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선암사와 그 학풍

        차차석(Cha, Chaseok) 보조사상연구원 2013 보조사상 Vol.40 No.-

        선암사는 전라남도 승주군에 있는 명찰이다. 일천여년의 역사 속에서 다양한 문화와 사상의 산실이 되었으며, 한국 정신문화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선암사의 학풍과 그 전개과정은 태고보우를 시발점으로 삼아 전개되는 법맥 중에서 부용영관에 와서 부휴와 청허의 양대계열로 분파되며, 청허계열은 다시 편양언기와 소요태능의 두 계열을 중심으로 선암사의 법맥과 강맥이 이어진다. 이들 가운데 청허파가 선암사를 주도했다. 특히 18세기 이후 수선사 계열인 침명한성의 제자인 함명태선을 시발점으로 경붕익운, 경운원기와 금봉기림의 4대강맥을 확립한다. 선암사의 학풍은 화엄과 선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이조불교의 전통을 온전하게 지니고 있으며, 이교회통론을 당연시하는 고승들의 학통을 계승하고 있었다. 한편으로는 불교라는 종교가 지향해야할 대중화라는 명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것은 화엄과 선, 염불의 융합이며, 진여심과 중생심의 이해를 둘러싼 심성론에 관한 논쟁이기도 했다. 20세기에 접어들면 선암사의 학풍은 전통과 근대의 융합이라는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게 된다. 천주교의 전래, 근대문명의 유입 등은 기존의 불교계에 던져진 문화적 충격이었지만 동시에 적응하지 않으면 안되는 현실적인 문제였다. 따라서 조선불교 전체의 교단조직의 정비, 외세의 침략에 따른 전통의 보호와 적응, 유교적 가치의 퇴조와 그에 따른 포교방법의 변화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한다. 따라서 선암사를 고집하지 않고 송광사와 손잡고 새로운 교육시설이나 포교소, 포교사 양성 등에 나서게 된다. 무집착의 가풍 속에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The Seonamsa is the famous temple at Seung ju kun in Jeonlanamdo. It was that providing the various culture and thought in the history of the being few days old year which are charging the one axis of Korea spirit culture. The academic traditions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Seonamsa evolved from the initial setting the Taego-Bou. The lineage of dharma branched in the two systems which are Bu-hyu and Cheong-heo in the Bu-yong-yeong-kwan. The Cheong-heo system has again Pyeo-yang-eon-gi and So-yo-tae-neung which the two systems were connected the lineage of dharma and lecture of the Seonamsa in the central. It led the Cheong-heo sect among the Seonamsa. In specialty 18th century after that Su-seon-sa system established the lineage of recitation of the fourth generation which are the initial setting the Ham-myeong-tae-seon with Gyeong-bung-ik-un, Gyeongun- won-gi and Geum-bong-gi-rim. The academic traditions of the Seonamsa have the tradition of the Joseon dynasty Buddhism perfectly to develop in centering the Avatamska and Zen. The preaching outline have been to succeed the scholastic mantle of high priests built on the fus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On the other hand, the religion of Buddhism was striving to solve the proposition which was popularization with intention. it is fusion of Zen, Buddhist invocation and the Avatamska. The mentality theory to understand around Jin-yeo-sim[眞如心] and Jung-saeg -sim[衆生心] were about dispute. To begin in the 20th century, the academic traditions of the Seonamsa is faced with tradition and the fusion of the modern times. Transmission of Catholicism, such as the influx of modern civilization thrown into the traditional Buddhist culture shock, but at the same time was a real problem that must be adapted. Thus,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protection of foreign invasion and adaptation, the joseon Buddhism was full maintenance of the religious order organization, The change of the propagation method with the subsequent decline of Confucian values managed the activity. So, it came out the Seonamsa without being particular about Songgwangsa hand in hand with new training facilities, missionary workand missionary work training. It is showing the appearance to deal with the change to the activity in the family tradition of the nothing attachment.

