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격몽요결(擊蒙要訣)』에 나타난 가치 및 덕목에 관한 연구

        채경숙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격몽요결(擊蒙要訣)』을 통해 율곡의 교육관을 살피고 그것을 바탕으로 오늘날 도덕과에서 추구하는 가치 및 덕목과의 관련성을 제시함으로써『격몽요결』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요즘 우리 교육 현장에서는 교육의 수단화와 비행 청소년의 폭발적 증가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교육의 수단화는 배금주의, 물질 만능주의가 사회에 만연되어 교육의 본질적 가치보다는 수단적, 기능적 가치가 중시됨으로써 교육이 개인의 출세를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전락하고 있는 현실을 의미한다. 비행 청소년의 증가는 핵가족화로 인한 가정교육 기능의 약화를 그 첫 번째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우리 사회 전반에 만연되어 있는 확고한 가치관의 부재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안고 있는 우리는 가장 올바른 가치가 무엇이며,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진지한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며 인간성의 계발, 인간성 회복에 주력해야 한다. 우리 사회는 한 때 전통성을 낡은 것으로 여기고 경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요즘, ‘우리 것은 소중한 것’이라는 움직임이 교육 및 문화 전반에 일고 있다. 이는 전통과 문화의 조화가 중요하다는 것이 강조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문화 사회적 혼미와 가치 갈등의 현상을 냉철하게 진단하고, 그 처방을 보편성과 특수성, 전통성과 시대성의 조화로써 풀어내려는 지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격몽요결』을 분석하여 오늘날의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설정하고 있는 가치 및 덕목과 비교해 봄으로써『격몽요결』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여러 선현들 중 혼란의 시대에 살며 새로운 질서와 사회 개혁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노력한 율곡은 교육을 통해 성인군자 양성, 실사구시 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그의 저서 중 교육서이자 입문서인『격몽요결』은 눈부신 과학의 발달로 물질적 풍요를 누리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물질 만능주의와 도덕 불감증이 팽배한 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인에게 도덕성 함양과 인간성 회복의 지침서로서 그 의미가 크다 하겠다. 그가 주장한 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수기치인함으로써 성인에 이르기를 기약하는 것’이었다. 이는 오늘날 한국의 인간상인 홍익인간과 도덕과 교육의 목표인 도덕적 주체로서의 인간, 도덕적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인간, 민주시민으로서의 능력과 태도를 갖춘 인간과 일맥상통하고 있다. 따라서 『격몽요결』에 나타나 있는 가치 및 덕목을 고찰하여 그 도덕교육적 함의를 밝히는 일은 현시대에 있어서 가치가 있는 것이다. 『격몽요결』에는 삶의 주체적 존재로서의 개인이 지녀야 할 몸가짐과 마음가짐에서부터 공동체 속의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가치와 덕목까지 삶을 살아가는 지혜가 담겨 있다. 그 내용을 2007 개정교육과정의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고 있는 가치 및 덕목에 비추어 분석하고, 그 가치 및 덕목과 관련된 내용을 발취하였다. 그 결과 2007 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도덕과에서 설정하고 있는 4개 영역, 18개 가치 및 덕목 중 ‘도덕적 주체로서의 나’ 영역은 입지장, 혁구습장, 지신장, 거가장의 내용과 관련이 깊었으며, 그에 따른 가치와 덕목으로는 자주, 성실, 책임, 용기, 절제였다. ‘우리·타인·사회와의 관계’ 영역은 사친장, 지신장, 상제장, 제례장, 접인장, 거가장의 내용과 관련이 깊었고, 효도, 예절, 사랑, 생명존중의 가치와 덕목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국가·민족·지구공동체와의 관계’ 영역은 지신장, 접인장, 거가장, 처세장과 관련이 깊었으며, 관련 가치와 덕목은 정의, 준법이었다. 『격몽요결』은 약 400여년 전의 저서임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인성교육 및 생활지도를 위한 가르침이 다양하게 담겨 있다. 따라서 주체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용기와 의지, 바른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하나의 지침서로서 활용할 수 있는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ethics educational meaning of Gyeong-mong yo-gyeol with relevance with values and virtues to pursue at ethics department of the day with bases of it and to check Yulgok's educational view through Yulgok Yiyi 's Gyeong-mong yo-gyeol. Explosive increase of means of education and a juvenile delinquent is coming recently to the front in a serious social issue at our educational field. Means of education means the actuality that education is going down to one means for personal success with the spread of mammonism, materialism to a society, functional value is regarded as more important than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Weakening of the function of home education by nuclearizing family is considered the first cause of increase of a juvenile delinquent, but the absence of overgrown firm sense of value