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자학과 眞德秀의 {대학} 이해

        지준호 ( Chun Ho Chi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2 한국 철학논집 Vol.0 No.33

        진덕수(眞德秀)는 남송시대 주자학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따라서 그의 철학사상, 경세사상, 문학사상 등 학술적인 측면에서의 다양한 논의들이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적 연구 성과를 기초로 진덕수의 『대학』 이해에 관하여 총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수기(修己)"와 "치인(治人)"이라는 중심 개념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대학은』 유학자의 수양서로서 혹은 제왕의 정치철학으로서 그 기능을 담당해왔다. 진덕수(眞德秀) 역시 이러한 유학의 입장에서, 『대학』을 지성인이 갖추어야 하는 수양론의 기초로 이해하고 있으며, 개인의 인격적 수양을 통한 학문과 정치의 도리를 밝히고 있다. 진덕수는 성리학의 관학화 과정에서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남송시기, 주자의 후학들은 교육과 정치라는 현실참여 방법으로 주자학을 전파하였다. 그들은 적극적으로 정치에 참여하여 사회개혁에 관한 혁혁한 치적을 올렸으며, 물러나서는 서원교육을 통하여 향촌의 교화에 힘씀으로써 현실적인 시대의 문제를 타개하여 갔다. 이는 주자 성리학의 심화이자 당면한 현실을 의식한 실용적 사고이기도 하다. 유학의 학문적 전통은 덕목을 통한 덕성(德性) 함양과 실천적인 덕행(德行) 교육이라는 측면에 있어서 현재까지도 직접적으로 우리의 학문과 교육 및 문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 Throughout Song Dynasty Zhen Dexiu(眞德秀) Was a very important figure in history of Neo-Confucianism, scholars have gone deeper into studies upon him, and luckily the research yielded a rich harvest. Thought of Dynasty Zhen Dexiu are a Whole system, and thus needs to be explored as a whole. As we can guess from the concepts of "Cultivate himself"(修己) and "Administrate the People"(治人), Daxue was a book for cultivation for Confucian and political ideas for a ruler. Zhen Dexiu(眞德秀) understood Daxue as basic knowledge that intellectuals should learn and taught the methods of ruling based on training self-discipline from the view of Confucianism. Zhen Dexiu played an important role, which can`t be replaced by anyone, in the process of the Neo-Confucianism which acknowledged by the domineering regime. During the Song Dynasty, followers of Chu Hsi taught Neo-Confucianism through politics and education that required them to participate in real world. When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politics, they achieved significant success in social reform, while they focused on education of people in Shuyuan(書院: a lecture hall) to cope with practical issues when they were not in the political mainstream. This also expressed the intensified teaching of Neo-Confucianism and the realism from being aware of present question. The academic tradition of Confucianism lies in the cultivation of moral character through virtues and practical education for virtuous conduct and directly affects our learning, education, and culture even today.

      • KCI등재

        전통 사상 및 교육 방법의 현대 도덕 교육과정에서의 활용 가능성 연구

        함규진 ( Kyu-jin Ham ),신창호 ( Chang Ho Shin ),임홍태 ( Hong Tae Lim ),지준호 ( Chun-ho Chi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50