      • KCI등재

        『觀世音菩薩妙應示現濟衆甘露』에 나타난 관음신앙의 특징

        차차석(Cha, Chaseuk) 보조사상연구원 2013 보조사상 Vol.39 No.-

        이 논문은 『제중감론』에 나타난 관음사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려는 것이다.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해 관음응현의 방식과 목적, 관음응현의 논리체계, 각 종파의 사상이 융합된 관음의 본질 등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논문의 전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중감로』에 나타난 관음보살의 응현은 自覺과 자비행의 실천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진여법신의 자각은 일체중생은 누구나 평등한 법신을 지니고 있으며, 존귀한 존재라는 사실에 대한 자각이다. 그리고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는 무한대의 관계 속에 살 수 밖에 없는 존재란 사실을 자각하고 일체 중생에 대해 자비를 실천을 강조한다. 이때 관음보살의 응현은 유신론적인 속성의 보살이 아니라, 자각한 관음수행자 자신의 자비행을 통해 구현되는 사회적 실천의 형상화 내지 자기동일성이다. 관음과 수행자 자신의 일체화를 통해 관음보살이 응현하는 것이다. 둘째 『제중감로』에 나타난 논리 형식은 체용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체용론을 기반으로 감응사상과 성기사상이 융합되어 독자적인 관음응현의 논리를 구축하고 있다. 여기서 체는 진여법신이고 용은 일체의 존재 내지 자비행의 실천이라는 점에서, 개개의 존재는 그 자체로 존귀한 가치를 지닐 수 있게 된다. 그러면서도 본질과 작용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지쌍융론을 전개한다. 비지쌍융론 역시 체용론의 바탕 위에 있지만 무집착의 기반 위에서는 전개되는 실천적인 관음사상이 되고 있다. 셋째 『제중감로』는 다양한 형태의 종파사상이 융합되어 있다. 유심정토, 선사상, 화엄사상이 『제중감로』의 관음사상을 심화시키고 있다. 진여법신을 자기관음이나 不變의 속성으로 이해하는 등, 기존에 유행했던 다양한 고급이론을 활용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각종의 종파 사상이 융합된 관음이라 정의할 수 있다. 넷째 『제중감로』에 나타난 관음보살은 중생구제를 중시하며, 그것을 완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실천성이 강하다는 점이다. 자비행의 실천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이조 후기의 사회적 불안을 연상하게 되지만, 그것보다는 전통적인 선사상이 지니는 관념적이고 탈사회적인 흐름에서 탈피하려 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가치가 있다. This paper considers the characteristic of the thought of Avalokitesvara in 『Gwanseumbosal-myoung-sihyeon-jejunggamro (觀世音菩薩妙應示現濟衆甘露)』 (Avalokitesvara' mystic revelation for the deliverance of sentient beings as like nectar, from now marking as Jejunggamro) on 3 points of view; 1) the form and aim of the revelation(示現) of Avalokitesvara, 2) the logic system of the revelation of Avalokitesvara, and 3) the essence of the concept of Avalokitesvara which is made up different thoughts of many sects. The total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ly, the revelation of Avalokitesvara can be explained as the self-realization(自覺) and the practice of compassion(慈悲行). The realization to Dharma-kaya means to realize the fact that each living beings is valuable and has a same dharma-kaya. Here, the revelation of Avalokitesvara means a practicer of Avalokitesvara, himself who practice compassion for living beings, not the Avalokitesvara as a god. Secondly, the logic system in Jejunggamro builds it's own the logic to the revelation of Avalokitesvara, which has the theory of substance and function(體用論) as a root, and is fused with the thought of divine response of the buddha and bodhisattva(感應思想) and seonggiseol(性起說, the thought of arising of all phenomena from the essence of the universe). Owning to this point that the substance is the dharma-kaya, and the function means all thing, or the practice of compassion, each living being can have a noble value. Morever, Jejunggamro develops the theory of fusion of karuna and prajna(悲智融合論) to prevent to divide substance and function as mutually exclusive two realities. Thirdly, the thought of Jejunggamro is made up many thoughts of different buddhist sects, as like the pure land thought, Zen, Huayen. So we can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Avalokitesvara in Jejunggamro as one fused with different concepts of many buddhist sects. Finally, the characteristic of Avalokitesvara in Jejunggamro is a taking a serious view of the deliverance of sentient beings, and the emphasis on a practice to achieve it. In the point that the thought of Jejunggamro stresses the practice of compassion, although unstable society in the latter part of Jo-seoun(朝鮮) Dynasty is remined, but in this point that it tries to overcome the trend of traditional Zen thought which is unrealistic and desocial, it is worthy note.

      • KCI등재

        조계종 종법에 나타난 징계제도와 율장의 비교 고찰

        차차석 ( Cha Seuk Cha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2 禪文化硏究 Vol.13 No.-