spreading in our whole society is the largest cause. We who are confronted with these social issues with asking what is the most correct value, how we lead a life shall devote ourselves to enlightenment of humanity, humanity recovery. Once, our society considered tradition as the old and we have a trend to make light of it. However, a movement called 'our things are valuable things' is rising recently in the education and whole culture. It means the emphasis that harmony of tradition and culture has become important, and the reason that necessity of wisdom is emphasized in order to unravel the prescription to harmony of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tradition and times, and to diagnose dispassionately phenomenon of a value trouble and sociocultural confusion. Therefore, I intended to clarify ethics educational meaning of Gyeong-mong yo-gyeol compared with values and virtues setting up in curriculum for ethics of the day as I analyzed Gyeong-mong yo-gyeol on this thesis. Yulgok who lived in the times of disorder, and endeavored positively for new order and social reform among a lot of ancient sages of our country intended to realize his ideal of Sil Sa Gu Si(the quest for the truth from actualities), training for the saint through education. Gyeong-mong yo-gyeol which is a educational book and manual for beginners among his books has a significance as a guide book of humanity recovery and morality cultivation to modern people who are living in the times of overflowing materialism and moral insensibility but enjoying material richness by a development of bright science. The ultimate goal of the education that he insisted was “to look forward to being a sage by a process from cultivating one's character(Sugi) to having good interpersonal relations(Chiin)”. This has a thread of connection with human being who is equipped with ability and attitude as the democratic citizen, with human being who can solve rationally moral issues, with human being as the moral subject which is a goal of ethics education and HongIkInGan which is a goal of Korean human being of the day. Therefore, it is worth in modern times to clarify ethics educational meaning as considering values and virtues appeared on Gyeong-mong yo-gyeol. In Gyeong-mong yo-gyeol, there is wisdom to live from manner and attitudes that an individual as the independent existence of life shall have to value and virtues that you shall keep as a human being of the community. I extracted contents in connection with the values and virtues and I analyz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values and virtues pursuing in the ethics curriculum of the new curriculum of 2007. Therefore among 4 scopes, 18 values and virtues setting up at the elementary ethics curriculum of the new curriculum of 2007, the scope of ‘I as the moral subject’ is deeply associated with the contents of GeoGaJang, JiSinJang, HyeokGuSeupJang, IpJiJang, and related values and virtues were moderation. courage, responsibility, sincerity, independence. The scope of ‘relation between us·stranger·society’ is deeply associated with the contents of GeoGaJang, JeopInJang, JeRyeJang, SangJaeJang, JiSinJang, SaChinJang, I was able to find out the values and virtues of value of life esteem, love, courtesy, filial piety. The scope of ‘relation between nation·race·globe community’ is deeply associated with ChuSaeJang, GeoGaJang, JeopInJang, JiSinJang, related values and virtues were law abiding, justice. Nevertheless Gyeong-mong yo-gyeol is a book of almost four hundred years ago, it contains various instructions for humanity education and principle of life nowadays. Therefore, I consider that this book is well worth utilizing as one of guide books which can cultivate right humanity, will, courage to live an independent life.

