the starting time of the division into periods. Therefore, those appearances of cities and buildings constructed in that times have influenced a lot those modern building build up after 1960, and as they also could be considered as a pioneering conception for modern architecture reflecting urban context or locality, it`s very significant to analyze urban space and architectural -constructive activities of that times. The modernization of Gwangju by foreign power was embodied by the formation of Gwangju Yangrimdong space during the period of Japan`s colonial rule with appearance of missionary, education, medical spaces and finally, Japanese, western styles, and Korean traditional style blended compromise urban space came into being on the base of Korean traditional style in Gwangju. They show a change and intention such as religious starting through education, medicine, and to colonial rule. Besides, such urban space could be said a compounded result by a change in urban space due to withdrawal of Gwangju Cheon(광주천), Gwangju Eupseong(광주읍성), formation of new road system, change of administrative district and reorganization of urban space.

      • KCI등재

        백운동 별서원림(別墅園林)의 의미와 특징

        최정미 ( Choi Jungmee ),천득염 ( Cheon Deukyoum ),이재연 ( Lee Jaeyeou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7 호남학 Vol.0 No.62

        백운동원림은 남도지방의 고유한 특성을 갖춘 별서정원이다. 노장적이며 자연적인 본분에 따라 처사의 삶을 산 입산조 이담로와 그의 손자 이언길은 백운동 별서를 처음 경영하고 일군 시조라고 할 수 있으며, 오늘의 모습을 갖춘 것은 18세기 중엽 이덕휘에서 19세기 중엽 이시헌에 이르기 까지 완성되었다고 추정된다. 이 공간은 원래 백운암(白雲庵)이라는 암자 터로 추정되는 곳에 은거를 위한 별서(別墅)로 조성하였으며 나중에는 이언길의 아들 이의권 가족이 옮겨옴으로써 별서이면서 영농과 주거의 성격을 함께한 복합적 공간이 되었다. 백운동 원림은 월출산을 배경으로 하고 계곡 주변의 경승요소를 정원 안과 밖으로 끌어들이는 뛰어난 경관미와 차경 안목이 돋보이는 입지적 특성을 지닌다. 이와 아울러 인간의 내면에 자리한 복잡한 정신세계의 심리를 정원의 구성요소로 표현하고, 정원 조영을 통해 이를 승화시키고자 한 작정자의 조영관이 투영된 원림이다. 좁은 진입부의 계곡, 멀리 올려다 보이는 산 정상부의 원경, 그 안에 안정적으로 자리한 대지와 그 주변의 경승으로 이루어진 경관미 등 다양한 입지적 특성을 갖는다. 또한 백운동원림은 다산과 제자들의 학문적 만남, 차를 통한 나눔의 공간이었다. 특히 이시헌과 다산 사이에 서신을 통해 개인사에 대한 내용을 비롯하여 차를 보내줄 것과 차 제조법을 상세히 알려주고 있는 것, 공부에 대한 당부 등을 읽을 수 있어 귀한 자료가 되고 있다. 백운동 원림의 조경식물은 매화, 난, 국화, 대나무 등의 사군자와 연(蓮), 소나무(松), 동백, 모란, 영산홍, 단풍(楓), 생달나무, 유자나무 등이 나타난다. 이는 여느정원에서와 비슷하지만 수종은 많은 편이 아니다. 특히 백운동은 우리나라에서 몇안 되는 유상곡수(流觴曲水)를 조영하고 있는 곳이다. 중국에서 곡수연은 왕희지의 난정(蘭亭)과 송나라 숭복궁의 범상정(泛觴亭)의 유구가 있고, 한국에서는 포석정, 일본에서는 평성궁 동원 발굴 석조수로(石組水路)와 평안시대 야리미즈(遣水) 곡수연의 예가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주 드문 예이다. Baegundong Garden is a place Lee Dam-ro and his grandson, Lee Eon-gil recreated a scenic site as a treat away from their house located in Geumdang-ri below the mountain, Wolchulsan. Lots of scholars visited the garden and expressed the beautiful scenery and landscape in their poetry and prose, and paintings handed down today. The garden is one of the best private garden, allowing us feel the taste of Chosun scholars. The place called Byeolseo as a retreat was built up at the site estimated as a hermitage, Baegunam. And then, Lee Eui-gwon(1704-1759), son of Lee Eon-gil moved into the place with his family, and the place became the multiple space for living and farming as well as a treat. In addition, there were ancestors’ graves around the residential space, which means that the space was for both the alive and the dead. Especially, the correspondence between Lee Shi Hun and Jeong Yak-yong shows some personal things such as asking for some tea, informing how to make tea, and encouraging to study, which implies that Baegundong Garden was the place for social gatherings with tea between Dasan and his students and friends. Baegundong Garden has various landscape plants such as Maehwa (plum blossom), Orchid, Chrysanthemum, and Bamboos called Sagunja, Lotus, Pine trees, Camellia, Paeonia, Yeonsanhong(Korean azaleas), Maple trees, Japanese cinnamon, Fragrant Citrus, and so on. They are common in other gardens and not so many species of trees. But, Baegundong Garden has its unique features with its facility called Yusanggoksu which is a curved stream to float wine glasses at a banquet only a few remain in Kore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