        본고는 250계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사분율』과 조계종의 <종헌, 종법>에 나타난 징계제도를 비교 고찰하여, 그 문제점을 적시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지하다시피 250계는 4바라이, 13승잔, 2부정, 30니살기바일제, 90바일제, 4바라제제사니, 100중학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본고는 이들 조항 중에서 특징적인 조항이 지니는 현대적인 의미를 세세하게 밝히고 그 문제점을 설명했다. 이어서 조계종의 종법에 나타난 징계의 종류와 특징을 나열하고, 평면적이지만 조계종의 징계제도를 율장의 해당된다고 생각되는 조항과 대비해 살펴보고자 했다. 그 결과 조계종의 징계제도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물론 율장과 조계종의 종법에 나타난 징계제도를 일률적으로 비교하는 것이 과연 온당한 것인가 하고 반문할 수 있다. 현재의 조계종은 『사분율』에 의거해 구족계를 받고 있지만 그것은 형식적인 것이며, 그 정신만을 계승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정신을 계승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필요한 경우 새로운 규칙을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시대환경이 과거와 달라졌다는 것은 새로운 계율의 제정이 필요한 이유이며, 부처님 역시 소소한 계율은 버려도 좋다는 말씀을 남기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십분 동의한다고 하더라도 새로운 규칙이나 제도를 만드는 경우, 그것이 불교의 근본정신을 침해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세심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조계종의 종법에 나타난 징계제도를 율장과 비교해 살펴보았지만 대비해서 비교할 수 없는 것도 많았다. 시대상황의 변화에서 기인한 것이라 말할 수 있다. 또한 율장에서는 중벌에 해당하는 내용이 종법상의 징계제도에서는 가벼운 사안으로 처리된 것도 있다. 그러한 경우 율장이 제정된 의미를 되새겨서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특히 중대한 처벌 규정인 멸빈이나 제적, 내지 5년 이상의 공권정지 같은 경우는 불교의 정신과 합치되는 것인지를 면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조계종의 징계제도는 율장 정신과 전혀 무관하다고 평가할 수는 없다. 이상의 도표에서 살펴보았듯이 바라이, 승잔, 니살기바일제, 바일제 등 다양한 율장의 항목이 두서없이 혼용되고 있다. 여기에 사회의 변화에 따라 행정절차와 소유에 대한 문제, 승단을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요식이나 절차 등에 관한 조항들이 첨가되어 있다. 멸빈과 소유에 관한 문제는 율장의 정신과 정면으로 배치되고 있는 점이 많다는 점에서 역시 심각하게 재고해야할 사항이 아닐 수 없다. 조계종의 징계제도는 율장의 정신과 기타 필요한 사항들이 복합적으로 혼용되고 있다. 그런 만큼 많은 문제점이 있다. 절차상의 문제는 차치하고, 율장의 기본 정신을 잘 계승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를 우선 생각해 본다면 그 역시 생각할 여지를 많이 남기고 있다.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해결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문제점을 몇 가지로 정리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장 무거운 징계에 해당하는 멸빈에 대한 문제점인데, 율장의 정신과 너무 어긋나 있다. 둘째 징계의 경중이 불교의 정신을 살리지 못하고 혼재되어 있어 조정의 필요성이 있다. 셋째 직권제적과 관련된 조항들은 율장에서 중시하는 절차를 무시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넷째 호계원의 호계위원을 구성하는 문제이다. This paper aims to point out problems arising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buddhist traditional law in Vinaya Pitaka, especially the Four Divided Vinaya(四分律) and the law of the Jogye Order which is the largest traditional Korean buddhist sect, and to look for a solution to the problems. The 250 precepts in the Four Divided Vinaya are composed up with 4parajika(波羅夷), 13samghadisesa(僧伽婆尸沙), 30nissaggiya pacittiya(尼薩耆波逸提), 90pacittiya(波逸提), 4patidesaniya(波羅提提舍尼), and 100sikkha karaniya(衆學). This paper explains in detail the meaning and problems today of especial some precepts in 250 precepts, and arranges the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sciplinary punishment in the law of the Jogye Order, and then tries to compare them with the traditional precepts in Vinaya Pitaka which may be thought to be correspond with them. As a result, this paper reaches such a point that the disciplinary punishment system of the Jogye Order has many problems. Of course, there might be an argument that It is not right to compare the disciplinary punishment system of the Jogye Order with the buddhist traditional law in Vinaya Pitaka by looking at only one side. Today, when one becomes a buddhist monk in the Jogye Order, it is in accordance with the Four Divided Vinaya that he/she gets the full precepts(具足戒), but we may say that the getting the full precepts by the Four Divided Vinaya is a just symbol, it which one gets really is the spirit of Vinaya. In the point that we should keep a spirit of Vinaya, if necessary, we could legislate new precepts. Because the times and circumstances have changed, and Buddha also said that unimportant precepts could be changed. But, although we agree with that fully, in the case of when we legislate new precepts and systems, we must examine it closely that they are corresponding with the fundamental spirit of buddhism, or not. This paper has tried to consider and compare with the law of the Jogye Order and Vinaya Pitaka, but there are many precepts which could not be compared directly due to the problem induced from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circumstances. There are such cases that, although they are gross sins in Vinaya Pitaka, in the law of the Jogye Order, they are perceived as being not important. In such cases, by considering the true meaning of Vinaya, we need to readjust the law. Especially, in such cases of important punishment rules as the excommunication of a monk(滅?), the blotting a name(除籍), and the suspension of monk`s right over 5years, we need to consider fully that the rules are corresponding with the fundamental spirit of buddhism, or not. The punishment rule system of the Jogye Order has some relation with the spirit of Vinaya Pitaka. As we see, many different precepts as like parajika, samghadisesa, nissaggiya pacittiya, pacittiya, patidesaniya, etc appear in the law of the Jogye Order, mixed disorderedly, and added clauses as like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ownership induced from the changing of society, the requisite rules for the management to a monastic order. Because the rules on the excommunication of a monk and ownership have many problems which run counter to the spirit of Vinaya Pitaka, we need to consider and readjust them carefully. From this consideration, this paper points several problems as below. In the first, the rule on the excommunication of a monk goes against the spirit of Vinaya Ptaka. In the second, we need to readjust the law of the Jogye Order in which the spirit of buddhism does not come out clearly due to the disorder of a relative importance to the punishment. In the third, the rules relation to the blotting a name by one`s authority(職權除籍) ignores the rules of Vinaya Pitaka. In the last, the rules on the formation of member of the Board of Adjudication(護戒院) are problematic.