      •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채경숙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공감능력은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에서 공감능력은 매개 효과를 갖는가?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지역의 2개 초등학교 5, 6학년 663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또래관계, 공감능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656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자료 특성을 검토하기 위한 일반적인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구조모형 분석을 위해 SPSS Statistics 21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공감능력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두 변인 모두 또래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의 공감능력은 또래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서 또래관계를 촉진하는 행동을 증가시키고 갈등을 초래하는 행동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둘째,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자녀의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의 적응적인 또래관계에 영향을 주는 공감능력이 부모-자녀 간에 이루어지는 기능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한 번 더 확인하는 것이었다. 셋째,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아동의 또래관계 사이에서 공감능력의 매개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의 공감능력이 부모-자녀의 의사소통과 아동의 또래관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다는 것은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정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아동의 공감능력 정도는 초등학교 시기의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촉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모와의 제한적인 의사소통 경험, 혹은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의 경험에서 비롯되는 대인관계의 문제를 조정할 수 있는 매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아버지와 어머니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통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서 차이가 있다는 선행연구들을 고려할 때, 아버지와 어머니의 각기 다른 역할과 특징적인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이러한 의사소통의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 및 문제해결능력의 관계

        채경숙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s child rearing attitudes, ego-resiliency,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perceived by children. For the objective, the research topics established for the thesis are the following: 1. What is the relationship among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children and ego-resiliency of children? 2. What is the relationship among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children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children? The object of this study were 450 children in 5th and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 elementary school and J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ngnam-si, Gyunggi-do.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for study of measuring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children were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developed by Oh, Sung-Shim and Lee, Jong-Seung(1982) and summarized by 40 questions, 10 in each 4 section by Lim, Seon-Hwa(1987).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for study of ego-resiliency perceived by children were the 40 questions, 8 questions of each 5 subordinates summarized from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Eun-Hee(1996).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for study of measuring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perceived by children were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SPSI) developed by D’zurilla and Nezu(1990), adapted by Kim, Jong-Sool and Kim, Young-Mi(1992), and summarized by Kim, Kyung-Hee(1999) by pre-examination held on teenagers under 20 years old, and sorted 49 questions except low-understanding and overlapping ques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19.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ego-resiliency, love-hostility, achievement-fail from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nd achievement-fail, rationality-irrationality from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were shown as predicting variables. Secon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conflict resolution, autonomy-regulation, rationality-irrationality from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nd achievement-fail from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were shown as predicting variables. According to the following result of this study, it is more helpful for parents to rear children with sexual-equal attitudes, rather than rearing attitudes based on parent’s traditional sex role, for their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 우리나라 초등학교사회사업의 활성화방안 연구

