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칼 융의 원형 개념에서 자기실현의 철학적 의미

        진숙 새한철학회 2023 哲學論叢 Vol.113 No.3

        This article examines Carl Gustav Jung's concept of archetype in analytical psychology and 'self-realization' and philosophical meaning through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to become a true self. Jung's analytic psychology developed in an attempt to deal with the fact that at the same time that humans and their minds are contained within the world, the external world is to some extent contained within our minds. Analytical psychology includes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internal personality, which means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that is, the whole of existence. This concept supports Jung's basic idea that human beings are inherently one whole. We think we know ourselves well. However, the ego only knows the contents of the consciousness and does not know about the unconscious and its contents. Like this, what you know about yourself can only be a limited knowledge of a small part, and even this is mostly influenced by social factors. The knowledge one knows about oneself is not absolute because it is based on theoretical hypotheses. Self is the same as individuality in the true sense in the sense that it refers to the person himself, not anyone else, but 'the whole person'.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to become a true self is to become a ‘return to the original self’ in the sense of becoming a single being, and this is called ‘Self-Actualization’. The purpose of becoming the true self is clear. Because it will help you understand yourself and live a better life by becoming aware of yourself. How does individuation, or self-actualization, take place? This is possible only through individual self-awareness, and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work of making unconsciousness conscious to realize the inside of self that one does not know. To this end, author would like to philosophically seek what self-actualization is in the archetypal concept and what role it plays. Here, philosophical search refers to the method of analyzing and synthesizing essential parts. In particular, philosophy helps us to perceive and practice the problems we face more clearly. However, the current philosophy is a reality that is changing to a study for knowledge rather than discussing the way of life. Nevertheless, philosophy will provide the problems and solutions to the human spirit and present standards for how to aim for self-actualization by explaining them through a practical point of view. 본 글은 분석심리학자인 칼 융(Carl Gustav Jung)의 원형의 개념과 진정한 자기(Self)가되기 위한 개성화 과정을 통한 ‘자기실현’과 철학적 의미를 알아본다. 융의 분석심리학은인간과 인간의 정신이 세계 안에 포함되어 있는 동시에 외부세계가 어느 정도 우리 정신안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다루려는 시도에서 발전하였다. 분석심리학은 심혼의 구조와역동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의식과 무의식, 즉 존재의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개념은 융의 기본 사상으로서 우리의 전체로서의 정신은 하나라는 것을 지지해준다. 우리는 각자 자신에 대해 잘 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자아는 오직 의식 안의 내용물만을 알 뿐이며 무의식과 그 내용에 대해서는 알지 못한다. 이렇듯 자신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극히 일부에 대한 제한적인 지식일 수밖에 없으며 이조차도 대부분은 사회적 요인들에의해 좌우된다. 자기 자신에 대해 알고 있다는 지식들은 이론적 가설에 근거하기 때문에절대적이지 못하다. 각각의 자기란 각각의 그 자신을 말하며 ‘그 사람 전체’를 가리키는 의미에서 진정한 의미의 개성과 같은 말이다. 진정한 자기(Self)가 되기 위한 개성화 과정이란 단일적 존재가 된다는 의미로서 ‘본래의 자기로 돌아가는 것’이 되는 것이고 이를 ‘자기실현’이라 한다. 자기가 진정한 자기가되어야 하는 목적은 뚜렷하다. 왜냐하면 자기 스스로를 자각하게 됨으로써 자기에 대한 이해를 돕고 보다 나은 인생을 살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개성화 즉 자기실현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이것은 오로지 개개인의 자기인식을 통해서만 가능하며, 다른 말로 자기가 모르는 자기의 내면을 깨달아 가는 무의식의 의식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형 개념에서의 자기실현이 무엇인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 철학적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철학적 모색이란 본질적인 부분을 분석하고 종합하는 방식을 말한다. 특히 철학은 당면하는 문제들을 더욱 명료하게 인지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의 철학은 삶의 방식을 논의하기보다 지식을 위한 학문으로 바뀌어 가는 현실이다. 그럼에도 철학은 인간 정신에 대한 문제와 해결점을 제공하며 실천적관점을 통해 설명함으로써 자기실현을 목표로 하는 방법에 대한 기준을 제시해줄 것이다.