      • KCI등재

        震默一玉의 선사상과 그 연원 고찰

        차차석(Cha, Cha Seuk) 한국불교연구원 2011 불교연구 Vol.34 No.-

        본 논문은 조선 중후기에 활동한 진묵스님의 법맥과 선사상의 특징, 그리고 사상적 연원이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전체적인 내용은 몇 단계로 구분해 파악하고 있다. 법맥의 경우 진묵스님은 휴정서산에게 닿아 있지만 그것은 당시 일반적인 불교계의 조류와 무관하지 않다. 혹은 후학들에 의해 휴정과 연결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렇지만 사상적으로 상통점이 있다는 점에서 또 다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진묵스님의 선사상의 특징은 離 樂三昧와 楞嚴三昧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특히 능엄삼매는 송 대 이후 전개된 중국의 선사상과 깊은 관계가 있다. 그런 점을 고려한다면 진묵스님은 일반적인 선사상의 흐름에 편승하면서도 자신의 사상적 지평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진묵스님의 선사상은 이분법적 구별을 지양하고 우주와 자연, 너와 나를 하나로 인식하는 불이삼매의 연장선상에 있다. 그리고 이것을 다시 세분해 고찰하면 진속일여, 이입과 행입의 일치, 평상심시도와 自家寶藏등이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들은 모두 남종선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가르침을 보다 철저하게 현실 속에서 구현하고자 한 것이 그의 선사상에 내재된 본질적 특징이다. 진묵스님은 선승으로서 깨달음의 세계를 구축했지만 그것은 실천적인 入世로 표출되고 있다. 민중들의 지지를 받고, 그의 삶 자체가 신화화되었다는 것은 불교적 가치를 현실 속에 구현하고자 노력했다는 것을 상징한다. The aim of the present work is to review dharmic genealogy of Master Jinmook, who lived middle and late Chosun Dynasty. Moreover, characteristics of his meditative thought and origin of his thought are also examined. My arguments briefly a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it is said that dharmic genealogy of Master Jinmook is Master Seosan. However, it might be reflection of general tendency of that period. Most probably, this genealogy was invented by the ages to come. Though it is intellectual similarity between the two. That is why, it has also possibility. Second, dharmic characteristics of Master Jinmook are lirak(離樂)-samadhi and Neungum(楞嚴)-samadhi. Especially, Neungum(楞嚴)-samadhi is a deep relation with Chinese meditative thought, which spread out post-Sung Dynasty. It maintains he seems to be jumping on that period and organized his idea at the same time. Third, Master Jinmook sublateed a dichotomous way of thinking. He did not divide between universe and nature, the subject and the object according to non-dualistic samadhi. In detail, there are ordinary mind is the way, the unitary between the mundane and the supramundane etc.. All these thought are descended from the Southern tradition in Ch'an school. Those ar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his meditative thought. Fourth, he is as Ch'an master, who was following his own enlightenment and displayed into practical engagement of the mundane world. The general populace supported him and his life is mythologized by them. It represents that he tried Buddhist value into the mundane world.

      • KCI등재

        대한불교 보문종의 역사와 전개

        차차석 ( Cha Seok Cha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5 종교문화연구 Vol.- No.24

        이 논문은 대한불교보문종(이하 보문종)의 사상적 연원과 법맥, 그리고 종단의 현황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보문종은 세계 유일의 비구니 교단이며, 그출발은 1971년 설립한 (재)보문원이다. 보문종은 보문사의 재산권과 독자성,비구니들의 생존권을 보호하려는 자구책에서 출발했다. 이후 전주의 정혜사가 보문종에 합류하여 보문종의 양대 기둥을 형성하며 발전한다. 보문종의 교세는 그다지 크지 않다. 조계종의 주변 종단이란 인식을 버리지 않은 한, 커다란 변화를 기대할 수 없다. 사찰 수나 해외 포교당이 이전 보다 몇 곳증가하고 있지만, 그것은 시대상황의 변화와 함께 승려들의 교육수준 향상과 관계가 있다. 그런 점을 제외하면 역동적인 종단의 모습 역시 찾아볼 수 없다. 그런 점은 종단의 정체성 확립과 문제가 있으며, 정체성의 불명확성은 이후 종단의 운명을 결정할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리라 예측된다. This paper considers philosophical origin, dharma tradition, and present situation of the Korean Buddhist Bomun Order((普門宗, the Bomun Order, the following) The Bomun Order is sole female monk(bhikkhuni)``s one in the world, and has been begun from the foundation Bomunwon(財 團法人 普門院, Bomun center) in 1971. After conflicts between bhikku(unmarried buddhist monk) and Daecher (帶妻, buddhist monk having wife and family), Korean buddhist situation was in a state of confusion. At that time, there were such cases that bhikku deprived temples of bhikkhuni. In such time, the Bomun Order has been begun to protect the right of ownership and the identity of Bomun Temple(普門寺) and the right to live of bhikkhuni. After that time, Jeonghyesa(定慧寺, Jeonghye Temple) in Junju city(全州) joined and have became two axes of the Order. Two temples have same origin in thought. For the bhikkhunis in relation to Jeonghyesa are almost students of bhikkhuni Kum Ryong who is one of students of bhikkhuni Myori Beophui who practiced under Mangong sunim, very famous modern korean zen master. Myori Beophui practiced and studied together with bhikkhuni Gungtan in Donghaksa(東鶴寺, Donghak Temple), who is the first supreme patriarch(宗正) of the Bomun Order. For this reason, we can say thoughtful and historical origin of the Bomum Order is in Donhaksa Bomunsa has very long history, the origin traces back to Koryeo Dynasty period, but this is not the history of the Order. We can say the Bomun Order has it``s origin in modern time. Now, the key of the Order is two temples, Bomunsa and Jeonghyesa. The supreme patriarch and the executive chief are erected among monks from two temples in turn. The monk from Jeonghyesa takes the position of the supreme patriarch and the monk from Bomunsa the executive chief in almost cases. This distribution of power and the historical origin of the Order have became main obstructive factor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Order. There is not any other identity of the Order except the characteristic of bhikkhuni``s Order, for the monk of the Order share the places for learning and practice with the monk of the Jogye Order, the largest buddhist Order in Korea The congregation of the Bomun Order is not so strong. They should overcome the way of thinking that the Bomun Order is peripheral one to the Jogye Order. Otherwise, they will fail to make a new leap and change forward. The number of temple and dharma propagation center abroad of the Order is increasing, but it is not related to dynamic and ecential power of the Order, but the advancement of an educational standard of monks and the change of time. Such unexplicit identity is so important problem that will be main factor to determine the future of the Bomun Order.

