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신체활동과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사이의 인지기능의 매개효과

        진연주,홍익표 대한작업치료학회 202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1 No.1

        목적 : 본 연구는 신체활동 참여와 도구적 일상생활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자립도 사이의 인지기능의 매개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노인코호트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활용하여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자격을 유지하고 있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 약 600만 명 중 신체활동 설문에 참여한 3,980명의 자료를 활용하 였다. 신체활동과 IADL 사이의 인지기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의 평균 연령은 81.6세였으며, 여성이 72.74%였다. 인지기능의 부분매개 효과는 고강도 운동에서 68%로 IADL의 자립도에 가장 크게 나타났다(β = 0.07, 95% Confidence Interval; CI = 0.05, 0.09). 다음으로 중등도 운동은 66%(β = 0.08, 95% CI = 0.06, 0.10), 걷기 운동은 52%(β = 0.12, 95% CI = 0.11, 0.14) 순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과 IADL 자립도 사이의 직접효과는 걷기 운동에서 48%(β = 0.11, 95% CI = 0.09, 0.14)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중등도 운동은 35%(β = 0.04, 95% CI = 0.02, 0.07), 고강도 운동은 32%(β = 0.03, 95% CI = 0.01, 0.06)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신체활동과 IADL의 관계에 인지기능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 의 건강하고 활동적인 노화를 위해 신체활동과 인지기능을 결합한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고려되어야 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and independence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Methods: A retrospective cross-sectional design that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IADL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We retrieved 3,980 beneficiaries from the 6 million people eligible for the Korean health insurance and benefits, between 2002 and 2015. The study subjects were 60 years and older and have completed the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We estimated the indirect effect of physical activity through cognitive function on the independence of IADL.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beneficiaries was 81.6 years (SD = 5.5), and 72.74% were female. Among the three physical activities, the vigorous-intensity exercise showed the largest partial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n the independence of IADL (β = 0.07, 95% confidence interval; CI: 0.05, 0.09). However, the walking exercise showed the largest direct effect on the independence of IADL (β = 0.11, 95% CI: 0.09, 0.14). Conclusion: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as a considerabl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IADL. The study findings would help clinicians establish a complex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that utilizes both physical and cognitive therapeutic modalities for old adul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특성 및 주거환경과 낙상 간 관련성 연구

        진연주,홍익표 대한작업치료학회 202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0 No.2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falls and the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as well as their homeenvironments. Methods: A total of 9,411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ere retrieved from the 2020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The relationships among falls, demographic and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nd home environment were analyzed using step-wise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The dependent variable was fall events during thepast 12 month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demographics, health-relatedcharacteristics, and home environments. Results: The majority of the sample individuals were 65-74 years in age (n = 6,069, 64.49%)and female (n = 5,626, 59.78%). A total of 585 (6.2%) older adults experienced a fallduring the past year. Among the older adults, those living in another house type (odds ratio[OR] = 3.91, 95% confidence interval [CI] 1.85-8.27), having no spouse ([OR] = 2.30,95% [CI] 1.37-3.85), and having no jobs ([OR] = 2.13, 95% [CI] 1.49-3.04) were likelyto have a fall during the past 12 month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inform clinicians regarding the fall-relatedcharacteristic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nd help practitioners prioritize treatmentplans for home modifications. 목적 : 본 연구는 낙상과 관련된 노인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 관련 특성과 주거환경 사이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65세 노인을 대상으로 낙상과일반적 및 건강 관련 특성, 주거환경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변수의 결측치를 제외한 9,411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노인의 낙상 여부에 따른 일반적 및 주거환경, 건강 관련 변수들의 관련성을 파악하기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지난 1년간 낙상을 경험한 노인은 585명(6.2%), 낙상을 경험하지 않은 노인 8,826명(93.8%)으로나타났다. 전체 대상자의 연령은 65~74세가 6,069명(64.49%)으로 여성이 59.78%에 해당하였다. 낙상과 가장 큰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 주택 종류 중 기타 3.91배(95% CI: 1.85, 8.27)로 나타났으며 배우자가 없을 때 2.30배(95% CI: 1.37, 3.85), 일한 경험은 있으나 현재 일을 하지 않는 노인의 경우2.13배(95% CI: 1.49, 3.0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의 낙상 위험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고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대상자 분류 및선정을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바이오필릭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뮤럴벽지 디자인 연구