        도덕은 하나의 철학적, 심리적 상념으로서도 존재하지만, 실천으로 이어져야만 비로소 도덕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기본적으로 도덕이란 타자가 자신과 공존할 때, 그 타자와의 관계에서 좋음(goodness) 또는 옳음(righteousness)을 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 도덕이란 대부분 본능적으로 체득할 수 없기에 도덕교육이 있게 되는데, 한국인의 경우 서구와 다른 도덕적 전통을 갖고 있으며 따라서 서구적 도덕교육으로 충분하지 않거나, 전통적 도덕교육을 활용함으로써 더 나은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그런 견지에서 전통의 실천적 의미를 재해석하고 활용하는 일은 한편의 논문으로는 너무 방대한 과제이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비교와 범주화, 그리고 활용의 편의를 위해 전통을 ‘근세 유교(조선왕조 이후의 유교) 전통’으로 한정짓고, 다시 도덕교육 가운데 현행 도덕과 교육의 교육과정을 전통 교육과정과 비교함으로써 일정한 성과를 얻고자 하였다. 전통 교육과정은 기(氣)의 발달에 근거하여 연령별로 단계별 학습을 시도했으며, 그 핵심 이념은 인(仁)과 의(義), 실천적 덕목은 효(孝), 제(弟), 자(慈), 직(直), 근(勤), 검(儉)이라고 정리해볼 수 있다. 여기서는 그러한 전통 교육 이념이 ‘자신과의 관계’, ‘타인과의 관계’, ‘사회 공동체와의 관계’, ‘자연·초월과의 관계’로 영역을 나누고 각기 지향할 가치, 실천할 덕목을 배정한 현 도덕과 교육의 체계와 상통할 수 있다고 보고, 그에 따라 교육 현장에서 실천할 몇 가지 전통-현대 융합적 교육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Any moral ideas get integrity upon their practices. Because in human society systems, morality have capability among human interactions, for it gives moral standards(good or bad/ right or wrong) to them. And when the society system is Korean, Koreans surely have developed unique styles of moral practice and moral education in their traditional ages. So reinterpretating and categorizing the moral tradition for taking advantage of it in contemporary context, make sense. In this study, Korean moral tradition is focused in its scope, as ``Confucian moral tradition in semi-modern era``. For convenience of study and the potentials of effective revision, Korean tradition have been resized. In Confucian moral tradition, semi-modern Korean moral ideas could be presented as ren(仁) and yi(義). Furthermore, ren and yi could be practiced with several moral virtues, like xiao(孝), di(弟), ci(慈), zhi(直) qin(勤) gian(儉). When compared with contemporary moral education idea systems, the traditional system can have affinity with the systems in moral ideas division(``with-self morality``, ``with-others morality``, ``with-universe and transcendence morality``). And several fusion-style, integration-based education practices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at contemporary school moral education.

      • KCI등재

        “교육” 특성화 대학으로서의 교육대학교 발전 모델 탐색

        지준호 ( Chun Ho Chi ),김성식 ( Sung Sik Kim ),이병규 ( Byung Kyu Lee ),김선혜 ( Sun Hye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1

        본 연구는 다변화 사회에 고등교육의 개혁에 대한 요구를 교육대학교의 교사교육 개혁과 관련지어 ``교육`` 특성화 대학으로서의 교육대학교 발전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모델 개발을 위한 준거와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서울교육대학교의 최근10여 년간의 장단기 발전계획 및 교육과학기술부와의 MOU 특성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육`` 특성화 대학으로서의 모델은 교육대학교의 역량 강화 및 교사의 질적 수준 향상, 그리고 초등교육의 발전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크게 4대 과제, 즉 비사범계 전공 설치, 대학원 박사과정 신설, 학생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이들 3대 영역을 지원하는 조직 체제 구축을 핵심 영역으로 제안하였다. 따라서 개발된 ``교육``특성화 대학으로서의 발전 모델은 서울교육대학교가 처한 다양한 교육환경 요인을 극복하고 대학 안정화 및 내실화를 기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대학 발전을 위한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는 준거 및 계획 실행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아울러 교사양성을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은 물론, 각 교육대학교의 발전 모델을 개발하는 기초 자료 및 교원양성대학교 특성화 추진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 education-based development model for reforming a university of education in order to cope with social demands on improving quality of teachers education. This study has constructed basic principles and criteria of the model through analyzing the development plan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SNUE) and the memorandum made recently by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M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del should be focused on goals such as building of educational capability, assurance of teachers quality, and eventually innovation of elementary education. To realize these goals, four key strategies were suggested: initiation of non-teacher training program, opening of a doctor`s course, operation of various student`s capacity building program, and establishment of administrational support system. The suggested education-specialized development model is expected to provide grounds to overcome challenges that universities of education have ever faced with. And it will be also used as a reference document for a new plan of raising quality of teachers.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군자론 - 도덕교육적 의미를 중심으로 -

        지준호 ( Chi Chun-ho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0 동양문화연구 Vol.33 No.-