        채경숙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사회사업은 학교에서 아동 개개인이 갖고 있는 잠재력과 사회적 기능을 증진시켜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전문분야이다. 학교사회사업은 초·중·고등학교 등 모든 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지만 본 연구는 가정이라는 최소단위 공간을 벗어나 학교라는 새로운 공간에 적응하면서 사회성 학습을 시작하는 시기인 초등학교 아동을 중심으로 도시, 농촌지역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복지욕구, 지역사회 복지환경의 특징과 공공·민간복지자원 등을 살펴보고 앞으로 학교사회사업이 지향해야 할 과제와 활성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학생들이 부모, 교사, 학교와의 의사소통에 많은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도시 중산층이상 거주지역에서는 스트레스와 복지욕구가 비교적 낮게 나타난 반면, 대도시 저소득층 지역에서는 개인, 가정, 학교영역에서 대부분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였으며, 특히 가정영역에서의 복지 욕구가 높았다. 농촌지역은 개인, 학교영역에서의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개별상담과 문화시설, 놀이공간에 대한 서비스 욕구가 높았다. 이를 토대로 한 학교사회사업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지역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학생-학부모, 학생-교사, 학부모-교사간의 상호이해를 유도하는 프로그램의 개발, 기존의 상담제도로써 해결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한 네트워크 구축 등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함께 각 지역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는 분야의 복지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특성화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1995년 지방자치제 실시이후 사회 각 분야에서 중앙에 집중되어 있던 권한과 책임이 점진적으로 지방으로 이양되고 있으며, 복지서비스도 지역중심적 성격으로 변화되고 있다. 학교사회사업도 이런 추세를 반영하여 지역적 환경과 학생들의 복지욕구 등 여건의 차이에 따라 세분화, 전문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A school social work service is involved with the professional area in which the practical method of social works is utilized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education at schools, enabling individual children to enhance their own potential ability and social functions and grow as the sound members of the society. School social works are extended to all of the young generation at schools includ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however, focused on the elementary school pupils, who are released from the minimum space unit of family, to make adjustments in new spaces and begin the learning of sociality. The objective of research is to look into the stress and welfare needs of the pupils in the city and rural areas,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welfare environment, and public and private welfare resources, and to examine the issues relating to the development of school social works and the alternatives applicable for their activation. The findings of research indicated that the pupils were by and large under a lot of stress in their communication with parents, teachers, and schools. In the urban residential area, the levels of stress and welfare needs were relatively low at the middle income class or the above, and the level of stress was high for most of the aspects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at the low income class. In particular, the family indicated a high level of welfare needs. In the rural area, the stress was high for the aspects of individual and school, and the service needs was high with personal consulting, cultural facilities, and playing space. To summarize the issues and the alternatives applicable for the activation of school social works, which were derived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immediate attention is commonly required, regardless of the reg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with the intention of originating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pupils and parents, between pupils and teachers, and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the provision of professional consulting service for the fields left unattended by the existing consulting system; and the construction of network for public and private resources in the region. In the urban areas,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networking of abundant welfare resources for the active use in social works, the assistance in the problems of the characters and classmates, and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nearby living environment harmful to young generation. In the low-income urban areas, arrangements should be made for the intervention of clinical medicine regarding inadequate or deficient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management of family welfare programs in favor of the households with poverty, incomplete family members, and abus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for the supplementation of learning ability. In the rural area, the pupils are forced to rely entirely on the school life by the insufficiency of welfare and cultural facilities and welfare resources, and all the programs have to be provided around schools. Therefore, social workers are advised to explore a close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schools and teachers, to extend after-school programs for supplementation of learning ability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meeting cultural needs in conjunction with the curricula, and to utilize religious institution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as the welfare resource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in 1995, th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which had been previously concentrated in the capital in every sector of the society, have been gradually transferred to the region, and the welfare service is also changing to the region-centered nature. In line with these trends, school social works should be able to provide the detailed and professionalized service, depending on the difference of the setting including regional environment and welfare needs of pupils.

