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 창의성 향상을 위한 가족활동(FAISC)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지경준 ( Kyoung Jun Jee ),박종원 ( Jong Won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3

        이전 연구(Jee & Park, 2013)에서, 일반 가정에서 가족활동을 통해 과학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자료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12 가족을 두 구룹으로 나누어 각각 6개의 과학 창의성 프로그램으로 제공하여 주당 한 개 프로그램씩 6주간 실시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참가자들로부터 다양한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에 이어서, 가정에서의 가족활동을 통해서 과학 창의성이 향상되는지를 정량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고, 가정에서의 창의성 지도 가능성에 대한 학부모의 의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 및 사후조사에서 사용할 각각 3개 문항으로 구성된 과학 창의성 조사 도구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 도구에는 Park(2011)이 정의한 다양한 과학 창의성 요소들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학부모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실시 결과, 학부모들은 기본적인 방법만 습득하면 누구나 과학 창의성 활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프로그램만 있다면 가정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는 인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창의성 평가를 통해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효과의 크기도 매우 크게 창의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앞으로 과학 창의성 활동을 가정 내에서 뿐 아니라, 캠프나 여가활동 중 또는 과학관 등에서 가족형 프로그램으로 확대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In the previous study (Jee & Park, 2013), family activities, which can be utilized to improve scientific creativity at home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In that study, 12 families fell into two groups, received 6 programs for scientific creativity respectively, and conducted the program for six weeks. As consequences, various positive responses from participants have been received. This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test whether scientific creativity could be improved quantitatively through family activity at home, and to examine parents` recognition of the feasibility of teaching creativity as well. To answer this,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consisting of three items in the pre- and post-test respectively have been developed and carried out. The test includes various elements of scientific creativity defined by Park (2011). For obtaining parents` responses, a questionnaire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The results reveal that parents have changed their thought to ‘everyone can conduct scientific creativity activity at home if effective programs are provided and they learn the basic skills to do it.’ And, through the scientific creativity test, the experimental group has indicated an improvement in scientific creativit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a large effect size. Therefore, we suggest that family activity for scientific creativity can be applied to family activity in various situations such as camp, leasure or science museum.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노래 가사 바꿔 부르기의 적용 효과 분석

        강경원 ( Kyoung Won Kang ),지경준 ( Kyoung Jun Jee ),최도성 ( Do Sung Choi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3

        노래 가사 바꿔 부르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은 과학 교과의 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자 시도하는 교수·학습전략이다. 현재 노래를 활용한 수업이 초등교육현장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노래 가사 바꿔 부르기가 초등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학년 1학기 과학과 교육과정에 노래 가사 바꿔 부르기 활용 수업을 단원별 2차시씩 총 8차시를 적용하여 학업 성취 수준별 상·중·하 집단 및 남·여 집단 별로 학업 성취도와 과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 성취도 검사 결과, 노래 가사 바꿔 부르기를 적용한 수업반의 상·중·하위 집단 모두 학업 성취도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성별 집단의 학업 성취도 검사 결과, 남·여 집단 모두 평균 값 상승 폭은 컸으나 통계적으로는 남학생들에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학업 성취 수준별 집단의 과학태도 검사 결과, 중위 집단의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 범주를 살펴보면 과학에 대한 태도에서는 상위 집단의 과학 지식의 절대성, 중위 집단의 과학자의 필요성과 책임 부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의 하위 범주에서는 중위 집단의 과학 교과에 대한 선호, 만족, 재미 과학 시간의 즐거움 부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성별 집단의 과학태도 검사 결과, 여학생 집단의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 범주를 살펴보면 과학에 대한 태도에서는 남학생의 과학자의 필요성, 책임 부분에, 여학생의 과학에 대한 흥미 부분에 유의미한 값을 보였고,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의 하위 범주에서는 여학생 집단의 과학교과에 대한 선호, 만족, 재미, 즐거움, 과학 수업 활동 세 범주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노래가사 바꿔 부르기를 활용한 수업은 남학생들의 학업 성취, 여학생들의 과학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중위그룹의 학생에게 과학교과와 관련된 태도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노래 가사 바꾸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학업 성취도가 낮은 남학생들과, 과학 교과에 흥미가 낮은 여학생들을 위한 교수 학습 방법으로 제시되면 과학 교과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여 과학과 학업 성취도 향상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learning achievement in the science class of utilizing singing songs changed words. therefoe, in this study, we have restructured science curriculum of 4th graders` 1st semester, and applied it twice at each lesson, eight times in total. Then, we analized the effect of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learning ahievements divided by gender group and level of learning achievement in the science class of utilizing singing songs changed words. Results are followed: The results imply singing science songs improve attitudes toward science for girls as well as for the middle group of science accomplishment test and help to get academic satisfaction toward science for boys. Also, singing science songs is an effective strategy of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for boys especially who have a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for girls who has no interest in learning science. The strategy could br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a subject and it can le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learning.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의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 조사

