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결절성 경화증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 피질결절과 피질하 결절을 중심으로

        지은경 대한영상의학회 1998 대한영상의학회지 Vol.38 No.4

        Purpose : To evaluate the frequency, location, and signal intensities of parenchymal (cortical and subcortical) tubers and white matter lesion, as seen on MR images of patients with tuberous sclerosis.Material and Methods : Twenty patients diagnosed on the basis of clinical and MR findings as suffering from tuberous sclerosi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ir ages ranged from 6 days to 21 years (mean, 5.2 year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age : under 18 months (n=9) and over 18 months(n=11). We analyzed the frequency, location, and enhancement patterns of tubers and white matter lesions, and the difference of signal intensities between cortical and subcortical tubers according to age.Results : Cortical tubers were detected in11 patients (55%), subcortical tubers in 18 (90%), and white matter lesions in 16 (80%). Subcortical tubers were more frequently noted than cortical tubers and the two types did not always accompany each other. Cortical tubers were most commonly located in the frontal lobe(10/11), followed by the parietal lobe(2/11), and temporal lobe(2/11). Subcortical tubers were also most commonly located in the frontal lobe(17/18), followed by the temporal lobe(10/18). White matter lesions were also frequently observed in the frontal lobe(13/16) and were related to the location of parenchymal tubers in 12 of 16 white-mater lesions. There were no lesions in the cerebellum. The signal intensities of cortical and subcortical tubers were different in all patients. Those of subcortical tub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age groups, but in patients under 18 months, signal intensity on T1WI tended to be high(5/6), and on T2WI, tended to be low(5/6). In 15 patients, Gd-DTPA enhanced MR images showed no demonstrable enhancement, except in one case involving white-matter lesion.Conclusion : Both cortical and subcortical tubers were commonly located in the frontal lobe, but the latter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than the former. Subcortical tubers did not always accompany cortical tubers, and on MR imaging, the signal intensities of the two types were different in all cases. Differentiation of cortical and subcortical tubers by MR imaging may therefore help analyze the parenchymal tubers seen in tuberous sclerosis.

      • KCI등재

        실시간 모델 체커를 이용한 폴트 트리의 체계적 검증

        지은경,차성덕,손한성,유준범,구서룡,성풍현 한국정보과학회 2002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1 No.3

        Fault tree analysis is the most widely used safety analysis technique in industry. However, the analysis is often applied manually, and there is no systematic and automated approach available to validate the analysis result. In this paper, we demonstrate that a real-time model checker UPPAAL is useful in formally specifying the required behavior of safety-critical software and to validate the accuracy of manually constructed fault trees. Functional requirements for emergency shutdown software for a nuclear power plant, named Wolsung SDS2, are used as an example. Fault trees were initially developed by a group of graduate students who possess detailed knowledge of Wolsung SDS2 and are familiar with safety analysis techniques including fault tree analysis. Functional requirements were manually translated in timed automata format accepted by UPPAAL, and the model checking was applied using property specifications to evaluate the correctness of the fault trees. Our application demonstrated that UPPAAL was able to detect subtle flaws or ambiguities present in fault trees.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proposed approach is useful in augmenting fault tree analysis. 폴트 트리 분석(Fault Tree Analysis)은 산업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안전성 분석 기법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이 기법은 보통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며, 분석 결과를 체계적이고 자동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약점을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모델 체커인 UPPAAL을 이용하여 안전성이 중요한 소프트웨어의 요구 사항들을 정형 명세하고, 수작업으로 완성된 폴트 트리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방법을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월성 원자력 발전소의 비상 정지 소프트웨어(Wolsung SDS2)에서 사용된 기능 요구 사항들을 예제로서 사용하였다. 폴트 트리는 월성 SDS2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지니고 폴트 트리를 이용한 안전성 분석을 여러 번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대학원생들에 의해 작성되었다. 기능 요구 사항들은 UPPAAL의 입력으로서 사용되기 위해서 시제 오토마타의 형태로 수작업으로 변환되었으며, 이 폴트 트리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모델 체킹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을 월성 SDS2 예제에 적용해 본 결과, 수작업으로 작성된 폴트 트리에 존재하는 오류를 찾을 수 있었으며,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이 폴트 트리 분석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데 유용함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 실시간 모델 체커를 이용한 폴리 트리의 체계적 검증

        지은경,차성덕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2001 소프트웨어공학회지 Vol.14 No.1

        폴트 트리 분석(Fault Tree Analysis)은 시스템의 안전성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쓰이고 있으나, 보통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며, 체계적인 구성 방법 없는 실정이어서 부정확할 수 있는 약점을 가진다.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모델 체팅(Model Checking) 방법을 이용하여 폴트 트리를 좀 더 정확하게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폴트 트리를 정확히 고치기 위해서, 먼저 폴트 트리의 노드에 대해서 공식을 만들고, 이 공식을 실시간 모델 체커 UPPAAL을 이용해 검증한다. 그리고 나서, 검증 결과를 분석하며, 이를 통해 얻어진 정보를 이용해 폴트 트리에 반영하게 된다.