      • 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한 치매노인의 수면양상에 관한 연구

        채경숙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한 치매 노인의 수면양상을 파악하여 수면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위해 시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2008년 1월 3일부터 1월 6일까지 총 4일간 I시 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치매 노인 49명을 대상으로 Lewis와 Masterton (1959)에 의해 개발된 수면 차트를 임난영(1985)이 수정 보완한 수면양상측정도구에 의해 수면양상을 24시간 동안 관찰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81.98±6.87세였고, 여자가 43명(87.8%)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고혈압을 포함한 질환이 19명(38.8%), 불면증이 없는 군이 38명(77.6%)으로 나타났다. MMSE-K 5점 미만과 5~14점 이하군, 수면안정제 사용 경험군과 비사용군은 각각 51%, 49%로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2. 대상자의 수면양상을 총 4회에 걸쳐 조사한 결과 총 수면시간의 4회 평균은 10.49±2.94 시간이었으며, 이중 밤잠시간은 81.32%이었고, 총수면시간의 20%정도를 낮잠시간으로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 중 깬 횟수는 평균 .88± .88회로 나타났다. 3. 대상자가 깊은 수면을 취하지 못한 이유는 화장실 출입이 13명(26.52%) 으로 가장 많았고, 소음이 10명(20.4%), 기저귀 교환 및 체위 변경이 7명(14.29%), 배회, 중얼거림이 각각 6명(12.24%) 순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양상을 분석한 결과 여성노인의 총수면시간이 남성노인보다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병특성에 따른 수면양상에서는 수면안정제 사용군이 비사용군보다 밤잠시간이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상생활활동 점수의 평균은 2.09± .69점 이었으며, 이중 식사하기가 1.76±. 70으로 식사하기를 가장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욕하기가 2.47± .68로 가장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활동과 대상자의 수면양상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상관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수면양상 중 총 수면시간, 밤잠시간, 낮잠시간, 총 깬 횟수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면시간이 많을수록 총 밤잠시간과 낮잠시간이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깬 횟수와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치매 노인의 수면양상을 살펴본 결과 수면의 양은 평균 10시간 이상으로 비교적 많은 양의 수면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깊은 수면이 80%정도이고, 낮잠이 20%로 낮잠시간이 밤잠시간에 비하여 비교적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러므로 낮잠시간을 줄이고 낮시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며 신체활동을 격려할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e for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quality of sleep by surveying sleeping pattern of elderly patient with dementia in geriatric hospital. The survey method is observation of sleeping pattern throughout 24 hours from January 3, 2008 to January 6, 2008 during 4 days for 49's dementia personnel over 65 years old in geriatric hospital, by using the measuring tool of sleeping pattern originated by Lewis & Masterton (1959), developed by Nan Young Lim (1985). SPSS/WIN 12.0 program is used for the data analysis, and utilizing the frequency, ratio of hundred parts, average &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verage age of the observed is 81.98±6.87 and women are in large part as 43 personnel (87.8%), 19 personnel in disease including hypertension, and 38 personnel with no insomnia (77.6%). MMSE-K 5 below and 5 to less than 14, the consumer group of sleeping sedative drug and the needless group show similar distribution with 51%, 49% respectively. 2) The sleeping pattern is checked for 4 times, and the results shows that average of the total sleeping time is 10.49±2.94 hours, in which 81.32% in night and about 20% in day. 3) The number of wakeup times during sleep is average .88±.88. The reasons of non-deep sleeping are as follows; 13 personnel for bathroom (26.52%), 10 personnel for noise (20.4%), 7 personnel for diaper and changing position, and 6 personnel for wandering and muttering. 4) In general, sleeping time of women are significantly more than men's. And for the case of sleeping pattern with disease, the sleeping time of the consumer group of sleeping sedative drug are significantly more than the needless group's in night sleep. 5) K-ADL average of the observed is 2.09±.69, in which eating is 1.76±.70 as most easing, bathing is 2.47±.68 as most difficultness. And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sleeping pattern and the K-ADL. 6) As the result of checking the relationship in the sleeping pattern, the more total sleeping time, the more total night & day sleeping and no relationship with wakeup times. In conclusion, inspecting sleeping pattern for the elderly patient with dementia, quantity of sleeping time is over 10 hours with sufficient as 80% of deep sleeping. As 20% of napper, the day sleeping has more portion with comparison to the night sleeping. Therefore, development of a proper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is needed to promote physical activities by utilizing daytime efficiently and reducing the nap.

