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전쟁과 신원 증명 장치의 기원 -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주권의 문제

        차미령 구보학회 2018 구보학보 Vol.0 No.18

        This paper focuses on the issue of sovereignty(sovereign power) on the apparatus identification (certificates) presented in Park Wan-Seo’s novels(Thirsty Season, Who Ate Up All the Shinga?, Was The Mountain There Really?) As is generally known, Modern national identification devices make it clear that the people are the identities listed in the document. This study particularly focuses on the punishment of collaborators and the issue of citizen cards. Park’s novels reveal the fact that the structure of state sovereignty is not limited to the legal order and the determination of territorial order, but is constituted by forming an exception. In Park Wan-Seo’s novels the figures are faced with the reality in which their life and death will be decided by the mere piece of paper called ‘citizen card’. From this viewpoint, the narrative of refuge is replaced by the opposition between certificate (citizen card, province resident card) and certificate (credentials, refugee card). This strategy of these figures aiming for the survival crossing the violent frontiers will extend into the problem of passing the international borders. The statements regarding the choices of ideologies and political regimes are secondary. The state sovereignty arrives to the figures of the novels, not under the form of the voluntary submission to the general will, but under the shadow of the fearful death. Structured by the code of inclusion/exclusion, survival hinges on the apparatus of nation building. Park’s novels demonstrate the fact that at the root of the citizenship of Korean society is the ‘bare life’. And it is at the same time the origin of the ambivalent aspirations of her novels to be established as a sovereign. 이 논문은 한국 전쟁을 서사화하는 박완서 소설(『목마른 계절』,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에 나타난 신원증명장치(증명서)를 주권의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주지하다시피, 근대국가의 신원증명장치는 이념이나 정체성이 아니라, 서류에 기재된 신분으로 국민임을 확인하게 한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계엄령 상태의 부역자 처벌과 시민증 발급에 주목한다. 이 시기와 관련하여 박완서 소설은, 국가 주권의 구조가 법질서와 영토질서의 확정에 그치지 않고, 예외를 구성함으로써 형성된다는 사실을 폭로한다. 소설에서 인물들은 ‘시민증’이라는 이름의 허술한 종이쪽지가 곧 생명을 좌우하게 된 현실과 마주한다. 이와 같이 볼 때, 소설 속 피난의 서사는 증명서(시민증, 도민증)와 증명서(신임장, 피난민증)의 대립구도로 치환된다. 폭력적인 경계를 넘나들며 살아남기 위한 인물들의 신원 연출 전략은, 이후 패스포트 등 국가 간 경계 넘기의 문제로 확장될 것이다. 세 편의 소설에서 은연중 표방되는 이념적 선택 혹은 체제 선택의 진술은, 이 글의 맥락에서 보면 부차적이다. 소설의 인물들에게 국가 주권은, 일반의지에 의한 자발적 복종(사회계약)으로써가 아니라, 죽음의 공포와 함께 도래한다. 생존은 소속-배제의 구조로, 국가/국민 형성의 장치들을 통해 결정된다. 박완서 소설은 한국 사회의 기술적 시민권의 시발점에 다름 아닌 목숨이 있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그리고 그것은 삶의 주인으로 스스로를 정립하고자 하는, 박완서 소설의 양가적 열망의 한 기원이기도 하다.

      • KCI등재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주술’과 ‘생존’의 문제

        차미령 대중서사학회 2016 대중서사연구 Vol.22 No.3

        This article attempts at rethinking the modernity of Park Wan-Seo’s fictions in investigating the theme of magic. What underlies the magic aspirations present in her fictions? The first salient feature is the ambivalence of magic. For example, those old women appearing in <The Bad Year of the City> and 「The Pasqueflower of the Horrible Day」 show interestingly the ambivalent aspect of the magic related to the survival of the people. Their world i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beliefs beyond the reality tests and their practices faithful to those beliefs engender either mistrust or awe for the next generations, in being criticized by the reason or in surpassing the horizon of moral judgement. The other issue worthy of being noted when we explore Park’s novels in terms of magic is the relationship between war and survival. Magic represented in <Naked Tree> and <Thirsty Season> functions as the narrative principle of explaining the pains caused by the war. In this case,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death of the brother. Viewe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magical dimension of Park’s repetitive writing is closed intertwined with the sense of guilt. This latter leads to the affirmation of ‘we should live’, and at the same time to the hatred against those who survived with success.