        현재의 도덕교육에서 덕교육은 도덕적 덕성과 인격 그리고 인성 등에 관한 연관된 논의들을 이끌어내는 교육적 노력을 전개함으로써, 사람다움을 추구한다는 본질적 측면에서 여전히 유효한 학문적 토대와 의미를 함의하고 있다. 전통시대의 도덕적 이상향인 군자는 유학의 도(道)를 숭상하고 학식을 두루 갖춰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실천윤리학적 성격을 담고 있는 다산 군자론의 기초는 덕(德)이다. 군자는 자질과 덕(德)을 갖추기 위해서 마음의 지향점으로서의 정직(正直)함을 갖추어야 하며, 가치·덕목인 의(義)를 함양하기 위해 자신을 수양하여야 한다. 『논어』를 기본 텍스트로 하는 ‘군자(君子)’에 관한 선행적 연구는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학적 이상향을 도덕주의로 승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부분 일치하고 있다. 전통 유학사상을 기반으로 하는 덕교육은 통합적인 구조와 접근으로 이해되며, 군자의 자질이라는 보다 근원적인 차원에서 볼 때, 마음과 관계된 정직함이자 도덕적 자질을 갖추기 위한 핵심 가치·덕목으로 의(義)를 이해하는 것은 실천성을 강조하는 다산 군자론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e current moral education, virtue education still implies a valid academic foundation and meaning, and is being developed as an educational effort to pursue humanity while leading discussions related to moral virtues, character, and personality. Ideal person(Gunja), a moral utopia in the traditional era, revered the Tao of Confucianism and performed a social role with full knowledge. The basics of Dasan's theory of ideal person, which contains practical ethical characteristics, is virtue. In order to be equipped with qualities and virtue, ideal person must have honesty as the direction of his heart, and he must cultivate himself in order to build justice as values and virtues. Prior research on 'Ideal person' based on the 『Confucian Analects』 as the basic text has been conducted in a wide variety, but most agree that Confucian ideals are sublimated to moralism. Virtue education based on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is understood as an integrated structure and approach, and from a more fundamental level of qualities of ideal person, understanding justice as a core value and virtue to equip honesty and moral qualities related to the heart is a characteristic of Dasan's theory of ideal person that emphasizes practicality.

      • KCI등재

        『논어』 군자론의 이론구조와 초등 도덕교육적 함의

        지준호 ( Chi Chun-ho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1 동양문화연구 Vol.35 No.-

        정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현대의 교육이 목표로 하고 있는 점들은 모두 인간성 함양이라는 본질적인 측면을 기초로 삼고 있으며, “올바른 가치관 함양”이라는 지향점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도덕과 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학교교육에서는 인간 본연의 도덕성 이해와 자각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는 도덕적 사고와 판단 능력의 함양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자신의 삶에서 도덕적 실천이 이행되고 확장될 수 있도록 교육적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이고 있다. 도덕철학으로서의 위상을 굳건히 유지하고 있는 유학(儒學) 사상은 ‘군자(君子)’로 표방되는 인격을 갖춘 지성인의 도덕적 실천과 사회적 역할에 관하여 주목하고 있다. 군자(君子)는 전통시대 도덕교육의 목표이자 이상향이며, 군자가 되기 위한 실천 공부는 도덕교육의 내용이자 방법적 원리이기도 하다. 『논어』의 군자론은 인(仁) 중심의 가치·덕목 체계 기본구조, 지행일치(知行一致)의 교수·학습 선순환구조, 수기치인(修己治人)의 가치관계 확장 중층구조 등으로 이론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군자론은 선(善)을 지향하는 인간의 도덕적 본성, 변화의 가능성을 전제로 한 수양과 공부, 자각과 실천을 중심으로 하는 인격교육 등의 측면에서 초등 도덕과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따라서 전통의 현대적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논어』 사유의 핵심인 인(仁)을 중심으로 하여, 도덕적 성찰을 이끌어내는 지혜에 주목하고, 현재라는 맥락 속에서 관련된 실천적 가치·덕목을 끊임 없이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Although there may be differences in degree, the goals of modern education are all based on the essential aspect of cultivating humanity, and contain the goal of “cultivating the right values.” In particular, in school education centered on morality and education, educational efforts are continuously being made so that moral practice can be naturally implemented and expanded in one's life through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human's inherent morality and cultivating moral thinking and judgment ability based on it. continuously leaning. The Confucian ideology, which firmly maintains its status as a moral philosophy, is mainly discussed about the moral practice and social role of intellectuals with a personality expressed as a ‘wise man(君子)’. A wise man is the goal and ideal of moral education in the traditional era, and the practice study to become a wise man is the content and methodological principle of moral education. The theory of the wise man of 'The Analects'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basic structure of values and virtues centered on benevolence(仁), a virtuous cycle of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unity of knowledge and practice(知行一致)', and a multi-layered structure of value relationship expansion based on to 'govern others by self-discipline(修己治人)'. In addition, such a wise man theory has implications for elementary school morality and education in terms of the moral nature of human beings oriented to goodness, cultivation and study based on the possibility of change, and personality education centered on awareness and practice. Therefore, in terms of the modern succession of tradit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wisdom that leads to moral reflection, focusing on the 'benevolence(仁)', which is the core of the thought of the Analects, and to constantly reconstruct the relevant practical values and virtues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 KCI등재