      • KCI등재

        「선문청규(禪門淸規)」의 교단사적 의의(意義)와 승려의 역할

        차차석 ( Cha Cha Seok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6 禪文化硏究 Vol.20 No.-

        「선문규식(禪門規式)」은 중국 선종의 수행지침서이다. 다양한 「선문규식」은 그정신적 연원을 백장 회해선사(百丈懷海禪師)에게서 찾고 있다. 본고는 선원의 초기 청규가 지니는 내용과 그 역사적, 사상적, 문화적 의의가 무엇인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선문규식」란 명칭으로 대표되는 선원의 청규는 선종의 정체성과 사상적, 문화적 의의가 무엇인가를 명확하게 알려주고 있다. 초기의 선사들은 산악을 중심으로 수행처를 만들어 청빈한 생활을 했다. 그들은 형식이나 규칙에 얽매이기 보다는 수행자로서의 본질을 탐구하는데 몰두했다. 이후 수행공동체의 인원이 많아지자 청규를 만들어 원만한 수행생활을 담보하려고 했다. 따라서 법을 중시하며 청빈한 수행생활을 영위했다. 선원의 청규(淸規)가 만들어지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사회적, 정치적, 사상적 이유이다. 사회적 이유는 ‘일하지 않고 놀고먹는 것’으로 인식되는 승려들의 일상이다. 특히 남북조시기 불교의 융성과 사원경제의 번영은 보다 많은 국수주의자들의 비판에 직면하게 된다. 사원(寺院)의 건축(建築)과 조불조탑(造佛造塔)으로 소비되는 막대한 재화에 대해 다양한 비판이 이어졌다. 그리고 이러한 비판에 대한 대응은 결국 ‘일일부작 일일불식(一日不作 一日不食)’을 중시하는 선원의 보청법(普請法)으로 귀결(歸結)된다. 또한 인도에서 제정된 계율의 한계이다. 즉 자연적 문화적 환경이 다른 중국에 전래된 불교는 계율을 수지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한계에 직면하게 된다. 그것은 중국적인 관습이나 문화와 융합하지 못하는 점도 있었지만 중국의 자연환경에서 불가피하게 지킬 수 없는 내용도 있었다. 이런점은 결국 중국사회의 현실에 맞는 계율의 제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런 사회적 요구가 결국 선원의 청규의 제정으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정치적인 이유는 남북조시기의 정치적 혼란과 북방민족의 중원지배는 불교를 활용해 사회적 통합을 모색함과 동시에 황권을 강화하려고 한다. 따라서 승단을 지배하고자 하는 통합관리체계를 필요로 하게 되며, 그런 점에서 승관제도를 만들어 통제하게 된다. 사상적으로는 중국전통사상인 체용론과 불교의 반야사상이 결합하여 특유의 선사상을 탄생시키며, 그것은 현상 보다는 본질을 중시하게 된다. 심성론(心性論)에 입각한 계선일치론(戒禪一致論)이다. 이런 정신이 선원의 청규를 제정하게 되었다고 본다. 선원청규의 제정은 결국 계율의 중국화이자 불교의 중국화를 의미한다. 중국인에 의해, 중국인을 위한, 중국인의 불교로 전환되었다는 것이다. 결국 인도에서 탄생한 불교가 중국에 전래되면 오랜 시간의 융화과정을 통해 완전히 중국화된 불교로 변화한다는 점이다. 선원의 청규는 그러한 역사와 문화, 사상적 전개 과정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The Seonmun Gyusik - Dharma Door’s Regulations and forms - is a practice guide of Chinese Dhyana School. A variety of the Soenmun Gyusik are based on its spiritual origination from Seon master, Baizhang Huai Hai(百丈懷海). In this paper, I want to take a look on the contents and its historical, theoretical, and cultural meanings which the early pure regulations of Seon Centers had. The Pure Regulations of Seon Centers, called as the name of Seonmun Gyusik, lets us know exactly what its identification and the theoretical, cultural meanings of Dhyana Schools are. The early Seon masters made their livings poor but pure by establishing practice centers around mountains. They concentrated on rather exploring the essence as religious practitioners than being tied by forms or regulations. After then, the numbers of practice community were getting increasing. Therefore they wanted to set up the pure regulations for making the practice life systemically. Hence they were able to keep Dharma and make their poor but pure practice lives. There were three reasons why the pure regulations of Seon centers were made. They are social, political, and theoretical reasons. The social factor was because of the recognition of Monks lives as ‘Not working and Just playing’.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Buddhism and the prosperity of temple economy in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faced criticisms of Nationalists more than before. They were about enormous money spent by establishing temples and making Buddha statues and stupas. Monks took actions against those criticisms with Bocheongbeop (Extensive pure dharma) of Seon Centers, which stressed on ‘一日不作 一日不食- No Work, No Meal’ in the end. And also there was the limitation of precepts legislated in India. That is, the Buddhism transmitted to China, which had a different natural, cultural environment, faced various limitations, when it comes to keeping precepts. Of course, it was not harmonized with Chinese customs and cultures, but there was the content, which practitioners could not keep in Chinese natural environment inevitably. As a result, it came to the need of establishing precepts, which were suitable for the reality of Chinese society. Such a social demand was in the end connected to the legislation of the pure regulations of Seon Centers. For the political reason, monks in the political crisis of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and the dominating central distract of Northen ethnics tried to seek the social integration and strengthen emperor’s power by using Buddhism simultaneously. Therefore, they needed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o dominate Sangha cluster. From this point, they made a Sangha system and control the assembly. Theoretically, the combination of Buddhist prajna thought and Ti - yong theory of Chinese traditional thought gave a birth to unique Seon thought, which put emphasis on the essence rather than phenomenon. It is called, the unity of precepts and Seon, based on Shimseong - ron(心性論). I think this was the motivation of establishing the pure regulations of Seon centers with such a spirit. The establishment of the pure regulations of Seon centers means the sinization of precepts and Buddhism in the end. That is the change of the Buddhism by Chinese, for Chinese, and of Chinese. As the Buddhism born in India was transmitted to China, it was changed to Sino - Buddhism completely through the integration process for a long time. The pure regulations of Seon Centers shows well such a historical, cultural, and theoretical development process.