      • KCI등재

        여성 서사 속 기지(촌) 성매매 여성의 기억과 재현 -강신재․박완서․강석경 소설과 김정자 증언록을 중심으로-

        차미령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인문학연구 Vol.0 No.58

        This study explores the problems of women in the U.S. Military Bases prostitution in Korean female narrative, and in the context of the representation of subaltern. Focusing on the fictions of Kang Shin-jae, Park Wan-seo and Kang Sok-kyong, review the characters and events of the narrative to see what codes the narrative was organized by. This study explores the gap between the author and the represented object, and considers what it means. But this study is far from the reduction theory that the writer's class position defines the limits of his work. Also at the same time, it is also impossible not to consider the position of the author. It is not detected by dichotomy whether she is an agent or a victim. It contains the middle ground of the agent's character and victim's character. Testimony and literature encounter at the point of suffering to go beyond its impossibility. 이 연구는 여성 서사에 나타난 기지(촌) 성매매 여성의 문제를 서발턴 재현의 문맥에서 검토한다. 강신재, 박완서, 강석경 소설을 중심으로 서발턴 여성이 어떠한 재현의 코드에 의해 혹은, 반해 구성되었는지를 살펴보고, 동시대 한국 여성의 ‘말할 수 없음’이 서발터니티와 어떻게 절합하는지 등을 검토한다. 먼저, 박완서는 미군 부대 근처의 여성이 ‘성매매에 처해지는’ 상황을 설득적으로 재현함으로써, 여성의 성적 방종의 결과라는 관념을 탈코드화한다. 아울러 이들이 가족 내 존재라는 사실은 모성을 중심으로 한 이분법에 균열을 가한다. 한편, 강신재 소설은 여성이 겪는 고통과 분노를 서발턴 여성인물을 경유하여 표출한다. 소설에서 경제적 조건에 의한 노동이라는 사실은 비가시화되거나, 성적 관계가 곧 거래라는 사실이 밝혀지는 순간 여성들은 차이로 회귀한다. 작가는 이들의 성매매를 노동으로 인정하면서도, 그 속의 죽음정치적 속성을 간과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강석경 소설은 1980년대 초반의 시대적 상황과 연루된바, 반제국주의 담론의 영향을 강하게 드러낸다. 이로 인한 한계 또한 있으나, 취재에 기반한 소설은 서발턴 여성과 미군이 맺는 관계성이 생명권력의 자장 아래 놓여 있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예술계 내 여성의 서발터니티를 기지촌이라는 서발턴 공간에 중첩시키려는 시도의 양가적 측면을 비롯하여, 소설 속에서 죽거나 죽음을 향해 있는 존재로 묘사되는 서발턴 여성인물은 독자를 재현 불가능성의 문제와 마주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서발턴에게 문학이 무엇인가라는 질문과 함께, 김정자 증언록을 간략히 살펴본다. 이 증언록을 통해 생각해 본 서발턴 여성의 말하기는, 사후적인 ‘되기’의 방식으로 불가능한 시간을 뚫고 나오는 트라우마의 말이다.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하는 작업이라는, 한계와 성취를 동시에 각인시키는 수식어는 비단 문학만의 것이 아니다. 증언과 문학은 그 불가능성을 넘어서려는 시도로서 조우한다.

      • KCI등재

        생존과 수치

        차미령(Cha, Mi Ryeong) 한국현대문학회 2015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7