      • KCI등재

        뇌자기공명영상의 노화에 따른 변화

        지은경,정인원,윤탁,Ji, Eun-Kyung,Chung, In-Won,Youn, Tak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4 생물정신의학 Vol.21 No.1

        Normal aging causes changes in the brain volume, connection, function and cognition. The brain changes with increases in age and difference of gender varies at all levels. Studies about normal brain aging using various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variables such as gray and white matter structural imaging, proton spectroscopy,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diffusion tensor imaging and functional MRI are reviewed. Total volume of brain increases after birth but decreases after 9 years old. During adulthood, total volume of brain is relatively stable. After 35 years old, brain shrinks gradually. The changes of gray and white matters by aging show different features. N-acetylaspartate decreases or remains unchanged but choline, creatine and myo-inositol increase with aging.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decreases till 20 years old and then becomes stable during adulthood and increase after 60 years old. Diffusion tensor properties in white matter tissue are variable during aging. Resting-state functional connectivity decreases after middle age. Structural and functional brain changes with normal aging are important for studying various psychiatric diseases such as dementia,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Our review may be helpful for studying longitudinal changes of these diseases and successful aging.

      • KCI등재

        임신 2기 한국인 정상 태아 초음파 검사에서 발 길이 및 대퇴골 길이 대 발 길이의 비

        지은경 대한영상의학회 200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4 No.6

        목적: 임신 2기 태아 초음파검사에서 측정한 한국인 정상 태아의 발 길이와 대퇴골 길이/발 길이 비의 값을 분석하여 한국인에서의 정상 계측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9년 5. 6. 7월과 9월 4개월동안 임신 중기 초음파가 의뢰되었던 임신 19주에서 30주사이의 단태아중 초음파검사에서 이상소견이 없고 대퇴골 길이와 발 길이의 측정이 가능한 10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 사람의 방사선과 의사가 대퇴골의 길이와 발 길이를 측정하여 발 길이의 값과 임신 주수와의 상판 관계를 회귀 분석하였고 대퇴골 길이/발 길이 비의 평균값과 평균값의 95% 신뢰 구간을 알아보았다. 또한 측정된 발 길이와 대퇴골 길이/발 길이 비의 값을 이전에 보고된 백인 대상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발 길이는 19주에서 30주 사이에 임신 주수와 선형의 관계를 보였다. 회귀 분석에서는 발길이의 임신 주수에 대한 설명력은 87%, p값은 0.0001이고 임신 일수와 발 길이의 관계를 회귀 방정식으로 나타내면 임신 일수 = 70.98+2.15 (발 길이7mm))이었다. 주수별 평균값은 백인의 연구 결과와 타이가 없었다 대퇴골 길이/발 길이의 비의 평균값$\pm$표준 편차는 0.96$\pm$0.05, 평균값의 95% 신뢰 구간은 0.96$\pm$0.000301이었고 백인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작았다. 결론: 임신 2기 한국인 정상 태아에서 발 길이는 임신 주수를 반영하며 백인과 타이가 없었으나 대퇴골 길이/발 길이의 비의 값은 백인보다 작으므로 한국인 태아에서 염색체 이상이나 골격이 형성증 진단에 대퇴골 길이/발 길이의 비의 값을 이용하고자할 때 이 연구의 결과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using prenatal ultrasongraphy, normal fetal foot length and the femur length ratio during the second trimester of a normal pregnancy in Korean women.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to July 1999, and in September of the same year, 1018 normal Korean singleton pregnancies showing no abnormality on prenatal sonogram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gestational age ranged from 19 to 30 weeks. Femur and foot length were measured by one radiologist. Regression analysis was per(orbed for foot length and gestational age, and the mean value of the femur/foot length ratio and 95th percentile confidence interval of that mean value were calculated. The data obtained was compared with that obtained from caucasians. Results: Foot length correlated with gestational age ($r^2$= 0.87, p value = 0.0001). The regression formula was as follows; Gestational age (days) = 70.78-2.15 afoot length (mm). Mean foot length at each gestational week was not different from the corresponding figure for Cancasians. The mean ($\pm$SD) value of the femur/foot length ratio was 0.96 ( $\pm$0.051 and the 95$^{th}$ percentile confidence interval of that mean value was 0.96 $\pm$ 0.000301, figures which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for Caucasians. Conclusion: Fetal foot length during the second trimester of a normal pregnancy in Korean women is a reliable parameter for use in the assessment of gestational age. In our study the fetal foot length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caucasians, while the femur/foot length ratio was lower than the value in that group. The nomogram depicted in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useful adjunct in the screening of chromosomal abnormality or skeletal dysplasia among Kore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