        『논어고금주』를 통해 본 다산 정약용의 절차탁마 공부론

        지준호 ( Chi-chun-ho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1 한국 철학논집 Vol.0 No.71

        “실학의 집대성자”로 추앙받는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후대에 남긴 방대한 저술은 그의 학문 공부가 어떠했는가를 직접적으로 증빙하는 자료이다. 다산 정약용의 공부론을 관통하는 핵심은 “절차탁마의 공부”로서, 군자(君子)가 되기 위해서 의(義)를 지키고 부지런히 학문과 덕행을 닦아 실천하는 것이다. 다산 정약용의 『논어고금주』는 바로 이러한 그의 절차탁마 공부론의 내용이자 성과이다. 절차탁마의 공부는 도(道)를 근거로 하여 모든 일들을 처리하기 때문에 너그럽고 즐거울 뿐만 아니라 타인의 훌륭한 면모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찬양할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를 수반한다. 더 나아가 위정자의 위치에 서게 되면 그 사람의 재능을 알아보고 그 재능에 따라 직책이나 역할을 맡길 수 있는 정치적 역량을 발휘하게 된다. The vast writings left by Dasan Jeong Yak-yong(丁若鏞), who is revered as “the culmination of Silhak(realism),” is the direct evidence of what his academic studies were like. The core of Dasan Jeong Yak-yong's studying theory is “studying jeolchatagma”, in order to become a wise man, to keep justice and diligently cultivate and practice learning and virtue. Dasan Jeong Yak-yong's 'Noneokokeumju' is the content and outcome of his theory of studying jeolchatagma. Because the study of jeolchatagma deals with all things based on the Tao, it is not only generous and enjoyable, but it also entails a positive effect of viewing and praising the good side of others. Furthermore, when you stand in the position of a government official, you will recognize the person's talent and exercise the political capacity to assume a position or role according to that talent.

      • KCI등재

        일반논문 : “태이부교(泰而不驕)”의 의미에 관한 소고

        지준호 ( Chun Ho Chi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1 동양문화연구 Vol.7 No.-

        공자(孔子)는 춘추시대라는 혼란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인간의 내면적 가치에 대한 성찰뿐만 아니라, 그 가치를 어떻게 밖으로 끌러낼 것인가, 그리고 어떻게 인간관계를 맺을 것인가에 대하여 끊임없이 고민하였다. 공자가 제시한 인간다움인 인(仁)의 자각과 실천은 당시 현실사회의 모순과 혼란을 종식시키기 위한 해결 방안이자 도덕적 인격을 갖춘 군자(君子)의 본질이기도 하다. 군자는 타인을 존중하여 말하고 타인을 배려하여 행동하기 때문에 “말이 진실하고 믿음직스러우며, 행동은 독실하고 공경스럽다.”?논어?에는 천리(天理)를 따르고 의(義)와 공(公)의 가치를 도모하는 군자의 용모를 “태연하되 교만하지 않는다”고 언급하고 있다. 즉, 군자는 의(義)와 공(公)의 가치를 기초로 자신의 내면을 수양하고, 자긍심을 고취하며, 변화하는 현실적인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함으로써 그 인품을 드러낸다. ``태이불교(泰而不驕)``로 언급되는 인간다움의 실현은 도덕주체의 진솔함과 일관성을 기초로 내외를 관통하고 있으며, 타인 그리고 더 나아가 내가 마주하고 있는 여러 사물과 세계와의 올바른 관계를 맺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학문과 수양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담고 있다. Confucius did not only examine the inner value of human being but also continuously think of how to draw out such value to the external side and how to make personal relationship in order to overcome the chaotic reality, the Age of Chunchu. Therefore, being enlightened of and working for In (仁: Benevolence) that was to become a genuine human were not only a solution to end up the contradiction and chaos of the real society of that period but also the essence of Gunja (君子: the Great Man) who should have perfect personality of morality. Thus, Gunja talks to other people with respect and behaves with thoughtful mind for them, so that "he is trustful of his words and is faithful and respectable of his behaviors". "Gunja is confident while not haughty", the Analects of Confucius states about the look of Gunja who follows the heaven`s principle and works for the value of Eui(義: Justice) and Gong(公: Fairness). Gunja shows his personality by training himself of his inner side, enhancing his confidence and positively facing the changing real situation. Realization of becoming a genuine human passes into both inner and outer sides based on the sincerity and consistency of the subject body of morality and contains the meaning of the process to make continuous effort to make right relation with others and furthermore various things and world that I am facing.