        진연주,한인석,김성달 한국기초조형학회 2024 기초조형학연구 Vol.25 No.1

        With the importance of design reflecting nature-friendly concepts emer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ral wallpaper design reflecting biophilic design to incorporate the concept into surface pattern design in the textile field. First, a theoretical review of biophilic design was conducted through the synthesis of prior research. Biophilic design wa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life love called biophilia and inherited the concept that humans instinctively love nature and choose things related to nature unconsciously. Biophilic design aims to help consumers feel psychological stability by providing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of nature, and Stephen Callert proposed empirical elements and attributes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and realization of biophilic design. This research proposed this by converting each element and attribute into an example of a method that can be expressed in pattern design in order to apply it to surface pattern design. Among the elements and attributes of biophilic design, the natural shape and shape items were considered suitable as elements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for surface pattern design, and buildings and plants from the Greek and Roman periods, where the elements were best revealed, were selected as the main motif. In expressing the motif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it was judged that the mural wallpaper applying a relatively larger motif and refit than the general wallpaper was appropriate. A total of four designs, Artemis, Demeter, Hera, and Dioni, were created, and buildings from the Greek and Roman periods were developed as the main motif, and the 12 symbolic plants of Greek and Roman mythology,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is, were expressed as sub or point motifs. Through this, we intend to develop a design that can provide indirect beneficial natural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stability to consumers.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 친화적 컨셉을 반영한 디자인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는 가운데 해당 컨셉을텍스타일 분야의 서피스 패턴 디자인에서 접목하기 위하여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반영한 뮤럴벽지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선행 연구 종합을 통해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이론적 고찰을진행하였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바이오필리아라는 생명사랑을 뜻하는 개념에서 파생되었고 인간이자연을 본능적으로 사랑하고 무의식 중에 자연과 관련된 것을 선택한다는 개념을 계승하였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자연의 직간접적인 체험을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심리적인 안정을 느낄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을 목표로 하며 스티븐 캘러트는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효과적인 적용 및 실현을 위한 실증적인 요소와 속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서피스 패턴 디자인에 적용하기 위하여 각 요소와속성을 패턴 디자인에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의 예시로 변환하여 제안하였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요소와 속성 중 서피스 패턴 디자인에 현실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요소로써 자연의 모양과 형태 항목이 적합하다 여겨 해당 요소가 가장 잘 드러난 그리스·로마 시대의 건축물과 식물을 메인 모티프로선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한 모티프의 표현에 있어 일반 벽지보다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의 모티프, 리핏을 적용하고 있는 뮤럴벽지가 적절하다 판단하였다. 총 4가지 디자인 아르테미스, 데메테르, 헤라, 디오니를 창작하였는데, 그리스·로마 시대의 건축물을 메인 모티프로 전개하였고, 이와밀접한 관련이 있는 그리스·로마 신화의 12신의 상징 식물을 서브 혹은 포인트 모티프로 표현하였다. 이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간접적인 유익한 자연 체험 및 심리적인 안정을 제공할 수 있는 디자인을개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측정 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진연주,홍익표 대한작업치료학회 202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1 No.2

        Objective: Social support is an important social factor that affects the maintenance of health and recovery from disease in the social environment and relationships of the older adults. The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health-related social support study and assessment tools that have been used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22, we searched for the studies related to social support assessment tools by using the PubMed, Cumulative Index of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CINAHL),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nd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databases. The search terms were ‘social support assessment’ OR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OR ‘social support scale’, ‘older adults’, ‘community dwelling’ AND ‘health’. Results: A total of 3,897 studies were extracted, and finally 24 studies and 14 social support assessment tool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inclusion criteria. Among the social support concepts, the eight assessment tools (57%) were included to measure perceived social support.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develop a standardized assessment tool that can measure the health-related social support assessment tools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 연구에서 적용한 평가도구의 특성과 사회적 지지의 측면 및 하위요인의 분류 및 고찰을 통해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자료수집은 PubMed, Cumulative Index of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CINAHL),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국내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12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문헌을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social support assessment”, OR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OR “social support scale” AND “older adults” AND “community dwelling” AND “health”를 사용하였다. 결과:총 3,897편의 연구 중 최종적으로 24편의 문헌이 선정되었고, 선정된 문헌에서 14개의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가 포함되었다. 사회적 지지 개념적 측면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도구는 총 14개 중 8개(57%)가 포함되었다. 평가도구의 하위요인은 사회적 지지의 개념적 측면의 기능과 제공 및 수혜 형태의 복합적인 요인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의 특성, 측면 및 하위요인을 분류하여 제시하였으며, 표준화된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