      • KCI등재

        정규직노조의 지원활동이 비정규직노조에 미치는 영향

        진숙경(Sook Kyung Jin)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2 産業關係硏究 Vol.22 No.3

        한국 비정규직노조운동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그동안 비정규직노조의 조직적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정규직노조와의 관계를 제기해 왔다. 비정규직노조에 대한 정규직노조의 지원활동은 비정규직노조의 유지 및 투쟁에 긍정적 효과로 작용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 논문은 나아가 정규직노조의 지원활동 방식을 구분하고 그 방식에 따라 비정규직노조 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점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비정규직노조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실증분석한 양적 연구와 금속산업의 2개의 비정규직노조를 사례 분석한 질적 연구를 결합하여 연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정규직노조의 지원활동이 비정규직노조의 실질적인 성과인 노조효과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나, 비정규직노조의 인지된 잠재적 교섭력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규직노조가 어떤 활동 방식으로 지원하느냐에 따라 비정규직노조 활동을 강화하기도 하고 조직력을 약화하기도 한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를 사례연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 정규직노조의 일상 시기의 비정규직 조직화를 위한 교육?선전활동이나 투쟁 시기의 비정규직노조의 독자적인 투쟁에 대한 지지 및 지원활동은 비정규직노조의 조직력과 교섭력을 강화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정규직노조의 대리교섭이나 비정규직노조 활동가들이 배제된 상태에서의 정규직 활동가들의 비정규직 고충처리 방식은 비정규직들의 주체성을 감소시키고 비정규직노조에 대한 기대감을 저하시킴으로 인해 비정규직노조 조직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정규직-비정규직노조 간의 정치적 입장 차가 큰 경우 비정규직노조를 현장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정규직노조가 대리교섭을 활용하기도 하였다. 결론적으로 비정규직노조의 활동에 있어서 정규직노조의 연대 여부는 활동의 승패를 좌우한다고 할 만큼 중요한데, 정규직노조의 지원활동 방식에 따라 비정규직노조에 미치는 영향은 달리 나타남으로 교육?선전 등 일상활동에 대한 지원과 투쟁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를 밝히는 등의 연대 방식이 중요하다 하겠다. 반면 정규직노조의 대리교섭은 비정규직노조 교섭력 및 조직력 강화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덧붙여 정규직-비정규직 노조 간 연대가 가능한 경우에는 비정규직노조의 조직력 강화를 위해 정규직노조가 대리교섭을 중단하고 비정규직노조의 독자적인 교섭을 보장하였으나 실질적인 권한을 가진 원청 사용자와의 교섭테이블이 형성되지 못하면서 정규직노조가 대리교섭을 벌이던 때에 비해 가시적인 성과를 얻지 못하면서 조직력이 답보되거나 약화되는 결과를 낳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규직-비정규직 간 노조 통합의 과제가 제기된다고 하겠다. As many labor scholars have suggested, the relations between a labor union covering regular employees and a labor union with irregular employees is a influential factor i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he union covering irregular employees. Some labor scholars have believed that if the labor union with regular employees would support the irregular employees’ union, it could have positive effectives for activities of the union in a workplace. This focus on how various tools and ways backed up by the labor union with regular employees affect the labor union covering irregular employees about collective activities. This employs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 which based on a survey targeting labor unions covering irregular employees and a case study on two the labor union in the metal industry. As the result of analysis, it is found out that the support of regular employees’ labor union can positively have the union effectiveness, substantive effects of the union, but have little effect on the potential bargaining power. This demonstrates that the support of labor unions covering regular employees could strength the irregular employee’s union, on the contrary, weaken it’s organizational power depends on the ways and tools taken by the regular employees’ union. A education program and organizational activity to organize irregular employees daily and supports during the labor disputes can have positive effect on the labor union with irregular employees for its organizational and bargaining power. However, the way of substitute bargaining for irregular employees and the grievance procedure for irregular employees excluding union activities from irregular employees would weaken the labor union with irregular employees. Because it can undermine the expectation of irregular employees to their own labor unions. Furthermore, in some cases, employers accepted the substitute bargaining with intentions to expel the labor unions covering irregular employees from their workplace, if there some political opinions between irregular employees’union and regular union. To conclude, in the collective activities of a labor union with irregular employees, the support of a labor union covering regular employees can be the deceive factor, but the organizational effect can be varied depends on the ways and tools of the support by the regular employees’union. It turns out that union education programs, and organizational activities are effective in ordinary times. And during labor disputes, more active ways of support can be important for the labor union with irregular workers. The the substitute bargaining would not contribute to encourage the bargaining and organizational power for the irregular workers’ union.