      • KCI등재후보

        순자(荀子) 군자관의 실천적 지성인상-공·맹(孔孟) 군자관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지준호 ( Chi Chun-ho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6 동양문화연구 Vol.24 No.-

        유학(儒學)에서는 성숙한 인격자나 지도자를 가리켜 군자(君子)라고 부르고 있다. 군자는 현실 속의 이상형으로, 바람직한 지성인의 인격이다. 군자가 되기 위한 학문은 도덕이고 수양이며, 더 나아가 현실 비판을 통하여 전개되는 실천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순자(荀子)에 의하면, 군자다움의 근본은 도덕이며, 도덕적 실천은 지성인으로서의 자신의 임무이다. 도덕의 극치로 표현되는 예(禮)는 이론적 지식으로부터 행동적 실천에 이르는 모든 영역을 포괄하는 것으로, 학문과 교육을 통하여 선비와 군자 그리고 성인이 되기 위한 필수조건이 된다. 또한, 군자는 정치가가 되어야 하고 정치적인 규율에 따라 일처리를 해야 한다. 군자는 일처리나 대인관계에 있어서의 내강외유적인 자세를 견지하여야 하며, 현실감과 효율성을 갖추어야 한다. 순자(荀子)가 제시한 군자의 주된 가치관과 군자가 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은 실천적 지성인상으로서의 진면목을 드러내고 있다. 순자의 군자관은 도덕적 실천의 측면에서 공자와 맹자를 중심으로 하는 유학의 군자관을 계승하고 있지만, 정치적 실천의 측면에서는 차별화되는 지점도 분명히 존재한다. 순자의 군자론은 이전까지 도덕 이상주의적 입장에 머무른 군자를 현실 정치가의 입장에서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In the Confucianism, a mature man of character or leader is called as a gentleman. A gentleman is an ideal man in the real world and desirable intellectual character. A scholarship to be a gentleman is a moral and self-discipline, and furthermore it need to be supported by practice from criticism of reality. According to Xun Zi, the basis of being a gentleman is moral and moral practice is a duty as a gentleman. The ritual which is represented by the ultimate in moral, include everything from theoretical knowledge to behavioral practice and is a prerequisite to be a classical scholar, a gentleman, and a saint through scholarship and education. A gentleman should be a politician and do work according to the political regulation. A gentleman should stick to be an iron hand in a velvet glove at work and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have a sense of reality and effectiveness. The gentleman`s core values and various methods to be a gentleman, presented by Xun zi, show real worth of the practicing intellectual image. While Xun zi`s view of a gentleman succeed to the Confucianism of Confucius and Mencius in view of moral practice, it is clearly differentiated in the view of political practice. Xun zi positively interpret a gentleman as a practical politician who belonged to the moral idealism in the past.