      • KCI등재

        『관세음보살묘응시현제중감로』 나타난 법화사상

        차차석(Cha cha seuk) 보조사상연구원 2015 보조사상 Vol.43 No.-

        본 논문은 1877년 간행된 『제중감로』에 나타난 법화사상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 책의 내용을 분석하면 크게 『법화경』의 내용을 재인용하거나 압축 내지 요약해 인용한 경우와 『법화경』에 나오는 특수한 용어나 내용을 재해석하거나 응용한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렇지만 동북아시아에서 법화사상의 총아인 천태의 영향을 『제중감로』에서 찾아보는 것은 쉽지 않다. 『법화경』자체의 영향을 제외하면 천태의 사상적인 영향 보다는 오히려 화엄성기론이나 염불, 선사상의 영향이 강하게 표출되고 있다. 그리고 이 책에 나타난 법화사상의 영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화경』의 내용을 인용한 경우인데, 주로 「방편품」, 「비유품」, 「약초유품」, 「법사품」, 「오백제자수기품」 등이 인용되고 있다.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다양한 교화의 방법이 시설되는데, 그 목적은 일대사인연을 응용한 것이다. 중생들의 현실상황은 삼계화택에 비유하고 있다. 중생들은 각각 불성의 현현이라 존귀하며, 그렇기 때문에 그들을 교화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은 「약초유품」을 활용하고 있다. 自家寶藏이란 자기 정체성의 각성은 의리궤주의 비유를 활용하고 있으며, 여래의 심부름꾼이란 자각과 사회적 책무의 실현은 「법사품」을 활용하고 있다. 물론 이외에도 「관세음보살보문품」이 활용되고 있지만 그것은 별도의 논문으로 발표한 바가 있기 때문에 언급하지 않았다. 묘련사에 참가해 『제중감로』를 편찬한 재가 수행자들은 이조불교의 다양한 영향 속에서도 『법화경』에 의지해 수행하면서 자신들의 종교적 당위성을 확보하고자 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 점은 다양한 불교사상을 흡수하여 『제중감로』의 편찬에 활용하되, 그것은 때때로 『법화경』을 해석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약초유품」을 해설하는데 화엄의 성기론이 활용되거나 관음을 정토 내지 선과 결부해 해석하는 것이 그것이다. 그럼에도 특이한 것은 재가자들이 수행결사체를 만들어 다년간에 걸쳐 수행하고, 그 결과물인 『제중감로』를 편집했으며, 불교의 주류에서 소외되어 있던 『법화경』에 의거하고 있다는 점이다. 19세기 중후반에 전개된 한국불교사상의 외연을 풍성하게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재가신앙의 일단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주목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 『법화경』의 핵심 단어를 활용하거나 재해석하고 있다는 점이다. 여시라는 「방편품」에 나오는 단어를 진여 내지 불성의 현현이라 이해하고, 모든 것은 如是에 의거해 전개된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런점은 천태의 영향이 아니라 오히려 화엄의 영향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으며, 이조후기 불교사상의 흐름과 무관하지 않다. 나아가 수기라는 단어를 활용해 수기의 게송을 주고 있다는 점이다. 남녀를 가리지 않고 수기를 준다는 점, 전통방식인 전법게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 등이 특징적이다. 결론적으로 『제중감로』는 『법화경』의 영향을 강하게 수용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속신앙의 형태가 아닌, 사유의 결집체로서의 법화사상을 살펴볼 수 있는 조선후기의 희귀한 문헌이 아닐 수 없다. 또한 그런 만큼 다양한 시각에서 지속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is to review Lotus thought in Gwanseeum Bosalmyoeungsihyeonjejunggamno觀世音菩薩妙應示現濟衆甘露(Jejunggamno for abbreviation) lay Buddhists of Myoryeon Society edited and published in 1877. The text cites, condenses and summarizes the Lotus Sutra and reinterprets and applies the sutra's technical terms and contents. Although it is influenced from the sutra, it has strong influences from Huayan, Pure Land and Zen Buddhism, not from Tiantai Buddhism, closed connected with the sutra. First, it cites sentences from the sutra's several chapters, including "Chapter2 Expedient Devices," "Chapter3 A Parable," "Chapter5 Medicine Herbs," "Chapter8 Five Hundred Disciples Receive Prediction," "Chapter10 Masters of the Dharma," and "Chapter28 The Encouragement of the Bodhisattva Universal Worthy." Because this author discussed in an article on relations between Jejunggamno and the sutra's 28th chapter, he excluded discussion of the subject in this article. Second, lay Buddhists relied on the Lotus Sutra, incorporated various Buddhist traditions, i.e., Huayan, Pure Land and Zen Buddhism, established a religious organization named Myoryeon Society and ecumenically practiced the traditions for several years in late Joseon Dynasty. Inconclusion, this author thinks that this article might be preliminary to further and deeper academic research on relations between this text and the Lotus Sutra.