      • KCI등재

        비정규직노조의 유형별 실태와 시사점 : 18개 비정규직노조 사례분석

        진숙경(Sook-Kyung Jin),김동원(Dong-One Kim) 한국노동연구원 2007 노동정책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최근 날이 갈수록 증가하는 비정규직의 집단적 노사관계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고용형태별 비정규직노조의 사례분석을 통해 비정규직노조의 주요 쟁점 및 일반적 특징을 정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비정규직노조를 크게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혼합, 그리고 특수고용 등 4가지 형태로 구분한 후 각 노조의 특성에 따라 9가지로 세분화하였다. 본 연구는 개별 노조마다 다양성이 큰 특수고용을 제외하고 18개 노조 사례를 선정하여 심층적인 인터뷰를 기초로 노조 설립 과정과 노사간의 쟁점, 투쟁 경험, 조직 실태 및 향후 과제 등에 대해 정리하였다. 사례분석의 결과, 비정규직노조의 조직형태 결정요인은 (1)고용형태 (2)정규직노조와의 관계 (3)노조 포괄 범위 (4)산별노조 존재 여부 등 4가지 요인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18개의 비정규직노조의 공통된 경향과 특징은, 첫째 단협 확보를 위하여 파업을 거친다는 점, 둘째 대부분의 비정규직들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직무를 수행하지 못함으로써 비정규직노조가 약한 협상력을 보인다는 점, 셋째 비정규직노조의 협상 상대방이 모호하여 효과적인 단협 체결이 어렵다는 점, 넷째 비정규직노조의 교섭단위와 조직단위가 불일치하는 것, 다섯째 비정규직노조는 노동운동의 성공이 노조의 소멸을 가져온다는 아이러니를 내포한 조직이라는 점으로 요약할 수 있다. 비정규노조의 성과와 관련하여 첫째 정규직노조에 포함되어 있거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비정규직노조의 경우에 성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유사한 직무를 수행하지 않고 독자적인 노조를 결성한 비정규직노조의 경우에 무난한 성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유사 직무를 수행하는 비정규직들이 독자적인 노조를 결성하였을 경우에는 바람직한 성과를 내기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research recognizes the need for extensive analyzation of labor relations of contingent workers, a section in society that is rapidly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cribe the main issues and characteristics of contingent workers' unions through multiple case studies. For this purpose we have categorized the unions into 4 main sections; direct employment, indirect employment, mixed, and dependent self-employment, and then segmented them into 9 branches according to their uniqueness. Except dependent self-employment, which has extensively diverse unions, this research has selected 18 examples of contingent workers' unions. Based on intense interviews, the present study discusse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labor union, issue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experiences of labor conflicts, the actual reality of organizations, and future tasks. After analyzing the cases we have discovered four primary factors that determine the structure of a labor union; (1) form of employment, (2) relationship with the permanent workers, (3) extent of union organizing, and (4) existence of industrial unions. The common tendenc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18 contingent workers' unions included in ou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unions go through strikes in order to conduct collective bargaining, Second, because most contingent workers are not in charge of strategic tasks, the unions do not have much leverage in negotiations. Third, because the counterpart of the union in negotiation is unclear, it is hard to reach a collective agreement effectively. Fourth, the bargaining level of the labor unions do not correspond to the organizational level. Fifth, ironically, the success of union activity usually ends in the extinction of the union. As for the degree of effectiveness, the contingent workers' union that is included in or has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permanent workers' union are most successful. Contingent workers' unions that perform distinctively different tasks from those of permanent workers and have an independent union from the permanent workers' union are also successful. However, when contingent workers who perform similar tasks to those of permanent workers and form an independent union from the permanent workers' union, the union was rarely successful.

      • KCI등재

        고등학교 사회과의 시화학 영역 내용분석 : 「사회·문화」교과서를 중심으로

        진숙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2 사회과교육 Vol.41 No.4

        사회과 교육은 책임있는 민주시민을 양성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므로 시민의 역할을 학습하기 위해서 사회 전반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사회학의 내용과 방법은 사회 현상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초적 지식을 제공함에 따라 1920년 미국에서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 이후 현재까지 사회학은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사회과에서 중요한 위치를 담당하고 있는 사회학 영역이 본래의 기능을 제대로 실행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6차~7차)를 중심으로 사회학의 내용이 어느 정도, 어떻게, 어느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6·7차 시기동안의 사회문화 교과서의 단원 및 개념의 비중 변화 분석, 주제 및 개념의 다차원척도 구성 분석, 주제 및 개념의 비중과 적합도간의 상관관계 분석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