      • KCI등재

        순자(荀子)의 도덕교육론 -화성기위(化性起僞) 개념을 중심으로-

        지준호 ( Chun-ho Chi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5 한국 철학논집 Vol.0 No.47

        순자의 도덕(道德)교육은 본성(本性)을 변화시키는 교육을 통하여 도덕인을 만드는 화성기위(化性起僞)’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화성기위’는 자기 성찰을 통한 수양의 과정이며, 사회가 요청하는 이상적인 인간이되기 위한 자기 변화의 과정이다. 또한, ‘화성기위’는 도덕교육의 필요성과 목적으로서의 ‘화성(化性)’과 도덕교육의 내용과 방법으로서의 ‘기위(起僞)’로 구분할 수 있다. 성악설(性惡說)에 기초하고 있는 인간의 본성에 관한 순자의 이해는 도덕적인 문제의 발생에 따른 해결을 필요로 한다. 도덕적인 사회를 이루기위해서는 도덕을 내용으로 하는 교육 방법이 모색되어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사회가 요청하는 이상적인 인간상을 목표로 하여야 한다. 도덕과 인격의 문제는 유학에서 매우 중시되는 주제이다.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사회적으로 요청되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 화성기위(化性起僞)를 통해 체현되는 사군자(士君子)와 성인(聖人)은 그 시대가 요청하는 인격적 리더이다. Xun zi``s ``Moral Education`` can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transforming human through intentional effort``(化性起僞) which means education of changing human nature makes moralist. ``transforming human through intentional effort`` is the process of self-dicipline through self-examination and self-change to be a man of social need. ``transforming human through intentional effort`` can be separated into ``transformation of human nature``(化性) and ``intentional effort``(起僞). ``transformation of human nature`` i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moral education and ``intentional effort`` is the content and method of mo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view of Xun Zi``s study, the human nature is based on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evil and thus it need to be resolved moral issues. In order to be a virtuous society, education method in the nature of moral should be sought and the education should be aimed eventually at socially desirable human character. Moral and personality are very important subjects in Confucianism.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is to cultivate people of talent who are socially desirable. A man of honor and sage are embodiment of ``transforming human through intentional effort`` and socially desirable moral leader.