      • KCI등재

        曉峰의 法語에 나타난 歸鄕意識과 그 意味 試探

        차차석(Cha Cha seok) 보조사상연구원 2017 보조사상 Vol.47 No.-

        본 논문은 효봉의 법어에 나타난 고향의 개념과 귀향의식을 분석한 것이다. 효봉은 법어를 통해 고향으로 돌아가자는 점을 역설하고 있다. 이 경우 고향이란 단어의 개념은 깨달음의 세계를 지칭하는 것이지만,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구름이나 기타 다양한 원인을 들어 설명하고 있다. 깨달음으로 표현되는 고향의식은, 현실을 방황의 세계로 묘사하고 있다. 그 방황의 원인을 효봉은 끊임없는 분별심, 육도의 차별, 공을 깨닫지 못함, 혼침과 산란 등으로 설명한다. 결국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방황하는 이유는 분명해 진다. 그것은 주객을 끊임없이 분별하면서 육도의 차별적인 모습을 연출하는 것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의 법칙을 깨우치지 못하고 혼침과 산란 속에 빠져 있는 인간들의 다양한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라 이해할 수 있다. 그렇지만 효봉은 인간의 가능성을 믿고 있다. 즉 수행을 통해 상실된 고향을 회복할 수 있다고 하거나 깨달음을 추구하는 본능적인 각성에 의해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 수행을 강조한다. 이러한 효봉의 修證論은 3학의 실천과 철저한 무집착 공의 체득으로 압축된다. 효봉은 삼학의 실천을 통해 정혜겸수를 주장하지만 그것은 선정 위주의 정혜겸수이며, 이런 정신은 보조지눌의 사상적 연장선 위에 놓여 있다. 또한 상대적 차별을 초월한 무집착 공의 체득을 강조하지만 현실을 부정하지 않는다. 그런 점은 定慧雙修라는 보조지눌의 수행 가풍을 계승하고 있으면서도 『유마경』이나 『법화경』 의 사상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효봉의 선사상은 전반적으로 반야사상의 사상적 토대 위에서 전개된다고 볼 수 있지만, 그런 점은 고향을 인식하는 방법의 토대, 고향의 모습을 인식하는 방법 역시 마찬가지이다. 철저한 무집착 공의 바탕 위에서 전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효봉스님이 인식하고 있는 고향의 모습은 두 가지라 분석할 수 있다. 첫째는 즉심시불의 경지이며, 둘째는 중도불성의 개현이다.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로 효봉은, 대승불교의 기본 이념을 제시하고 있다. 즉 자리와 이타의 완성을 위해 귀향해야 한다고 강조하는데, 이것은 귀향 이후 어떠한 모습으로 살아야 하는가를 말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theme of hometown and a sense of homecoming expressed in Ven. Hyobong s Buddhist Sermon. Above all, Ven. Hyobong emphasizes returning to hometown. In his case, the concept of hometown is expressed the world of enlightenment, but he explains the reason why people cannot return to their hometown by means of diverse figures such as clouds or different origins. In Buddhism or Seon, hometown or the real world, described as the enlightenment, is expressed as the wandering world. In this vein, Ven. Hyobong finds the reason of wandering in the followings: the endless discrimination, the differentiation of six realms, unrealizing the emptiness, lethargy(styāna) and heedlessness, etc. That is, the reason why we cannot return to our native place is because of the endless discrimination on subject/object and the differentiation of six forms of existence. Then, such a situation is the very symbolic expression of the diverse sentient beings who unrealized the principle of the emptiness and who are immersed in the lethargy and heedlessness. However, Ven. Hyobong believes that man can recover his lost hometown through the thorough practice or that man can return to a real hometown through instinctive awareness to seek after the enlightenment. Therefore, so as to achieve Buddhanature, above all, he stresses the fierce practice. Hyobong s practice and attaining enlightenment is condensed as the practice of ‘Three Essential Marks , the thorough non-attachment and the complete comprehension of emptiness. Likewise, Ven. Hyobong emphasizes the practice of both meditation and wisdom through the practice of ‘The Three Essential Marks , which is focused on meditation and also succeeds National Master Bojo Jinul s Seon thought. This tendency emphasizes the non-attachment and the complete comprehension on the emptiness transcending the relative discrimination but it doesn t deny the real fact. This fact is much influenced by the Vimalakirti Sutra and the Lotus Sutra, succeeding the Seon thought of Bojo Jinul s meditation and wisdom practice. It seems that Hyobong s Seon thought is generally developed on the basis of Prajuna thought, but this tendency is the same in the origin base and way of perceiving hometown because his thought is developed on the base of complete non-attachment and emptiness. In brief, Hyobong s perception of hometown is diagnosed as the two following characteristics: One is that Mind is the very Buddha and the other is the Revelation of Mid-path Buddha-nature. Hence, Hyobong stresses the following basic idea of Mahayana Buddhism concerning the reason why we should return to hometown: Benefit oneself and others, which is the very representation of how to live after homecoming.