        이경학 ( Kyoung Hak Lee ),지경준 ( Kyoung Jun Jee ),박종원 ( Jong Won Par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교사교육연구 Vol.4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자유탐구``가 도입되는데 있어 초등 현장 교사들이 자유탐구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현장에 잘 정착되기 위한 문제점과 개선점을 찾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2010년 G광역시 과학과 개정교육과정 연수에 참여한 초등학교 3, 4학년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은 자유탐구에 대해서는 잘 아는 편이지만 연수를 통한 전문성 향상에는 미흡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은 자유탐구를 일반적인 안내된 탐구와 특별히 구분 짓지 못하고 있어, 탐구문제의 선정과 탐구방법의 설계에 대한 강조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은 자유탐구 평가를 위해서는 학생들이 충실하게 수행하고 결과물을 실물로 보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넷째,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은 자유탐구가 학교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 자유탐구를 보다 쉽고 직접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 그리고 연수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open scientific inquiry introduc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o obtain practical implications for successful practice of open scientific inquiry in school. To do this, questionnaire was used to one hundr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in-service training course for understanding the reform of the National Curriculum. Major results are, (1) teachers were well acknowledged about the introduction of open inquiry but thought that the training course was not sufficient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ty for teaching open inquiry, (2) teachers did not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ordinary guided inquiry and open inquiry, therefore, more emphasis for characteristics of open inquiry such as finding inquiry problem, designing inquiry plan, and so on was necessary, (3) teachers recognized that students` active performance and the presentation of actual results of open inquiry were important for assessment of students` inquiry activity, and (4) teachers asked for mor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teaching open inquiry and distribution of it, and more professional in-service training course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practice for open inquiry.

      • KCI등재

        학생, 교사 및 학부모의 과학 창의성에 대한 대립적 관점 조사

        박종원 ( Jong Won Park ),지경준 ( Kyoung Jun J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3

        본 연구는 과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이 교사와 학부모, 학생들 간에다를 수 있고, 이러한 관점의 차이는 실제 과학 창의성을 지도하고 격려하는데, 또 계발하는데 영향을 준다고 보았다. 이에 과학 창의성의 특성에 대한 교사들의 자유응답과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과학 창의성에 대한 대립적 관점 16개 항목을 추출한 후, 초중등 학생, 예비교사(사범대학생), 초중등 교사, 학부모 652명을 대상으로 16개 항목에 각각 동의하는 정도를 설문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모든 항목에서 대상자의 1/4 이상이 기존의 문헌에서 나타나는 과학 창의성에 대한 관점과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존의 관점과 다른 관점을 가진 대상자가 특별히 많은 경우가 무엇인지 알 수 있었고, 대상자들 간에도 서로 대립되는 관점을 가진 두 그룹으로 나누어지는 항목들이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대상자들의 관점이 과학 창의성의 지도와 격려 및 계발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서 논의하고, 앞으로 필요한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ssumes that recognition about scientific creativity may differ according to teacher, students and parents, and that this difference can affect the actual teaching, encouragement, and development of scientific creativity. Based on teacher’s free responses and literature reviews about features of scientific creativity, we extracted 16 items describing contrary views about scientific creativity. Using these 16 items, we obtain responses from 652 students, teachers, soon-to-be-teachers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and parents about whether they agree with each item or not. Results show that 1/4 of the participants agreed with the views contrary to the views accepted in literature. And we found out which views contrary to the accepted views in literature were agreed upon by participants, and that which items divided the groups for having contrary views. From these results, we discuss the possible effects of participants’ recognition on teaching, encouragement and development of scientific creativity, and suggest so further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과학적 창의성 지도를 위한 워크숍 방식의 심화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박종원 ( Jong Won Park ),김본경 ( Bon Kyeong Kim ),최재혁 ( Jaeh Yeok Choi ),지경준 ( Kyoung Jun J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0 No.8

        본 연구에서는 박종원, 박종석, 이강길(2008)이 개발한 과학적 창의성 활동자료를 활용하여, 교사들이 직접 창의성 활동을 수행한 후에 지도 자료를 개발하는 워크숍 방식의 영재심화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수 결과, 교사들은 기존의 프로그램과 달리 다양한 프로그램과 지도전략을 배우고 실습할 수 있어, 영재지도를 위한 실질적인 목적을 연수를 통해 달성할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프로그램들이 흥미롭고 난이도도 적절하여 앞으로의 영재교육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실제 연수활동을 관찰하여 교사들이 오랜 시간동안 집중적으로 활발하게 참여하였고, 과학개념의 올바른 이해에도 도움을 받았지만, 보다 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도록 연습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이 개발한 수업자료에서 잘한 부분과 부족한 부분을 찾을 수 있어, 이러한 부분이 앞으로의 연수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In this study, an enriched in-service program for teaching scientific creativity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using the scientific creativity activities developed by Park, Park, & Lee (2008). In this program, science teachers performed scientific creativity activities by themselves and practiced the development of actual teaching materials. As a result, science teachers mentioned that they could achieve their goals by learning about various actual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strategies for gifted education. They also mentioned that the in-service program was interesting, had appropriate levels of learning difficulty, and that they would apply the teaching programs and teaching strategies to actual gifted education. Observing teachers` actual learning processes during the in-service training course, it was found that they actually participated in the in-service program for a long time intensively and could improve conceptual understanding in depth, but it was necessary to long-term creative thinking practice for being beyond the level of students` creative activities. Finally, from the analysis of teaching materials developed by teachers at the final step of the in-service program, it was found which aspects were developed well or were unsatisfactory, therefore, these findings could be applied for more improved in-service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