      • KCI등재후보

        전통문화를 통해 본 교사의 위상과 바람직한 교사상

        지준호 ( Chun Ho Chi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2

        오늘날 중요한 사회적인 관심으로 대두되고 있는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확립과 가치관의 혼란에 따른 도덕성 회복의 문제 역시 현 시대의 교육과 관련하여 논의할 수 있는 대표적인 주제이자 내용일 것이다. 그것은 급변하는 오늘날의 현실에서 자신의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고 그에 따라 자신의 삶의 지표를 세우고 타인과 더불어 행복하게 살아가는 것이 우리 삶의 궁극적인 목적이 되며, 이러한 목적을 이루는데 있어서 교육의 역할은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전통적인 가치관을 바탕으로 하여 바람직한 가치관을 형성하여야 함은 말할 것도 없고, 전통적 가치관의 계승이라는 측면과 함께 변화된 사회에서 요구하는 바람직한 미래지향적인 교육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유학의 학문적 전통은 덕목을 통한 덕성(德性) 함양과 실천적인 덕행(德行) 교육이라는 측면에 있어서 현재까지도 직접적으로 우리의 학문과 교육 및 문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 유학의 보편적 가치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전통적 가치관의 철학은 내면적 수양과 외면적 실천에 근거하고 있으며, 전통적 사도관(師道觀) 역시 이와 같은 도덕적 미덕인 유학의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학의 학문적 전통과 그 궤를 같이 하고 있다. 교사는 있어도 스승은 없고, 학생은 있어도 제자는 없다`라는 말이 있다. 교사와 스승을 대비하여 말하자면, 교사는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을 전달하는 직업인을 가리킨다. 그러나 스승은 이러한 교사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진리애(眞理愛)와 제자애(弟子愛)로 학생들을 인격적으로 감화시키는 사람(role model)을 가리킨다. 전자를 경사(經師), 후자를 인사(人師)라고 할 수 있다. 우리의 현실을 볼 때 교사의 사회적 지위나 경제적인 조건이 열악하고, 과중한 행정 업무 등 교육 외의 요소들이 인사(人師)로 표현되는 스승으로서의 본연의 역할을 감당하는 데 있어서 부정적으로 기능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그러나 교사는 학생을 직접적으로 교육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 극복의 1차적인 책임이 교사 본인에게 있다는 것을 무조건 부인하기만은 어렵다. 따라서 그 책임을 국가나 사회에만 떠맡겨 교사로서의 본연의 임무를 저버려서는 안 된다. 전통을 현실에 맞게 설명하고 운용하려면 비판적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초적인 노력이 있어야만 우리가 현실에 존재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issues of the establishment of one`s identity as a Korean and the recovery of morality lost due to confusion in values, which have emerged as important matters of social concern today, are representative topics that can also be discussed in relation to education in the present era. This is because establishing one`s own upright values in the swiftly changing reality of today, establishing the guideposts of one`s life accordingly, and living happily together with others are the ultimate goals of our lives and, to attain such goals, the role of education is of foremost significance. Consequently, we must not only establish desirable goals based on traditional values but also properly inherit traditional values and devise desirable and future-oriented education demanded by a changed society. The academic tradition of Confucianism lies in the cultivation of moral character through virtues and practical education for virtuous conduct and directly affects our learning, education, and culture even today. Grounded on the universal values of Confucianism, the philosophy of traditional values is based on inner cultivation and outer praxis, and traditional view of the duty of teachers is akin to the academic tradition of Confucianism because it likewise pursues the universal values of Confucianism, which thus are moral virtues. One has surely heard the expression “Although there are teachers, there are no mentors; although there are students, there are no disciples.” When teachers and mentors are contrasted, the former designate professionals who transmit expert knowledge or techniques. On the other hand, mentors designate those who, in addition to playing this role as teachers, morally influence students with their love of the truth and of their disciples (role model). The former can be called “teachers of classics” (jingshi) while the latter can be called “teachers of men” (renshi).It is clear that, in our reality, the social status or economic conditions or teachers are adverse and that factors outside education such as burdensome administrative duties function negatively in teachers` fulfillment of their true role as mentors, which can be expressed as being “teachers of men.” However, because teachers are in a position directly to educate students, it is difficult categorically to deny that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overcoming such problems lies with teachers themselves. Consequently, teachers must not forsake their true duty as teachers, leaving the responsibility solely to the state or society. Because they must be preceded by critique, the explication and employment of tradition in a manner suitable to reality are by no means easy tasks. Nevertheless, it will be possible to explain the reasons for our existence in reality only after such basic efforts. The issues of the establishment of one`s identity as a Korean and the recovery of morality lost due to confusion in values, which have emerged as important matters of social concern today, are representative topics that can also be discussed in relation to education in the present era. This is because establishing one`s own upright values in the swiftly changing reality of today, establishing the guideposts of one`s life accordingly, and living happily together with others are the ultimate goals of our lives and, to attain such goals, the role of education is of foremost significance. Consequently, we must not only establish desirable goals based on traditional values but also properly inherit traditional values and devise desirable and future-oriented education demanded by a changed society. The academic tradition of Confucianism lies in the cultivation of moral character through virtues and practical education for virtuous conduct and directly affects our learning, education, and culture even today. Grounded on the universal values of Confucianism, the philosophy of traditional values is based on inner cultivation and outer praxis, and traditional view of the duty of teachers is akin to the academic tradition of Confucianism because it likewise pursues theniversal values of Confucianism, which thus are moral virtues. One has surely heard the expression “Although there are teachers, there are no mentors; although there are students, there are no disciples.” When teachers and mentors are contrasted, the former designate professionals who transmit expert knowledge or techniques. On the other hand, mentors designate those who, in addition to playing this role as teachers, morally influence students with their love of the truth and of their disciples (role model). The former can be called “teachers of classics” (jingshi) while the latter can be called “teachers of men” (renshi). It is clear that, in our reality, the social status or economic conditions or teachers are adverse and that factors outside education such as burdensome administrative duties function negatively in teachers` fulfillment of their true role as mentors, which can be expressed as being “teachers of men.” However, because teachers are in a position directly to educate students, it is difficult categorically to deny that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overcoming such problems lies with teachers themselves. Consequently, teachers must not forsake their true duty as teachers, leaving the responsibility solely to the state or society. Because they must be preceded by critique, the explication and employment of tradition in a manner suitable to reality are by no means easy tasks. Nevertheless, it will be possible to explain the reasons for our existence in reality only after such basic eff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