      • 치매노인을 위한 웃음요법과 음악요법이 우울과 자율신경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채경숙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웃음요법과 음악요법이 우울과 자율신경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70병상 이상의 노인요양시설 두 곳에 입소한 65세 이상 치매노인 61명이었으며,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승인과 대상자에게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얻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웃음요법 20명 음악요법 21명 대조군 18명으로 총 59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으며 치매노인의 우울은 CSDD도구로 측정하였고, 자율신경활성도는 심박변이도 측정 장비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Chi-square test, t-test, ANOVA와 사후검증은 Tukey 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1. “웃음요법군과 음악요법군은 대조군보다 우울이 감소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웃음요법군, 음악요법군과 대조군간의 우울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후검증 결과 음악요법군이 웃음요법군과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우울이 감소하였다. 이에 가설1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가설2. “웃음요법군과 음악요법군은 대조군보다 교감신경활성도가 감소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웃음요법군, 음악요법군과 대조군간의 교감신경활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후검증결과 웃음요법군과 음악요법군이 대조군보다 교감신경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에 가설2는 지지되었다. 가설3. “웃음요법군과 음악요법군은 대조군보다 부교감신경활성도가 증가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웃음요법군, 음악요법군과 대조군간의 부교감신경활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후검증결과 웃음요법군과 음악요법군이 대조군보다 부교감신경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에 가설3은 지지되었다. 가설4. “웃음요법군과 음악요법군은 대조군보다 자율신경활성도 크기가 증가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웃음요법군, 음악요법군과 대조군간의 자율신경활성도 크기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후검증결과 웃음요법군이 음악요법군과 대조군보다 자율신경활성도 크기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이에 가설4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음악요법이 웃음요법보다 우울 감소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음악요법프로그램이 과거회상을 도울 수 있는 옛 노래나 민요를 따라 부를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으로 고려되며 웃음은 상대에 따라 개인취향과 연관되며 자신만의 관점이 있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자율신경활성도에서는 웃음요법군과 음악요법군 모두 대조군보다 효과가 있었다. 즉, 두 프로그램 모두 교감신경활성도가 감소하고 부교감신경활성도는 증가 했으며 자율신경활성도 크기에서는 웃음요법이 음악요법 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웃음요법과 음악요법이 치매노인의 우울 감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향후 일반노인에게 웃음요법과 음악요법에 대한 효과가 확인된 프로그램이라 하더라도 인지장애가 있는 치매노인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韓國 1920年代를 前後한 西洋畵 硏究

        채경숙 淑明女子大學校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朝鮮朝末의 政治的 社會的 混亂 특히 세계 열강의 韓國 植民地化를 노린 侵略 朝鮮合邦이라는 民族的 悲劇 등 격동기에 導入된 韓國의 近代 西洋畵는 美術家나 作品이 社會와 遊離된 채 그것에 대한 정당한 인식과 美學的 및 美術史的인 고려가 결여되었다. 적어도 이 문제를 둘러싼 史的 성찰과 美學的인 가치규명이라는 전제조건이 해결되어야 하며, 이것은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의 美術이 어떠해야 하는가 하는 보다 큰 문제의 전제조건이기 때문이다. 이에 2장, 3장에서는 1910년 韓國 近代 西洋畵가 어떠한 형태로 우리의 畵壇에 形成되기 시작했으며 당시의 美術은 政治的 社會的 文化的 입장에서 現代美術 자체의 發展 과정에 있어 차지하는 비중이 막대한 1920년대 전후한 畵家들의 활동과 美術作品을 주요 對象으로 하여 3, 4장에서 연구 개관하였다. 아울러 이 時代가 차지하고 있던 당시의 政治·社會的 현실의 고찰도 중요하지만, 당시의 西洋畵家들이 처해있던 精神的인 風土와 作家들의 의식에 대한 硏究 또한 사실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기에 객관적 자료와 현존하는 작품해석에 입각하여 分析·整理하였다. Introduced in the violent period of the political and social confusion at the end of Choson Dynasty, especially the invasion of the World Powers aiming at the colonization of Korea, and the national tragedy of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the modern western paintings of Korea lacked the proper congition and the aesthetic or art-historical consideration of the painters and paintings remaining separated from them. At least, the premises of historical examination and aesthetic evaluation must be settled, for this is the premises of the greater problem of what our fine arts of today ought to be. Consequently, I focused and examined the essence of how the modern western paintings of Korea began to be formed in our painting circles and the fine arts of the time were indeed just from a political, social, cultural standpoint at chapter 2 and 3. I studied and surveyed mainly the activities of painters and paintings before and after the 1920' s holding a high position in the developmental precess of the current fine arts of Korea at chapter 3 and 4. And, although the consideration of political and social reality of this period was important, I analyzed and arranged the spiritual climate and the painters' consciousness placed by the western painters of the time on the basis of the objective data and the current interpretation of pain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