        이 논문은 한국의 근대성을 사고하는 모형으로 제안된 ‘생존주의’라는 문제틀에 착안하여, 1970년대 박완서 단편소설을 탐구한다. 생존주의 의미론의 핵심은 생계와 안전, 그리고 그것을 보장해준다고 여겨지는 기제 이외의 다른 가치들이 박탈되거나 부정된다는 데 있다. 1970년대 박완서소설은 생존주의에 장악된 인간의 마음에 주목하는 동시에, 그것에 항의하고 이탈하는 마음을 포섭하고 있다. 박완서 소설이 일상생활이라는 미시적 차원의 탐구이기에, 이 글의 논의도 일상과 습속의 분석을 중심으로 시도된다. 우선 이 글에서는 계급적 지표에 주의하면서, 박완서 소설의 인간형을 탐색한다. 소설에서 생존과의 투쟁이 사라진 삶은 본능적 욕구의 충족(동물)과 과시적인 차별의 수준(속물)에서 공동체적 가치와는 무관하게 재현된다. 다른 한편, 계급적 불안감을 안고 있는 중간 계급과 하층 계급에게 있어서, 타자의 시선 아래 본질을 은폐하는 위장의 기술은 생존의 의미론을 내포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 연구에서는 한국적 습속의하나로, 무속적 삶의 풍경에 내재한 현실 지향성의 문제를 고찰한다. 소설에서 무속적 습속은 가족의 미래에 대한 모성의 불안을 중심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전근대의 아비투스에는 가족의 안위와 재의 축적이라는 인간 집단의 가장 실제적인 관심이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생계와 안전이 부의 축적을 향한 끊임없는 열망에 의해서만 유지된다는 인식은 자본주의의 종교성을 암유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생존 이외의 가치를 갈구하는 마음이 신체화된 형태로 드러나는 경향에 주목한다. 소설 속 항의와 일탈의 목소리는 신체의 감각적 반응으로 전환되는데, 특히 여성인물의 구토(구역질)의행위가주목된다. 소설에서 그것은 인물의한계상황을지시하고있으며, 구토의 쾌감보다는 그것이 원활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주체의 고통이 부각된다. 구토를 촉발하는 혐오의 감정은 수치의 감정으로 전환되어, 존재에 대한 재성찰과 사회적 감정을 환기하는 방식으로 이어진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based on the problematics of survivalism, Park Wan suh’s short storys in 1970s. This paper has been organized in the following way. First, it pays an attention on positions of social class and examines the disguise of humans that imply semantics of survivals. In the second place, this study discusses reality oriented tendency of shamanistic life styles in Park Wan suh’s fictions. The idea that survival and safety can only be maintained by desires to amass a fortune implicates capitalism as a religion. Lastly, it focuses on the inclination that the voice of protest is converted to reactions of the female body in Park Wan suh’s fictions. This is noted as an introspection on existence and a way to evoke social emotions.

      • KCI등재

        적(敵)과의 동거 -1950년대 강신재 소설의 전쟁 부역자 문제에 주목하여-

        차미령(Cha, Mi-ryeong)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7 No.-

        1950년대 강신재 소설은 ‘이념적 적대’와 ‘물질적 동맹’이라는 두 가지 축으로 분화된다. 이 중 전자에 속하는 소설들은 북한군 점령기를 배경으로 한 삼각 관계의 서사들로, 결혼이라는 성적 계약의 문제에 전쟁 부역의 문제가 중첩되어 있다. 강신재 소설에서 혼외 관계는 친밀성 영역의 균열을 탐사하는 방법일 뿐만 아니라 양립불가능한 체제의 적대를 서사화하는 방식이다. 부역자 심판과 처벌이라는 문맥에서 볼 때, 강신재 소설에 나타난 가부장제에 대한 위반은 국가 체제에 대한 위반과 긴밀하게 연루되어 있다. 따라서 작품들이 발표된 전후의 시점에서 ‘수복 이후’는 문제적인 국면으로 부상한다. 이중적 의미의 적이 사라진 후 주목되는 것은 인물의 행위 능력과 감수 능력에 대한 서사적 판단이다. 1950년대 중반 강신재 소설에서 ‘오쟁이진 남편’의 서사는 가부장-국가가 불가능한 책임을 남성 개인에게 부과하는 과정으로 종결되며, ‘열정/수난’의 플롯은 전후 여성 주체 형성의 곤경과 (불)가능성에 대한 질문과 함께 마무리된다. In the 1950s, Kang Shin-jae’s fictions consist of two important elements: “ideological antagonism” and “material alliance.” Among them, fictions belonging to the former are narratives of a triangular relationship set in the North Korean occupation period, overlapping the issue of the exclusive right of sexual negotiation with the problem of the war collaborator. Kang Shin-jae’s fictions are not only a way to explore cracks in the realm of intimacy, but also a way to narrate the antagonism of incompatible systems.