      • KCI등재

        만해의 『조선불교유신론』에 나타난 포교관(布敎觀)과 그 지향점(指向點)

        차차석 ( Cha Cha-Seuk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0 禪文化硏究 Vol.28 No.-

        이 논문은 만해의 『조선불교유신론』(이하 『유신론』)에 나타난 포교관과 그 지향점의 특징이 무엇인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만해의 『유신론』은 조선말기 불교계의 개혁과 갱생을 위해 저술되었다고 평가 받는다. 이 책에 나타난 만해의 포교관은 근대세계로의 전환이라는 시대적 부응, 불교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대한 근원적 통찰, 대중과의 소통을 통한 사회성의 회복 등을 모색하고 있다. 논자는 먼저 이 책의 정확한 성격과 포교를 중시하게 된 배경을 그의 개혁적인 사상의 특징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표적인 연구서의 성격과 특징을 분석하고자 시도했다. 즉 당시의 국제정세와 국내 불교계의 현실 속에서 개혁과 포교가 지니는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유신론』에는 포교라는 항목이 별도로 설정되어 있었지만 중요성을 인식하는 정도였다. 이후 1931년 10월 ≪불교≫ 88호에 발표한 「조선불교의 개혁안」에서는 ‘경론의 번역과 대중불교의 건설’이라는 항목에서 포교에 대한 필요성이나 유관 내용을 상세하게 밝히고 있다. 또한 1931년 8월 ≪불교≫ 86호에 실린 「불교 청년 총동맹에 대하여」<sup>1)</sup>라는 글에서도 ‘사회적 진출의 필요’를 포교와 연계해 강조하고 있다. 논자는 이상의 글과 여타 다른 자료를 참조하면서 만해가 지닌 포교관의 핵심, 포교의 방식, 포교를 통해 지향하고자 했던 불교적 가치가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This article tri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Buddhist mission and its orientation described in Manhae’s “Joseon Buddhism Yushin theo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Yushin theory”) of Manhae. Manhae's “Yushin theory” is considered to have been written for the reform and rehabilitation of the Buddhist communit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anhae’s mission appearing in this book seeks a timely response to the transition to the modern world, fundamental insights into what Buddhism is supposed to be, and restoration of sociality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The writer first attempted to examine the exact nature of the book and the background behind its emphasis on missionary work from the characteristics of his reformist ideas. Therefore,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a representative study. In other words, it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reforms and missionary work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the time and the reality of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Although the topic of missionary work was set separately in the “Yushin theory,” it mere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missionary work. Subsequently, in October 1931, “the Reform Proposal of Joseon Buddhism”, which was published in the No. 88 issue of the Buddhism, detailed the necessity and related details of missionary work in the section titled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Construction of Public Buddhism.” The article, “About the General Alliance of the Young People of Buddhism,” which was published in the Buddhism’s August 1931 issue, also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Buddhist missionary work in conjunction with the need for social advancement. Referring to the above articles and other materials, the writer tried to look at the core of Manhae's mission, the method of missionary work, and what Buddhist values he wanted to pursue through missionary work. Preaching mission is still an important topic for contemporary global Buddhism. As the society is getting more complex, the method of missionary work has to be realized through a very complex method. Experts point out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constantly communicate with the public by converging education, welfare and culture. Given that, the significance of missionary work claimed by Manhae does not end with problems in the past, but is still appea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