      • KCI등재
      • KCI등재

        기계는 감수할 수 있는가 : 윤이형 소설에 나타난 인간과 소셜로봇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차미령(Cha, Miryeong)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35 No.-

        이 논문은 윤이형의 소설 「대니」와 「수아」에 나타난 ‘나’와 소셜로봇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을 고찰한다. 두 소설은 새로운 기술의 고안, 도입, 실행, 그리고 폐기와 관련된 화소를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다. 두 소설에서 로봇의 수행이 예측을 벗어날 때, 지배담론은 인간의 고의를 문제삼으며 로봇을 근본적으로 수동적인 존재로 치환한다. 로봇의 행위를 인간에 대한 위협으로 범죄화하는 시각 또한 인간-기계의 예속관계를 드러낸다. 하지만 이와는 달리, 소설 속 ‘나’와 로봇은 그 관계를 통해 각각의 특성으로 고정되는 대신 새로운 주체성(관계성)을 생성한다는 점에서, 주체/객체 이분법을 해체한다. 「대니」와 「수아」는 기계에 의한 인간(노동)의 대체가능성을 사회적 배치(배분)의 문제와 함께 탐구하는데, 「대니」는 그 과정 속에서 인간을 행위자가 아니라 감수자로 위치시킨다. 「수아」는 로봇과 인간(사회)의 연결/연합이 해체되는 지점에서 마무리되지 않고, 로봇에 행위형성적 감수능력을 부여함으로써 인간-기계 네트워크를 새롭게 재조립할 것을 적극적으로 요구하는 지점까지 나아간다. This article aims at exploring the interactions between humankind and machines, focusing on Yoon Yi-hyung’s Danny and Sua. In both fictional works, when the performance of robots does not meet with human expectations, dominating discourse interprets this malfunction as resulting from the intentions of a user or hacker in identifying the robots with basically passive tools. Similarly, criminalizing a robot’s activities as threats against humankind also reveals the subordination of machines to human beings. In contrast to these perspectives, ‘me’ and robot in the works of fiction deconstruct the subject/object binary system, creating a new relational subjectivity. Danny explores the replaceability of humans (labor) by machines and the problem of social assemblages, in the process of which, the human being is defined not as an agent but as a patient. Compared to Danny, which distinguishes between humankind and machines, Sua shows a more radical conclusion, in the sense that this work of fiction contains a relationship between robots and ‘I’ which continues on to the point of claiming to be reassembled, without being content with the dissolution of the alliance of robot and I.

      • KCI등재후보

        박완서 단편소설과 말년의 양식에 대한 시론적 검토

        양윤의,차미령 픽션과 논픽션학회 2022 픽션과논픽션 Vol.4 No.1

        이 글은 에드워드 사이드가 제안한 ‘말년성’ 개념에 착안하여 박완서의 마지막 소설들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우선 주로 노년의 삶이 제시된 박완서의 단편 소설들을 분석함으로써 주요 열쇠어들을 추출하고, 만년의 세 작품에 나타난 말년의 양식을 살펴보았다. 만년의 세 작품에서는 반성과 각성이라는 계기, 공통감각으로서 욕망의 긍정성, 연민과 공감의 정동 등에 일정 부분 균열이 가는 것처럼 보인다. 박완서는 말년의 양식을 통해 이 세계에서 가시적이거나 형식적인 화해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요소를 성찰한다. 이중의 부정을 통해 반성이 불가능한 지점을 드러내고, 원죄의식을 통해 욕망의 부정적 양태를 가시화하고, 죽음의 부정을 통해 타인을 자기 욕망의 대상화하는 폭력과 결별하고자 한다. 이 작품들에서 관찰되는 특징들이 그동안 작가가 구축해왔던 세계를 취소하거나 철회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말년의 양식은 이의 실현을 어렵게 만드는 세계의 복잡성을 더 논쟁적으로 드러낸다. 박완서의 말년의 양식이 보여주는 성취는 작가의 예외적인 산출물이 아니라 오랜 통찰의 결과물이다. 자신이 동시대와 맺어왔던 양식(다시 말해 작가가 작품과 맺는 총체적인 관계의 대상화, 작품의 총체적 표현성)을 파기하거나 교정하는 것은 작가적 생산성을 유지하는 방식이다. 작가의 작업은 이 세 편을 끝으로 마감되었으나 세 편의 작품은 박완서 소설이 내장한 겹의 두께를 다시 한번 사료하도록 이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